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045B1 - 자석 접착식 철판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자석 접착식 철판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045B1
KR101358045B1 KR1020130096336A KR20130096336A KR101358045B1 KR 101358045 B1 KR101358045 B1 KR 101358045B1 KR 1020130096336 A KR1020130096336 A KR 1020130096336A KR 20130096336 A KR20130096336 A KR 20130096336A KR 101358045 B1 KR101358045 B1 KR 101358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pair
semi
hole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6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권
박상민
Original Assignee
정진권
에스엠메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권, 에스엠메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진권
Priority to KR1020130096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0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12Load carriers, e.g. hooks, slings, harness, gloves, modified for load car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electrostatic or magnetic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4/00Non-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54/02Non-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ostatic, electric, or 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력으로 이송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작은 넓이의 철판의 이송에 사용하여 단시간에 신속하게 철판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송 작업의 능률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자석 접착식 철판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이송 장치는 양측에 통공을 가지는 커버가 장착되는 사각 입방체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호 대칭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사각금속체과, 상기 사각금속체의 사이에 부착되는 비자성체인 비자성판과, 상기 사각금속체의 접착부위와 비자성판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부착되어 원형 단면을 이루는 한 쌍의 반원자석과, 상기 반원자석의 접착부위의 양측면의 중심에 형성되는 한 쌍의 나선공을 가지는 자력형성부와; 일단이 상기 나선공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타단이 상기 통공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한 쌍의 회전축과; 상기 커버의 외측으로 각각의 상기 회전축에 하단이 장착되는 한 쌍의 회전로드와, 상기 회전로드의 상단 사이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의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로드를 가지는 작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석 접착식 철판 이송 장치{MAGNETIC ADHESION TYPE METAL PLATE TRANSF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철판을 자석으로 접착하여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석 접착식 철판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력으로 이송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작은 넓이의 철판의 이송에 사용하여 단시간에 신속하게 철판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송 작업의 능률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자석 접착식 철판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나 조선공업 등은 철판이 많이 소요되므로 용접작업 등의 작업공정별로 철판을 이송시키기 위하여 종래에 도 1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철판 이송용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철판 이송 장치는 서로 대향되는 두 개의 아암(2)이 H자 형상의 단일체를 구성하는 본체(3)와, 그 아암(2)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철판 크기에 따라 아암(2)의 이동위치에서 고정되어 철판(6)의 양단부를 걸어서 고정하는 걸이부재(5), 상기 본체(3)의 무게 중심부에 돌출되어 호이스트의 후크부재에 의해 걸어서 들어 올리는 고리(9)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4개의 상기 걸이부재(5)에 철판(6)을 올려놓은 상태로 본체(3)를 호이스트에 건 다음에 호이스트로 상기 본체(3)를 들어 올려서 철판(6)을 작업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철판 이송 장치는 철판을 호이스트에 걸어서 승강시킨 후에 이송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대형의 철판의 이송에 유용하지만, 상대적으로 넓이가 작은 철판을 이송하는데는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철판 이송 장치는 걸이부재에 철판을 걸고 호이스트에 본체를 연결하는 등과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아 인력으로 이송 가능한 철판에 대한 이송에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철판 이송 작업의 능률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0807793호 "마그네트를 이용한 판재 이송 장치"(2008. 02. 20)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력으로 이송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작은 넓이의 철판의 이송에 사용하여 단시간에 신속하게 철판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송 작업의 능률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자석 접착식 철판 이송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송손잡이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서있는 상태에서 철판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석 접착식 철판 이송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송손잡이부의 길이 조절을 통해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자석 접착식 철판 이송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톱퍼를 통해 회전로드의 작동상의 정밀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고, 수평바를 분해한 상태로 보조손잡이를 통해 비교적 좁거나 낮은 공간에서도 철판의 이송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석 접착식 철판 이송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석 접착식 철판 이송 장치"는, 양측에 통공을 가지는 커버가 장착되는 사각 입방체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호 