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558Y1 - 붙박이장 구조물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붙박이장 구조물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558Y1
KR200199558Y1 KR2020000012018U KR20000012018U KR200199558Y1 KR 200199558 Y1 KR200199558 Y1 KR 200199558Y1 KR 2020000012018 U KR2020000012018 U KR 2020000012018U KR 20000012018 U KR20000012018 U KR 20000012018U KR 200199558 Y1 KR200199558 Y1 KR 2001995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lat iron
fitted
support plat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20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이용
Original Assignee
윤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이용 filed Critical 윤이용
Priority to KR20200000120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5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5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5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5Composite members, i.e. made up of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붙박이장 구조물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선반이 얹어지는 지지판의 절곡된 면이 프레임에 끼워져 조립되게 함으로써 접촉 면적을 넓게 하여 무거운 하중을 올려 놓아도 선반이 내려 앉지 않고 조립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조립이 용이하고 선반이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한 붙박이장 구조물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벽체(72)에 고정되어 직립 설치되되, 벽체(72)에 접촉되는 돌출부(12)와 양 외측으로 외통되는 끼움홈(14)과 상기 끼움홈(14)에 교차되게 연통되는 평철홈(16)과 본체(11) 양외측으로 외측 단턱(18)이 형성되도록 형상을 이루는 수직 프레임(10)과, 상기 수직 프레임(10)의 외측 단턱(18)에 걸리도록 내측 돌기(22)가 형성되어 수직 프레임(10)을 감싸는 커버(20)와, 벽체 모서리(72a)에 고정되어 직립 설치되되, 일 내측으로 내통되는 끼움홈(52)과 상기 끼움홈(52)에 교차되게 연통되는 평철홈(54)이 형성되도록 형상을 이루는 코너 프레임(50)과, 상기 수직 프레임(10)과 코너 프레임(50)의 평철홈(16,54)에 끼워지고 장공(32)이 형성된 평철(30)과, 상기 수직 프레임(10)에 끼워진 평철(30)의 장공(32)에 끼워지도록 하향 절곡된 끼움 돌기(42a,42b)가 절곡면(42)에 형성되고 선반(78)이 얹어지는 날개(44)가 측방으로 형성된 수평 지지판(40)과, 상기 코너 프레임(50)에 끼워진 평철(30)의 장공(32)에 끼워지도록 하향 절곡된 끼움 돌기(62a,62b)가 형성된 코너 지지판(60)과, 상기 수평 지지판(40)의 날개(44) 및 코너 지지판(60)의 상면에 얹어지는 선반(78)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장 구조물의 설치구조이다.

