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822Y1 - 가로등용 결합구 - Google Patents

가로등용 결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822Y1
KR200383822Y1 KR20-2005-0003318U KR20050003318U KR200383822Y1 KR 200383822 Y1 KR200383822 Y1 KR 200383822Y1 KR 20050003318 U KR20050003318 U KR 20050003318U KR 200383822 Y1 KR200383822 Y1 KR 2003838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treet lamp
outer ring
vertical suppor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3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채
Original Assignee
최종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채 filed Critical 최종채
Priority to KR20-2005-00033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8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8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8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Abstract

본 고안은 가로등용 결합구에 관한 것으로, 상부지주와 하부지주가 상호 결합된 가로등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주의 상측에 안착되며, 수직지지대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적층 고정되는 다수의 외측링과, 상기 최상위와 최하위 외측링의 내측에 수평연결대로 결합되어 상부지주를 지지하는 내측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가로등의 외측에 결합구를 장착하여 가로등을 구성하는 상부지주와 하부지주 간의 결합력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고, 또한 상부지주와 하부지주 간의 용접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로등의 미감을 저하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결합구의 형상을 다채롭게 제작함으로써 가로등에 대한 심미감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가로등용 결합구{UNION TOOL FOR STREET LIGHT}
본 고안은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로등의 상부지주와 하부지주의 결합부위에 장착되도록 하여 결합력을 강화함과 아울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가로등용 결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가로교통의 안전과 보안을 위하여 가로를 따라서 설치한 조명시설이다.
그런데, 차량 추돌 사고 등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지주가 파손되거나 굴절되면서 지주가 설치된 주변을 지나는 보행자나 차량을 위협할 수 있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기능상 전원공급, 교통신호통제 및 야간조명 등을 수행하고 있는 지주는 파손시 인근지역의 전원차단 외에 교통의 원할한 흐름을 방해하게 된다.
이에 따라 파손된 지주를 신속하게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기존의 가로등은 지주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파손될 경우 수리 또는 교체가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도 1과 같이 가로등 지주를 하부지주(1) 및 상부지주(2)의 2개, 나아가서는 그 이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제작하고 있지만, 상기 하부지주(1)와 상부지주(2)는 보다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용접을 하게 되는데, 그 용접 부위(3)가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미관을 해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지주와 하부지주의 용접 부위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부지주와 하부지주 간의 결합력이 더욱 견고해지도록 한 가로등용 결합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가로등용 결합구는, 상부지주와 하부지주가 상호 결합된 가로등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주의 상측에 안착되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 적층 결합되도록 수직지지대가 고정된 외측링과, 상기 각 외측링의 내측에 수평연결대로 결합되어 상부지주를 지지하는 내측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가로등용 결합구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결합구가 적용된 가로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결합구의 제1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의 가로등용 결합구는 소정의 폭을 가진 외측링(10)이 수직으로 다수 적층 배치되고, 각 외측링(10)의 내주면에는 삼각형을 이루도록 중공체의 수직지지대(20)가 마련된다.
상기 외측링(10)의 직경은 가로등의 하부지주(1)에 안착되도록 제작된다.
그리고, 각 외측링(10)의 내측에는 가로등의 상부지주(2)를 지지하기 위한 내측링(30)이 마련되는데, 이 내측링(30)은 등간격으로 삼각 배치된 수평연결대(40)에 의해 외측링(10)과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 때, 상기 내측링(30)의 너비(T2)는 외측링(10)의 너비(T1)보다 작게 형성하여 내측링(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직지지대(20)의 상단에는 상측에 위치한 가로등의 수직지지대(20) 하단이 삽입되도록 안착부(21)가 형성된다.
이 때, 다수의 외측링(10)이 적층 결합될 때 그 결합력이 견고해질 수 있도록 적층 결합된 다수의 수직지지대(20)의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볼트(50)가 삽입되고, 이 체결볼트(50)의 상단과 하단에는 체결너트(51)가 체결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결합구의 최하위에는 하부지주(1)의 이음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부지주(1)와 대응되는 형상의 커버(60)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커버(60)는 하부지주(1)의 이음부분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켜줄 뿐만 아니라 그 이음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구는 상부지주(2)와 하부지주(1) 간의 결합력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으며, 상기 내측링(30) 및 외측링(10)으로 하여금 상부지주(2)와 하부지주(1) 간의 용접부위(3)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고, 따라서 가로등의 미감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결합구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하거나 형광물질을 도포함으로써 그 자체로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가로등에 대한 심미감을 한층 높여줄 수도 있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고안에 의한 결합구의 제2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본 실시예의 결합구는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외측링(10)을 다수 적층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수직지지대(20)의 하단에는 하측에 위치한 수직지지대(20)의 안착부(21)에 결합되도록 결합부(23)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결합부(23)에는 하측에 위치한 수직지지대(20)의 안착부(21)에 결합시 쉽게 삽입됨과 아울러 분리가 용이하지 않도록 중앙이 수직으로 절개됨과 함께 하측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21)에는 결합부(23)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이탈방지턱(22)이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ㆍ하측에 이웃하게 배치된 각 외측링(10)에 있어서 그 내주면에 고정되는 수직지지대(20)는, 상기 결합부(23)가 이탈방지턱(22)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상측에 위치한 수직지지대(20)의 이탈방지턱(22)과 하측에 위치한 수직지지대(20)의 상단이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외측링(10)에 고정되어 각 수직지지대(20) 간에 간섭이 없도록 함이 함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결합구의 제3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내측링(30)의 내주면에는 가로등의 상부지주(2)에 접촉되도록 지지돌기(31)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측과 하측에 인접한 각 가로등의 상부지주(2)와 내측링(30) 사이에는 결합봉(70)이 결합된다.
즉, 상기 지지돌기(31)에 의해 그 상ㆍ하측에는, 상부지주(2)의 외벽과 내측링(30)의 내벽 사이에 자연스럽게 수납홈(32)이 형성되고, 이 수납홈(32)에 결합봉(70)이 끼움 결합되어 각각의 결합구를 견고하게 적층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가로등의 외측에 결합구를 장착하여 가로등을 구성하는 상부지주와 하부지주 간의 결합력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고, 또한 상부지주와 하부지주 간의 용접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로등의 미감을 저하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결합구의 형상을 다채롭게 제작함으로써 가로등에 대한 심미감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가로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가로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결합구의 제1실시예를 보인 분해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커버를 더 부가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결합구의 제2실시예를 상세히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구가 가로등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결합구의 제3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하부지주 2 ; 상부지주
3 ; 용접부 10 ; 외측링
20 ; 수직지지대 21 ; 안착부
23 ; 결합부 30 ; 내측링
40 ; 수평연결대