대칭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사각금속체와, 상기 사각금속체의 사이에 부착되는 비자성체인 비자성판과, 상기 사각금속체의 접착부위와 비자성판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부착되어 원형 단면을 이루는 한 쌍의 반원자석과, 상기 반원자석의 접착부위의 양측면의 중심에 형성되는 한 쌍의 나선공을 가지는 자력형성부와; 일단이 상기 나선공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타단이 상기 통공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한 쌍의 회전축과; 상기 커버의 외측으로 각각의 상기 회전축에 하단이 장착되는 한 쌍의 회전로드와, 상기 회전로드의 상단 사이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의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로드를 가지고, 절곡 작동에 의해 상기 반원자석을 90도로 회전시켜 자력을 생성하게 하거나 자력을 생성하지 않게 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석 접착식 철판 이송 장치"는, 상기 수직로드의 상단에 구비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연결되는 연결로드와, 상기 연결로드의 상단에 부착되는 손잡이를 가지는 이송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석 접착식 철판 이송 장치"의 상기 이송손잡이부는, 상기 연결로드에 형성되는 다수의 끼움공과, 상기 연결로드에 끼워지고 상단에 상기 손잡이가 부착되는 연장관과, 상기 연장관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부공과, 상기 하부공과 끼움공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로드에 상기 연장관을 분해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석 접착식 철판 이송 장치"의 상기 케이스는, 상기 회전로드가 90도로 회전된 후에 지지되도록 상기 통공의 양측으로 상기 커버의 외면에 한 쌍씩 부착되는 스톱퍼와, 상기 스톱퍼의 상면에 노출되게 장착되고 금속재의 상기 회전로드가 접착되는 접착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로드와 수평바는, 상호 분해 가능한 상태로 볼트로 장착되고,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석 접착식 철판 이송 장치"는, 양측에 커버가 장착되는 사각 입방체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호 대칭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사각금속체와, 상기 사각금속체의 사이에 부착되는 비자성체인 비자성판과, 상기 사각금속체의 접착부위와 비자성판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부착되어 원형 단면을 이루는 한 쌍의 반원자석과, 상기 반원자석의 접착부위의 양측면의 중심에 형성되는 한 쌍의 나선공과, 상기 반원자석의 상부 일측에 대응하여 상기 사각금속체와 비자성판의 내측에 형성되는 유도홈을 가지는 자력형성부와; 일단이 상기 나선공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외주면과 상기 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태엽스프링에 의해 탄성복원되는 한 쌍의 회전축과;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상단에 절곡되게 손잡이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의 하부와 상단 내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파지관과; 하단이 상기 유도홈의 내부로 상기 반원자석의 접착부위의 외측에 고정되고, 상단이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비자성판과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파지관의 내부를 통해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작동손잡이가 상단에 부착되는 작동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인력으로 이송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작은 넓이의 철판의 이송에 사용하여 단시간에 신속하게 철판의 이송이 이루어지고, 이송 작업의 능률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손잡이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서있는 상태에서 철판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 및 작동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이송손잡이부의 길이 조절을 통해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스톱퍼를 통해 회전로드의 작동상의 정밀성이 현저히 향상되고, 수평바를 분해한 상태로 보조손잡이를 통해 비교적 좁거나 낮은 공간에서도 철판의 이송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사용 범위가 보다 확대되고 이송 작업의 능률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A-A 선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B-B 선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따른 이송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0에 따른 이송 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13은 도 10에 따른 이송 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정단면도,
도 14 및 도 15는 도 10에 따른 이송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16은 종래의 철판 이송 장치의 일예를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A-A 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따른 B-B 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석 접착식 철판 이송 장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에 내장되는 자력형성부(20)와, 상기 자력형성부(20)에 연결되는 회전축(30)과, 상기 회전축(30)에 설치되는 작동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는 사각 입방체로 형성되고 양측에 통공(12)을 가지는 커버(11)가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자력형성부(20)를 수용하면서 이를 보호하고 그 하면에 철판이 접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11)는 상기 케이스(10)의 양측면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회전축(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통공(12)은 상기 커버(11)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30)이 외부로 노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자력형성부(2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케이스(10)의 하부로 자력을 형성하거나 자력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자력형성부(2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상호 대칭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사각금속체(21)와, 상기 사각금속체(21)의 사이에 부착되는 비자성체인 비자성판(22)과, 상기 사각금속체(21)의 접착부위와 비자성판(22)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23)과, 상기 관통공(23)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부착되어 원형 단면을 이루는 한 쌍의 반원자석(24)과, 상기 반원자석(24)의 접착부위의 양측면의 중심에 형성되는 한 쌍의 나선공(25)을 포함한다.
