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243Y1 - 수직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수직 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243Y1
KR200437243Y1 KR2020060028797U KR20060028797U KR200437243Y1 KR 200437243 Y1 KR200437243 Y1 KR 200437243Y1 KR 2020060028797 U KR2020060028797 U KR 2020060028797U KR 20060028797 U KR20060028797 U KR 20060028797U KR 200437243 Y1 KR200437243 Y1 KR 2004372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ing part
fitting groove
fix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7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이
Original Assignee
김응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이 filed Critical 김응이
Priority to KR20200600287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2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2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2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직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이 개방되고 내면 중앙부를 따라 끼움홈이 형성된 제1고정부를 수평면에 고정시키고, 상기 끼움홈에 대응되는 돌출턱이 외면을 따라 형성된 제2고정부를 수직기둥 또는 다리의 단면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제2고정부를 제1고정부재의 결합부에 끼워서 결합시킴으로 조작이 간편하여 누구나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돌출턱과 이에 대응하는 끼움홈에 의해 상·하 유동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2고정부의 고정편부를 상기 제1고정부가 고정되는 부재에 고정시킴으로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결부재, 수직, 돌출턱, 끼움홈

Description

수직 연결부재{Perpendicular Connect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직 연결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 연결부재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직 연결부재의 제2고정부에 기둥 또는 다리를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 연결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 연결부재의 측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직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직연결부재 20 : 제1고정부
22 : 제1설치공 24 : 결합부
26 : 끼움홈 30 : 제2고정부
32 : 제2설치공 34 : 돌출턱
36 : 고정공 38 : 고정편
40 : 고정부재
본 고안은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이 개방되고 내면 중앙부를 따라 끼움홈이 형성된 제1고정부를 수평면에 고정시키고, 상기 끼움홈에 대응되는 돌출턱이 외면을 따라 형성된 제2고정부를 수직기둥에 형성하여 상기 수평면과 수직기둥을 간편하게 연결·고정시 킬 수 있는 수직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평평한 판에 수직으로 다리나 기둥을 연결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탁이나 책상 및 침대 등 다양한 물건들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수직 역결방법은 평평한 판에 삽입공을 형성하거나 'ㄱ'자로 꺽인 브라켓을 판과 다리에 나사 또는 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켜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삽입공을 형성하거나 브라켓을 사용한 경우, 하중이나 수평으로 전달되는 힘을 버티기 힘들어 근접한 다리 또는 기둥에 상호 연결되는 별도의 지지대를 형성해 됨으로 재료비가 상승되고, 장기간 사용 시, 연결부에 틈이 생겨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경우, 연결부위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의 높이가 동일해야 됨은 몰론, 다리 또는 기둥이 끼워지되 흔들리지 않도록 너무 크게 형성되지 않아야 함으로 작업 도수 및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일측이 개방되고 내면 중앙부를 따라 끼움홈이 형성된 제1고정부를 수평면에 고정시키고, 상기 끼움홈에 대응되는 돌출턱이 외면을 따라 형성된 제2고정부를 수직기둥 또는 다리의 단에 형성하여 상기 수평면과 수직기둥 또는 다리를 간편하게 연결· 고정시킬 수 있는 수직 연결부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평평한 면상에 고정되도록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다수의 통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일측으로 개방된 결합부가 형성된 제1고정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몸체가 상기 제1고정부의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의 타측에 다수의 통공을 갖는 고정편이 형성된 제2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고정부는 일정 두께를 갖는 두 개의 프레임의 단부가 직각으로 고정되어 일측으로 개방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제1고정부와 사각형을 이루도록 상기 결합부에 몸체가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의 결합부 내면 중앙부를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 끼워지는 상기 제2고정부의 측면에는 상기 끼움홈에 대응되는 돌출턱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의 결합부 내면 중앙부를 따라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 기 결합부에 끼워지는 상기 제2고정부의 측면에는 상기 돌출턱에 대응되는 끼움홈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고정부의 결합부에 제2고정부를 끼워 결합·고정이 가능함으로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하며, 돌출턱과 이에 대응하는 끼움홈에 의해 상·하 유동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제2고정부의 고정편부를 상기 제1고정부가 고정되는 부재에 고정시킴으로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직 연결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 연결부재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직 연결부재의 제2고정부에 기둥 또는 다리를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 연결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 연결부재의 측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직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연결부재(10)는 제1고정부(20)와 제2고정부(30)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고정부(20)는 일정 두께를 갖는 두 개의 프레임의 단부가 직각으로 고정되고, 상하로 관통되는 제1설치공(22)이 다수 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20)는 일측이 직각으로 이루어져 타측 모서리가 개방된 결합부(24)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부(24)는 내측 수평 중앙부를 따라 끼움홈(26)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1고정부(20)는 평평한 판에 설치되는 것으로, 고정부재(40)를 이용하여 상기 제1설치공(22)을 통과하여 상기 판에 고정됨으로 상기 제1고정부(20)가 판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제2고정부(30)는 상기 제1고정부(20)의 결합부(24)에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 모서리와 이 모서리와 만나는 양면에 상기 끼움홈(26)에 대응하는 돌출턱(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턱(34)이 형성되지 않은 타측에 고정편(38)가 형성되고, 이 고정편(38)에는 상·하로 통공되는 고정공(36)이 다수 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30)는 상·하로 통공되는 제2설치공(32)이 다수 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20)의 끼움홈(26)과 상기 제2고정부(30)의 돌출턱(34)은 경우에 따라 반대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고정부(20)의 결합부(24)에 돌출턱(26′)을 형성하고, 제2고정부(30)에 상기 돌출턱(26′)에 대응되는 끼움홈(34′)을 형성하여 사용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연결부재(10)는 먼저, 평평한 판에 제1고정부(20)를 거치시키고, 고정부재(40)를 이용하여 상기 판과 제1고정부(20)를 고정시 킨다.
그리고, 제2고정부(30)를 수직으로 연결할 기둥 또는 다리의 단부에 고정부재(40)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후, 상기 제2고정부(30)를 상기 제1고정부(20)와 결합시킨다.
즉, 상기 제1고정부(20)의 결합부(24)에 상기 제2고정부(30)를 결합 시키는 것으로, 상기 결합부(24)의 끼움홈(26)과 상기 제2고정부(30)의 돌출턱(34)을 결합 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2고정부(30)를 제1고정부(20)에 결합시킨 다음, 고정부재(40)를 이용하여 상기 제2고정부(30)의 고정편(38)를 상기 판에 고정시킴으로 판과 기둥 또는 다리가 수직으로 간편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끼움홈(26)과 돌출턱(34)은 반대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고정부(20)의 결합부(24)에 돌출턱(26′)을 형성하고, 제2고정부(30)에 끼움홈(34′)을 형성하여 제1고정부(20)와 제2고정부(30)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수직 연결부재에 의하면, 제2고정부를 제1고정부재의 결합부에 끼워서 결합시킴으로 조작이 간편하여 누구나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돌출턱과 이에 대응하는 끼움홈에 의해 상·하 유동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2고정부의 고정편부를 상기 제1고정부가 고정되는 부재에 고정시킴으 로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 킬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Claims (4)

