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085U - 침대구조물의 프레임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침대구조물의 프레임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085U
KR20090009085U KR2020080002977U KR20080002977U KR20090009085U KR 20090009085 U KR20090009085 U KR 20090009085U KR 2020080002977 U KR2020080002977 U KR 2020080002977U KR 20080002977 U KR20080002977 U KR 20080002977U KR 20090009085 U KR20090009085 U KR 200900090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frame
pillar member
curved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8856Y1 (ko
Inventor
주재택
Original Assignee
주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재택 filed Critical 주재택
Priority to KR2020080002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856Y1/ko
Publication of KR200900090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0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8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8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05Bedsteads dismoun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0Multi-stage bedsteads; e.g. bunk beds; Bedsteads stackable to multi-stage bedst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54Fittings for bedsteads or the like
    • F16B12/56Brackets for bedsteads; Coupling joints consisting of bolts or the like; Latch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대구조물의 프레임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침대의 골조를 이루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인 기둥부재 상호간의 체결부위에서 곡면형태의 밀착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한층 안정적인 체결상태가 유지되어지고, 이에 따른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원기둥 형태를 이루는 가운데 일정 높이에 체결볼트(40)가 관통 체결되어지도록 관통공(11)이 형성된 기둥부재(10)와, 상기 기둥부재(10)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일단이 기둥부재(10)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을 이루는 곡면부(20a)를 형성하고 있는 수평프레임(20)와, 상기 수평프레임(20)이 체결되어지는 기둥부재(10)의 반대측 배면에서 상기 체결볼트(40)를 지지하기 위해 체결공(31)이 형성된 가운데 기둥부재(10)와 동일한 곡률을 이루는 곡면부(30a)를 이루어 밀착 체결되어지는 곡면브라켓(30) 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침대, 기둥, 프레임, 수평, 곡면, 곡율, 체결

