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830Y1 -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830Y1
KR200443830Y1 KR2020070019434U KR20070019434U KR200443830Y1 KR 200443830 Y1 KR200443830 Y1 KR 200443830Y1 KR 2020070019434 U KR2020070019434 U KR 2020070019434U KR 20070019434 U KR20070019434 U KR 20070019434U KR 200443830 Y1 KR200443830 Y1 KR 2004438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oupling
coupling surface
fixing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4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덕열
Original Assignee
남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덕열 filed Critical 남덕열
Priority to KR20200700194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8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8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8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05Bedsteads dismoun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8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for joining separate bedst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54Fittings for bedsteads or the like
    • F16B12/56Brackets for bedsteads; Coupling joints consisting of bolts or the like; Latch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 개의 부재에 각각 고정되어 그 두 부재를 서로 결합하는 결합장치에 있어서, 결합하고자 하는 부재의 결합면 위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그 결합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 상기 한 쌍의 고정부로부터 각각 상기 결합면에 대해 경사지게 소정 높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 상기 한 쌍의 연장부 끝단을 상기 결합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결합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의 상기 연장부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홈부;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체결, 결합, 체결구, 결합장치

Description

결합장치{coupling apparatus}
본 고안은 결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부재를 결합하되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며, 일단 결합이 된 상태에서는 두 개의 부재 사이에 상대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와 같은 가구는 크기와 차지하는 면적이 크기 때문에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 이동, 판매, 배달하지 않고, 주요 구성들이 각각 분리된 상태로 배달하거나 이송한다.
또한, 결합이 완료된 상태로 사용하다가도 이사 등의 이유로 운반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다시 분리하여 운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침대와 같은 가구의 주요 구성들을 결합하는 결합장치는 각 구성들 간에 분리와 조립이 용이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또한,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동시에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흔들리지 않고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에 침대의 수직 프레임(1)과 수평프레임(2, 3)을 조립하여 결합하는 결합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에는 구멍(6, 7)이 뚫려 있는 금속판(4, 5)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수평프레임(2, 3)에는 고리형의 결합부(10, 11)가 형성된 체결구(8, 9)가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수평프레임(2, 3)을 상기 수직프레임(1)에 접근시켜서 상기 결합부(10, 11)를 상기 금속판(4, 5)의 구멍(6, 7)에 끼워 넣으면 상기 수평프레임(2, 3)이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움직이면서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결합장치는 상기 금속판(4, 5)의 구멍(6, 7)을 통하여 결합부(10, 11)가 끼워지도록 상기 수직프레임(1)에 홈을 형성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2, 3)에 대해 측면에서 힘을 작용하면 상기 수평프레임(2, 3)이 상기 수직프레임(1)과 결합된 곳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기 용이한 구조를 가진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결합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가구를 사용하는 중에 가구의 형상이 흐트러져서 미관상 보기에 좋지 않고 전체적으로 가구의 견고함이 저하되어 가구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결합과 분리가 자유롭고 용이하며, 결합이 완료된 후에도 결합되는 부재 사이의 상대 이동이 제한되어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결합장치는, 두 개의 부재에 각각 고정되어 그 두 부재를 서로 결합하는 결합장치에 있어서, 결합하고자 하는 부재의 결합면 위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그 결합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 상기 한 쌍의 고정부로부터 각각 상기 결합면에 대해 경사지게 소정 높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 상기 한 쌍의 연장부 끝단을 상기 결합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결합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의 상기 연장부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홈부;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두개의 부재를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결합후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일단 결합이 완료된 후에는 결합된 두 부재 사이의 상대이동, 특히 상대 회전이 제한되어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한 쌍의 결합 장치을 배치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한 쌍의 결합 장치가 서로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한 쌍의 결합 장치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결합장치(100)는 한 쌍의 고정부(110, 120)와 한 쌍의 연장부(130, 140)와 연결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결합장치(100)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하고자 하는 두 개의 부재를 각각 제1부재(300)와 제2부재(400)라고 하면, 상기 한 쌍의 고정부(110, 120)는 상기 제1부재(300)의 결합면(301) 위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고정부(110, 120)에는 각각 나사공(111, 112, 121, 122)이 형성되어 있어서, 그 나사공(111, 112, 121, 122)을 통해 각각 상기 제1부재(300)에 결합 장치(100)가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연장부(130, 140)는 상기 고정부(110, 120)로부터 상기 결합면(301)에 대해 소정 높이로 연장되도록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연장부(130, 140)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면(301)에 대해 소정 높이를 갖도록 연장된다.
상기 연결부(150)는 상기 결합면(301)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연장 부(130, 140)의 끝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연결부(150)에는 상기 제1부재(300)의 결합면(301, 401)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60)가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고정부(110, 120)와 상기 연결부(150)의 사이에는 각각 홈부(170, 180)가 형성된다. 상기 홈부(170, 180)는 상기 고정부(110, 120)와 상기 연결부(150) 사이의 상기 연장부(130, 140)를 절개하여 형성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재(300)에 결합되는 본 실시예의 결합 장치(100)는 하측 테두리에서 상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진입하도록 상기 홈부(170, 18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돌출부(160)는 상기 홈부(170, 180)의 안쪽 방향으로 진입할수록 상기 연결부(150)에 대한 높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150)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결합장치(100)의 기능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한 쌍의 결합 장치(100, 200)를 마련한다. 그 중 하나의 결합 장치(100)를 상기 제1부재(300)의 결합면(301)에 나사(101, 102, 103, 104)를 이용하여 결합한다. 이때, 상기 결합 장치(100)의 상기 홈부(170, 180)는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제1부재(300)에 결합한다.
다음으로, 다른 하나의 상기 결합 장치(200)를 상기 제1부재(300)와 마주하는 상기 제2부재(400)의 결합면(401)에 나사(201, 202, 203, 204)를 이용하여 결합한다. 이때, 상기 다른 하나의 결합 장치(200)는 상기 홈부(270, 280)가 상측을 향 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제2부재(400)의 결합면(401)에 나사(201, 202, 203, 204)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두 개의 결합 장치(100, 200)가 각각 상기 제1부재(300)와 제2부재(400)의 결합면(301, 401)에 고정되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부재(300)를 들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상기 결합 장치(100, 200)가 서로 상기 홈부(170, 180, 270, 280)에 끼워지도록 결합한다.
상기 제1부재(300)를 상기 제2부재(400)에 대해 하측으로 움직여서 상대이동 시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장치(100, 200)의 돌출부(160, 260)의 경사면(161, 261)끼리 서로 미끄러지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150, 250)끼리는 서로 멀어지고 상기 고정부(110, 120, 210, 220)끼리는 서로 근접하면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결합 상태가 된다.
상기 제1부재(300)를 상기 제2부재(400)에 대해 상측으로 들어올려 다시 분리하지 않는 한 이와 같은 결합상태는 견고하게 유지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160, 260)의 경사면(161, 261)끼리 서로 밀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부재(300)에 대해 측면에서 힘을 가하여도, 상기 제1부재(300)는 상기 제2부재(400)에 대해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돌출부(160, 260)의 상기 연결부(150, 260)에 대한 높이(h1)는, 상기 연결부(150, 250)의 상기 고정부(110, 120, 210, 220)에 대한 높이(h2)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160, 260)의 높이(h1)가 상기 연결부(150, 250)의 고정부(110, 120, 210, 220)에 대한 높이(h2)보다 커지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결합장치(100, 200)들끼리의 결합이 어려워진다. 즉, 한 쌍의 결합장치(100, 200)의 각 돌출부(160, 260)가 상대 결합장치(100. 200)의 연결부(150, 250)에 결려서 서로 끼워지지 않게 된다.
이상, 본 고안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결합장치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도시된 형태의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결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한 쌍의 결합 장치을 배치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한 쌍의 결합 장치가 서로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한 쌍의 결합 장치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 결합장치 110, 120 : 고정부
130, 140 : 연장부 150 : 연결부
160 : 돌출부 210, 220 : 고정부
230, 240 : 연장부 250 : 연결부
260 : 돌출부

