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211Y1 - 책장 - Google Patents

책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211Y1
KR200291211Y1 KR2020020019437U KR20020019437U KR200291211Y1 KR 200291211 Y1 KR200291211 Y1 KR 200291211Y1 KR 2020020019437 U KR2020020019437 U KR 2020020019437U KR 20020019437 U KR20020019437 U KR 20020019437U KR 200291211 Y1 KR200291211 Y1 KR 2002912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member
shelf
support
frame
book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4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태영
Original Assignee
오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태영 filed Critical 오태영
Priority to KR20200200194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2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2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211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책장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통상의 책장에 있어서, 전면 및 이면에 다수의 걸림공(2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지지대(20)가 받침대(70)에 입설되어 횡대(30)로 연결되고 저부가 일측 또는 양측으로 절곡 형성되며 측면에 피스공(53)이 형성된 칸막이부재(50)의 절곡부위 상면 및 후방에 각각 걸림돌기(52) 및 후크(51)가 일체로 형성되어 선반(40)의 저부 양쪽에 칸막이부재(50)의 걸림돌기(52)가 끼워진 상태로 칸막이부재(50)의 피스공(53)을 통해 구비된 피스(P)로 칸막이부재(50)와 선반(40)을 각각 고정시키되, 선반(40)이 결합된 칸막이부재(50)의 후크(51)를 지지대(20)의 걸림공(21)에 등간격으로 끼워 책장골조(10)를 구성하는 한편, 일면 중앙에 삽입홈(61)이 요설된 외곽틀(60)을 구비하여 외곽틀(60)의 삽입홈(61)에 책장골조(10)의 지지대(20) 및 횡대(30)의 일부가 수용된 상태로 결합되어 구성된 구조이다.
본 고안은 조립식의 간단한 구조로 지지대의 걸림공에 선반이 결합된 칸막이부재의 후크를 간편히 걸어 고정시켜 주는 것으로 책장골조의 조립을 신속히 할 수 있는 장점과 아울러 칸막이부재의 후크가 결합되는 지지대의 걸림공 위치에 변화를 주는 것 만으로도 선반의 높낮이 조절을 한결 자유롭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고한 지지구조로 다량의 도서를 용이하게 진열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책장{Bookshelf}
본 고안은 책장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조립 설치가 간편하고 선반의 선택적인 높낮이 조절도 신속히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고한 지지구조로 다량의 도서를 용이하게 진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책장과는 달리 여러사람이 다양한 도서를 편리하게 열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 책장의 경우 다량의 책을 동시에 진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도서의 하중에 잘 견디어 낼 수 있는 견고함 등도 두루 갖추어야만 한다.
종래 알려진 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 제94-11728호 명칭 "금속 책장의 판넬 조립 벽체"의 예를들어 보면 판넬본체, 선단굴곡부, 내향굴곡부를 연이어서 90도 각도로 굴곡하고 판넬본체에 90도 각도로 굴곡 성형한 내향굴곡부에 접속한 판넬벽체의 선단 굴곡부를 다른 판넬벽체의 선단 굴곡부를 다른 판넬벽체의 판넬본체에 내장하여 90도 각도로 굴곡한 접속부 지지판을 형성한 접속부판에 브라키트를 개재시켜서 체결보울트로 체결조립한 것으로서 용접식 조립구조를 탈피하여 이를 조립식구조로 개선하고자 안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금속책장에 관한 판넬 조립 벽체는 수평상의 판넬본체와 판넬본체의 일측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판넬벽체의 사이에 브라키트를 개입시켜놓은 상태에서 판넬본체와 판넬본체를 보울트로 체결하는 조립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체결구조는 판넬본체와 판넬벽의 내부에 여러 가지 불필요한 요소들의 결합으로 인해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판넬본체와 벽체를 연결하기 위해 보울트를 판넬본체와 판넬벽체의 안쪽에서 체결해야 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로우며 보울트에 의한 고정식 구조로 판넬본체의 높낮이 조정도 불가능하다.