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477B1 - 테이블용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 체결구조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 Google Patents

테이블용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 체결구조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477B1
KR101973477B1 KR1020170146741A KR20170146741A KR101973477B1 KR 101973477 B1 KR101973477 B1 KR 101973477B1 KR 1020170146741 A KR1020170146741 A KR 1020170146741A KR 20170146741 A KR20170146741 A KR 20170146741A KR 101973477 B1 KR101973477 B1 KR 101973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frame
frame
support frame
horizontal
fram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승연
황주연
Original Assignee
황승연
황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승연, 황주연 filed Critical 황승연
Priority to KR1020170146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블의 상판을 지지하는 하부 구조인 지지프레임과, 이러한 지지프레임을 볼트 체결하는 구조에 대한 것으로써 실시예로, 상판이 위에 얹혀 체결됨으로써 테이블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바닥면에 대어지는 수평프레임부 및 상기 수평프레임부에 체결되는 가로프레임과, 상기 가로프레임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테이블의 다리를 형성하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한 쌍의 다리프레임부를 포함하는 테이블용 지지프레임과 앞서 설명한 수평프레임부와 다리프레임부를 볼트로 체결하는 지지프레임 체결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제시한다.

Description

테이블용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 체결구조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Support frame and frame fastening structure for table and a table having it}
본 발명은 테이블의 상판을 지지하는 하부 구조인 지지프레임과, 이러한 지지프레임을 볼트 체결하는 구조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에 대한 것이다.
기본적인 테이블은 넓고 평판한 상판과, 상판에서 하부로 길게 뻗은 다리들로 구성된다. 테이블을 구성하는 다양한 형태가 있지만 가장 흔한 것은 프레임으로 4개의 다리를 짜고, 그 위에 상판을 얹은 형태이다.
상판에 다리를 곧바로 연결하면 구조적 강성이 상당히 낮아지므로, 일반적으로는 다리를 연결하는 보조 프레임을 더 사용하게 된다. 이때 보조 프레임은 상판이 얹어지는 상부에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7464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다리의 중간에도 보조 프레임을 더 설치하기도 한다.
상판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보조 프레임은 다리들의 상단을 연결시키는 것으로써, 일반적으로 다리를 온전히 고정시키는 데에는 불충분하다. 다리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상부끼리만 연결됨에 따라 다리는 외팔보와 같이 측면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상당히 취약해지기 때문이다. 다리의 중간을 연결하는 보조 프레임을 더 사용하여 이를 극복할 수 있지만, 외관상 보기 싫어지며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다리에 걸리적거리는 단점이 있다.
다리 중간을 연결하는 보조 프레임 없이도 다리를 상판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다리 프레임을 두껍게 형성하는 등의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다리 프레임이 두꺼워지면 테이블의 외관미가 나빠지며, 무거워져 다루기 번거롭고, 재작 비용이 크게 상승하는 등 여러 단점이 있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7464호 (2006.09.20)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8345호 (2008.01.30)
본 발명은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한 테이블용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볼트 체결을 오랜 기간 동안 견고히 유지할 수 있는 체결 구조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상판이 위에 얹혀 체결됨으로써 테이블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바닥면에 대어지는 수평프레임부 및 상기 수평프레임부에 체결되는 가로프레임과, 상기 가로프레임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테이블의 다리를 형성하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한 쌍의 다리프레임부를 포함하는 테이블용 지지프레임을 제시한다.
나아가 상기 수직프레임의 측면부가 상기 수평프레임부에 접할 때에, 상기 가로프레임은 상기 수평프레임부와 이격되어 여분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여분 공간을 관통하는 볼트부재에 의해 상기 수평프레임부와 상기 다리프레임부가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사각 형강으로 짜인 수평프레임부와, 가로프레임의 양단부에 구비된 수직프레임들이 상기 수평프레임부에 접촉하여 상기 가로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부 사이에 비어 있는 공간인 여분 공간이 형성된 다리프레임을 체결함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부를 관통한 후 상기 여분 공간을 지나 상기 가로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는 장착볼트, 상기 가로프레임 내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볼트와 체결되는 장착너트 및 상기 장착볼트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여분 공간에 위치하여 일단은 상기 수평프레임부를 지지하고, 타단은 상기 가로프레임에 대어지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체결구조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 안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로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부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있게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장착볼트의 둘레를 감싸면서 압축되어 삽입되는 코일스프링이고,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가로프레임에 고정된 장착너트의 주변부를 가압하여 상기 주변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로 상판과 상술한 지지프레임 또는 지지프레임 체결구조를 가지는 테이블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테이블의 하부 구조를 이루는 지지프레임을 매우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볼트 체결로 이루어지는 지지프레임의 조립의 강성을 크게 하여 흔들림 없는 테이블을 구현할 수 있다. 제시하는 체결 구조는 볼트 체결에 있어서 프레임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프레임 간의 결속력을 크게 증강시킨다. 또한 사용 기간 중 다양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볼트 조임이 풀어지지 아니하여 오랜 기간 견고한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용 지지프레임의 조립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분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조립을 일부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 체결구조에 따른 구성들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조에 따른 일부분을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용 지지프레임 및 지지프레임 체결구조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용 지지프레임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테이블용 지지프레임(100)은 수평프레임부(110)와 한 쌍의 다리프레임부(120)를 포함한다.