Claims (4)

  1. 두 개의 부재에 각각 고정되어 그 두 부재를 서로 결합하는 결합장치에 있어서,
    결합하고자 하는 부재의 결합면 위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그 결합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
    상기 한 쌍의 고정부로부터 각각 상기 결합면에 대해 경사지게 소정 높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
    상기 한 쌍의 연장부 끝단을 상기 결합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결합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의 상기 연장부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상기 홈부의 안쪽방향으로 진입할수록 상기 연결부에 대한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대한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고정부에 대한 상기 연결부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부를 상기 결합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고정부에는 각각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장치.
KR2020070019434U 2007-12-04 2007-12-04 결합장치 KR2004438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434U KR200443830Y1 (ko) 2007-12-04 2007-12-04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434U KR200443830Y1 (ko) 2007-12-04 2007-12-04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830Y1 true KR200443830Y1 (ko) 2009-03-16

Family

ID=41347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9434U KR200443830Y1 (ko) 2007-12-04 2007-12-04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8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493B1 (ko) 조립식 책상
KR200473407Y1 (ko) 조립식 앵글 선반
US20080076304A1 (en) Assembly structure
US9226588B2 (en) Knockdown bed
KR200448799Y1 (ko) 천정등 커버 고정장치
JP2006013410A (ja) サーバーシャーシのスライドレール固定装置
KR101531812B1 (ko) 조립형 테이블
KR101597744B1 (ko) 책상용 지지 프레임
KR101335801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구조
KR200443830Y1 (ko) 결합장치
KR200424942Y1 (ko) 침대의 프레임체결구조
KR200436927Y1 (ko) 벽체 배치가 용이한 테이블 조립구조
KR102164096B1 (ko) 가구조립용 연결구와 이에 의해 조립된 가구
KR101373145B1 (ko) 가구용 금속프레임의 연결구 조립구조
KR200464099Y1 (ko) 조립식 책상
CN110248505A (zh) 固定结构及包括此固定结构的电子装置
JP2003339478A (ja) ベッド装置
KR101605370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US20140332647A1 (en) Coupling device
KR200387291Y1 (ko) 벌집 액자
TWM594638U (zh) 欄杆底座
KR20150003516U (ko) 야외용 조립식 테이블
KR200474075Y1 (ko) 가구용 프레임 결합구조
KR200437243Y1 (ko) 수직 연결부재
WO2024066245A1 (zh) 猫家具装置的安装基座及猫家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