Description

붙박이장 구조물의 설치구조 {FIXED FURNITURE}
본 고안은 붙박이장 구조물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선반이 얹어지는 지지판의 절곡된 면이 프레임에 끼워져 조립되게 함으로써 프레임과의 접촉 면적을 넓게 하여 무거운 하중을 올려 놓아도 선반이 내려 앉지 않고 조립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붙박이장 구조물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 주택 및 아파트의 방안에는 가정 생활에 필요한 의복이나 물건 등을 수납하기 위해 장롱을 주로 구비하여 사용하나, 방 내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벽면에 수납 공간을 형성한 후, 이에 구조물을 설치하여 붙박이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 붙박이장 구조물은 사용 목적에 따라 나무나 철재등을 종횡으로 배열하여 그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고 그 내부는 용도에 따라 옷, 서랍, 이불 등을 별도의 다른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합판 등을 수직 또는 수평으로 결합하여 구획하면서, 전면만을 개구된 상태로 나머지 삼면을 합판등을 결합한 다음 벽면에 형성된 수납공간으로 설치하도록 되어 있는 바, 상기 구조물에 물건을 얹어 놓을 수 있는 선반을 프레임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프레임에 형성된 홈에 직각으로 끼워진 지지판에 얹어 조립하였다.
이 경우 프레임과 지지판과의 접촉 면적이 적어 선반에 무거운 하중의 물건이 얹어지면 프레임이 무거운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아래로 경사지게 쳐지거나 미끄러져 무거운 하중을 견딜 수 없었다.
또한 벽면에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경우에 벽면이 약하면 벽면이 붙박이장 구조물과 같이 무너지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곤 하여 벽면이 약하면 붙박이장을 설치할 수 없었다.
한편 붙박이장 구조물은 조립이 어려워 조립하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물건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이 높이가 항상 일정하여 다양한 크기의 물건을 올려 놓을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선반이 얹어지는 지지판의 절곡된 면이 프레임에 끼워져 조립되게 함으로써 접촉 면적을 넓게 하여 무거운 하중을 올려 놓아도 선반이 내려 앉지 않고 조립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조립이 용이하고 선반이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한 붙박이장 구조물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벽체에 고정되어 직립 설치되되, 벽체에 접촉되는 돌출부와 양 외측으로 외통되는 끼움홈과 상기 끼움홈에 교차되게 연통되는 평철홈과 본체 양외측으로 외측 단턱이 형성되도록 형상을 이루는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외측 단턱에 걸리도록 내측 돌기가 형성되어 수직 프레임을 감싸는 커버와,
벽체 모서리에 고정되어 직립 설치되되, 일 내측으로 내통되는 끼움홈과, 상기 끼움홈에 교차되게 연통되는 평철홈이 형성되도록 형상을 이루는 코너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과 코너 프레임의 평철홈에 끼워지고 장공이 형성된 평철과,
상기 수직 프레임에 끼워진 평철의 장공에 끼워지도록 하향 절곡된 끼움 돌기가 절곡면에 형성되고 선반이 얹어지는 날개가 측방으로 형성된 수평 지지판과,
상기 코너 프레임에 끼워진 평철의 장공에 끼워지도록 하향 절곡된 끼움 돌기가 형성된 코너 지지판과,
상기 수평 지지판의 날개 및 코너 지지판의 상면에 얹어지는 선반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장 구조물의 설치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a,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구조물의 벽체 부분 분해 사시도 및 일부 확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조물의 벽체 모서리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의한 조립 평면도,
도 4a, 도 4b는 도 1의 부분 확대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 프레임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구조물의 천정 부분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구조물, 10: 수직 프레임, 11: 본체, 12: 돌출부, 14: 끼움홈, 16: 평철홈, 18: 외측 단턱, 19: 지지턱, 20: 커버, 22: 내측 돌기, 30: 평철, 32: 장공, 40: 수평 지지판, 42: 절곡면, 42a,42b: 끼움 돌기, 44: 날개, 50: 코너 프레임, 52: 끼움홈, 54: 평철홈, 60: 코너 지지판, 62a,62b: 끼움 돌기, 70: 목재, 72: 벽체, 72a: 벽체 모서리, 74: 천정, 76: 고정 부재, 78: 선반, 80: 보강재, 82: 천정판, 84: 벽판, 86: 삽입 돌기.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 도 1a 내지 도 7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구조물의 벽체 부분 분해 사시도 및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조물의 벽체 모서리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에 의한 조립 평면도이고, 도 4a, 도 4b는 도 1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 프레임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구조물의 천정 부분 정단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벽체(72)에 고정되어 직립 설치되되, 벽체(72)에 접촉되는 돌출부(12)와 양 외측으로 외통되는 끼움홈(14)과 상기 끼움홈(14)에 교차되게 연통되는 평철홈(16)과 본체(11) 양외측으로 외측 단턱(18)이 형성되도록 형상을 이루는 수직 프레임(10)과,
상기 수직 프레임(10)의 외측 단턱(18)에 걸리도록 내측 돌기(22)가 형성되어 수직 프레임(10)을 감싸는 커버(20)와,
벽체 모서리(72a)에 고정되어 직립 설치되되, 일 내측으로 내통되는 끼움홈(52)과 상기 끼움홈(52)에 교차되게 연통되는 평철홈(54)이 형성되도록 형상을 이루는 코너 프레임(50)과,
상기 수직 프레임(10)과 코너 프레임(50)의 평철홈(16,54)에 끼워지고 장공(32)이 형성된 평철(30)과,
상기 수직 프레임(10)에 끼워진 평철(30)의 장공(32)에 끼워지도록 하향 절곡된 끼움 돌기(42a,42b)가 절곡면(42)에 형성되고 선반(78)이 얹어지는 날개(44)가 측방으로 형성된 수평 지지판(40)과,
상기 코너 프레임(50)에 끼워진 평철(30)의 장공(32)에 끼워지도록 하향 절곡된 끼움 돌기(62a,62b)가 형성된 코너 지지판(60)과,
