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703Y1 - 조립식 결합부재를 갖춘 의자프레임 - Google Patents

조립식 결합부재를 갖춘 의자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703Y1
KR200379703Y1 KR20-2004-0035466U KR20040035466U KR200379703Y1 KR 200379703 Y1 KR200379703 Y1 KR 200379703Y1 KR 20040035466 U KR20040035466 U KR 20040035466U KR 200379703 Y1 KR200379703 Y1 KR 2003797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frame
coupling portion
bolt
coupling memb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4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원호
Original Assignee
서원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원호 filed Critical 서원호
Priority to KR20-2004-00354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7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7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7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7C11/005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multiple separat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결합부재를 갖춘 의자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조립, 해체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조립이 완료된 의자를 측방으로 밀착시켜도 틈새없이 정렬이 가능하여 의자가 설치되는 설치환경을 미려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조립식 결합부재를 갖춘 의자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의자 프레임은 수직 바아 상단에 배치되며, 그 평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탭이 형성된 조인트 플레이트와, 상기 조인트 플레이트 상면과 하면이 면접하며 상기 탭에 체결되는 볼트가 관통하도록 제 1볼트 홀이 형성된 제 1결합부와, 상기 제 1결합부의 단부에서 90도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 바아의 단부가 면접하며 볼트가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볼트 홀이 형성된 제 2결합부를 갖춘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프레임중 어느 하나가 파손될 경우, 그 파손된 부분만 교체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측방으로 밀착시켜 정렬할 때에도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설치환경이 미려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결합부재를 갖춘 의자프레임 { CHAIR FRAME HAVE A ASSEMBLY TYPE COHERENCE MEMBER }
본 고안은 의자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 바아와 수평 바아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제 1볼트 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제 1결합부와, 이 제 1결합부의 일단에 90도 직각방향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볼트 홀이 형성된 제 2결합부로 이루어진 조립식 결합부재를 갖춘 의자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길이가 긴 벤치 또는 소파용 의자 프레임(1)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가 알려져 오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의자 프레임(1)이 그 대표적인 것으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의자 프레임(1)은 수직 바아(10)와 수평 바아(30), 시이트(50)로 대별된다.
수직 바아(10)는 하단이 바닥에 지지되며 평면에서 바라볼 때, 사각형의 각 모서리에 배치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시이트(50)의 하부와 후부측방을 지지할 수 있도록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이 수직 바아(10)의 각 상단에 배치된 결합부재(20)에 수평 바아(30)의 각 단부가 볼트 체결되어 조립되며, 이와 같이, 조립된 수평 바아(30)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이트(50)가 설치된다.(시이트(50)의 설치방법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결합부재(20)는 장착부(21)와 결합부(23)로 대별된다.
장착부(21)는 원반형의 금속재를 수직 바아(10)의 상단에 마구리 형태로 장착시키는 것이며, 그 상부 중앙에 결합부(23)가 수직으로 배치된다.
결합부(23)는 상, 하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 홀(23a)이 형성되는데, 이 볼트 홀(23a)은 일측에 수평상으로 배치되는 수평 바아(30)의 단부에 마련된 조인트 플레이트(15)의 탭(15a)과 동심한 위치에 형성되어, 이 수평 바아(30)와 대향하는 타측에서 볼트(25)를 관통시킴으로서, 결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의자 프레임(1)은 결합부재(20)와 수직 바아(10)가 용접으로 장착되어 있으므로, 두가지중 어느 하나가 파손될 경우, 그 파손된 부위의 수직 바아(10)를 통째로 교체해야 하므로 원가손실이 큰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측에서 바라볼 때, 수직 바아(10)의 상부중앙에 수직상태로 결합부(23)가 배치된 결합부재(20)에 의해 여러개의 의자를 정렬할 경우, 결합부재(20)가 배치된 상부는 틈새("C"표시부위)가 발생하여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결합용 볼트(25)의 머리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며, 나아가, 조립이 완성된 의자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의자의 구성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파손될 경우, 그 파손된 부분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원가를 절감하도록 함과 동시에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여러개의 의자를 정렬할 경우, 접촉부위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설치환경을 미려하게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각 결합부에 체결용 볼트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조립이 완료된 의자의 가치를 최대한 높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단이 바닥에 지지되며 평면에서 바라볼 때, 사각형의 각 모서리에 배치되는 수직 바아와, 상기 수직 바아의 상단에 결합되는 수평바와, 상기 수평 바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이트가 설치되어 벤치 또는 소파용으로 사용하는 의자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의자 프레임은 상기 수직 바아 상단에 배치되며, 그 평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탭이 형성된 조인트 플레이트와 하면이 면접하며 상기 탭에 체결되도록 볼트가 관통하는 제 1볼트 홀이 형성된 제 1결합부와, 상기 제 1결합부의 단부에서 90도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 바아의 단부가 면접하며 볼트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볼트 홀이 형성된 제 2결합부를 갖춘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제 1결합부의 제 1볼트 홀은 위치조절이 용이하도록 장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한다.