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조립 설치가 간편하고 선반의 선택적인 높낮이 조절도 신속히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고한 지지구조로 다량의 도서를 용이하게 진열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해 본 고안은 통상의 책장에 있어서, 전면 및 이면에 다수의 걸림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지지대가 받침대에 입설되어 횡대로 연결되고 저부가 일측 또는 양측으로 절곡 형성되며 측면에 피스공이 형성된 칸막이부재의 절곡부위 상면 및 후방에 각각 걸림돌기 및 후크가 일체로 형성되어 선반의 저부 양쪽에 칸막이부재의 걸림돌기가 끼워진 상태로 칸막이 부재의 피스공을 통해 구비된 피스로 칸막이부재와 선반을 각각 고정시키되, 선반이 결합된 칸막이부재의 후크를 지지대의 걸림공에 등간격으로 끼워 책장골조를 구성하는 한편, 일면 중앙에 삽입홈이 요설된 외곽틀을 구비하여 외곽틀의 삽입홈에 책장골조의 지지대 및 횡대의 일부가 수용된 상태로 결합되어 구성된 일련의 관련구성을 제공함으로서 본 고안의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책장골조의 정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 책장골조의 일부 발췌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평단면구성도
도 5는 본 고안 책장골조의 측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책장골조 20 : 지지대
21 : 걸림공 30 : 횡대
40 : 선반 50 : 칸막이부재
51 : 후크 52 : 걸림돌기
53 : 피스공 60 : 외곽틀
61 : 삽입홈 70 : 받침대
P : 피스
본 고안은 통상의 책장에 있어서, 전면 및 이면에 다수의 걸림공(2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지지대(20)가 받침대(70)에 입설되어 횡대(30)로 연결되고 저부가 일측 또는 양측으로 절곡 형성되며 측면에 피스공(53)이 형성된 칸막이부재(50)의 절곡부위 상면 및 후방에 각각 걸림돌기(52) 및 후크(51)가 일체로 형성되어 선반(40)의 저부 양쪽에 칸막이부재(50)의 걸림돌기(52)가 끼워진 상태로 칸막이부재(50)의 피스공(53)을 통해 구비된 피스(P)로 칸막이부재(50)와 선반(40)을 각각 고정시키되, 선반(40)이 결합된 칸막이부재(50)의 후크(51)를 지지대(20)의 걸림공(21)에 등간격으로 끼워 책장골조(10)를 구성하는 한편, 일면 중앙에 삽입홈(61)이 요설된 외곽틀(60)을 구비하여 외곽틀(60)의 삽입홈(61)에 책장골조(10)의 지지대(20) 및 횡대(30)의 일부가 수용된 상태로 결합되어 구성된 구조이다.
본 고안은 조립식의 간단한 구조로 지지대(20)의 걸림공(21)에 선반(40)이 결합된 칸막이부재(50)의 후크(51)를 간편히 걸어 고정시켜 주는 것으로 책장골조(10)의 조립을 신속히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칸막이부재(50)의 후크(51)가 결합되는 지지대(20)의 걸림공(21) 위치에 변화를 주는 것 만으로도 선반(40)의 높낮이 조절을 한결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본 고안 지지대(20)는 그 전면 및 이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걸림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공(21)은 칸막이부재(50)의 후크(51)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면 족하고 또 지지대(20)를 원형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지지대(20)는 저부 받침대(70)에 입설된 상태로 횡대(3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이와같이 책장골조(10)의 기본적인 틀을 갖추어 놓게 되면 지지대(20)에 도서를 진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저부가 일측 또는 양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측면에 피스공(53)이 형성되며 절곡부위 상면 및 후방에 각각 걸림돌기(52) 및 후크(51)가 일체로 형성된 칸막이부재(50)를 구비하여 이에 도서를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40)을 설치하게 된다.
선반(40)은 지지대(20)에 칸막이부재(50)를 설치한 다음 설치해도 무방하나 칸막이부재(50)와 선반(40)을 미리 결합시켜 놓은 상태에서 칸막이부재(50)와 선반(40)을 동시에 이동시키는 것을 기본으로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선반(40)은 먼저 저부 양쪽에 칸막이부재(50)의 걸림돌기(52)가 끼워지는 홈 또는 공간부를 확보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래야만 칸막이부재(50)에서 선반(40)이 움직임을 제한하게 되고 선반(40)을 신속히 안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선반(40)의 저부 양쪽에 칸막이부재(50)의 걸림돌기(52)가 끼워지게 되면 선반(40)의 고정을 더욱 충실히 하기 위해 칸막이부재(50)에 형성된 피스공(53)을 통해 구비된 피스(P)를 삽입하여 칸막이부재(50)와 선반(40)을 각각 고정하게 된다.