상기 사각금속체(21)는 한 쌍이 대칭되게 구비되고 내측에 상기 반원자석(24)이 삽입되도록 반원형의 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반원자석(24)에 의해 하나의 자성체를 형성하거나 상기 반원자석(24)에 의해 자력이 상쇄되어 비자성체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비자성판(22)은 상기 사각금속체(21)의 사이에 부착되는 것으로, 자성을 띠지 않는 즉, 자화되지 않는 알루미늄, 합성수지 등과 같은 비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사각금속체(21)와 사각금속체(21)의 사이로 자성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관통공(23)은 상기 사각금속체(21)의 내측과 비자성판(22)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반원자석(24)의 접착에 의해 형성되는 원통형의 자석체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반원자석(24)은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자석으로 극성이 서로 대칭되게 부착되어 원통형의 자석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관통공(23)에 끼워진 상태로 90도의 각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사각금속체(21)와 함께 좌우 두 개의 자성체를 형성하거나 반대로 90도로 회전되어 상기 사각금속체(21)에 상기 반원자석(24)의 N극과 S극의 자력이 상하부에 동시에 전달됨으로써 자력이 상쇄되어 상기 사각금속체(21)에 비자성체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반원자석(24)은 반원형의 긴 자석으로 반원형의 일단에 N극이 타단에는 S극이 형성되고(도 5 참조), 두 개의 상기 반원자석(24)이 서로 반대 극성에 대응되게, 즉 하나의 상기 반원자석(24)이 길이 방향으로 N극과 S극을 띠면, 이에 부착되는 다른 하나의 상기 반원자석(24)은 S극과 N극을 띠고, 이와 같이 배치되는 두 개의 상기 반원자석(24)을 부착하여 하나의 원통형의 자석을 형성하게 된다(도 2 참조).
상기 나선공(25)은 그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30)이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축(30)은 상기 커버(11)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나선공(25)에 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커버(11)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베어링(3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타단이 상기 통공(12)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 상기 커버(11)의 외측에서 즉, 상기 케이스(10)의 양측면에서 두 개의 상기 반원자석(24)에 의해 형성되는 원통형의 자석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베어링(31)은 상기 회전축(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공지의 것이다.
상기 작동부(40)는 상기 회전축(30)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절곡 작동에 의해 상기 반원자석(24)을 90도로 회전시켜 자력을 생성하게 하거나 자력을 생성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작동부(40)는 상기 커버(11)의 외측으로 각각의 상기 회전축(30)에 하단이 장착되는 한 쌍의 회전로드(41)와, 상기 회전로드(41)의 상단 사이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바(42)와, 상기 수평바(42)의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로드(4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로드(41)는 회전축(30)에 직교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30)을 각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수평바(42)는 두 개의 상기 회전로드(41)를 상호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직로드(43)는 상기 수평바(42)를 회전시켜 상기 수평바(42)에 의해 연결된 두 개의 상기 회전로드(41)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이송 장치는 상기 수직로드(43)에 설치되는 이송손잡이부(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송손잡이부(50)는 사용자가 서있는 상태에서 상기 작동부(4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이송손잡이부(50)는 상기 수직로드(43)의 상단에 구비되는 힌지부(51)와, 상기 힌지부(51)에 연결되는 연결로드(52)와, 상기 연결로드(52)의 상단에 부착되는 손잡이(53)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부(51)는 상기 수직로드(43)와 연결로드(52)를 절곡 가능하게 힌지 결합시켜 사용자가 상기 연결로드(52)를 통해 상기 수직로드를 원활히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연결로드(52)는 상기 손잡이(53)를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손잡이(53)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통해 본 이송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로 상기 사각금속체(21)는 상기 비자성판(22)에 의해 두 개가 구획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로드(41)를 수직으로 위치시키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서 두 개의 상기 반원자석(24)의 접착부위가 수직인 상태가 되고, 즉 두 개의 상기 반원자석(24)이 좌우로 배치되는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두 개의 상기 반원자석(24) 중에 일측에 있는 반원자석(24)은 N극이 그 타측에 있는 반원자석(24)은 S극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두 개의 상기 반원자석(24)들이 N극과 S극으로 좌측과 우측에 위치하면, 두 개의 상기 반원자석(24)의 양외측에 있는 두 개의 상기 사각금속체(21)가 상기 비자성판(22)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리되어 N극과 S극을 띠는 하나의 커다란 자석체를 형성하게 된다.
