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145Y1 - 조립식 책장 - Google Patents

조립식 책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145Y1
KR200448145Y1 KR2020080004573U KR20080004573U KR200448145Y1 KR 200448145 Y1 KR200448145 Y1 KR 200448145Y1 KR 2020080004573 U KR2020080004573 U KR 2020080004573U KR 20080004573 U KR20080004573 U KR 20080004573U KR 200448145 Y1 KR200448145 Y1 KR 2004481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einforcement
fastening holes
bookshelf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5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0325U (ko
Inventor
두진홍
Original Assignee
두진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진홍 filed Critical 두진홍
Priority to KR20200800045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145Y1/ko
Publication of KR200900103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3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1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1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1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screwbolts as connecting member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장 유닛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여 유통에 따른 취급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원가 절감과 경량화 추구 및 디자인 개선효과가 있는 조립식 책장에 관한 것으로서, 즉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 사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배면 보강판과; 내측으로 다수개의 받침 볼트가 구비되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를 중심으로 상부, 하부가 절곡 형성되되, 상기 상부 및 하부는 배면 보강판의 체결공이 형성된 위치로 각각 밀착되어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는 전면 보강목과; 체결공이 구비된 지지대 및 그 직각 방향으로 받침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는 상기 배면 보강판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체결공을 서로 일치시켜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받침대는 전면 보강목의 받침 볼트에 의해 지지되는 책 받침대;로 구비되는 특징이 있다.
책장, 조립식 책장, 조립, 보강목

Description

조립식 책장{collection bookshelf}
본 고안은 책을 꽂아 보관하는 책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책장 유닛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여 유통에 따른 취급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원가 절감과 경량화 추구 및 디자인 개선효과가 있는 조립식 책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장이라 함은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책을 꽂아 보관하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책장 구조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좌우로 보강판을 구비하고, 상기 보강판의 상 하단 및 후단부로 마감판을 조립시켜 내측으로 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공간부에 책받침판을 복수개 조립하여 상기 책 받침판에 책을 꽂아 보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책장은 생산공장에서 이미 조립된 상태로 유통되기 때문에 유통시 취급성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책장은 책장의 변형을 줄이기 위해 좌우, 상하, 배면에 보강판 및 마감판이 완전 밀폐되게 조립되었기 때문에 책장의 미려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책장은 책을 꽂아 두기 위한 책 받침판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두께, 높이가 다른 책을 효율적으로 꽂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조립 분해가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효율적으로 책장을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의 목적은 책장의 유닛을 규격화하고, 중량을 낮춰 운반 조립설치 등이 간편하며,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여 유통에 따른 취급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책을 꽂아 보관함에 있어 책장이 견고히 지지함은 물론 조립된 책장의 전후, 좌우 면이 개방되도록 하여 책장의 디자인을 향상시켜 소비자의 구매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는 조립식 책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책 받침판의 간격의 조절을 가능하도록 하여 높낮이가 서로 다른책을 효율적으로 꽂아 보관할 수 있는 공간 활용이 가능한 조립식 책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조립식 책장은, 상하로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 사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배면 보강판과; 내측으로 다수개의 받침 볼트가 구비되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를 중심으로 상부, 하부가 절곡 형성되되, 상기 상부 및 하부는 배면 보강판의 체결공이 형성된 위치로 각각 밀착되어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는 전면 보강목과; 체결공이 구비된 지지대 및 그 직각 방향으로 받침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는 상기 배면 보강판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체결공을 서로 일치시켜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받침대는 전면 보강목의 받침 볼트에 의해 지지되는 책 받침대;로 구비함으로써 상기한 목적이 달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 배면 보강판과 전면 보강목 사이에 설치되는 책 받침판은 다수개로 구비되되, 상기 책 받침판 간의 간격을 조절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배면 보강판과 전면 보강목 사이에는 보조 지지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책장의 유닛을 규격화하고, 중량을 낮춰 운반 조립설치 등이 간편하며,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여 유통에 따른 취급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책장의 디자인을 향상시켜 소비자의 구매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는 효과와 책 받침판 간의 간격의 조절을 가능하도록 하여 높낮이가 서로 다른책을 효율적으로 꽂아 보관할 수 있는 효과 등을 갖는 매우 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가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먼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를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책장을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책장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책장의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조립식 책장은 크게 후단부에 적어도 3개 이상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배면 보강판(20)과 상기 배면 보강판(20)에 체결구(B)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전면 보강목(10) 및 상기 배면 보강판(20)과 전면 보강목(10) 사이에 설치되는 책 받침판(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면 보강판(20)은 상하로 체결공(21)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21) 사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체결공(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공(22)는 도면상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일정간격을 두고 계속적으로 형성되어 책 받침판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면 보강목(10)은 전면부(10a)를 중심으로 상부(10b)와 하부(10b)가 일체로 절곡형성되되, 단면상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부(10a)의 내측으로 다수개의 받침 볼트(50)가 구비되어 책 받침판(30)의 받침대(31)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10b) 및 하부(10c)는 배면 보강판(20)의 체결공(21)이 형성된 위치로 각각 밀착되어 체결구(B)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책 받침대(30)는 체결공(33)이 구비된 지지대(32) 및 그 직각 방향으로 받침대(31)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지지대(32)는 상기 배면 보강판(20)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체결공(33)(22)을 서로 일치시켜 체결구(B)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받침대(31)는 전면 보강목(10)의 받침 볼트(50)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책 받침판(30)은 간의 간격을 임의 대로 조절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배면 보강판(20)과 전면 보강목(10) 사이에는 책받침판(30)의 더욱더 견고히 지지함은 물론, 책장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조 지지대(40)가 더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조립식 책장은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유통이 취급성 이 편리하여 운반이 용이하다.
또한, 소비자가 상기한 조립식 책장으로 구입한 상태에서 배면 보강판과 전면 보강목을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배면 보강판과 전면 보강목 사이에 책 받침판을 끼워 조립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분해 조립을 할 수 있다.
또한, 책의 높낮이에 따라 책 받침판을 간격을 쉽게 조절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상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책장이 배면 전면, 좌우면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책을 꽂아 보관하는 책장의 용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식품을 올려 장식하는 장식장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책장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책장의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책장
10: 전면 보강목
20: 배면 보강판
30: 책받침판
40: 보조지지대
50: 받침볼트

