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464Y1 -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464Y1
KR200427464Y1 KR2020060019101U KR20060019101U KR200427464Y1 KR 200427464 Y1 KR200427464 Y1 KR 200427464Y1 KR 2020060019101 U KR2020060019101 U KR 2020060019101U KR 20060019101 U KR20060019101 U KR 20060019101U KR 200427464 Y1 KR200427464 Y1 KR 2004274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ssembled
plate
frame structure
prefabricated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1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환
Original Assignee
김두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환 filed Critical 김두환
Priority to KR20200600191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4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4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4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6Underframes of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47B2200/0098Detached foot rests for under desk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블의 프레임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블의 상판을 지지하기 위해 그 하부에 결합구성되는 프레임의 조립을 간편히 이룰 수 있도록 한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판체형의 상판 및 상기 상판의 하단에 결합되어 그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으로 된 통상의 조립식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상판의 양 하단에 조립되어 그를 받쳐 지지하는 복수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측면프레임 일측단에 일체로 연결조립되는 후면프레임과; 그리고, 상기 복수의 측면프레임 하측단에 일체로 연결조립되는 하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테이블, 상판, 프레임, 측판, 뒷판, 찬넬

Description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구조{Structure frame of a prefabricated table}
도 1은 종래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 조립관계를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 결합관계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에 있어서, 프레임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에 있어서, 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에 있어서, 측면프레임과 전면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에 있어서, 측면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400 : 테이블, 1 : 프레임, 2, 410 : 상판
3, 444 : 고정볼트, 10 : 장식봉, 11 : 측면프레임
12 : 후면프레임, 13 : 하부프레임, 111 : 세로대
111a : 받침부재, 112 상판받침편, 113 : 가로대
121 : 고정대, 122 : 제1찬넬, 122a, 132a : 밀착단부
122b, 132b : 조임단부, 131 : 받침대, 132 : 제2찬넬
420 : 측판부재, 421 : 삽입홈, 430 : 뒷판
441 : 암연결구, 441a : 끼움공, 442 : 숫연결구
442a : 끼움돌기, 442b : 체결공, 443 : 고정구
본 고안은 테이블의 프레임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블의 상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그 하부에 결합구성되는 프레임의 조립을 간편히 이룰 수 있도록 한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블(또는 책상)은 각종서류 등을 올려놓고 작업하기에 용이한 넓이를 갖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그를 받쳐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측판(다리) 및 상기 측판이 좌우로 유동됨을 방지하기 위한 전면판과 받침판의 조립으로 되는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한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293673호에서는, 상판과 프레임의 조립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테이블이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 조립관계를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 결합관계를 나 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구조는, 일정 크기의 상판(410)과, 일정 형상과 길이를 갖는 프레임체로서, 양측으로 길이방향의 삽입홈(421)이 형성된 복수의 측판부재(420) 및 양측단이 상기 측판부재(420)와 연결 고정되는 뒷판(430)으로 구성되며,
상면에 소정의 끼움공(441a)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421) 일측에 밀착되게 끼워져 고정되는 암연결구(441)와; 하부에 일정 길이의 끼움돌기(442a)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체결공(442b)이 형성되어 상기 뒷판(430)의 양단부 일측에 설치되는 숫연결구(442)로 이루어진 조립수단(44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암연결구(441)는 측판부재(420)의 삽입홈(421) 일측에 밀착되게 끼워져 삽입됨으로써 고정이 완료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홈(421)의 상,하부에 복수개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하부에 설치되는 암연결구(441)는 고정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별도의 고정구(443)를 사용하여 그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숫연결구(442)는 상기 뒷판(430)의 양측단 일측에 다수로 배치된 후 상기 체결공(442b)에 고정볼트(444)가 체결 고정된다.