수평프레임부(110)는 그 위에 상판(P)이 얹혀 체결되는 것으로, 사각 형강을 이용하여 사각('ㅁ' 자 형상)으로 짠 것이다. 수평프레임부(110)의 전후 프레임들과 좌우 프레임들은 인접하는 각 프레임의 모서리가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제작된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수평프레임부(110)에는 상하로 관통된 홀이 복수로 형성되어 있고, 이 홀을 통해 상판(P)과 나사못으로 체결될 수 있다.
다리프레임부(120)는 테이블의 다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22)과, 양 수직프레임(122)을 연결하는 가로프레임(121)을 포함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수직프레임(122)의 이격 간격은 수평프레임부(110)의 일면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길이와 대응된다. 가로프레임(121)은 수직프레임(122)의 상단부 높이에 위치하며, 이 가로프레임(121)의 양단부와 수직프레임(122)이 용접 등으로 연결된다. 그에 따라 양 수직프레임(122)과 가로프레임(121)은 'ㄷ' 자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고, 이들은 일체를 이루게 된다.
수평프레임부(110)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 다리프레임부(120)가 결합됨으로써, 4개의 다리가 세워진 테이블용 지지프레임(100)이 조립된다. 이때 다리프레임부(120)의 가로프레임(121)이 수평프레임부(110)와 적어도 2개소 이상에서 볼트 등으로 체결된다.
이와 같이 제작된 테이블용 지지프레임(100)에서 테이블의 다리를 형성하는 수직프레임(122)의 고정 구조를 살펴보면, 도 3에서 수직프레임(122)의 상단부는 y축 방향으로 가로프레임(121)에 용접 등으로 견고히 고정되어 있다. 또 x축 방향으로는 수평프레임부(110)에 면접하게 되는데, 가로프레임(121)이 볼트 등으로 수평프레임부(110)에 견고히 고정됨에 따라 수직프레임(122)의 일면이 수평프레임부(110)에 면접한 상태에서 밀착되어 x축 방향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나아가 수평프레임부(110)의 상면과 수직프레임(122)의 상단이 같은 높이로 형성됨에 따라 상판의 하중이 수직프레임(122)에 고스란히 실리게 된다. 이로써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별다른 보조 프레임 없이도 테이블의 4개의 다리가 견고히 세워지게 된다.
나아가 다리프레임부(120)에서 수직프레임(122)을 구성하는 사각 형강의 단면보다 가로프레임(121)을 구성하는 사각 형강의 단면이 작다. 그에 따라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프레임(121)의 측면보다 수직프레임(122)의 측면이 더 돌출된다. 도 2에서는 가로프레임(121)의 일면보다 수직프레임(122)이 더 돌출된 길이를 도면 번호 D로 표시하고 있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22)의 일면보다 들어간 가로프레임(121)의 측면이 수평프레임부(110)를 바라보도록 위치시킨 후 수직프레임(122)과 가까운 위치에서 가로프레임(121)과 수평프레임부(110)를 볼트 등으로 체결시킨다.
좌우의 수직프레임(122)의 측면부가 수평프레임부(110)에 접할 때에 가로프레임(121)은 수평프레임부(110)와 이격되어 여분 공간(S)을 형성하게 되며, 볼트(10) 등은 여분 공간(S)을 통과하여 수평프레임부(110)와 가로프레임(121)이 체결된다.
도 3의 (b)를 참고하면, 좌우의 볼트(10)를 조임에 따라, 가로프레임에서 볼트(10)가 체결된 부위가 수평프레임부(110)를 향하여 당겨진다. 볼트에 의하여 가로프레임(121)이 당겨짐에 따라 서로 접하고 있는 수직프레임(122)과 수평프레임부(110)가 매우 견고하게 접촉하게 된다.
도 3의 (c)는 가로프레임(121)의 변형을 매우 과장하여 나타낸 것이다. 볼트(10)에 의해 가로프레임(121)이 수평프레임부(110)를 향하여 당겨지면서, 가로프레임(121)은 도시한 바와 같은 경향으로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가로프레임(121)의 탄성 변형은 테이블의 사용 도중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지지프레임의 비틀림이 일어나더라도 다리프레임부(120)와 수평프레임부(110)의 견고한 조립이 풀리지 아니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테이블의 오랜 사용 기간 동안 지지프레임(100)의 견고함이 풀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 체결구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 체결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의 수평프레임부(110)와 다리프레임부(120)를 볼트 조립하는 구조에 대한 것이다.