Claims (5)

  1. 상부지주와 하부지주가 상호 결합된 가로등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주의 상측에 안착되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 적층 결합되도록 상단에 안착부가 형성된 수직지지대가 고정된 외측링과,
    상기 각 외측링의 내측에 수평연결대로 결합되어 상부지주를 지지하는 내측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결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직지지대는 중공체로 이루어지며, 적층 결합된 수직지지대의 내부에는 체결볼트가 삽입되고 그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체결너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결합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링의 너비는 외측링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결합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직지지대의 하단에는 하측에 위치한 수직지지대에 삽입 결합되도록 중앙이 절개된 결합부가 하측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각 수직지지대의 안착부에는 상측에 위치된 수직지지대의 결합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결합구.
  5. 상부지주와 하부지주가 상호 결합된 가로등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주의 상측에 안착되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 적층 배치되는 외측링과,
    상기 각 외측링의 내측에 수평연결대로 결합되어 상부지주를 지지하며, 내주면에는 상부지주의 외벽을 지지하도록 지지돌기가 돌출된 내측링과,
    상기 지지돌기에 의해 마련된 상부지주와 내측링 사이의 수납홈에 결합되는 결합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결합구.
KR20-2005-0003318U 2005-02-03 2005-02-03 가로등용 결합구 KR2003838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318U KR200383822Y1 (ko) 2005-02-03 2005-02-03 가로등용 결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318U KR200383822Y1 (ko) 2005-02-03 2005-02-03 가로등용 결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822Y1 true KR200383822Y1 (ko) 2005-05-10

Family

ID=43685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318U KR200383822Y1 (ko) 2005-02-03 2005-02-03 가로등용 결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82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563B1 (ko) 신호등 지지용 가로보
KR101085031B1 (ko) 가로 시설물 설치대
KR100754908B1 (ko) 가로등
KR100720649B1 (ko) 가로등 등주의 연결구조
KR100907303B1 (ko) 가드레일 지주용 델리네이터 구조
KR101382408B1 (ko) 조립식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KR200383822Y1 (ko) 가로등용 결합구
KR200373191Y1 (ko) 분리형 가로등
KR200493538Y1 (ko) 계단 난간대의 결속구조
KR100816722B1 (ko) 연결부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장치
KR20160010733A (ko) 신호등 기능을 갖는 횡단보도용 벽돌고정 파레트
JP2008063852A (ja) 防護柵
KR100876949B1 (ko) 가로등 등주의 연결구조
KR101286425B1 (ko) 보행자용 안전펜스
KR101249035B1 (ko) 가로등 지주
KR100950544B1 (ko) 가로등용 케이블 고정구
KR102214487B1 (ko) 시선 유도봉 및 그 시공방법
KR200355877Y1 (ko) 도로용 안전펜스
KR101054810B1 (ko) 신호등 지주장치
KR20140017944A (ko) 가드레일 지주를 활용한 교통표지판 조립식 지지물
KR100538698B1 (ko) 조명등 지주
KR200406171Y1 (ko) 가로등용 결합구
KR102001527B1 (ko) 차선분리대
KR20160044212A (ko) 진동 완충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
KR200415853Y1 (ko) 가로등 지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