Claims (3)

  1. 상하로 체결공(21)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21) 사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체결공(22)이 형성되는 배면 보강판(20)과;
    내측으로 다수개의 받침 볼트(50)가 구비되는 전면부(10a), 상기 전면부(10a)를 중심으로 상부(10b), 하부(10c)가 절곡 형성되되, 상기 상부(10b) 및 하부(10c)는 배면 보강판(20)의 체결공(21)이 형성된 위치로 각각 밀착되어 체결구(B)에 의해 고정되는 전면 보강목(10)과;
    체결공(33)이 구비된 지지대(32) 및 그 직각 방향으로 받침대(31)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지지대(32)는 상기 배면 보강판(20)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체결공(33)(22)을 서로 일치시켜 체결구(B)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받침대(31)는 전면 보강목(10)의 받침 볼트(50)에 의해 지지되는 책 받침대(30);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책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보강판(20)과 전면 보강목(10) 사이에 설치되는 책 받침대(30)은 다수개로 구비되되, 상기 책 받침대(30) 간의 간격을 조절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책장.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보강판(20)과 전면 보강목(10) 사이에는 보조 지지대(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책장.
KR2020080004573U 2008-04-07 2008-04-07 조립식 책장 KR2004481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573U KR200448145Y1 (ko) 2008-04-07 2008-04-07 조립식 책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573U KR200448145Y1 (ko) 2008-04-07 2008-04-07 조립식 책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325U KR20090010325U (ko) 2009-10-12
KR200448145Y1 true KR200448145Y1 (ko) 2010-03-19

Family

ID=41537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573U KR200448145Y1 (ko) 2008-04-07 2008-04-07 조립식 책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14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229B1 (ko) 2021-11-24 2023-11-02 서동민 조립식 책장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840U (ko) * 1990-11-27 1992-06-16 김만중 조립식 책장
KR200252488Y1 (ko) * 2001-08-07 2001-11-23 신복산업 주식회사 다용도 절첩식 책장
KR200291211Y1 (ko) * 2002-06-27 2002-10-11 오태영 책장
KR100751868B1 (ko) 2006-06-12 2007-08-23 주식회사 가보로 책장 조립방법과 책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840U (ko) * 1990-11-27 1992-06-16 김만중 조립식 책장
KR200252488Y1 (ko) * 2001-08-07 2001-11-23 신복산업 주식회사 다용도 절첩식 책장
KR200291211Y1 (ko) * 2002-06-27 2002-10-11 오태영 책장
KR100751868B1 (ko) 2006-06-12 2007-08-23 주식회사 가보로 책장 조립방법과 책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325U (ko) 2009-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5164B2 (en) Modular system of closet inside part or dressing room complement of combinable and adjustable design easily assembled and packed by the user
US20130256253A1 (en) Hardwareless shelving system
US9351567B2 (en) Prefabricated shelf
US20070145864A1 (en) Modular furniture system
KR200455707Y1 (ko) 이동식 칸막이 구조
EP2869730B1 (en) Modular ease-of-use shelving system
KR200448145Y1 (ko) 조립식 책장
KR102290321B1 (ko) 장식 커버를 갖는 조립식 선반
US7322483B2 (en) Cantilever shelving for utility shed
KR20060128499A (ko) 넉다운 가구
KR200466499Y1 (ko) 칸막이판의 폭 조절이 가능한 수납가구
KR200418240Y1 (ko) 조립식 책상
KR200470744Y1 (ko) 조립식 가구
KR200464948Y1 (ko) 조립식 진열장
KR200434953Y1 (ko) 조립식 진열대
JP6800643B2 (ja) 棚板用支柱
KR101217812B1 (ko) 플라스틱성형에 의한 조립진열대
KR101542768B1 (ko) 수납함을 구비한 조립식 파티션
KR101538375B1 (ko) 수납함을 구비한 조립식 파티션
KR200310209Y1 (ko) 수납장
KR200457684Y1 (ko) 조립식 가구
KR102341472B1 (ko) 확장성과 간편성을 갖춘 조립식 수납 진열가구
KR200470612Y1 (ko) 조립식 테이블
KR200467998Y1 (ko) 물품적재용 팔레트 박스
KR20100011157U (ko) 조립식 가구 선반용 조립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