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1868B1 - 책장 조립방법과 책장 - Google Patents

책장 조립방법과 책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1868B1
KR100751868B1 KR1020060052550A KR20060052550A KR100751868B1 KR 100751868 B1 KR100751868 B1 KR 100751868B1 KR 1020060052550 A KR1020060052550 A KR 1020060052550A KR 20060052550 A KR20060052550 A KR 20060052550A KR 100751868 B1 KR100751868 B1 KR 100751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plate
fixed
partition wall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숙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보로
조숙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보로, 조숙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보로
Priority to KR1020060052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1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rawin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5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partitions horizontal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격벽과 중간선반으로 이루어진 다층 구조의 책장에 대한 조립방법과 이 조립방법에 의해 조립된 책장에 관한 것으로, 평판형상의 제1측판과, 경첩을 매개로 접철가능하게 고정되는 추가용 중간선반을 구비한 평판형상의 제2측판을, 서로 마주하게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측판 및 제2측판과 수직하게 위치하는 천판 및 밑판을 상기 제1,2측판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고정 배치하여, 상기 제1,2측판이 상기 천판 및 밑판을 매개로 상호 평행하게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 사이의 뒷면을 폐구하는 뒤판을 씌우는 단계; 상기 제1측판의 소정위치에 상기 제2측판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대를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측판에 고정된 상기 추가용 중간선반을 회동시켜, 상기 추가용 중간선반이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얹혀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책장 조립방법과 책장{Bookcase assembling method and the sectional bookcase}
도 1은 책장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책장 조립방법의 실시모습을 순차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첩의 모습과 동작모습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추가용 중간선반의 안착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0 ; 책장 110, 110', 110" ; 측판
111, 111', 111" ; 뒤판체결라인 120, 120' ; 격벽
130 ; 중간선반 131 ; 고정용 중간선반
134 ; 추가용 중간선반
140, 140', 140" ; 밑판 150, 150', 150" ; 천판
160, 160' ; 뒤판 170 ; 경첩
171, 172 ; 고정관 173, 174 ; 이동자
175 ; 힌지 181 ; 라픽스 볼트
184 ; 라픽스 하우징 185 ; 홈
본 발명은 다수의 격벽과 중간선반으로 이루어진 다층 구조의 책장에 대한 조립방법과 이 조립방법에 의해 조립된 책장에 관한 것이다.
도 1(책장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 가정은 물론, 유치원, 학교 또는 도서관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많은 책 및 장식물 등을 꽂아두거나 진열하기 위한 책장(100)이 설치된다.
이러한 책장(100)은 일반적으로 실내 일벽을 모두 덮을 만큼 크게 제작되며, 다수의 책 및 장식물 등을 꽂아두거나 진열하기 위한 다수의 중간선반(130)과, 상기 책과 장식물 등을 분류하기 위한 다수의 격벽(120) 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책장(100)은 그 크기가 매우 커, 책장(100) 자체를 일체로 완성하여 현장에 배치할 수 없으므로, 종래에는 상기 책장(100)을 실내에 설치하기 위해 상기 책장(100)을 부분별로 분리하여 운반한 후 현장에서 이를 하나하나 조립하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하지만, 상기 책장(100)을 구성하는 격벽(120), 중간선반(130), 천판(150), 밑판(140) 및 측판(110) 등, 수많은 자재를 하나하나 조립하는 방법은 장시간의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비효율성이 있었다.