즉, 일측에 있고 N극을 띠는 하나의 상기 반원자석(24)과 맞닿는 상기 사각금속체(21)도 상기 N극의 반원자석(24)에 의해 자화되어 N극을 형성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반원자석(24)과 사각금속체(21)는 하나의 N극을 띠는 자석이 되고, 마찬가지로, 타측에 있고 S극을 띠는 다른 하나의 상기 반원자석(24)과 맞닿는 상기 사각금속체(21)도 상기 S극의 반원자석(24)에 의해 자화되어 S극을 형성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반원자석(24)과 사각금속체(21)는 하나의 S극을 띠는 자석이 된다.
따라서, 두 개의 상기 반원자석(24)의 접착면과 비자성판(22)을 기준으로 일측의 상기 반원자석(24)과 사각금속체(21)는 N극을 타측의 상기 반원자석(24)과 사각금속체(21)은 S극을 띠는 커다란 두 개의 자석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반원자석(24)과 사각금속체(21)가 하나의 커다란 자석체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케이스(10)의 하부로 자력을 생성하여 상기 케이스(10)의 하면에 철판(P)이 자력에 의해 접착된다.
이와 반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로드(41)를 수직의 위치에서 90도로 회전시키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상기 반원자석(24)의 접착부위가 수평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비자성판(22)에 대응하여 상기 반원자석(24)의 하부는 N극이 상부는 S극이 위치하게 된다. 즉, 두 개의 상기 반원자석(24)이 상하로 배치되면서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반원자석(24)은 S극을 띠고,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반원자석(24)은 N극을 띠게 된다.
이와 같이 두 개의 상기 반원자석(24)이 하나는 N극을 띠고 다른 하나는 S극을 띠는 상태로 상기 비자성판(22)에 대응하여 상하로 위치되면, 상기 사각금속체(21)에 상기 반원자석(24)의 N극과 S극의 자력이 상하부에 동시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반원자석(24)의 자력이 상쇄되어 상기 사각금속체(21)가 자화되지 않아 비자성체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부에 위치하면서 S극을 띠는 상기 반원자석(24)이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비자성판(22)을 기준으로 양측에 있는 두 개의 상기 사각금속체(21)의 상부를 S극으로 자화시키며, 이 상태에서 하부에 위치하면서 N극을 띠는 상기 반원자석(24)이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비자성판(22)을 기준으로 양측에 있는 두 개의 상기 사각금속체(21)의 하부를 N극으로 자화시킨다. 이렇게 상기 사각금속체(21)의 상부는 S극을 그 하부는 N극을 띠게 됨으로써, 상기 사각금속체(21)에 S극과 N극의 자력이 동시에 가해짐으로써 자력이 상쇄되어 두 개의 사각금속체(21)는 비자성체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반원자석(24)에 의해 자화되면서 서로 다른 극성이 각각의 상기 사각금속체(21)에 전달되어 하나의 상기 사각금속체(21)에 서로 다른 극성이 동시에 존재하면서 자력이 상쇄되고, 그에 따라 상기 사각금속체(21)는 하나의 커다란 비자성체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케이스(10)의 하부로 자력의 생성이 차단되어 상기 케이스(10)의 하면에서 상기 철판(P)이 이탈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도 6과 같은 상태로 상기 철판(P)을 자력으로 접착시켜 이송시킨 후에 도 7과 같은 상태를 만들어 상기 철판(P)을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철판(P)의 이송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석 접착식 철판 이송 장치의 상기 이송손잡이부(50)는 상기 연결로드(52)에 형성되는 다수의 끼움공(54)과, 상기 연결로드(52)에 끼워지고 상단에 상기 손잡이(53)가 부착되는 연장관(55)과, 상기 연장관(55)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부공(56)과, 상기 하부공(56)과 끼움공(54)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로드(52)에 상기 연장관(55)을 분해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핀(57)을 더 포함한다.