이와같이 칸막이부재(50)가 고정된 선반(40)은 예상되는 도서의 크기에 따라 그 높낮이를 가늠하여 지지대(20)의 결합공에 칸막이부재(50)의 후크(51)를 끼워하방으로 간단히 눌러주는 것으로 칸막이부재(50)가 결합된 선반(40)의 설치를 진행하게 되며 지지대(20)의 반대편에 형성된 걸림공(21)에도 상기한 순서에 의해 칸막이부재(50)가 결합된 선반(40)의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책장골조(10)는 일면 중앙에 삽입홈(61)이 요설된 외곽틀(60)의 안쪽에 책장골조(10)의 지지대(20) 및 횡대(30)의 일부가 외곽틀(60)의 삽입홈(61)에 수용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책장골조(10)의 변형방지 내지는 견고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조립식의 간단한 구조로 지지대의 걸림공에 선반이 결합된 칸막이부재의 후크를 간편히 걸어 고정시켜 주는 것으로 책장골조의 조립을 신속히 할 수 있는 장점과 아울러 칸막이부재의 후크가 결합되는 지지대의 걸림공 위치에 변화를 주는 것 만으로도 선반의 높낮이 조절을 한결 자유롭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고한 지지구조로 다량의 도서를 용이하게 진열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통상의 책장에 있어서, 전면 및 이면에 다수의 걸림공(2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지지대(20)가 받침대(70)에 입설되어 횡대(30)로 연결되고 저부가 일측 또는 양측으로 절곡 형성되며 측면에 피스공(53)이 형성된 칸막이부재(50)의 절곡부위 상면 및 후방에 각각 걸림돌기(52) 및 후크(51)가 일체로 형성되어 선반(40)의 저부 양쪽에 칸막이부재(50)의 걸림돌기(52)가 끼워진 상태로 칸막이부재(50)의 피스공(53)을 통해 구비된 피스(P)로 칸막이부재(50)와 선반(40)을 각각 고정시키되, 선반(40)이 결합된 칸막이부재(50)의 후크(51)를 지지대(20)의 걸림공(21)에 등간격으로 끼워 책장골조(10)를 구성하는 한편, 일면 중앙에 삽입홈(61)이 요설된 외곽틀(60)을 구비하여 외곽틀(60)의 삽입홈(61)에 책장골조(10)의 지지대(20) 및 횡대(30)의 일부가 수용된 상태로 결합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KR2020020019437U 2002-06-27 2002-06-27 책장 KR2002912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437U KR200291211Y1 (ko) 2002-06-27 2002-06-27 책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437U KR200291211Y1 (ko) 2002-06-27 2002-06-27 책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211Y1 true KR200291211Y1 (ko) 2002-10-11

Family

ID=73077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437U KR200291211Y1 (ko) 2002-06-27 2002-06-27 책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21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145Y1 (ko) * 2008-04-07 2010-03-19 두진홍 조립식 책장
KR200457813Y1 (ko) 2009-04-29 2012-01-05 (주)토템 가변식 선반이 구비된 서가
KR101119438B1 (ko) * 2009-04-29 2012-03-19 (주)토템 연장 조립이 용이한 양면형 책 진열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145Y1 (ko) * 2008-04-07 2010-03-19 두진홍 조립식 책장
KR200457813Y1 (ko) 2009-04-29 2012-01-05 (주)토템 가변식 선반이 구비된 서가
KR101119438B1 (ko) * 2009-04-29 2012-03-19 (주)토템 연장 조립이 용이한 양면형 책 진열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6285A (en) Partition wall, particularly for offices
US200502528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articles
US7784626B2 (en) Wall hanging system
US7243887B2 (en) Suspension system
US6595145B1 (en) Adjustable shelving system
KR200291211Y1 (ko) 책장
JP6399646B2 (ja) システムデスク
JP2002065364A (ja) パネル付きデスク
JP4094748B2 (ja) 陳列棚
EP1656049A1 (en) A system for detachable suspension of shelves
JP2976822B2 (ja) 書架等のアジャスター装置
US4102095A (en) Modular screen assembly
CN211748167U (zh) 一种具有悬挂功能的搁架及衣帽间
JPH0342844Y2 (ko)
JP3189823B2 (ja) 書架等の脚体装置
KR102589252B1 (ko) 모듈형 조립식 가구
JPS6211470Y2 (ko)
JP3837616B2 (ja) 棚付き机
KR20180083577A (ko) 가구용 골격 조립구조
RU38273U1 (ru)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стеллаж для предприятий торговли
KR200169248Y1 (ko) 조립식 선반집기
KR200353707Y1 (ko) 조립 및 탈 부착이 용이한 다기능 진열장 선반받침구
KR200199558Y1 (ko) 붙박이장 구조물의 설치구조
JPS6036122Y2 (ja) 陳列台
JP3299716B2 (ja) 突っ張り固定型の収納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