이외에도, 상기 책장(100)의 뒷면을 가리는 뒤판(도 3 참조 ; 160)의 경우, 종래에는 상기 뒤판(160)을 책장(100)의 뒷면 전체 면적을 덮을 만큼 충분히 제작 할 수 없고, 또한, 제작하더라도 현장에서 상대적으로 큰 다수 개의 뒤판(160)을 서로 상기 측판(110) 및 격벽(120) 등과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물론, 뒷면을 상기 뒤판(160)으로 모두 가리지 않을 수도 있으나, 이럴 경우 중간선반(130)과 격벽(120)으로 둘러쌓인 공간이 뒷면에서 그대로 공개되어, 해당 중간선반(130)에 놓인 책 또는 장식물 등이 뒤쪽으로 빠져 떨어질 수 있었다. 물론, 이렇게 떨어진 책 또는 장식물은 책장(100)을 옮기기 전에는 꺼낼 수가 없으므로, 가능한 뒷면을 모두 덮어 책 또는 장식물의 분실을 막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내의 일벽 전체를 점유할 만큼 큰 책장을 조립함에 있어, 조립시간을 최소화하면서 작업을 간편하게 하고, 보다 안정적이고 실용성 있는 책장을 조립할 수 있는 책장 조립방법과 책장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평판형상의 제1측판과, 경첩을 매개로 접철가능하게 고정되는 추가용 중간선반을 구비한 평판형상의 제2측판을, 서로 마주하게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측판 및 제2측판과 수직하게 위치하는 천판 및 밑판을 상기 제1,2측판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고정 배치하여, 상기 제1,2측판이 상기 천판 및 밑판을 매개로 상호 평행하게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 사이의 뒷면을 폐구하는 뒤판을 씌우는 단계;
상기 제1측판의 소정위치에 상기 제2측판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대를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측판에 고정된 상기 추가용 중간선반을 회동시켜, 상기 추가용 중간선반이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얹혀지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책장 조립방법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책장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뒤판체결라인이 형성되어서, 상기 뒤판의 양단이 상기 뒤판체결라인과 맞물려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책장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경첩은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이동자 및 제2이동자와, 상기 제1이동자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추가용 중간선반에 고정되는 제1고정관 및, 상기 제2이동자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2측판에 고정되는 제2고정관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평판형상의 제1측판과,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이동자 및 제2이동자와, 상기 제1이동자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하기 추가용 중간선반에 고정되는 제1고정관 및, 상기 제2이동자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하기 격벽에 고정되는 제2고정관을 포함하는 경첩을 매개로, 접철가능하게 고정되는 추가용 중간선반을 구비한 평판형상의 격벽을,
서로 마주하게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측판 및 격벽과 수직하게 위치하는 천판 및 밑판을 상기 제1측판 및 격벽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고정 배치하여, 상기 제1측판 및 격벽이 상기 천판 및 밑판을 매개로 상호 평행하게 고정하는 단계;
상기 경첩과 동일한 종류의 경첩을 매개로 접철가능하게 고정되는 추가용 중간선반을 구비한 평판형상의 제2측판을, 상기 격벽과 서로 마주하게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 사이의 뒷면을 폐구하는 뒤판을 씌우는 단계;
상기 제1측판 및 격벽의 소정위치에 상기 격벽과 제2측판을 향해 각각 돌출되는 지지대를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격벽 및 제2측판에 각각 고정된 상기 추가용 중간선반을 회동시켜, 상기 추가용 중간선반들이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얹혀지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책장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뒤판체결라인이 형성되어서, 상기 뒤판의 양단이 상기 뒤판체결라인과 맞물려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책장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 및 격벽 또는 상기 격벽 및 제2측판과 수직하게 위치하는 고정용 중간선반을 상기 제1측판 및 격벽 또는 상기 격벽 및 제2측판 사이에 각각 고정 배치하여, 상기 제1측판 및 격벽과 상기 격벽 및 제2측판의 고정력을 보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뒤판체결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뒤판체결라인이 마주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평판형상의 제1,2측판;
상기 제1,2측판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고정배치되어 상기 제1,2측판을 상호 평행하게 고정하는 천판 및 밑판;
경첩을 매개로 상기 제2측판의 일면에 접철가능하게 고정되는 추가용 중간선반; 및
상기 제1측판의 소정위치에, 상기 제2측판으로부터 펼쳐진 상기 추가용 중간 선반의 말단이 맞물려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측판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대;
를 포함하는 책장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책장에 있어서,
상기 경첩은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이동자 및 제2이동자와, 상기 제1이동자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하기 추가용 중간선반에 고정되는 제1고정관 및, 상기 제2이동자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2측판에 고정되는 제2고정관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책장 조립방법의 실시모습을 순차 도시한 분해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책장 조립방법은 다수의 중간선반(130)과 다수의 측판(110, 110', 110") 및 격벽(120, 120')을 조립하여, 책 또는 장식물 등을 꽂거나 진열할 수 있는 다수의 공간을 갖는 책장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수행된다.
