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909Y1 - 코일재 이송용 마그네틱 리프트 - Google Patents

코일재 이송용 마그네틱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909Y1
KR200384909Y1 KR20-2005-0004947U KR20050004947U KR200384909Y1 KR 200384909 Y1 KR200384909 Y1 KR 200384909Y1 KR 20050004947 U KR20050004947 U KR 20050004947U KR 200384909 Y1 KR200384909 Y1 KR 2003849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lift
magnetic force
coil material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9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부
Original Assignee
이석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부 filed Critical 이석부
Priority to KR20-2005-00049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9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9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9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 B66C1/0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electromagnetic
    • B66C1/08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4Slings with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그네틱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 후방에 구비된 리프트의 자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고, 곡선진 철 금속 및 구조물을 안전하고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한 코일재 이송용 마그네틱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마그네틱에 의해 자성을 갖는 본체 내부에 마그네틱을 갖는 회전체를 내장하고 상기 회전체의 회동 조작에 의해 생성되는 자력을 이용함으로써 철 금속 및 구조물을 이송하는 마그네틱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를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하여 상호 고정시키되, 상기 리프트의 자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각각의 회전체에 핸들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본체 하면은 코일재의 외주면과 견고히 접촉될 수 있도록 곡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코일재의 분리 작업 이전에 코일재를 단속하므로, 작업자가 입을 수 있는 부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리프트 본체의 하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외주면이 곡선진 물품의 이송도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이송 물품의 중량이 증가하는 경우 전, 후방 리프트 모두에 자력이 생성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각 리프트의 자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코일재 이송용 마그네틱 리프트{Magnetic-lift for moving the coil strip}
본 고안은 마그네틱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 후방에 각각 구비된 리프트의 자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한편, 곡선진 철 금속 및 구조물을 안전하고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한 코일재 이송용 마그네틱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이르러 산업의 발달과 함께 각종 금속 및 철 등을 이용한 제품의 생산은 절대적으로 많은 수요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철과 같은 경우에는 건축물의 뼈대가 되는 철근에서부터 공작기계 및 생활용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철을 이용하여 제작된 제품들은 상기한 철 금속의 특성상 상당한 중량으로 인해 제품의 생산 공정 중 이송에 있어 상당한 어려움을 격게 되었고, 특히 제품의 이송 작업 중 실수로 제품을 낙하하는 경우에는 작업자에게 치명적인 부상을 입히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철 금속이 자성을 갖는 금속이라는 것에 착안하여 마그네틱을 이용한 리프트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즉, 마그네틱이 내장된 리프트 본체를 이송하고자 하는 철 금속에 접촉시키면 자력에 의해 철 금속을 부착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한 철 금속을 손쉽게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2b는 상기한 바와 같은 마그네틱을 이용한 리프트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종래의 국내 등록실용신안 공고번호 제91-0001064호(명칭:흡착용 자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설명하면, 비자성체 축(11) 외면에 마그네틱(7)(7')이 들어갈 수 있는 원통(8")을 끼워 회전자(6)를 구성하고, 상기 축(11) 단부에는 회전자(6)를 회동시키는 역할의 회전핸들(13)을 끼우며, 자극부재(1)(2)(3)(4) 사이에는 마그네트(5)(5')를 내장하여 된 장치(A)를 병렬로 다수 연결함으로써, 흡착용 자석장치를 구성한다.
즉, 회전자에 내장된 마그네틱을 회전핸들에 의해 180°회동함에 따라, 자극부재 및 자극부재 사이에 설치된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틱이 서로 동일한 극성(N극 또는 S극)으로 일치될 때에 자력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자력에 의해 철 구조물을 부착하여 들어올리거나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회전핸들을 다시 본래의 위치로 180°회동하게 되면, 자극부재 및 자극부재 사이에 설치된 마그네트와 마그네틱이 서로 다른 극성으로 만나게 되어 자력이 상실됨으로써, 더 이상 철 금속을 이송시킬 수 없는 것이다.
이처럼, 자력 및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중량이 무거운 철 금속 및 구조물을 부착하여 이송함으로써, 이송 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흡착용 자석장치는 회전자가 내장된 본체 장치를 다수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다소 중량이 무거운 철 구조물의 이송 역시 가능하게 하였으나, 회전자의 회동 구조상 하나의 회전핸들로 다수 자석장치의 자력을 일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각 자석장치의 개별적인 자력의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상기한 종래의 흡착용 자석장치는 본체의 하면 형상이 평평하게 이루어져 있어 코일재와 같이 외주면의 형태가 곡선지게 형성된 물품의 경우에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폐단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코일재는 보편적으로 소정의 폭을 갖고 있는 롤 형태의 것이 다수 부착된 것으로, 기존에 상기한 코일재를 이송하는 방법으로는 먼저 끝이 날카로운 공구를 코일재 사이에 두고 타격을 가해 상기 코일재를 분리시킨다. 그리고, 상기 코일재에 로프를 감고 상기 로프의 단부를 별도의 리프팅장치에 구비된 후크에 걸어 이송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코일재 이송방식은 코일재를 단속하지 않은 상태에서 코일재를 분리함으로써, 분리과정에서 중량의 코일재로 인해 작업자의 발이나 다리 등에 부상을 당할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 후방에 각각 구비된 리프트의 자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코일재 이송용 마그네틱 리프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외주면이 곡선진 형태의 철 금속 및 구조물을 부상의 위험없이 안전하고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한 코일재 이송용 마그네틱 리프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마그네틱에 의해 자성을 갖는 본체 내부에 마그네틱을 갖는 회전체를 내장하고 상기 회전체의 회동 조작에 의해 생성되는 자력을 이용함으로써 철 금속 및 구조물을 이송하는 마그네틱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를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하여 상호 고정시키되, 상기 리프트의 자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각각의 회전체에 핸들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본체 하면은 코일재의 외주면과 견고히 접촉될 수 있도록 곡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b는 본 고안의 코일재 이송용 마그네틱 리프트를 도시한 것으로, 크게 본체(30)와 회전체(40)로 구성된다.