지지프레임(100)의 체결을 위하여 장착볼트(10), 장착너트(20) 및 스페이서(30)를 포함한다. 나아가 추가적인 구성으로 탄성부재(40), 플림방지 와셔(50) 또는 평 와셔(6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볼트(10)는 수평프레임부(110)를 관통한 후 여분 공간(S)을 지나 가로프레임(121)의 내부에 이른다. 장착볼트(10)의 헤드 부분에는 플림방지 와셔(50)와 평 와셔(60)가 기재된다. 특히 평 와셔(60)는 수평프레임부(110)의 상, 하면의 단부에 이르도록 충분히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장착볼트(10)를 조이는 과정 중에 볼트 헤드에 의한 지지력이 수평프레임부(110)에 넓게 분산되도록 하여 수평프레임부(110)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장점을 발휘한다.
장착볼트(10)의 몸체 끝단은 가로프레임(121) 내부에 고정된 장착볼트(10)에 나사 체결된다. 이를 위해 장착볼트(10)는 가로프레임(121)에 형성한 홀에 중심이 맞추어 가로프레임의 내부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된다.
스페이서(30)는 장착볼트(10)가 통과하는 관통홀(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분 공간(S)에 위치한다. 스페이서(30)의 일단은 수평프레임부(110)와 닿고, 타단은 가로프레임에 대어진다.
이러한 스페이서(30)는 가로프레임(121)에 사용된 사각 형강의 프레임을 잘라내어 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페이서(30)는 가로프레임(121)의 상단부와 하단부까지 넓은 면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장착너트(20)가 구비된 주변부가 꺾이지 아니하도록 한다. 나아가 가로프레임(121)과 동일한 단면을 가진 프레임으로 수평프레임부(110)를 제작한 경우에는, 스페이서(30), 가로프레임(121) 및 수평프레임부(110)가 대등한 높이로 맞춰지면서 조립되면서, 스페이서(30)의 상면과 하면이 이웃하는 프레임들의 상면 및 하면과 접하여 지지하므로 볼트 조임에 따른 프레임 휨의 우려가 더욱 저감된다.
스페이서(30)의 길이는 여분 공간(S)의 폭 길이(도 2의 D)와 사실상 동일하거나 조금 작은 것이다. 그에 따라 장착볼트(10)가 조여질 때에 도 3의 (c)를 참고하여 설명한 가로프레임(121)의 탄성 변형이 온전히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스페이서(30)는 수평프레임부(110)와 가로프레임(121) 사이에 개재되어 장착볼트(10)의 조임에 따라 양 프레임을 지지하는 것이다. 스페이서(30)가 가로프레임(121)을 지지하여 줌에 따라 수평프레임부(110)와 가로프레임(121)의 조립이 더욱 견고하게 유지된다.
또한 스페이서(30)는 장착볼트(10)가 지나치게 조여지지 아니하도록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나아가 스페이서(30)의 관통홀(31) 안에는 탄성부재(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탄성부재(40)는 가로프레임(121)과 수평프레임부(110)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있게 지지하게 된다.
탄성부재(40)는 장착볼트(10)와 장착너트(20) 사이에 장력을 걸어주어 나사 체결의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부재의 장력과 풀림방지 와셔는 테이블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볼트 체결을 온전히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40)는 상기 장착볼트(10)의 둘레를 감싸면서 압축되어 삽입되는 코일스프링(40)이다. 이 코일스프링(40)은 가로프레임(121)에 고정된 장착너트(20)의 주변부를 가압하도록 장착된다.
장착너트(20)와 그 주변부는 장착볼트(10)의 조임에 따라 큰 힘을 받는데, 장착볼트(10)를 강하게 조이면 당김력으로 인해 그 주변부가 소성 변형될 우려가 크다. 그로인하여 가로프레임(121)에 뒤틀림이 발생하면서 다리프레임부(120) 전체가 휘어 양 수직프레임이 수평프레임부와 온전히 면으로 접촉하지 아니할 우려가 있다.