상기 테이블(400)의 조립과정은, 먼저 책상을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로 상기와 같은 상판(410)과 측판부재(420) 및 뒷판(430) 등으로 된 상기 조립식 테이블(400)을 운반시켜 조립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측판부재(420)의 삽입홈(421)의 적당한 위치에 상기 조립수단(440)의 암연결구(441)를 밀착되게 끼워 삽입시킴으로써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뒷판(430)의 양측단에 상기 암연결구(441)와의 결합위치를 고려하여 적당한 위치에 숫연결구(442)를 배치한 후 체결공(442b)에 고정볼트(444)를 체결시켜 고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측판부재(420)와 뒷판(430)에 각각 숫연결구(442)와 암연결구(441)의 결합이 이루어진 후, 상기 뒷판(430)의 양단부를 측판부재(420)의 삽입홈(421)에 삽입시킨 후 하방으로 내려주면 상기 숫연결구(442)의 끼움돌기(442a)가 암연결구(441)의 끼움공(441a)에 끼워져 결합됨으로 측판부재(420)와 뒷판(430)이 일체로 결합되며, 이후 상기 측판부재(420)의 상부에 상판(410)을 올려 결합시키면 테이블(400)의 조립이 완료되는 구조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 구조로 된 종래의 테이블용 프레임구조는, 조립수단(440)을 통하여 상기 뒷판(430)과 측판부재(42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은 있으나, 상기 조립수단(440)을 구성하기 위해 암연결구(441)와 숫연결구(442) 및 고정구(443) 그리고 고정볼트(444) 등과 같이 다수의 구성부재들이 구비되어야만 조립의 편의성을 달성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립수단(440)을 통한 뒷판(430)과 측판부재(420)의 조립을 위하여 측판부재(420)의 내면에 삽입홈(421)을 추가로 더 형성시켜야 하는 제조공정 발생에 따라 테이블(400)의 제작단가 상승 및 제조기간 연장과 같은 폐단이 있어왔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조립형태를 이루기 위하여 합판과 같은 목재를 사용할 수밖에 없어, 테이블의 전체 중량의 과다와 함께 사용자가 넘어져 충돌하게 되면 목재로된 측판부재(420) 또는 뒷판(430)과 같은 프레임구조가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야기시켜 왔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판을 지지하기 위해 하부에 결합되는 프레임의 조립을 위해 "ㄷ"자형 찬넬을 구비시켜 그 조립단계 및 과정을 간략하면서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프레임구조를 단순화함에 따라 충격/하중에 강하면서도 경량화 특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또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로의 제조가 가능하여 제품의 사용수명 연장 및 제조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구조는, 판체형의 상판 및 상기 상판의 하단에 결합되어 그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으로 된 통상의 조립식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상판의 양 하단에 조립되어 그를 받쳐 지지하는 복수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측면프레임 일측단에 일체로 연결조립되는 후면프레임과; 그리고, 상기 복수의 측면프레임 하측단에 일체로 연결조립되는 하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에 있어서, 프레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에 있어서, 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에 있어서, 측면프레임과 전면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에 있어서, 측면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A)의 프레임(1)은, 상단에 각종 서류 등을 올려놓고 작업하기에 용이한 폭과 넓이를 갖는 통상의 상판(2) 양 하단에 조립되어 그를 받쳐 지지하는 복수의 측면프레임(11)과, 상기 복수의 측면프레임(11) 일측단 및 하측단에 일체로 조립되는 후면프레임(12)과 하부프레임(13)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측면프레임(11)과 후면프레임(12) 및 하부프레임(13)은, 스테인레스 또는 알루미늄 등과 같이 충격/하중에 강하면서도 경량화가 가능한 금속재로 된 일정길이의 사각봉을 직교시키거나 나열한 후 용접함으로 각각의 독립된 형상을 이루며, 다양하게 절곡된 원형의 장식봉(10)을 더 조합함으로 시각적인 세련미가 돋보이도록 한다.
측면프레임(11)은, 상판(2)의 양 측단 하부에 결합되어 그를 받쳐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걸상(의자)의 높낮이와 사용자의 앉은 키를 고려한 크기로 이루어지며, 그 크기를 결정하는 복수의 세로대(111)와, 세로대(111)의 상부 선단에 상기 상판(2)의 결합을 위한 소정두께의 편으로 된 상판받침편(112)과, 복수의 세로대(111)를 가로질러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가로대(113)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세로대(111) 밑단에는 실내바닥재의 보호와 더불어 테이블(A)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소정간격 높낮이 조절가능한 통상의 받침부재(111a)가 더 구비된다.
후면프레임(12)은, 상기 복수의 측면프레임(11) 일측 세로대(111)에 조립되어 상판(2)의 지지력 증대와 측면프레임(11) 각각의 이격거리 및 평행한 조립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격거리를 감안한 길이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사각봉형태의 고정대(121)와, 상기 고정대(121)의 양측 선단부에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측면프레임(11)의 세로대(111) 일단에 억지끼움되는 복수의 제1찬넬(122)로 구성된다.
