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995Y1 - 누수 및 유입 차단용 맨홀 구조체 - Google Patents

누수 및 유입 차단용 맨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995Y1
KR200385995Y1 KR20-2005-0006223U KR20050006223U KR200385995Y1 KR 200385995 Y1 KR200385995 Y1 KR 200385995Y1 KR 20050006223 U KR20050006223 U KR 20050006223U KR 200385995 Y1 KR200385995 Y1 KR 2003859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fume
insertion hole
packing material
fum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2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이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재 filed Critical 이영재
Priority to KR20-2005-00062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9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9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9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누수 및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맨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하수도용 맨홀(100)은 측면에 흄관(115a,115b)을 연결하는 삽입공(111a,111b)을 구비하되, 상기 삽입공(111a,111b)은 그 둘레를 따라서 단차를 갖는 단차부(116a,116b)를 구비한다. 특히, 단차부는 흄관의 삽입을 돕기 위해 접촉면이 경사져 있다.
흄관(115a,115b)은 삽입공(111a,111b) 둘레로 형성된 단차부(116a,116b)까지 확실하게 밀어 넣어지는 바, 특히 이 흄관(115a,115b)과 맨홀(100)의 삽입공(111a,111b)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기 위한 사다리꼴형상의 단면을 갖는 패킹재(113,114)가 삽입공의 내부원주 둘레로 제공되고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누수 및 유입 차단용 맨홀 구조체 {Manhole structure for protecting a leak}
본 고안은 누수 및 유입을 차단하는 맨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수도용 맨홀과 흄관 사이의 연결부위에서 하수관을 지나는 오폐수의 누수를 방지하면서 토층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흄관이 삽입될 삽입공 둘레를 따라서 단차부를 형성하는 한편, 그 단차부와 접하는 흄관(hume pipe)의 외부 둘레에 탄성소재로 된 패킹재(packing)를 장착한 맨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맨홀의 구조와 이에 연통될 흄관의 배관상태는 도 1 및 도 2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맨홀(10)의 양 측면에는 제1 및 제2삽입공(11a,11b)을 구비하되, 최초 이 제1 및 제2삽입공(11a,11b)은 얇은 두께의 내벽(12)으로 밀폐되어 있다. 맨홀의 상부는 통상적으로 개방되어 맨홀뚜껑으로 밀폐시킨다.
흄관(13a,13b)의 직경은 오폐수의 배출능력에 따라 정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서, 흄관(13a,13b)이 삽입공(11a,11b) 내로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맨홀(10)의 내벽(12)으로 막혀져 있는 삽입공 내부를 천공해야만 한다. 내벽(12)은 삽입될 흄관(13a,13b)의 직경에 따라 시공자가 망치와 같은 적절한 천공도구를 사용하여 천공된다. 내벽(12)을 천공한 맨홀(10)과 흄관(13a,13b)이 제 1 및 제2삽입공(11a,11b)을 통해서 상호연통될 수 있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맨홀과 흄관의 시공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종래의 맨홀(10)과 흄관(13a,13b)이 상호연통된 후에,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듯이 그 접촉면을 따라서 마감콘크리트(14)가 삽입공(11a,11b;도 2 참조)과 흄관(13a,13b)의 사이를 채우거나 맨홀과 흄관의 접합부위를 마감한다. 