  1. 평평한 면상에 고정되도록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다수의 제1설치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일측으로 개방된 결합부가 형성된 제1고정부;
    상기 평평한 면상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다리의 단부에 고정되도록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다수의 제2설치공이 형성된 몸체가 상기 제1고정부의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의 타측에 평평한 면상에 고정되도록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다수의 고정공을 갖는 고정편이 형성된 제2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는 일정 두께를 갖는 두 개의 프레임의 단부가 직각으로 고정되어 일측으로 개방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제1고정부와 사각형을 이루도록 상기 결합부에 몸체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연결부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의 결합부 내면 중앙부를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 끼워지는 상기 제2고정부의 측면에는 상기 끼움홈에 대응되는 돌출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연결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의 결합부 내면 중앙부를 따라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 끼워지는 상기 제2고정부의 측면에는 상기 돌출턱에 대응되는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연결부재.
KR2020060028797U 2006-10-31 2006-10-31 수직 연결부재 KR2004372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797U KR200437243Y1 (ko) 2006-10-31 2006-10-31 수직 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797U KR200437243Y1 (ko) 2006-10-31 2006-10-31 수직 연결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243Y1 true KR200437243Y1 (ko) 2007-11-15

Family

ID=41636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797U KR200437243Y1 (ko) 2006-10-31 2006-10-31 수직 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2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182Y1 (ko) 2009-06-29 2012-03-23 이화춘 안전지주 설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182Y1 (ko) 2009-06-29 2012-03-23 이화춘 안전지주 설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7243Y1 (ko) 수직 연결부재
KR200436927Y1 (ko) 벽체 배치가 용이한 테이블 조립구조
KR20130000056U (ko) 탁자 프레임 체결구조
KR20150045279A (ko) 사무실 파티션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사무실 파티션
JP7027772B2 (ja) 天板の支持装置
KR20190000913U (ko) 조립식 책상프레임
KR101829883B1 (ko) 테이블 프레임 결합구조
KR101656736B1 (ko) 조립식 가구용 연결구 및 그 연결구를 이용한 조립식 가구
KR101440045B1 (ko) 가구 하부프레임
CN208435070U (zh) 一种床脚的连接结构
JP5740571B2 (ja) 浴室構造
KR200287632Y1 (ko) 탁자의 프레임과 다리의 조립 구조
KR101735070B1 (ko) 가구용 조립식 상판
KR101208341B1 (ko) 다리 연결구를 갖는 테이블
KR200286712Y1 (ko) 탁자의 상판 프레임과 다리의 연결부재
KR101929319B1 (ko) 커넥터 모듈
KR20160123716A (ko) 테이블
KR200397585Y1 (ko) 거푸집체결부재의 고정브라켓 장착구
KR200319398Y1 (ko) 가구용 다리의 결합구조
KR200464923Y1 (ko) 서포터를 포함하는 책상
KR101440043B1 (ko) 가구 하부프레임
KR20150003516U (ko) 야외용 조립식 테이블
KR102605623B1 (ko) 조립이 편리한 가구프레임 조립체
KR101440034B1 (ko) 가구 하부프레임
KR102439068B1 (ko) 가구 프레임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