상기 연장관(55)은 상기 고정핀(57)을 통해 끼움공(54)과 하부공(56)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로드(52)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연결로드(52)에 대응하여 상기 손잡이(53)의 상하 위치를 변경하고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연장관(55)을 통한 상기 손잡이(53)의 길이 및 높이 조절에 의해 사용자의 키와 같은 체형에 맞추어 본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이송 장치의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회전로드(41)가 90도로 회전된 후에 지지되도록 상기 통공(12)의 양측으로 상기 커버(11)의 외면에 한 쌍씩 부착되는 스톱퍼(13)와, 상기 스톱퍼(13)의 상면에 노출되게 장착되고 금속재의 상기 회전로드(41)가 접착되는 접착자석(1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스톱퍼(13)는 상기 회전로드(41)가 90도로 회전된 후에 정지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접착자석(14)은 상기 회전로드(41)가 회전되어 상기 스톱퍼(13)에 의해 정지된 후에 일정한 자력으로 접착되어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접착자석(14)에 의해 형성되는 자력은 상기 스톱퍼(13)에 상기 회전로드(41)를 접착시킬 정도이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회전로드(41)의 상기 스톱퍼(13)에 대한 접착이 쉽게 분리될 수 있을 정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석 접착식 철판 이송 장치의 상기 회전로드(41)와 수평바(42)는 상호 분해 가능한 상태로 볼트(B)로 장착되고,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손잡이(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평바(42)가 상기 회전로드(41)에서 분해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좁거나 낮은 공간에서 상기 회전로드(41)에서 상기 수평바(42)를 분해하여 철판의 이송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회전로드(41)에서 상기 수평바(42)가 분해되면, 상기 수평바(42)의 상부로 수직로드(43)와 손잡이(53)가 상기 회전로드(41)에서 분해되고, 상기 케이스(10)의 양측에 상기 회전로드(41)가 배치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보조손잡이(60)는 상기 수평바(42)가 분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케이스(1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보조손잡이(60)는 상기 수평바(42)를 분해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회전로드(41)가 90도로 절곡되어 자력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10)를 이동시킬 때에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따른 이송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0에 따른 이송 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0에 따른 이송 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정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석 접착식 철판 이송 장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에 내장되는 자력형성부(200)와, 상기 자력형성부(200)에 연결되는 회전축(300)과,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되는 파지관(400)과, 상기 파지관(4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작동와이어(5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사각 입방체로 형성되고 양측에 커버(101)가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자력형성부(200)를 수용하면서 이를 보호하고 그 하면에 철판이 접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101)는 상기 케이스(100)의 양측면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회전축(3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자력형성부(20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로 자력을 형성하거나 자력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자력형성부(20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상호 대칭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사각금속체(201)와, 상기 사각금속체(201)의 사이에 부착되는 비자성체인 비자성판(202)과, 상기 사각금속체(201)의 접착부위와 비자성판(202)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203)과, 상기 관통공(203)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부착되어 원형 단면을 이루는 한 쌍의 반원자석(204)과, 상기 반원자석(204)의 접착부위의 양측면의 중심에 형성되는 한 쌍의 나선공(205)과, 상기 반원자석(204)의 상부 일측에 대응하여 상기 사각금속체(201)와 비자성판(202)의 내측에 형성되는 유도홈(206)을 포함한다.