상기 수평 지지판(40)의 날개(44) 및 코너 지지판(60)의 상면에 얹어지는 선반(78)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구조물(A)은 벽체(72)에 고정되는 수직 프레임(10)과, 상기 수직 프레임(10)을 감싸 보호하는 커버(20)와, 벽체 모서리(72a)에 고정되는 코너 프레임(50)과 상기 프레임(10,50)에 형성된 평철홈(16,54)에 끼워지는 평철(30)과, 상기 평철(30)에 끼워지는 지지판(40,60)과, 상기 지지판(40,60)에 얹어지는 선반(78)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 프레임(10)은 벽체(72)에 면 접촉되도록 돌출부(12)가 형성되어 벽체(72)에 지지되고, 본체(11) 양 외측으로 외통되는 끼움홈(14)과 상기 끼움홈(14)에 교차되게 연통되는 평철홈(16)이 형성되어 평철홈(16)에는 평철(30)이 수직으로 끼워져 지지된다.
본체(11)의 양 외측으로는 외측 단턱(18)이 형성되어 커버(20)가 끼워진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벽체(72)에 돌출부(12)가 지지되어 직립 설치된 수직 프레임(10) 사이의 돌출부(12)에 의한 공간부에는 목재(70)가 개재된다.
한편 도 5에서 처럼 돌출부(12)를 형성하여 벽체(72)에 지지하지 않고 본체(11) 자체를 벽체(72)에 접촉되도록 하여 양외측에 형성된 지지턱(19)으로 지지를 보조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벽체(72)와 수직 프레임(10) 사이에 이격된 공간부가 없어 상기 목재(70)가 개재되지 않는다.
커버(20)는 라운드진 형상의 양단 내측으로 내측 돌기(22)가 형성되어 수직 프레임(10)의 외측 단턱(18)에 끼워져 걸리게 된다.
이때 커버(20)의 컬러를 목재(70)와 동색(同色)으로 하여 장식적인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상기 코너 프레임(50)은 벽체 모서리(72a)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대각선 방향의 내측으로 외통되는 끼움홈(52)과 상기 끼움홈(52)에 교차되게 연통되는 평철홈(54)이 형성되어 평철홈(54)에는 평철(30)이 수직으로 끼워져 지지된다.
이때 코너 프레임(50)과 수직 프레임(10) 사이에도 목재(70)가 개재되어 장식적인 효과를 준다.
상기 수직 프레임(10) 및 코너 프레임(50)에 형성된 평철홈(16,54)에는 평철(30)이 수직으로 끼워짐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평철(30)에는 다수의 장공(32)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 지지판(40)에는 하향 절곡된 끼움 돌기(42a,42b)가 절곡면(42) 일외측 상하에 설치되어 수직 프레임(10)에 끼워진 평철(30)의 장공(32)에 끼움홈(14)을 통해 수평으로 끼워져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날개(44)가 측방으로 형성되어 선반(78)이 얹어지게 된다.
상기 코너 지지판(60)에는 하향 절곡된 끼움 돌기(62a,62b)가 일외측 상하에 설치되어 코너 프레임(50)에 끼워진 평철(30)의 장공(32)에 끼움홈(14)을 통해 수평으로 끼워져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선반(78)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선반(78)이 얹어지는 수평 지지판(40) 및 코너 지지판(60)을 장공(32)에서 빼내어 다른 높이의 장공(32)에 끼우면 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쉽게 선반(78)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건이 상부에 얹어지는 선반(78)은 수평 지지판(40)의 측방으로 형성된 날개(44) 및 코너 지지판(60)의 상부에 얹어져 고정된다.
한편 벽체(72)가 약하게 형성된 경우에는 보강재(80)를 천정(74) 및 벽체(72)에 대어 설치할 수도 있는 것으로, 상기 보강재(80)는 천정판(82)과 벽판(84)이 직각 절곡되게 형성되고 벽판(84)은 ㄷ자 홈에 의해 삽입 돌기(86)가 형성되어, 천정판(82)은 천정(74)에 고정 부재(76)에 의해 고정되고 삽입 돌기(86)는 프레임(10)의 끼움홈(14)에 상부에서 삽입된다.
상술하게 구성된 본 고안의 구조물은 벽체(72)에 프레임(10,50)을 고정한 후 지지판(40,60)과 평철(30)을 프레임(10,50)에 끼우는 것에 의해 쉽게 조립할 수 있는 것이고 장공(32)에 지지판(40,60)을 쉽게 끼울 수 있어 선반(78)의 높낮이 조절을 쉽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 지지판(40)이 끼움홈(14)을 통해 꺾인 상태로 장공(32)에 끼워지기 때문에 접촉 면적이 넓어져 선반(78)에 무거운 하중을 올려 놓아도 아래로 쳐지지 않고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붙박이장에 설치되는 구조물(A)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상기 구조물(A)은 드레스룸, 선반 받침장. 일반 전시실, 가구등에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 역시 본 고안과 같은 구조를 이룬다면 본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선반이 얹어지는 지지판의 절곡된 면이 프레임에 끼워져 조립되게 함으로써 접촉 면적을 넓게 하여 무거운 하중을 올려 놓아도 선반이 내려 앉지 않고 조립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조립이 용이하고 선반이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벽체(72)에 고정되어 직립 설치되되, 벽체(72)에 접촉되는 돌출부(12)와 양 외측으로 외통되는 끼움홈(14)과 상기 끼움홈(14)에 교차되게 연통되는 평철홈(16)과 본체(11) 양외측으로 외측 단턱(18)이 형성되도록 형상을 이루는 수직 프레임(10)과,
    상기 수직 프레임(10)의 외측 단턱(18)에 걸리도록 내측 돌기(22)가 형성되어 수직 프레임(10)을 감싸는 커버(20)와,
    벽체 모서리(72a)에 고정되어 직립 설치되되, 일 내측으로 내통되는 끼움홈(52)과 상기 끼움홈(52)에 교차되게 연통되는 평철홈(54)이 형성되도록 형상을 이루는 코너 프레임(50)과,
    상기 수직 프레임(10)과 코너 프레임(50)의 평철홈(16,54)에 끼워지고 장공(32)이 형성된 평철(30)과,
    상기 수직 프레임(10)에 끼워진 평철(30)의 장공(32)에 끼워지도록 하향 절곡된 끼움 돌기(42a,42b)가 절곡면(42)에 형성되고 선반(78)이 얹어지는 날개(44)가 측방으로 형성된 수평 지지판(40)과,
    상기 코너 프레임(50)에 끼워진 평철(30)의 장공(32)에 끼워지도록 하향 절곡된 끼움 돌기(62a,62b)가 형성된 코너 지지판(60)과,
    상기 수평 지지판(40)의 날개(44) 및 코너 지지판(60)의 상면에 얹어지는 선반(78)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장 구조물의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72)에 접촉되는 벽판(84)과 천정(74)에 고정되는 고정판(82)이 절곡되게 형성된 보강재(80)의 벽판(84)은 ㄷ자 홈에 의해 삽입 돌기(86)가 형성되어, 프레임(10)의 끼움홈(14)에 상부에서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장 구조물의 설치구조.
KR2020000012018U 2000-04-27 2000-04-27 붙박이장 구조물의 설치구조 KR2001995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018U KR200199558Y1 (ko) 2000-04-27 2000-04-27 붙박이장 구조물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018U KR200199558Y1 (ko) 2000-04-27 2000-04-27 붙박이장 구조물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558Y1 true KR200199558Y1 (ko) 2000-10-02