1단계 ; 측판의 상단과 격벽의 상단, 측판의 하단과 격벽의 하단을 각각 천판과 밑판으로 연결하여 체결
책장(100)의 외벽을 이룰 수 있는 측판(110)과 격벽(120)을 밑판(140) 및 천판(150)을 매개로 상호 평행하게 고정한다. 이때, 상기 밑판(140)은 책장(100)의 최하단을 이루고, 상기 천판(150)은 책장(100)의 최상단을 이룬다.
상기 밑판(140) 및 천판(150)은 상기 측판(110)과 격벽(120)을 서로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별도의 체결부재로 단단히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부재로 라픽스 방식이 적용된다. 상기 라픽스 방식은 라픽스 볼트(181)와 라픽스 하우징(184)이 맞물려 고정되는 방식으로, 상기 라픽스 볼트(181)는 측판(110) 및 격벽(120)의 일면에 돌출되게 고정되고, 상기 라픽스 하우징(184)은 상기 밑판(140) 및 천판(150)의 측면에 끼워져서 상기 라픽스 하우징(184)에 형성된 홈(185)으로 상기 라픽스 볼트(181)가 맞물려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밑판(140) 및 천판(150) 이외에 고정용 중간선반(131)을 보강하여 측판(110)과 격벽(12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층의 중간선반(130)이 구성된 높은 책장(100)의 경우, 이웃하는 측판(110) 및 격벽(120)을 상단의 천판(150)과 하단의 밑판(140) 만으로 연결하는 것은 다소 불안정하다. 따라서, 측판(110)과 격벽(120)의 결속을 보완하기 위해 상기 천판(150)과 밑판(140)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중간선반(130)들 중 하나 이상을 고정용 중간선반(131)으로 선택하여, 상기 측판(110)과 격벽(120)을 흔들림이 없도록 상호 체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용 중간선반(131)은 측판(110) 및 격벽(120)과의 결합을 위 해 상기 천판(150) 및 밑판(140)과 동일한 라픽스 하우징과 라픽스 볼트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2단계 ; 밑판과 천판이 체결된 격벽의 대향면에 다른 밑판과 천판을 연결하고, 이 밑판과 천판을 매개로 다른 측판을 상기 격벽과 나란하게 고정 배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통해 조립되는 책장(1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중간선반(130)에 의해 다층을 이루면서, 다수의 측판(110, 110', 110")과 다수의 격벽(120, 12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는 다수의 칸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미 측판(110)과 격벽(120) 및, 상기 측판(110)과 격벽(120)을 상호 고정하는 밑판(140)과 천판(150)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에, 새로운 밑판(140')과 천판(150')을 상기 격벽(120)에 고정하고, 이렇게 고정된 상기 밑판(140')과 천판(150')을 새로운 측판(110')의 일면에 고정하여, 좌우로 두 칸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도, 고정용 중간선반(13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3단계 ; 뒤판고정
도 3을 통해 보이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측판(110, 110')과, 하나의 격벽(120) 및, 상기 측판(110, 110')과 격벽(120)을 상호 체결하는 밑판(140, 140')과 천판(150, 150')으로 조립된 책장(100)은, 그 뒷면을 덮기 위해 평판 형상의 뒤판(160)을 포함한다.
상기 뒤판(160)은 책장(100)의 뒷면을 완전히 폐구하여, 중간선반(130)에 놓인 각종 물품들이 책장(100)의 뒷면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뒤판(160)은 책장(100)의 뒷면을 완전히 폐구할 수 있으면서도 운반 및 설치 시의 편익을 담보할 수 있는 크기이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뒤판(160)의 크기는 측판(110, 110') 및 격벽(120)의 세로길이와, 상기 밑판(140, 140') 및 천판(150, 150')의 가로길이에 맞도록 하여, 운반과 조립에 무리가 없는 크기로 제작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책장 조립방법에 적용되는 뒤판(160)의 세로길이는 상기 측판(110, 110') 및 격벽(120)의 세로길이에 상응하고, 가로길이는 상기 밑판(140, 140') 및 천판(150, 150') 가로길이의 두 배에 상응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뒤판(160)은, 밑판(140, 140')과 천판(150, 150') 등을 매개로 상호 체결된 두 개의 측판(110, 110')과 하나의 격벽(120)이 점유하는 공간을 덮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할 것이다.