하부프레임(13)은, 상기 후면프레임(12)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측면프레임(11)의 견고한 지지력 및 평행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킴과 함께 사용자의 작업환경의 편의성 제공을 위하여 상기 측면프레임(11)의 가로대(113)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대(121)와 동일한 형태로 된 다수의 받침대(131)와, 상기 제1찬넬(122)과 동일한 작용과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2찬넬(132)이 다수의 받침대(131) 양 선단에 용접을 통해 일체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프레임(131)의 양 선단에 일체로 결합된 복수의 제2찬넬(132)이 상기 측면프레임(11)의 가로대(113) 각각에 억지끼움됨으로, 상기 후면프레임(12)의 작용과 동일하게 테이블(A)의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상단에 사용자의 다리를 올려놓거나 각종 물품들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환경이 극대화되게 한다.
제1찬넬(122) 및 제2찬넬(132)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3mm이내의 두께를 갖는 금속판재를 "ㄷ"자형으로 절곡성형한 것으로, 상기 측면판넬(11)의 세로대(111) 또는 가로대(113)의 일단을 일부 수용하여 밀착되는 밀착단부(122a)(132a)와, 상기 밀착단부(122a)(132a) 양단으로부터 절곡된 그 선단이 내측으로 소정간격 내향되어 상기 세로대(111) 및 가로대(113)에 조립될 때에 억지끼움되도록 하는 조임단부(122b)(132b)가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찬넬(122)을 통하여 후면프레임(12)이 상기 측면프레임(11)의 세로대(111)에 조립되게 하고 제2찬넬(132)을 통하여 하부프레임(13)이 측면프레임(11)의 가로대(113)에 조립하는 과정 중, 상기 제1찬넬(122) 및 제2찬넬(132)이 억지끼움되면서도 각각의 조임단부(122a)(132a)를 통하여 측면프레임(11)으로부터 별도의 고정수단이 필요없이도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여 조립의 숙련성이 필요없이도 남녀노소 누구나 테이블(A)의 프레임(1)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찬넬(122)과 제2찬넬(132)을 이용하여 상기 측면프레임(11)으로부터 후면프레임(12) 및 하부프레임(13)의 그 조립위치를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 및 환경에 따라 테이블(A) 조립형태를 다변화할 수 있음이 가능하다.
미설명부호, (3)은 상기 측면프레임에 끼움되는 제1찬넬 및 제2찬넬의 조립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고정볼트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구조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프레임(12)의 양 끝단에 일체로 결합된 제1찬넬(122)이 상기 측면프레임(11)의 세로대(111) 일측을 감싸도록 조립한다.
이때, "ㄷ"자형으로 절곡형성된 제1찬넬(122)에 있어서, 그의 양 선단을 이루는 조임단부(122b)가 소정간격 더 내향 절곡됨에 따라, 세로대(111) 일측에 억지끼움 조립되고, 동시에 밀착단부(122a)가 견고히 밀착됨으로 후면프레임(12)에 상기 측면프레임(11)에 고정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후면프레임(12)을 측면프레임(11)으로부터 사용자가 상하로 그 위치를 조절하여 적정위치에 도달하게 한 후, 더욱 견고한 결착력을 갖도록 별도의 고정볼트(3)를 체결시켜 완전히 고정한다.
그 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프레임(13)의 양 선단측에 일체로 결합된 제2찬넬(132)을 상기한 제1찬넬(122)의 조립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면프레임(11)의 가로대(113)에 조립함으로써 사용자가 다리를 올려놓거나 다양한 물품 등을 수납함이 가능토록 하고, 더욱 견고한 결착력을 갖도록 상기한 고정볼트(3)를 체결시킨다.
마지막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모든 과정을 통해 프레임(1)의 조립을 완료한 후, 복수의 측면프레임(11) 상단에 각각 일체로 구비된 상판받침편(112) 상으로 통상의 상판(2)을 거치시킨 후 다시 고정볼트(3)를 체결하여 상판받침편(112)과 상판(2)을 일체로 결합시켜 하나의 테이블(A) 조립을 완료한다.