Description

침대구조물의 프레임 체결구조{A FRAME ASSEMBLY STRUCTURE FOR BED}
본 고안은 프레임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의 골조 구조물을 이루는 프레임과 기둥부재간 체결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층 침대와 같이 조립된 상태의 부피가 큰 경우 운반 및 보관이 매우 불편하기 때문에 침대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기둥부재와 수평프레임 등 구성부품 들이 서로 조립식으로 분리·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침대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기둥부재와 수평프레임을 서로 조립하는 경우 통상적으로는 용접 또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서로 체결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기둥부재와 수평프레임이 서로 직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하기 위해서는 기둥부재와 수평프레임의 체결부위에 플랜지부를 설치하여야 하는 등 작업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기둥부재와 수평프레임이 단순히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체결되는 경우 사용중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볼트와 너트의 상호 조임상태가 느슨해지면서 프레임이 뒤틀리거나 심한 경우 균형을 잃고 무너지면서 안전사 고의 위험이 매우 높다는 문제가 있으며, 볼트 등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기둥부재를 각봉형태에서 원기둥 형태로 변형 제작하게 됨으로서 볼트 머리부와의 기둥 곡면부와의 체결력이 상대적으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복층 침대의 기본틀을 이루는 기둥부재와 수평프레임간의 체결부위에서 결합력이 극대화 되어질 수 있는 체결구조를 제공함으로서 보다 안정적인 체결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원기둥 형태를 이루는 가운데 일정 높이에 체결볼트가 관통 체결되어지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일단이 기둥부재와 동일한 곡률을 이루는 곡면부를 형성하고 있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이 체결되어지는 기둥부재의 반대측 배면에서 상기 체결볼트를 지지하기 위해 체결공이 형성된 가운데 기둥부재와 동일한 곡률을 이루어 밀착 체결되어지는 곡면브라켓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의 프레임 체결구조를 통해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침대의 골조를 이루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인 기둥부재 상호간의 체결부위에서 곡면형태의 밀착 체결이 이루어짐으로서 한층 안정적인 체결상태가 유지되어지고, 이에 따른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특히, 체결볼트가 지지되어지는 부위에 별도의 곡면브라켓을 구비함으로서 볼트 지지력이 한곳에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어짐으로서 체결부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프레임 체결구성을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살펴보면, 침대의 네모서리를 이루는 기둥부재(10)에는 일정 높이에 체결볼트(40)가 관통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관통공(11)이 형성되어져 있고, 양측 기둥부재(10)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프레임(20)의 양단에는 기둥부재(10)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을 이루는 곡면부(20a)를 형성하여 기둥부재(10)와 안정적인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함께, 수평프레임(20) 양단에는 체결볼트(40)의 선단부가 나사결합되어지도록 결합공(21)을 형성하고 있는 체결플레이트(22)가 각각 용접 결합되어져 있다.
한편, 체결볼트(40)의 체결이 이루어지는 기둥부재(10)의 일측에는 본 고안의 곡면브라켓(30)이 결합되어지게 되는데, 곡면브라켓(30)은 기둥부재(10)와 밀착되어질 수 있도록 일정 곡률을 이루는 곡면부(30a)를 형성하고 있으며, 체결볼트(40)의 삽입 체결이 이루어지는 체결공(31)이 형성되어져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3은 침대의 프레임 구조물중 양측 수평프레임(20)을 연결하는 연결대(50)가 결합 지지되어지는 지지구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고안 수평프레임(20)과 기둥부재(10) 사이의 조립 체결작업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기둥부재(10)의 관통공(11)이 형성된 부위의 일측으로 곡면브라켓(30)을 위치시켜 관통공(11)과 체결공(31)이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볼트(40)를 관통시켜 삽입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삽입되어진 체결볼트(40)의 일단부가 기둥부재(10)의 타측으로 노출되어지면, 수평프레임(20)을 수평형태로 하여 프레임 일측에 형성된 결합공(21)에 대응시킨 후 체결볼트(40)를 돌려줌으로서 체결볼트(40)가 결합공(21) 부위에 나사결합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체결볼트(40)를 계속적으로 돌려주게 되면 체결볼트(40)와 체결플레이트(22)의 결합공(21) 상호간의 나사 결합력이 점차 증가하게 되면서 기둥부재(10)와 수평프레임(20)간의 강한 결합력이 작용하게 되며, 이때 수평프레임(20)의 곡면부(20a)가 기둥부재(10)의 외주면과 밀착되어지게 됨으로서 한층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체결볼트(40)가 지지되어지는 곡면브라켓(30) 역시 자체 곡면부(30a) 구조로 인하여 기둥부재(10)와 밀착되면서 체결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체결볼트(40)의 지지력이 고르게 분산되어 기둥부재(10)에 작용되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곡면형태의 체결구조를 이루게 됨으로서 기둥부재(10)에는 수평프레임(20)과의 마찰로 인한 손상이 방지되어짐은 물론, 체결볼트(40)의 강한 체결력으로 인해 관통공(11)에 힘이 집중되는 것이 방지되어 전체적인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을 통해 4개의 기둥부재(10)가 수평프레임(20)에 의해 체결 지지되는 형태를 이루게 되면, 도 5에서와 같이 각 수평프레임(20) 내측에 구성되어져 있는 지지구(23)에 연결대(50)를 안착시켜 볼트(미도시)로 결합시킴으로서 목적하는 침대구조물 골조의 조립이 완성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곡면브라켓(30)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체결볼트(40)가 관통 삽입되어지는 체결공(31) 주변에 볼트 머리부(41)가 안착 가능하도록 안착홈(32)을 평면형태로 형성시킨 것이다.
즉, 곡면브라켓(30)이 곡면형태를 이루는데 반하여 체결볼트(40)의 머리부(41)는 평판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체결볼트(40)의 체결시 머리부(41)는 곡면브라켓(30)과 선접촉이 이루어짐으로서 특정부위에만 힘이 가해지면서 크랙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안착홈(32)을 형성하여 볼트 머리부(41)와 면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러한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볼트 머리부(41)의 외부 돌출높이가 감소되어질 수 있게 되어, 충돌에 따른 부상발생을 방지하는 이점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곡면브라켓(30)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서, 기둥부재(10)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내측면에 우레탄코팅층(33)을 박막으로 형성시킴으로서 체결볼트(40)에 의한 곡면브라켓(30)과의 체결력이 강하게 작용하더라도 기둥부재(10)의 외표면에 대한 손상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프레임 구조물의 조립 및 분해가 수차례 이루어지더라도 기둥부재(10)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 제품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프레임 체결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침대용 프레임의 분리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침대용 프레임의 분리 상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 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침대프레임의 전체적인 결합 구조도.
도 6은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곡면브라켓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6a는 구성 사시도.
6b는 단면 구조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곡면브라켓의 단면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둥부재 11 : 관통공
20 : 수평프레임 20a,30a: 곡면부
21 : 결합공 22 : 체결플레이트
23 : 지지구 30 : 곡면브라켓
31 : 체결공 32 : 안착홈
33 : 우레탄코팅층 40 : 체결볼트
41 : 머리부

Claims (5)