또한, 현장에서 이러한 크기의 뒤판(160)을 쉽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측판(110, 110')은 상기 격벽(120)에 비해 후단으로 소정길이만큼 돌출되고, 이렇게 돌출된 부분에는 세로방향을 따라 절개된 뒤판체결라인(111, 111', 1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측판(110)에 형성된 뒤판체결라인(111)과 마주하는 다른 측판(110')에 형성된 뒤판체결라인(111')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어 뒤판(160)의 양측단이 상기 뒤판체결라인(111, 111')으로 맞물려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측판(110')은 수평방향으로 책장의 범위를 확장하기 위해 새로운 밑 판(140")과 천판(150")이 결합될 수도 있으므로, 상기 뒤판체결라인(111')의 대향면에는 다른 뒤판체결라인(111")을 형성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격벽(120)은 상기 측판(110, 110') 보다 폭이 좁아 양단이 각각 상기 뒤판체결라인(111, 111')과 맞물리는 뒤판(160)이 상기 격벽(120)에 간섭없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뒤판(160)을 두 개의 측판(110, 110')과 하나의 격벽(120)으로 이루어진 두 칸의 책장에 하나씩 배치되도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격벽(120)을 둘 이상 두어 세 칸 이상의 책장에 하나씩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4단계 ; 격벽과 측판을 추가하여 책장을 확장
상기 측판(110')에 새로운 밑판(140")과 천판(150")을 추가하고, 새로운 격벽(120')으로 고정한다. 또한, 상기 격벽(120')에 또 다른 밑판과 천판을 추가 고정하고 측판(110")으로 고정한다.
물론, 각 칸에는 고정용 중간선반(131, 131', 131")이 더 구성될 수 있다.
5단계 ; 뒤판고정
새롭게 형성된 칸에 뒤판(160')을 고정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측판(110', 110")의 후단에는 상기 뒤판(160')의 양측단이 맞물려 끼워지는 뒤판체결라인(111")이 형성되어 상기 뒤판(16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6단계 ; 지지대 고정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추가용 중간선반의 안착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측판(110, 110', 110")과 격벽(120, 120')의 일면에 지지대(180)가 끼워진다.
상기 지지대(180)는 추가용 중간선반(134)의 말단을 지지하면서 상기 추가용 중간선반(134) 상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한다.
한편, 상기 격벽(120, 120')과 측판(110', 110")의 일면 소정위치에는 일단이 상기 격벽(120, 120') 및 측판(110', 110")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추가용 중간선반(134)이 구비된다. 상기 추가용 중간선반(134)은 상기 밑판(140) 및 천판(150)과는 달리 책장(100)을 지탱하지는 않으나, 책장(100)을 다층으로 하여 다양한 물건들을 얹어놓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추가용 중간선반(134)은 현장에서 책장(100)의 조립을 신속하고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격벽(120, 120') 및 측판(110', 110") 등에 기 설치되며, 설치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첩의 모습과 동작모습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추가용 중간선반(134)은 격벽(120, 120')과 측판(110', 110")에 이미 연결되어 출시된다. 이때, 상기 추가용 중간선반(134)은 격벽(120, 120') 및 측 판(110', 110")과 경첩(170)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경첩(170)은 양단이 각각 추가용 중간선반(134)과 격벽(120, 120') 또는 측판(110', 110")에 연결되며, 그 구조는 다음과 같다.
상기 경첩(170)은 힌지(175)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이동자(173) 및 제2이동자(174)를 포함하고, 이와 더불어 상기 제1,2이동자(173, 174)를 각각 이동가능하게 삽입하면서 상기 추가용 중간선반(134)에 삽입고정되는 제1고정관(171)과 상기 측판(110', 110") 및/또는 격벽(120, 120')에 삽입고정되는 제2고정관(172)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추가용 중간선반(134)은 측판(110', 110") 및 격벽(120, 120')의 조립 당시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판(110', 110") 및 격벽(120, 120')으로 접혀있게 된다.