즉, 마감콘크리트(14)는 흄관과 맨홀 사이의 간극을 속채움 혹은 감아붙임방식으로 밀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설치된 종래기술에 따른 맨홀(10)은 그 양측면 내로 흄관(13a,13b)을 삽입하기 위해서 전술된 바와 같이 삽입공(11a,11b) 뒤쪽에 있는 내벽(12)을 천공해야 하는 바, 천공될 내벽(12)의 천공부가 삽입될 흄관(13a,13b)의 외경과 완전하게 일치하도록 천공시키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망치 등을 동원하는 단순한 수작업으로 내벽을 천공하면, 그 천공단면이 울통불퉁하게 되어 흄관과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게 되어 접촉면을 따라 많은 틈새를 갖게 된다. 이러한 틈새를 밀봉하면서 맨홀(10)과 흄관(13a,13b)을 확실하게 고정장착시키기 위해서 그 접촉부위를 따라서 마감콘크리트(14)를 통해 속채움 혹은 감아붙임방식으로 마감처리하도록 하되, 이러한 마감처리방식은 흄관의 상부측에서는 마감콘크리트(14)를 비교적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반면에, 흄관의 하부측에서는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확실하게 확보되지 않는 상황을 제외하고는 통상적으로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마감작업은 상당한 애로점을 갖게 될 뿐만 아니라 밀봉작업이 잘 이뤄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확실하게 흄관과 맨홀 사이를 밀봉시키지 못하면, 추후에 틈새가 생기게 될 것이다. 흄관을 통해 이송될 오폐수가 틈새를 통하여 주변 토층으로 누수되어 토양의 심각한 환경오염을 제공한다. 이와는 반대로, 토층수가 틈새를 통해 맨홀 내부로 유입되면서 그 주변에 적층되어 있던 토사들도 토층수와 함께 유입될 수도 있다. 이렇게 토사가 지속적으로 유입될 경우에는, 그 맨홀 주변 둘레의 토사가 상당량 맨홀 속으로 유입되어 최종적으로 도로가 주저앉는 사고가 발생하게 될뿐더러 흄관 혹은 맨홀 내부가 막혀지게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맨홀의 양 측면에 완전 개방된 삽입공을 구비하는 한편, 그 삽입공의 둘레를 따라서 흄관이 삽입공을 갖춘 맨홀의 측면에 확실하게 고정안착될 수 있도록 단차부를 갖도록 한다. 이와 함께, 단차부와 흄관 사이의 간극을 확실하게 밀봉하기 위해서는 삽입공의 내부 둘레를 따라서 탄성소재로 되어 있는 패킹재를 구비한다. 패킹재는 맨홀의 삽입공과 흄관 사이로 벌어진 틈새의 밀봉을 도와 내부의 오폐수가 외부로 누수되거나 토출수가 맨홀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제, 첨부도면을 참조로 해서 본 고안에 따른 맨홀을 설명할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맨홀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맨홀(100)은 흄관을 삽입장착할 수 있도록 측벽에 삽입공(111a,111b)을 천공시킨다. 특히, 삽입공(111a,111b)은 그 둘레면을 따라 단차부(116a,116b)를 형성한다. 맨홀(100)의 상부 측벽은 개방된 안착부(112)를 구비하는데, 이는 맨홀의 높이를 조정할 때에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맨홀(100)의 안착부(112)에 연직형 맨홀(도시되지 않음)을 위치시켜 높이연장되거나 맨홀뚜껑을 올려놓는다.
선택가능하기로, 단차부(116a,116b)는 도시된 바와 같이 흄관(115a,115b;도 5 참조)이 맨홀(100)의 삽입공(111a,111b) 내로 삽입을 돕을 뿐만 아니라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갖출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맨홀과 흄관의 시공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 특히 원호는 맨홀과 흄관의 연결부위를 확대하여 도해한 것이다.
도시되었듯이, 본 고안에 따른 맨홀(100)의 측벽 상에 천공된 삽입공(111a,111b;도 4 참조)에 흄관(115a,115b)이 위치된다. 더욱 특별하기로, 흄관(115a,115b)의 단부가 각각의 삽입공(111a,111b) 둘레로 형성된 단차부(116a,116b)에 안착된다. 흄관(115a,115b)은 그 단면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된 삽입공(111a,111b) 내로 삽입되되, 특히 삽입공(111a,111b)의 내부원주면 둘레로 패킹재(113,114)를 구비한다. 흄관(115a,115b)이 삽입공(111a,111b)으로 밀어 넣어지면, 패킹재(113,114)가 단차부(116a,116b) 둘레의 경사면에 끼워 넣어져, 삽입공(111a,111b)과 흄관(115a,115b) 사이의 간극이 확실하게 밀봉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흄관의 외부 둘레로 장착될 패킹재의 사시도이다. 원통형상의 흄관(115a,115b)이 삽입공(111a,111b) 내로 밀착되게 안착되도록, 도 5로 도시되었듯이 삽입공(111a,111b)의 내부 둘레면에 패킹재(113,114)를 구비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흄관은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다.