상기 사각금속체(201)는 한 쌍이 대칭되게 구비되고 내측에 상기 반원자석(204)이 삽입되도록 반원형의 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반원자석(204)에 의해 하나의 자성체를 형성하거나 상기 반원자석(204)에 의해 자력이 상쇄되어 비자성체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비자성판(202)은 상기 사각금속체(201)의 사이에 부착되는 것으로, 자성을 띠지 않는 즉, 자화되지 않는 알루미늄, 합성수지 등과 같은 비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사각금속체(201)와 사각금속체(201)의 사이로 자성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관통공(203)은 상기 사각금속체(201)의 내측과 비자성판(202)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반원자석(204)의 접착에 의해 형성되는 원통형의 자석체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반원자석(204)은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자석으로 자극이 서로 대칭되게 부착되어 원통형의 자석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관통공(203)에 끼워진 상태로 90도의 각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사각금속체(201)와 함께 하나의 자성체를 형성하거나 비자성판(202)에 의해 자력이 상쇄되어 비자성체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나선공(205)은 그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300)이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도홈(206)은 상기 반원자석(204)의 접착부위의 외측에 일단이 부착되는 상기 작동와이어(50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반원자석(204)의 외측에 대응하여 90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300)은 상기 커버(101)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나선공(205)에 체결되어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커버(101)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베어링(30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주면과 상기 커버(101) 사이에 설치되는 태엽스프링(302)에 의해 탄성복원되는 것으로, 상기 커버(101)의 외측에서 즉, 상기 케이스(100)의 양 내측면에서 두 개의 상기 반원자석(204)에 의해 형성되는 원통형의 자석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베어링(301)은 상기 회전축(3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공지의 것이다. 상기 태엽스프링(302)은 그 내측단이 상기 회전축(300)에 장착되고 그 외측단이 상기 커버(101)에 장착되어 상기 반원자석(204)과 함께 상기 회전축(300)이 회전될 때 압축되다가 그 후에 탄성복원되어 원래의 위치로 상기 회전축(300)과 상기 반원자석(204)을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파지관(400)은 상기 케이스(100)의 상면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상단에 절곡되게 손잡이(401)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401)의 하부와 상단 내측에 개구부(402)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100)와 손잡이(401)의 사이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401)를 잡고 서있는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작동와이어(500)가 내장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손잡이(401)는 사용자가 파지하고 상기 케이스(1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개구부(402)는 상기 작동와이어(500)가 작동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작동와이어(500)는 그 하단이 상기 유도홈(206)의 내부로 상기 반원자석(204)의 접착부위의 외측에 고정되고 그 상단이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비자성판(202)과 케이스(100)를 관통하여 상기 파지관(400)의 내부를 통해 상기 개구부(402)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402)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작동손잡이(501)가 상단에 부착되는 것이다.
상기 작동와이어(500)는 사용자가 상기 작동손잡이(501)를 손으로 잡아서 상기 손잡이(401)의 하부로 들어 올림에 따라 당겨지면서 상기 반원자석(204)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0에 따른 이송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3을 참조하여 도 14 및 도 15를 통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로 상기 사각금속체(201)는 상기 비자성판(202)에 의해 두 개가 구획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작동손잡이(501)를 위로 들어 올려 상기 개구부(402)의 내측으로 상기 손잡이(401)에 위치시키면, 상기 작동손잡이(501)에 의해 상기 작동와이어(500)가 상부측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로 상기 사각금속체(201)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반원자석(204)이 90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반원자석(204)이 상기 회전축(300)과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태엽스프링(302)을 감아서 압축하게 된다(도 13 참조).
상기 반원자석(204)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상기 반원자석(204)의 접착부위가 수평인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반원자석(204)의 상부는 N극이 그 하부는 S극이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반원자석(204)의 N극과 S극이 상기 비자성판(202)에 대응하여 상하로 위치되면, 상기 반원자석(204)과 사각금속체(201)의 사이에 자력이 상쇄되면서 비자성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반원자석(204)과 사각금속체(201)가 하나의 커다란 비자성체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로 자력의 생성이 차단되어 상기 케이스(100)의 하면에서 상기 철판(P)이 이탈된다.
이와 반대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401)와 함께 잡고 있던 상기 작동손잡이(501)를 놓으면, 상기 태엽스프링(302)의 압축이 해제되면서 상기 회전축(300)과 함께 상기 반원자석(204)을 원래의 위치로 탄성복원시키게 된다(도 13 참조).
