KR200390057Y1 - 머리받침대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의자 - Google Patents

머리받침대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057Y1
KR200390057Y1 KR20-2005-0011997U KR20050011997U KR200390057Y1 KR 200390057 Y1 KR200390057 Y1 KR 200390057Y1 KR 20050011997 U KR20050011997 U KR 20050011997U KR 200390057 Y1 KR200390057 Y1 KR 2003900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chair
head restraint
frame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9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노수
Original Assignee
부호체어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호체어원(주) filed Critical 부호체어원(주)
Priority to KR20-2005-00119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0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0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0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head-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머리받침대가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의자 등받이판의 상부에 조립되는 머리받침대의 고정 높이를 손쉽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머리받침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머리받침대와 등받이부로 구성되어 상기 머리받침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가 구비되어 있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부에 상기 머리받침대(10)에 연결된 프레임(11)이 삽입되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24)이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일정간격의 유격(d)을 가지도록 양쪽으로 절결된 절결부(23)가 형성된 탄성구(22)와, 상기 탄성구(22)의 관통공(24)으로 상기 프레임(11)이 삽입되어 높이를 조절하여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탄성구(22)를 나사결합을 통해 조여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2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머리받침대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의자{Chair which can control height of headrest}
본 고안은 머리받침대가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의자 등받이판의 상부에 조립되는 머리받침대의 고정 높이를 손쉽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머리받침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집에서 사용하는 의자의 경우에는 의자의 등받이에 머리 받침대가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머리 받침대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도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없는 것이 대부분이며, 간혹 머리 받침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의 경우에도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단가가 높고 이 때문에 의자의 판매가격이 높아 일반 소비자들이 사용하기에는 부담스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의자용 등받이판상에 머리 받침대의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머리받침대 프레임이 관통하는 관통구와 유격을 갖는 절결부가 형성된 탄성구와 머리받침대 프레임이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구를 조여줌으로써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로 구성된 높이조절부를 구비한 머리받침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머리받침대와 등받이부로 구성되어 상기 머리받침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가 구비되어 있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부에 상기 머리받침대(10)에 연결된 프레임(11)이 삽입되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24)이 형성되고 양쪽으로 절결되어 종방향으로 일정간격의 유격(d)을 갖는 절결부(23)가 형성된 탄성구(22)와, 상기 탄성구(22)의 관통공(24)으로 상기 프레임(11)이 삽입되어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탄성구(22)를 나사결합을 통해 조여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2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머리 받침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는 도 1에서와 같이, 앉았을 때 편안히 머리를 받칠수 있는 머리받침대(10)와, 상기 머리받침대(10)를 의자와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머리받침대 프레임(11)과, 상기 머리받침대 프레임(11)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머리받침대(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20)와, 상기 높이조절부(20)와 연결구성되어 등받이판(31)이 형성되고 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등받이판 프레임(32)이 형성되어 있는 등받이부(30)와, 상기 등받이부(30)와 연결되어 일반적으로 착석할 수 있는 착석부(미도시)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20)는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하부에는 등받이부(30)의 등받이판 프레임(32)에 삽입시켜 고정하기 위한 삽입고정부(25)가 구비되어 있고, 상부에는 머리받침대 프레임(11)이 삽입되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24)이 형성되고 양쪽으로 절결되어 종방향으로 일정간격의 유격(d)을 갖는 절결부(23)가 형성된 탄성구(22)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구(22)를 나사결합을 통해 조여서 삽입된 머리받침대 프레임(11)을 높이 조절을 한 후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너트와 같은 형식의 고정구(2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구(22) 내부는 상방에서 하향으로 좁아지게 경사지는 상광하협의 경사면으로 형성하되, 상기 탄성구(22)의 내부 상부직경은 머리받침대 프레임(11)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머리받침대 프레임(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탄성구(22)의 내부 하부직경은 머리받침대 프레임(11)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머리받침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의 작용효과를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부(20)의 하부에 구성된 삽입고정부(25)가 등받이판 프레임(32)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높이조절부(20)의 상부에 구성된 탄성구(22)의 관통공(24)으로 머리받침대 프레임(11)이 삽입되어 상기 고정구(21)를 이용하여 탄성구(22)를 조여주어 머리받침대(10)의 높이가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머리받침대(10)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높이조절부(20)의 고정구(21)를 풀어주게 되면 탄성구(22)에 유격(d)을 갖는 절결부(2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복원력이 발생하여 유격(d)이 벌어져 관통공(24)의 직경이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삽입되어 있는 머리받침대 프레임(11)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머리받침대(10)를 승하강하여 위치를 결정한 후 상기 고정구(21)를 다시 회전시켜 조여주게 되면 탄성구(22)의 절결부(23)에 형성되어 있는 유격(d)이 점점 좁아지면서 관통공(24)의 직경도 점점 작아져 상기 머리받침대 프레임(11)을 꽉 조여주게 되어 원하는 위치에 머리받침대(10)의 높이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의 머리 높이에 맞추어 손쉽게 머리받침대(10)의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고정구(21)를 조여줌으로써 머리받침대(10)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의자의 등받이부와 연결된 머리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부를 구비하여 각자 앉은 키가 다른 사용자마다 자신에게 적당한 높이에 머리받침대를 둘 수 있도록 손쉽게 조절이 가능하며,
높이조절부의 구조가 단순함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 또한 저렴해지게 되어 사용자들이 부담스럽지 않은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대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의자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대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의자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대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의자의 높이 조절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대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의자의 높이 조절부를 나타낸 우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대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의자의 높이 조절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머리받침대 11 : 머리받침대 프레임
20 : 높이조절부 21 : 고정구
22 : 탄성구 23 : 절결부
24 : 관통공 30 : 등받이부
31 : 등받이판 32 : 등받이판 프레임