특히, 개별적으로 반원형상의 패킹재(113,114)는 일반적인 원통형상의 흄관의 원주 둘레를 따라서 밀봉할 수 있도록 삽입공의 단차부에 구비되되, 2개의 부분으로 나눠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패킹재(113)와 하부 패킹재(114)는 동일형상이면서 동일 반경을 갖는다.
작업의 시공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삽입공(111a,111b)의 하부 원주면 둘레에 미리 하부 패킹재(114)를 장착한다. 그런 다음에, 하부 패킹재(114)를 갖춘 삽입공(111a,111b)의 단차부(116a,116b) 상으로 흄관(115a,115b)의 단부를 위치시킨다. 이렇게 흄관을 삽입공에 끼워 맞춘 후에, 작업현장에서 상부 패킹재(113)는 흄관(115a,115b)의 상부 원주면 둘레에 위치시키고서 삽입공(111a,111b)과 흄관 상부의 간극 사이를 향해 강제로 밀어 넣는다. 확실하게 흄관(115a,115b)과 삽입공(111a,111b) 사이로 삽입된 상하부 패킹재(113,114)는 주변환경으로부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맨홀 내부로 흐르는 오폐수가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맨홀과 흄관 사이의 이격간극을 확실하게 밀봉시킬 수 있다(도 5 참조).
전술된 2개의 부분으로 형성된 패킹재와는 달리, 선택가능하기로 맨홀의 삽입공(111a,111b)의 내부 원주면 둘레를 따라 일체형의 패킹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흄관과 맨홀 사이를 밀봉할 수도 있다.
덧붙여서, 패킹재(113,114)의 단면형상은 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되어, 패킹재가 단차부에 효과적으로 밀어 넣어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패킹재와 접촉되는 단차부의 접촉면은 기울어져 있다.
특히, 패킹재(113,114)는 탄성소재, 예컨대 고무 또는 연질의 PVC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중량의 흄관(115a,115b)이 상하부의 패킹재(113,114)를 장착한 맨홀(100)의 삽입공(111a,111b)에 삽입되면, 하부 패킹재(114)는 흄관(115a,115b)과 그 내부로 흐르는 오폐수의 하중을 통해 지속적으로 압착되어 더욱 확실하게 밀폐효과를 성취하면서 상부 패킹재(113)는 하부 패킹재가 압착되어 눌려져도 간극 사이를 채울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만들어져 최대한 삽입공 내부로 밀어 넣을 수 있다. 기술된 바와 같이, 탄성소재로 된 패킹재(113,114)는 흄관과 맨홀의 삽입공 사이의 간극을 완전히 밀폐시켜 다양한 물의 누수 및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패킹재의 형상은 흄관의 단면형상에 상응하게 변형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맨홀은 그 측면에 형성된 삽입공 둘레로 단차부를 형성하는 한편, 이 삽입공을 통해 삽입될 흄관의 단부는 단차부에 안착되도록 되어 있다. 흄관과 삽입공 사이의 간극은 흄관 단부 둘레에 구비된 탄성소재의 패킹재를 매개로 확실하게 밀봉시켜 맨홀 내부로 흐르는 오폐수가 주변 토양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주변 토양으로부터 배출되는 토층수가 맨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공된다.