이때,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상기 반원자석(204)의 접착부위가 수직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비자성판(202)에 대응하여 상기 반원자석(204)의 일측은 N극이 그 타측은 S극이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반원자석(204)의 N극과 S극이 좌우로 위치하면, 상기 반원자석(204)과 상기 사각금속체(201)가 상기 비자성판(202)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하나의 커다란 자석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반원자석(204)과 사각금속체(201)가 하나의 커다란 자석체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로 자력을 생성하여 상기 케이스(100)의 하면에 철판(P)이 자력에 의해 접착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도 15와 같은 상태로 상기 철판(P)을 자력으로 접착시켜 이송시킨 후에 도 14와 같은 상태를 만들어 상기 철판(P)을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철판(P)의 이송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케이스
11 : 커버 12 : 통공
13 : 스톱퍼 14 : 접착자석
20 : 자력형성부
21 : 사각금속체 22 : 비자성판
23 : 관통공 24 : 반원자석
25 : 나선공
30 : 회전축
31 : 베어링
40 : 작동부
41 : 회전로드 42 : 수평바
43 : 수직로드
50 : 이송손잡이부
51 : 힌지부 52 : 연결로드
53 : 손잡이 54 : 끼움공
55 : 연장관 56 : 하부공
57 : 고정핀
60 : 보조손잡이

Claims (5)

  1. 양측에 통공(12)을 가지는 커버(11)가 장착되는 사각 입방체의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상호 대칭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사각금속체(21)와, 상기 사각금속체(21)의 사이에 부착되는 비자성체인 비자성판(22)과, 상기 사각금속체(21)의 접착부위와 비자성판(22)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23)과, 상기 관통공(23)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부착되어 원형 단면을 이루는 한 쌍의 반원자석(24)과, 상기 반원자석(24)의 접착부위의 양측면의 중심에 형성되는 한 쌍의 나선공(25)을 가지는 자력형성부(20)와;
    일단이 상기 나선공(25)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커버(11)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베어링(3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타단이 상기 통공(12)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한 쌍의 회전축(30)과;
    상기 커버(11)의 외측으로 각각의 상기 회전축(30)에 하단이 장착되는 한 쌍의 회전로드(41)와, 상기 회전로드(41)의 상단 사이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바(42)와, 상기 수평바(42)의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로드(43)를 가지고, 절곡 작동에 의해 상기 반원자석(24)을 90도로 회전시켜 자력을 생성하게 하거나 자력을 생성하지 않게 하는 작동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접착식 철판 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수직로드(43)의 상단에 구비되는 힌지부(51)와, 상기 힌지부(51)에 연결되는 연결로드(52)와, 상기 연결로드(52)의 상단에 부착되는 손잡이(53)를 가지는 이송손잡이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접착식 철판 이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손잡이부(50)는,
    상기 연결로드(52)에 형성되는 다수의 끼움공(54)과,
    상기 연결로드(52)에 끼워지고 상단에 상기 손잡이(53)가 부착되는 연장관(55)과,
    상기 연장관(55)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부공(56)과,
    상기 하부공(56)과 끼움공(54)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로드(52)에 상기 연장관(55)을 분해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핀(5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접착식 철판 이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회전로드(41)가 90도로 회전된 후에 지지되도록 상기 통공(12)의 양측으로 상기 커버(11)의 외면에 한 쌍씩 부착되는 스톱퍼(13)와,
    상기 스톱퍼(13)의 상면에 노출되게 장착되고 금속재의 상기 회전로드(41)가 접착되는 접착자석(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로드(41)와 수평바(42)는, 상호 분해 가능한 상태로 볼트로 장착되고,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손잡이(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접착식 철판 이송 장치.
  5. 양측에 커버(101)가 장착되는 사각 입방체의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상호 대칭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사각금속체(201)와, 상기 사각금속체(201)의 사이에 부착되는 비자성체인 비자성판(202)과, 상기 사각금속체(201)의 접착부위와 비자성판(202)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203)과, 상기 관통공(203)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부착되어 원형 단면을 이루는 한 쌍의 반원자석(204)과, 상기 반원자석(204)의 접착부위의 양측면의 중심에 형성되는 한 쌍의 나선공(205)과, 상기 반원자석(204)의 상부 일측에 대응하여 상기 사각금속체(201)와 비자성판(202)의 내측에 형성되는 유도홈(206)을 가지는 자력형성부(200)와;
    일단이 상기 나선공(205)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101)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베어링(30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외주면과 상기 커버(101) 사이에 설치되는 태엽스프링(302)에 의해 탄성복원되는 한 쌍의 회전축(300)과;
    상기 케이스(100)의 상면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상단에 절곡되게 손잡이(401)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401)의 하부와 상단 내측에 개구부(402)가 형성되는 파지관(400)과;
    하단이 상기 유도홈(206)의 내부로 상기 반원자석(204)의 접착부위의 외측에 고정되고, 상단이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비자성판(202)과 케이스(100)를 관통하여 상기 파지관(400)의 내부를 통해 상기 개구부(402)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402)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작동손잡이(501)가 상단에 부착되는 작동와이어(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접착식 철판 이송 장치.