첨부도면 도 5a, 5b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본체(30)는 양측에 제1자성부재(32)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자성부재(32) 상단 사이에 제1마그네틱(34)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마그네틱(34) 하부에 상기 회전체(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요입부(35)를 마련하고, 상기 요입부(35) 상, 하단에는 상기 회전체(40)의 회동 조작에 걸리지 않게 비자성부재(25)를 각각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본체(30)의 하면, 즉 제1자성부재(32)의 하면에 곡면(31)을 형성하여 그 형태를 오목하게 형성함으로써, 코일재(C)와 같이 외주면의 형태가 라운드진 철 금속에 견고히 접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요입부(35)에는 상기 회전체(40)를 삽입하게 되는데, 상기 회전체(40)는 양측에 제2자성부재(42)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2자성부재(42) 중앙에는 제2마그네틱(44)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40) 전방 단부에는 축(45)을 고정시키고, 상기 축(45) 일측에는 핸들(46)을 고정시켜, 상기 핸들(46)의 조작을 통해 회전체(40)를 좌, 우 방향으로 180°회동 가능하게 구성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체(30)와 회전체(40)로 이루어지는 마그네틱 리프트(20)는 첨부도면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과 후방에 서로 고정되게 구비한다. 이때, 상기한 각각의 리프트(20)의 자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각각의 회전체(40) 일측에는 핸들(46)을 개별적으로 각각 구비한다.
그리고, 상호 결합된 전, 후방 리프트(20) 상단에는 고정판(22)을 볼트 결합하고, 상기 고정판(22) 상단 중앙에는 별도의 리프팅장치(미도시)의 후크에 걸려질 수 있도록 고리(24)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코일재 이송용 마그네틱 리프트를 이용하여 코일재(C)를 이송하기 위해서는 먼저 리프팅장치를 조작하여 후크에 걸려진 마그네틱 리프트(20)를 코일재(C)와 접촉시킨다. 여기서, 상기한 코일재(C)의 외주면이 곡선지게 형성되어 있고, 리프트(20) 본체(30)의 하단면 즉 제1자성부재(32)의 하단면이 오목한 곡면(31)으로 형성되어 서로 견고히 접촉하게 된다.
이 후에 작업자는 리프트(20) 일측에 구비된 핸들(46)을 조작하여 회전체(40)를 180°회동시킨다. 그렇게 되면, 제2마그네틱(44)에 의해 양측에 각각 다른 극(N극,S극)을 띄고 있는 제2자성부재(42)는 회전체(4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면서 본체(30)에 구비된 제1자성부재(32)와 접촉된다.
이때, 상기 제1자성부재(32)는 제1마그네틱(34)에 의해 양측에 서로 다른 극을 띄고 있는데, 도 5a와 같이 제1자성부재(32)와 제2자성부재(42)의 극이 서로 같아지게 되면서 리프트(20)는 자력을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철 금속으로 이루어진 코일재(C)에 리프트(20)가 자력에 의해 접착하게 되는 것이다.
이 후에, 끝이 날카로운 공구(미도시)를 이용하여 리프트(20)와 접착된 코일재(C)를 분리시킨 후, 상기 중량의 코일재(C)를 간단하게 들어올려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상기 코일재(C)를 이송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의 코일재 이송용 마그네틱 리프트는 이송하고자 하는 코일재(C)를 분리 작업하기 이전에 상기 리프트(20)를 이용해 코일재(C)를 단속함으로써, 기존에서와 같이 중량의 코일재(C)가 옆으로 쓰러져 작업자가 부상당할 수 있는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코일재 이송용 마그네틱 리프트는 상기와 같이 리프트 본체(30)의 하단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므로, 코일재(C)와 같이 외주면이 곡선진 물품의 이송 역시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코일재(C)의 이송을 완료한 이후에는 핸들(46)을 다시 본래의 상태로 180°복귀 회동시킨다. 그렇게 되면, 도 5b와 같이 회전체(40)가 동시에 회전하여 제1자성부재(32) 양측의 극과 각각 접촉하는, 제2자성부재(42) 양측의 극이 서로 달라지게 되면서 리프트(20)는 자력을 상실하게 되고, 코일재(C)와 리프트(20)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본 고안의 마그네틱 리프트의 작용 설명은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하나의 리프트(20)의 작용만을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코일재(C)의 폭이 넓거나 두개 이상의 코일재(C)를 들어올릴 때와 같이 중량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도 3과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의 핸들(46) 조작을 통해 전, 후방 리프트(20) 모두에 자력이 생성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고, 필요에 따라 각 리프트(20)의 자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이송하고자 하는 코일재를 분리 작업하기 이전에 상기 리프트로 코일재를 단속하여 코일재가 옆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중량의 코일재에 의해 작업자가 입을 수 있는 부상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리프트 본체의 하단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므로, 코일재와 같이 외주면이 곡선진 물품의 이송도 가능한 효과도 있다.
더욱이, 코일재의 폭이 넓거나 두개 이상의 코일재를 들어올리는 경우와 같이 이송 물품의 중량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양측의 핸들 조작을 통해 전, 후방 리프트 모두에 자력이 생성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필요에 따라 각 리프트의 자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리프트의 사용을 탄력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의한 흡착용 자석장치의 자력이 차단된 상태의 단면도,
도 1b는 종래 기술에 의한 흡착용 자석장치의 자력이 생성된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흡착용 자석장치를 복수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네틱 리프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네틱 리프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네틱 리프트의 자력이 생성된 상태의 단면도,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네틱 리프트의 자력이 상실된 상태의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20 - 리프트 24 - 고리
25 - 비자성부재 30 - 본체
31 - 곡면 32 - 제1자성부재
34 - 제1마그네틱 35 - 요입부
40 - 회전체 42 - 제2자성부재
44 - 제2마그네틱 45 - 축
46 - 핸들 C - 코일재