Family

ID=19653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018U KR200199558Y1 (ko) 2000-04-27 2000-04-27 붙박이장 구조물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5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970B1 (ko) * 2008-08-08 2011-04-28 (주) 대영개발 선반 지지용 프레임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970B1 (ko) * 2008-08-08 2011-04-28 (주) 대영개발 선반 지지용 프레임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599B1 (ko) 드레스 룸 시스템용 자립형 가구
US5752610A (en) Free standing adjustable storage system
KR101836149B1 (ko) 가구용 선반의 지지장치
KR200448088Y1 (ko) 붙박이장용 프레임의 커버부재 결합구조
KR20070107919A (ko) 다단선반의 높이간격에 관계없이 다양한 높이를 갖는물품의 전시가 가능한 조립선반
KR20120119878A (ko) 가구용 선반 고정장치
KR200199558Y1 (ko) 붙박이장 구조물의 설치구조
KR200244469Y1 (ko) 시스템가구용 선반조절장치
KR20130003722U (ko) 조립과 배치가 용이한 가구
KR200473130Y1 (ko) 조립식 수납장
KR100365553B1 (ko) 조립식 장롱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324319Y1 (ko) 조립식 가구의 지지프레임
KR200369562Y1 (ko) 벽면 설치구조물의 패널 지지구조
JP3011056U (ja) 組立式収納セット
KR101412282B1 (ko) 포스트형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 가구
JP2976822B2 (ja) 書架等のアジャスター装置
KR200249126Y1 (ko) 벽면에 설치가 용이한 붙박이장
KR200495198Y1 (ko) 선반 받침대
KR200401434Y1 (ko) 액자
EP1321068A1 (en) Item of furniture
KR200175979Y1 (ko) 붙박이장 구조물의 합판 고정구조
KR200384820Y1 (ko) 가구용 보조 수납함
KR20110081508A (ko) 양방향 조립식선반
KR200245674Y1 (ko) 코너용 벽걸이 선반
JP3189823B2 (ja) 書架等の脚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728

Effective date: 20070307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60502

Effective date: 20070307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0719

Effective date: 2008022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