즉, 탄성소재로 된 패킹재로 흄관이 맨홀에 더욱 확실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으면서 맨홀 시공자가 맨홀을 위치시키고 그 내부로 흄관을 삽입한 후에 그 연결부위를 따라 형성된 틈새를 기존의 속채움 또는 감아붙임방식으로 마무리하지 않고 단순히 흄관의 외부 둘레를 수용하는 삽입공의 내경 둘레를 따라 구비된 밀봉용 패킹재를 장착하여서 맨홀에 형성된 삽입공으로 밀어 넣는 등의 간단한 시공방법을 갖도록 제공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맨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맨홀과 상호연통될 흄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맨홀과 흄관의 시공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맨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맨홀과 흄관의 시공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맨홀에 장착될 패킹재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맨홀, 111a,111b ----- 삽입공,
112 ----- 안착부, 113,114 ----- 밀폐용 패킹재
115a,115b ----- 흄관, 116a,116b ----- 단차부.

Claims (4)

  1. 흄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측벽에 삽입공을 갖춘 맨홀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 둘레를 따라 형성된 단차부와;
    상기 흄관이 삽입될 상기 삽입공의 내부 원주면 둘레에 장착된 패킹재;를 갖추되, 상기 단차부를 향해 흄관의 단부를 밀어 넣어 상기 패킹부가 삽입공과 흄관 사이를 밀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및 유입 차단용 맨홀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으로 용이하게 밀쳐질 수 있도록 상기 패킹재의 단면은 사다리꼴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구조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재는 2부분으로 나눠져 삽입공의 상부와 하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구조체.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패킹재의 삽입을 돕도록 패킹부와의 접촉면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구조체.
KR20-2005-0006223U 2005-03-08 2005-03-08 누수 및 유입 차단용 맨홀 구조체 KR2003859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223U KR200385995Y1 (ko) 2005-03-08 2005-03-08 누수 및 유입 차단용 맨홀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223U KR200385995Y1 (ko) 2005-03-08 2005-03-08 누수 및 유입 차단용 맨홀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995Y1 true KR200385995Y1 (ko) 2005-06-07

Family

ID=43687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223U KR200385995Y1 (ko) 2005-03-08 2005-03-08 누수 및 유입 차단용 맨홀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9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6413A (ko) * 2018-02-02 2018-03-12 남천콘크리트(주) 흄관 연결용 조립식 맨홀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6413A (ko) * 2018-02-02 2018-03-12 남천콘크리트(주) 흄관 연결용 조립식 맨홀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965801B1 (ko) * 2018-02-02 2019-04-05 정철원 흄관 연결용 조립식 맨홀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1732B1 (en) Driving pipe and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an essentially horizontal pipeline
US7987904B1 (en) Sealed well cellar
KR200385995Y1 (ko) 누수 및 유입 차단용 맨홀 구조체
KR200413252Y1 (ko) 하수도, 도로, 하천, 환경시설공사 등에 사용되는 맨홀누수방지구조
JP5179957B2 (ja) 管路更生方法
KR20180021601A (ko) 배수 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
KR200440352Y1 (ko) 조립식 맨홀 블록 구조체
KR101901154B1 (ko) 콘크리트 케이스 관 연결장치
KR200261920Y1 (ko) 오폐수 하수관로
JP6588796B2 (ja) 排水配管構造、該排水配管構造に用いられる新規取付部材、及び排水配管方法
JP2006161329A (ja) マンホールの更正方法
KR100328473B1 (ko) 합성수지제배수로관접속방법
KR101748776B1 (ko)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
KR100701459B1 (ko) 맨홀의 이송관 연결구
KR200352987Y1 (ko) 맨홀용 지수단관의 실링패킹
JP4240382B2 (ja) シールドトンネルの二次覆工用管材、シールドトンネル、シールドトンネルの二次覆工方法
JP2015229906A (ja) マンホール補修方法
JP5532490B2 (ja) 既設管路の耐震補強方法
AU2009222579B2 (en) Method of lining a utilities manhole
KR200472958Y1 (ko) 맨홀의 지수관 실링용 가스킷
JP7302963B2 (ja) マンホールの浮上防止方法
KR200333385Y1 (ko) 지하 구조물의 수밀재
KR100992693B1 (ko) 프리캐스트 구조물과 관로간의 방수용 연결구조
JP2006257731A (ja) マンホール継手、並びに、管接続構造
US20210199230A1 (en) Mortar coll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