코일스프링(40)은 원래 여분 공간(S)의 폭 길이(도 2의 D)보다 긴 것을 압축하여 여분 공간 내에 장착하는 것으로써, 복원력에 의해 장착너트(20)가 고정된 가로프레임(121)의 홀 주변부를 탄성 지지한다. 그에 따라 장착볼트(10)의 조임에 따른 장착너트 주변부의 변형을 최대한 억제하여 가로프레임(121)의 변형을 줄이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 체결구조를 채택한 테이블용 지지프레임은 테이블 다리를 연결하는 추가적인 보조 프레임 없이도 테이블 다리의 건전성을 크게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테이블 하단에 추가적인 보조 프레임이 없으므로 사용에 편의성이 향상되고, 테이블의 외관미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테이블의 오랜 사용 기간 중 다양한 외력에 노출되더라도 볼트 조임이 쉽게 풀리지 아니하므로, 제작 초기와 같은 지지테이블의 조립강성을 오랜 기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지지프레임
110 : 수평프레임부 120 : 다리프레임부
121 : 가로프레임 122 : 수직프레임
S : 여분 공간
10 : 장착볼트, 볼트 20 : 장착너트
30 : 스페이서 31 : 관통홀
40 : 탄성부재, 코일스프링
50 : 풀림방지 와셔 60 : 평 와셔
P : 상판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사각 형강으로 짜인 수평프레임부와,
    가로프레임의 양단부에 구비된 수직프레임들이 상기 수평프레임부에 접촉하여 상기 가로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부 사이에 비어 있는 공간인 여분 공간이 형성된 다리프레임을 체결함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부를 관통한 후 상기 여분 공간을 지나 상기 가로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는 장착볼트,
    상기 가로프레임 내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볼트와 체결되는 장착너트 및
    상기 장착볼트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여분 공간에 위치하여 일단은 상기 수평프레임부를 지지하고, 타단은 상기 가로프레임에 대어지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체결구조.
  4. 제3항에서,
    상기 관통홀 안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로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부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있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프레임 체결구조.
  5. 제4항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장착볼트의 둘레를 감싸면서 압축되어 삽입되는 코일스프링이고,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가로프레임에 고정된 장착너트의 주변부를 가압하여 상기 주변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프레임 체결구조.
  6. 상판,
    사각 형강으로 짜인 수평프레임부 및
    가로프레임의 양단부에 구비된 수직프레임들이 상기 수평프레임부에 접촉하여 상기 가로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부 사이에 비어 있는 공간인 여분 공간이 형성되는 다리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이 상기 수평프레임부의 위에 얹혀짐로써 테이블을 형성하고,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지지프레임 체결구조를 포함하는
    테이블.
KR1020170146741A 2017-11-06 2017-11-06 테이블용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 체결구조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KR101973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741A KR101973477B1 (ko) 2017-11-06 2017-11-06 테이블용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 체결구조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741A KR101973477B1 (ko) 2017-11-06 2017-11-06 테이블용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 체결구조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3477B1 true KR101973477B1 (ko) 2019-04-29

Family

ID=66282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741A KR101973477B1 (ko) 2017-11-06 2017-11-06 테이블용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 체결구조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4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464Y1 (ko) 2006-07-14 2006-09-27 김두환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구조
KR100751515B1 (ko) * 2006-07-27 2007-08-22 김호남 다용도 사무기기용 테이블
KR200438345Y1 (ko) 2007-02-20 2008-02-11 서원호 다용도 테이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464Y1 (ko) 2006-07-14 2006-09-27 김두환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구조
KR100751515B1 (ko) * 2006-07-27 2007-08-22 김호남 다용도 사무기기용 테이블
KR200438345Y1 (ko) 2007-02-20 2008-02-11 서원호 다용도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7191B2 (en) Rivet spacer for compromising assembling between two parts secured to each other via screw structure
KR101322621B1 (ko) 침대 프레임 구조
KR101973477B1 (ko) 테이블용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 체결구조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JP2001049855A (ja) 床パネル支持脚装置
KR101373145B1 (ko) 가구용 금속프레임의 연결구 조립구조
KR20090009085U (ko) 침대구조물의 프레임 체결구조
KR200472074Y1 (ko) 조립식 구조물
KR101997755B1 (ko) 하부 구조체에 대한 보강 체결구조를 갖는 책상
KR102059723B1 (ko) 철제 가구용 프레임 및 프레임 조립체
KR101400684B1 (ko) 가구용 금속프레임 조립구조
KR101816016B1 (ko) 프레임 조립체
KR102249471B1 (ko) 프레임 코너 고정장치
KR200473695Y1 (ko) 일체형 하부체결구조를 가지는 테이블
JP7045232B2 (ja) テーブル
JP4293824B2 (ja) 防振架台
JP7341455B2 (ja) 柱脚金物、土台と柱の連結構造及び耐力壁
KR102586290B1 (ko) 테이블
JP4490489B2 (ja) エアコン置台
KR200409984Y1 (ko) 침대용 받침프레임
JP3113422U (ja) 足場用の巾木固定具
CN212912199U (zh) 桌腿和横梁的连接结构、桌腿架及桌子
JP7110523B2 (ja) 天板付き家具
US3559938A (en) Leg for supporting a furniture framework
CN217558718U (zh) 一种五金家具用连接支撑结构
CN210606453U (zh) 连接锁与框体组合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