KR1020130096336A 2013-08-14 2013-08-14 자석 접착식 철판 이송 장치 KR101358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336A KR101358045B1 (ko) 2013-08-14 2013-08-14 자석 접착식 철판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336A KR101358045B1 (ko) 2013-08-14 2013-08-14 자석 접착식 철판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8045B1 true KR101358045B1 (ko) 2014-02-04

Family

ID=50269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336A KR101358045B1 (ko) 2013-08-14 2013-08-14 자석 접착식 철판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0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1636A (zh) * 2014-09-16 2015-03-11 芜湖市华益阀门制造有限公司 一种便携式搬运设备的储物装置
KR20200043628A (ko) 2018-10-18 2020-04-28 오정식 자석 착탈식 철판 운반 장치
US10766123B1 (en) 2017-01-23 2020-09-08 Kevin Wilson Magnetic tools
CN113998366A (zh) * 2021-10-20 2022-02-01 浙江天能动力能源有限公司 一种蓄电池板栅生产用辅助搬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0589A (ko) * 2001-05-25 2001-07-27 형 정 자력 흡착기의 흡착 자력 자동 개폐 장치
KR100396384B1 (ko) 2001-07-07 2003-09-02 형 정 자력 흡착기의 흡착자력 자동 개폐 장치
KR20090008303U (ko) * 2008-02-14 2009-08-19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마그네틱을 이용한 금속부재 운반장치
KR20120109529A (ko) * 2010-02-12 2012-10-08 수워푸 매그네틱스(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영구자기 리프팅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0589A (ko) * 2001-05-25 2001-07-27 형 정 자력 흡착기의 흡착 자력 자동 개폐 장치
KR100396384B1 (ko) 2001-07-07 2003-09-02 형 정 자력 흡착기의 흡착자력 자동 개폐 장치
KR20090008303U (ko) * 2008-02-14 2009-08-19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마그네틱을 이용한 금속부재 운반장치
KR20120109529A (ko) * 2010-02-12 2012-10-08 수워푸 매그네틱스(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영구자기 리프팅 디바이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1636A (zh) * 2014-09-16 2015-03-11 芜湖市华益阀门制造有限公司 一种便携式搬运设备的储物装置
US10766123B1 (en) 2017-01-23 2020-09-08 Kevin Wilson Magnetic tools
KR20200043628A (ko) 2018-10-18 2020-04-28 오정식 자석 착탈식 철판 운반 장치
CN113998366A (zh) * 2021-10-20 2022-02-01 浙江天能动力能源有限公司 一种蓄电池板栅生产用辅助搬运装置
CN113998366B (zh) * 2021-10-20 2023-02-28 浙江天能动力能源有限公司 一种蓄电池板栅生产用辅助搬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8045B1 (ko) 자석 접착식 철판 이송 장치
CN105798894B (zh) 一种可翻转箱体的抓取机械手
US20180193899A1 (en) Ferromagnetic sheet fanning and gripping device
CN105818156B (zh) 搬运系统以及搬运方法
CN102807151B (zh) 一种手持式长杆吊具
CN212711719U (zh) 一种生产车间产品码垛转运装置
CN113370175A (zh) 一种搬运机械手
CN204094604U (zh) 一种全自动内孔抛光机
CN203665355U (zh) 一种磁性夹具
CN201026543Y (zh) 一种垂直攻牙装置
JP2015116619A5 (ko)
JP6883854B2 (ja) マグネットベース
CN202182884U (zh) 夹持机构
CN108247657B (zh) 机器人夹爪装置及机器人
CN212946248U (zh) 一种用于多表箱固定件焊接位置的定位装置
CN209946240U (zh) 一种便捷式电导率仪
JP3199454U (ja) マグネットホルダーベース
BRPI0512758A (pt) dispositivo para a manipulação de peças e manipulador industrial dotado do referido dispositivo
AU2011101400A4 (en) Adjustable Magnetic Clamp
JP3212882U (ja) 仮設ハンドル
CN204726549U (zh) 一种攀爬机器人的攀爬机构
CN205927308U (zh) 一种建筑管材切割夹具
KR200384909Y1 (ko) 코일재 이송용 마그네틱 리프트
JP4188949B2 (ja) 磁石押し込み保持治具
CN211220699U (zh) 助力机械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