참고로, 상기한 측면프레임(11) 및 후면프레임(12) 등에는 상술한 바와 같 이, 그 내측공간부에 다양한 형상으로 절곡된 장식봉(10)을 더 구비하여 시각적으로 세련된 느낌을 나타내는 수려한 디자인의 테이블(A)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구조는, 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을 스테인레스 또는 알루미늄 등과 같이 충격하중에 강하고 경량화가 가능한 금속재로 구성함으로, 보다 견고한 지지력 및 견고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측판과 뒷판 등을 조립하기 위해 별도의 조립수단을 구비하여야 하는 종래의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구조와 달리, "ㄷ"자형으로 절곡된 찬넬을 통하여 그 조립과정의 단순 및 간편한 작업을 가능케 함으로, 불필요한 구성부재의 생략을 통한 제품 제작기간/비용 및 조립시간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술한 구조의 프레임에 있어서, 그 하단부에 조립되는 하부프레임에 의해 더욱 견고한 조립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그 상부로 사용자의 다리를 올려놓거나 각종 물품 등을 수납할 수 있어 개선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판체형의 상판 및 상기 상판의 하단에 결합되어 그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으로 된 통상의 조립식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상판의 양 하단에 조립되어 그를 받쳐 지지하는 복수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측면프레임 일측단에 일체로 연결조립되는 후면프레임과; 그리고,
    상기 복수의 측면프레임 하측단에 일체로 연결조립되는 하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은, 상판의 양 측단 하부에 결합되어 그를 받쳐 지지하도록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복수의 세로대와,
    상기 복수의 세로대 상측 선단에 고정설치되고 그 상단으로 상판을 조립 결합하기 위한 편으로 형성된 상판받침편과,
    복수의 세로대를 가로질러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가로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프레임은, 복수의 측면프레임 세로대의 일단에 조립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양측 선단부로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측면프레임의 세로대 일단에 억지끼움되는 복수의 제1찬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측면프레임의 가로대 일단에 조립되는 다수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양측 끝단부에 용접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측면프레임의 가로대 일단에 억지끼움되는 복수의 제2찬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측 공간부로 시각적인 세련미를 부여하기 위해 다양한 형상으로 절곡형성된 장식봉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구조.
  6. 제 3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찬넬 및 제2찬넬은, 금속판재를 "ㄷ"자형으로 절곡성형한 것으로, 상기 세로대 및 가로대의 일단면을 일부 수용하여 밀착 조립되는 밀착단부와,
    상기 밀착단부의 양측으로부터 절곡된 그 선단이 내측으로 소정간격 더 내향됨으로 억지끼움되는 조임단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구조.
KR2020060019101U 2006-07-14 2006-07-14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구조 KR2004274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101U KR200427464Y1 (ko) 2006-07-14 2006-07-14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101U KR200427464Y1 (ko) 2006-07-14 2006-07-14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464Y1 true KR200427464Y1 (ko) 2006-09-27

Family

ID=41776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101U KR200427464Y1 (ko) 2006-07-14 2006-07-14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46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477B1 (ko) 2017-11-06 2019-04-29 황승연 테이블용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 체결구조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KR102461622B1 (ko) 2022-01-03 2022-11-03 주식회사 린백 3방향 끼움 결합에 의한 간편 조립구조의 테이블 프레임
KR102532858B1 (ko) 2022-09-05 2023-05-17 주식회사 린백 3방향 끼움 결합에 의한 프레임 구조를 갖는 조립식 테이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477B1 (ko) 2017-11-06 2019-04-29 황승연 테이블용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 체결구조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KR102461622B1 (ko) 2022-01-03 2022-11-03 주식회사 린백 3방향 끼움 결합에 의한 간편 조립구조의 테이블 프레임
KR102532858B1 (ko) 2022-09-05 2023-05-17 주식회사 린백 3방향 끼움 결합에 의한 프레임 구조를 갖는 조립식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35388B2 (en) Portable assembly-type flat bench
US6439220B1 (en) Barbecue grill and cart assembly
EP1518481A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sectional rack
US7243887B2 (en) Suspension system
KR200427464Y1 (ko)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구조
US5694656A (en) Bed post with two horizontal rails connected thereto
KR200494160Y1 (ko) 조립식가구용 선반조립체
KR200473086Y1 (ko) 헹거가 장착된 조립식 플라스틱 수납박스.
KR200464943Y1 (ko) 실험실습대
KR200475787Y1 (ko) 조립식 가구용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가구
CN203591081U (zh) 一种床
KR20100043589A (ko) 넉다운 의자
KR101217812B1 (ko) 플라스틱성형에 의한 조립진열대
CN201243794Y (zh) 家具支承组件
KR102598229B1 (ko) 조립식 책장
CN214678353U (zh) 一种底座支撑结构及欧式边位沙发底座结构
KR200464816Y1 (ko) 다양한 형태로 설치가 가능한 선반 거치대
CN219803536U (zh) 一种可固定床垫的床基架
CN209750488U (zh) 一种可自由配置的组合床
KR200324319Y1 (ko) 조립식 가구의 지지프레임
CN212185875U (zh) 一种钢架床的连接组件
CN219515619U (zh) 一种桌腿及使用其的办公桌
CN210169506U (zh) 一种床护栏的拼接结构
KR200291211Y1 (ko) 책장
CN211608579U (zh) 一种家用多功能组合餐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