  1. 원기둥 형태를 이루는 가운데 일정 높이에 체결볼트(40)가 관통 체결되어지도록 관통공(11)이 형성된 기둥부재(10);
    상기 기둥부재(10)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일단이 기둥부재(10)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을 이루는 곡면부(20a)를 형성하고 있는 수평프레임(20);
    상기 수평프레임(20)이 체결되어지는 기둥부재(10)의 반대측 배면에서 상기 체결볼트(40)를 지지하기 위해 체결공(31)이 형성된 가운데 기둥부재(10)와 동일한 곡률을 이루는 곡면부(30a)를 이루어 밀착 체결되어지는 곡면브라켓(30);
    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구조물의 프레임 체결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20)에는 체결볼트(40)의 단부와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결합공(21)이 형성된 체결플레이트(22)가 용접 고정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구조물의 프레임 체결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곡면브라켓(30)에는 체결공(31) 주변에 체결볼트(40)의 머리부(41)가 안착되어질 수 있도록 안착홈(32)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안착홈(32)은 체결볼트(40)의 머리부(41)와 접촉면적 극대화를 위한 평면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구조물의 프레임 체결구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곡면브라켓(30)에는 기둥부재(10)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배면에 우레탄코팅층(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구조물의 프레임 체결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20)에는 타측 수평프레임과의 상호간을 연결하는 연결대(50)의 일단이 안착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지지구(23)가 일정 간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구조물의 프레임 체결구조.
KR2020080002977U 2008-03-06 2008-03-06 침대구조물의 프레임 체결구조 KR2004488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977U KR200448856Y1 (ko) 2008-03-06 2008-03-06 침대구조물의 프레임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977U KR200448856Y1 (ko) 2008-03-06 2008-03-06 침대구조물의 프레임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085U true KR20090009085U (ko) 2009-09-10
KR200448856Y1 KR200448856Y1 (ko) 2010-05-27

Family

ID=41297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977U KR200448856Y1 (ko) 2008-03-06 2008-03-06 침대구조물의 프레임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85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966Y1 (ko) * 2009-08-25 2009-12-11 이주인 침대 프레임
KR100975022B1 (ko) * 2010-02-09 2010-08-11 이현용 침대의 다리 결합구조
KR20150000201U (ko) * 2013-07-05 2015-01-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용 헬리콥터 데크의 안전망 장치
KR102554155B1 (ko) * 2022-12-14 2023-07-10 이춘기 다리 고정력이 향상되고 텐트 설치가 가능한 야전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212B1 (ko) 2010-12-20 2011-04-22 주식회사 이노프 철재 프레임 침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194Y1 (ko) 2001-07-18 2001-11-17 전삼용 침대 다리 조립구조
KR200326498Y1 (ko) 2003-06-25 2003-09-13 조원영 조립식 침대
KR200424942Y1 (ko) 2006-05-24 2006-08-29 박재현 침대의 프레임체결구조
KR20070000825U (ko) * 2007-06-25 2007-07-18 김천수 침대 프레임 체결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966Y1 (ko) * 2009-08-25 2009-12-11 이주인 침대 프레임
KR100975022B1 (ko) * 2010-02-09 2010-08-11 이현용 침대의 다리 결합구조
KR20150000201U (ko) * 2013-07-05 2015-01-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용 헬리콥터 데크의 안전망 장치
KR102554155B1 (ko) * 2022-12-14 2023-07-10 이춘기 다리 고정력이 향상되고 텐트 설치가 가능한 야전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856Y1 (ko) 201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856Y1 (ko) 침대구조물의 프레임 체결구조
JP2012215067A (ja) 太陽光パネル架台
KR101597932B1 (ko) 확장성을 구비한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
KR10164242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알루미늄 프로파일
KR100835188B1 (ko) 크레인용 레일 고정장치
KR101512271B1 (ko) 확장성을 구비한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
JP4244199B2 (ja) ラックのフレーム構造
JP5441804B2 (ja) 太陽電池装置
KR200473695Y1 (ko) 일체형 하부체결구조를 가지는 테이블
KR101973477B1 (ko) 테이블용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 체결구조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JP3628968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装柱装置
KR200379703Y1 (ko) 조립식 결합부재를 갖춘 의자프레임
JP5435591B2 (ja) カウンタバランスフォークリフトのヘッドガード取り付け構造及びカウンタバランスフォークリフト
KR200470612Y1 (ko) 조립식 테이블
JPH0632422A (ja) 締結部を有する枠組棚
JP2004261381A (ja) 家具ユニットのカバー
KR200290834Y1 (ko) 간판용 고정구
JP4170695B2 (ja) 商品陳列什器におけるフレーム連結構造
JP6264574B2 (ja) ラックの連結部材取付け構造
JPH0628048Y2 (ja) 椅 子
KR20100003746U (ko) 가구용 모서리 조립구
JP2601099B2 (ja) 着地装置付き枠組み構造体
JP2827157B2 (ja) 鋼板製保管棚における背板取付装置
JP4411609B2 (ja) 運搬用台車のステー軸支構造
JP6695113B2 (ja) 什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