또한, 제 1, 2결합부에 각각 형성된 제 1, 2볼트 홀은 접시머리볼트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단면상 양측으로 테이퍼가 형성된 카운터 싱크 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예시도를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결합부재를 갖춘 의자프레임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살포장치의 조립식 결합부재를 갖춘 의자프레임의 작용을 보인 일측면도이다.(이하, 수직 바아(10)와 수평 바아(30)를 결합시키도록 배치되는 결합부재(100)의 기술적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종래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결합부재(10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명칭과 부호를 붙여 설명하고,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달리 붙여 설명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조립식 결합부재를 갖춘 의자 프레임(1)은 수직 바아(10)와, 상기 수직 바아(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수평바(30)와, 상기 수평 바아(3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이트(5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한 수직 바아(10)의 상부와 수평 바아(30)의 각 단부는 결합부재(100)에 의해 체결, 결합된다.
결합부재(100)는 그 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절곡된 수평상의 제 1결합부(110)와 수직상의 제 2결합부(130)로 이루어진다.
제 1결합부(110)는 수직 바아(10)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조인트 플레이트(15)의 상면과 하면이 면접하며 결합되는 것으로, 제 1결합부(110)에는 상기한 조인트 플레이트(15)의 탭(15a)과 일치하는 위치에 제 1볼트 홀(111)이 형성되는데, 이, 제 1볼트 홀(111)은 장공(長空)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볼트 홀(11)은 단면상 양측으로 테이퍼(Tapper)가 형성된 카운터 싱크(Counter Sink) 방식으로서, 볼트체결이 완료되고 나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접시머리 볼트에 의해 체결된다.
이와 같은 장공형태에 카운터 싱크를 형성하는 방법은 공지의 밀링 머신에 볼 엔드밀(Ball End Mill) 공구를 장착한 후, 장공을 형성하면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의 카운터 싱크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 1결합부(110) 일측에 90도 직각방향으로 연장된 제 2결합부(130)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다.
제 2결합부(130)는 상, 하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이상의 제 2볼트 홀(1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볼트 홀(131)은 수평 바아(30)의 양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조인트 플레이트(15)에 형성된 탭(15a)과 동심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 역시 마찬가지로, 단면상 양측에 테이퍼가 형성된 카운터 싱크 방식으로, 이는 상기한 제 1볼트 홀(111)과는 달리 볼트(140) 외주에 상당하는 홀을 1차로 형성한 후, 2차로 외경이 더큰 드릴로 동심한 상태에서 테이퍼 진 홈을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제 1, 2결합부(110)(130)의 제 1, 2볼트 홀(111)(131)에는 볼트(140)가 관통하며, 접시형으로 형성된 머리부는 각 제 1, 2볼트 홀(111)(131)에 은폐되고, 나사부는 수직 바아(10)와 수평 바아(30)의 단부에 각각 장착된 조인트 플레이트(15)에 형성된 탭(15a)에 체결된다.
계속해서, 도시한 바를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결합부재(100)의 조립방법과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수직 바아(10) 상단에 장착된 조인트 플레이트(15)의 상면에 결합부재(100)의 제 1결합부(110) 하면을 맞춘 상태에서, 제 1볼트 홀(111)을 탭(15a)과 일치하도록 맞춘다.
이 상태에서, 결합부재(100)의 단부, 즉, 제 2결합부(130)의 외측면이 수직 바아(10)의 외측과 일치하도록 맞춘 상태에서 제 1볼트 홀(111)을 관통하여 탭(15a)에 볼트(140)를 체결한다.
그런 다음, 제 2결합부(130)에 수평 바아(30)의 단부를 맞춰 상기한 바와 같이, 볼트(140)를 체결하면 된다. 나아가, 다른 부위도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체결하면 용이하게 조립이 완료된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140)의 머리부분이 각 제 1, 2볼트 홀(111)(131)에 은폐되므로, 조립이 완료된 다수의 의자를 측방으로 정렬하여도 그 단부가 밀착되므로서, 설치된 환경이 미려해진다.("A"표시부위 참조.)
또한, 수직, 수평 바아(10)(30) 또는 결합부재(100)중 어느 하나가 파손될 경우, 그 파손된 부분만 교체가 가능하여 대폭적으로 원가를 절감하였으며, 유지보수가 쉽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의자 프레임(1)은 2~3명이 착좌할 수 있는 벤치 또는 소파형의 의자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그 것은 당업계의 제조기술로서 한 사람이 앉는 의자에 적용하여도 본 고안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실시는 본 고안 청구항의 기재 범위내에 있게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의자의 구성, 즉, 수직 바아 또는 수평 바아, 결합부재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파손될 경우, 그 파손된 부분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원가를 절감하도록 함과 동시에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여러개의 의자를 측방으로 정렬할 경우, 접촉부위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설치환경을 미려하게 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각 결합부에 체결용 볼트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조립이 완료된 의자의 가치를 최대한 높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의자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의자가 정렬된 상태를 보인 참고일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결합부재를 갖춘 의자프레임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살포장치의 조립식 결합부재를 갖춘 의자프레임의 작용을 보인 일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의자 프레임 10;수직 바아
30;수평 바아 50;시이트
100;결합부재 110,130;제 1, 2결합부
111,131;제 1, 2볼트 홀