Claims (2)

  1. 머리받침대와 등받이부로 구성되어 상기 머리받침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가 구비되어 있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부에 상기 머리받침대(10)에 연결된 프레임(11)이 삽입되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24)이 형성되고 양쪽으로 절결되어 종방향으로 일정간격의 유격(d)을 갖는 절결부(23)가 형성된 탄성구(22)와,
    상기 탄성구(22)의 관통공(24)으로 상기 프레임(11)이 삽입되어 고정할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탄성구(22)를 나사결합을 통해 조여서 머리받침대(10)의 높이를 고정시키는 고정구(2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받침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구(22) 내부는 상방에서 하향으로 좁아지며 경사지는 상광하협의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하되, 탄성구(22) 내부의 상부 직경은 상기 머리받침대와 연결된 프레임(11)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탄성구(22) 내부의 하부 직경은 상기 프레임(11)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받침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KR20-2005-0011997U 2005-04-29 2005-04-29 머리받침대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의자 KR2003900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997U KR200390057Y1 (ko) 2005-04-29 2005-04-29 머리받침대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997U KR200390057Y1 (ko) 2005-04-29 2005-04-29 머리받침대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057Y1 true KR200390057Y1 (ko) 2005-07-18

Family

ID=43691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997U KR200390057Y1 (ko) 2005-04-29 2005-04-29 머리받침대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0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401B1 (ko) * 2020-12-29 2021-04-29 조효석 무볼트 조립타입 등판을 구비한 프레임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401B1 (ko) * 2020-12-29 2021-04-29 조효석 무볼트 조립타입 등판을 구비한 프레임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4662B1 (en) Waistrest assembly for a chair
US6709060B1 (en) Chair backrest
US6059366A (en) Adjustable armrest for chairs
JP4295265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GB2397755A (en) Height and horizontal position adjustment mechanism for chair backrest
KR102206733B1 (ko) 입체적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KR101593116B1 (ko) 의자 등받이 틸팅장치
US5762399A (en) Inclination positioning device for rocking type chairs
KR200390057Y1 (ko) 머리받침대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의자
JP2004202062A (ja) 椅子のヘッドレスト装置
JP5383583B2 (ja) 簡易便器
JPH1071043A (ja) 椅子座部の傾動調整機構
JP2005131251A (ja) 椅子
KR200379704Y1 (ko) 의자용 등받이
KR200302692Y1 (ko) 의자의 등받이
KR100828405B1 (ko) 높낮이 조절핀이 내장된 의자
JP2006141859A (ja) 腰支持部を有する椅子
KR200329547Y1 (ko) 의자
KR200295474Y1 (ko) 의자 등받이 고정구
KR200253650Y1 (ko) 의자 등받이용 머리받침대
KR200336085Y1 (ko) 의자용 허리 지지장치
KR101495325B1 (ko)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구조
KR200172190Y1 (ko) 흔들의자
KR102405617B1 (ko) 좌방석이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의자
KR20090052434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용 팔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