Claims (1)

  1. 마그네틱에 의해 자성을 갖는 본체 내부에 마그네틱을 갖는 회전체를 내장하고 상기 회전체의 회동 조작에 의해 생성되는 자력을 이용함으로써 철 금속 및 구조물을 이송하는 마그네틱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20)를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하여 상호 고정시키되, 상기 리프트(20)의 자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각각의 회전체(40)에 핸들(46)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본체(30) 하면은 코일재(C)의 외주면과 견고히 접촉될 수 있도록 곡면(3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재 이송용 마그네틱 리프트.
KR20-2005-0004947U 2005-02-24 2005-02-24 코일재 이송용 마그네틱 리프트 KR2003849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947U KR200384909Y1 (ko) 2005-02-24 2005-02-24 코일재 이송용 마그네틱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947U KR200384909Y1 (ko) 2005-02-24 2005-02-24 코일재 이송용 마그네틱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909Y1 true KR200384909Y1 (ko) 2005-05-23

Family

ID=43686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947U KR200384909Y1 (ko) 2005-02-24 2005-02-24 코일재 이송용 마그네틱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9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261B1 (ko) * 2018-12-28 2020-02-19 주식회사 한화 마그네틱 리프트를 이용한 낙하 시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261B1 (ko) * 2018-12-28 2020-02-19 주식회사 한화 마그네틱 리프트를 이용한 낙하 시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08886B (zh) 铁磁板散开和抓持装置
US11651883B2 (en) Electromagnet-switchable permanent magnet device
WO2013179126A1 (en) Magnetic lifting device
JP2018510790A5 (ko)
EP3068578A1 (en) Permanent magnetic device
US20040004362A1 (en) Magnetic grapple
CN103137533B (zh) 静电吸持机器人系统
EP2796400B1 (en) Magnetic gripper for grabbing and releasing magnetic materials.
KR200384909Y1 (ko) 코일재 이송용 마그네틱 리프트
US4530028A (en) Electromagnet with expandible cores for exciting coils
KR101358045B1 (ko) 자석 접착식 철판 이송 장치
JP7342904B2 (ja) 吊具
CN204985235U (zh) 一种吊篮的组合连锁机构系统
CN108291570A (zh) 与要装入到钩内部中的元件连接的钩
CN216543361U (zh) 一种机器人用可刚柔切换的磁性抓取装置
JP3173839U (ja) ワーク反転装置
US6638002B1 (en) Pallet pin sheet fanner
JP6679315B2 (ja) 搬送装置
KR102511862B1 (ko) 조작성이 향상된 영구자석 리프팅유닛
KR200437326Y1 (ko) 자력을 이용한 환봉형 리프팅장치
CN213890081U (zh) 一种机器人的锁死装置
KR200166459Y1 (ko) 마그네틱 리프트의 자석보호용 회전체 개,폐 조작장치
Ding et al. Novel and Saving Energy Lifting Permanent Magnet Design
JP2004237369A (ja) ワーク搬送ツール
JP3608125B2 (ja) マグネッ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