Claims (3)

  1. 하단이 바닥에 지지되며 평면에서 바라볼 때, 사각형의 각 모서리에 배치되는 수직 바아와, 상기 수직 바아의 상단에 결합되는 수평 바아와, 상기 수평 바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이트가 설치되어 벤치 또는 소파용으로 사용하는 의자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의자 프레임은 상기 수직 바아 상단에 배치되며, 그 평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탭이 형성된 조인트 플레이트와 하면이 면접하며 상기 탭에 체결되도록 볼트가 관통하는 제 1볼트 홀이 형성된 제 1결합부와, 상기 제 1결합부의 단부에서 90도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 바아의 단부가 면접하며 볼트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볼트 홀이 형성된 제 2결합부를 갖춘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결합부재를 갖춘 의자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결합부의 제 1볼트 홀은 위치조절이 용이하도록 장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결합부재를 갖춘 의자프레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결합부에 각각 형성된 제 1, 2볼트 홀은 접시머리볼트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단면상 양측으로 테이퍼가 형성된 카운터 싱크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결합부재를 갖춘 의자프레임.
KR20-2004-0035466U 2004-12-14 2004-12-14 조립식 결합부재를 갖춘 의자프레임 KR2003797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466U KR200379703Y1 (ko) 2004-12-14 2004-12-14 조립식 결합부재를 갖춘 의자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466U KR200379703Y1 (ko) 2004-12-14 2004-12-14 조립식 결합부재를 갖춘 의자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703Y1 true KR200379703Y1 (ko) 2005-03-23

Family

ID=43681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466U KR200379703Y1 (ko) 2004-12-14 2004-12-14 조립식 결합부재를 갖춘 의자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7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636B1 (ko) 2006-11-22 2007-10-15 박규수 조립식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636B1 (ko) 2006-11-22 2007-10-15 박규수 조립식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85823C (en) Vision panel frame
US202000411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kitchen cooktop units
KR200379703Y1 (ko) 조립식 결합부재를 갖춘 의자프레임
KR20090009085U (ko) 침대구조물의 프레임 체결구조
KR200166400Y1 (ko) 석재판넬의 고정브라켓 및 고정장치
JP2009118908A (ja) 家具及び部材の連結構造
JP4117000B2 (ja) 支柱の取付構造
JP2584932Y2 (ja) ハンギングパネル
KR101900054B1 (ko) 가구용 프레임시스템
JPS5840904Y2 (ja) カウンタ−の取付構造
JP2541091Y2 (ja) 間仕切パネルの壁面固定装置
KR102298576B1 (ko) 프레임 조립체
JPH03286711A (ja) 机の連結構造
JP2002371657A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の固定装置
JPH09158372A (ja) 間仕切り構造
KR200341307Y1 (ko) 철재문틀 조립 장치
JP2666174B2 (ja) 支柱の取付構造
KR20040083399A (ko)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
JP4139404B2 (ja) 横桟の取付構造
JPH0517955Y2 (ko)
JP2005185601A (ja) テーブルの脚構造
JP2017008484A (ja) 腰壁パネル固定構造
KR200443830Y1 (ko) 결합장치
JPS6311368Y2 (ko)
JPH051795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