7단계 ; 추가용 중간선반을 지지대 상에 얹어 수평하게 배치
상기 지지대(180)가 측판(110, 110', 110") 및 격벽(120, 120')의 소정위치에 모두 고정되면, 상기 지지대(180)가 마주하는 측판(110', 110") 또는 격벽(120, 120') 상에 고정된 추가용 중간선반(134)을 도 5(b) 및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첩(170)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수평하게 배치한 후, 상기 추가용 중간선반(134)을 도 5(d)와 같이 경첩(170) 방향으로 밀어서 추가용 중간선반(134)의 말단이 지지대(180)가 배치된 측판(110, 110', 110") 및 격벽(120, 120')의 일면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제1,2고정관(171, 172)과 제1,2이동자(173, 174)는 상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첩(170)은 외관상 드러나지 않으면서 상기 추가용 중간선반(134)을 상기 지지대(180)와 더불어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격벽(120, 120')과 다수의 측판(110, 110', 110")으로 인해 여러 개의 칸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다수개의 중간선반(130)으로 인해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대형 책장(100)을 조립할 경우, 현장에서의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그 조립 또한 용이하여 보다 신속하고 깔끔한 책장조립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층과 다수의 칸으로 이루어진 대형 책장을 현장에서 조립할 시에, 그 조립을 보다 신속하고 정교하게 할 수 있으며, 책장조립을 위한 자재의 운반 또한 용이하여, 책장의 운반 및 조립에 걸쳐 원활한 작업수행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평판형상의 제1측판과, 경첩을 매개로 접철가능하게 고정되는 추가용 중간선반을 구비한 평판형상의 제2측판을, 서로 마주하게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측판 및 제2측판과 수직하게 위치하는 천판 및 밑판을 상기 제1,2측판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고정 배치하여, 상기 제1,2측판이 상기 천판 및 밑판을 매개로 상호 평행하게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 사이의 뒷면을 폐구하는 뒤판을 씌우는 단계;
    상기 제1측판의 소정위치에 상기 제2측판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대를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측판에 고정된 상기 추가용 중간선반을 회동시켜, 상기 추가용 중간선반이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얹혀지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조립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뒤판체결라인이 형성되어서, 상기 뒤판의 양단이 상기 뒤판체결라인과 맞물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조립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은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이동자 및 제2이동자와, 상기 제1이동자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추가용 중간선반에 고정되는 제1고정관 및, 상기 제2이동자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2측판에 고정되는 제2고정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조립방법.
  4. 평판형상의 제1측판과,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이동자 및 제2이동자와, 상기 제1이동자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하기 추가용 중간선반에 고정되는 제1고정관 및, 상기 제2이동자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하기 격벽에 고정되는 제2고정관을 포함하는 경첩을 매개로, 접철가능하게 고정되는 추가용 중간선반을 구비한 평판형상의 격벽을,
    서로 마주하게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측판 및 격벽과 수직하게 위치하는 천판 및 밑판을 상기 제1측판 및 격벽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고정 배치하여, 상기 제1측판 및 격벽이 상기 천판 및 밑판을 매개로 상호 평행하게 고정하는 단계;
    상기 경첩과 동일한 종류의 경첩을 매개로 접철가능하게 고정되는 추가용 중간선반을 구비한 평판형상의 제2측판을, 상기 격벽과 서로 마주하게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 사이의 뒷면을 폐구하는 뒤판을 씌우는 단계;
    상기 제1측판 및 격벽의 소정위치에 상기 격벽과 제2측판을 향해 각각 돌출 되는 지지대를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격벽 및 제2측판에 각각 고정된 상기 추가용 중간선반을 회동시켜, 상기 추가용 중간선반들이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얹혀지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조립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뒤판체결라인이 형성되어서, 상기 뒤판의 양단이 상기 뒤판체결라인과 맞물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조립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 및 격벽 또는 상기 격벽 및 제2측판과 수직하게 위치하는 고정용 중간선반을 상기 제1측판 및 격벽 또는 상기 격벽 및 제2측판 사이에 각각 고정 배치하여, 상기 제1측판 및 격벽과 상기 격벽 및 제2측판의 고정력을 보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조립방법.
  7.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뒤판체결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뒤판체결라인이 마주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평판형상의 제1,2측판;
    상기 제1,2측판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고정배치되어 상기 제1,2측판을 상호 평행하게 고정하는 천판 및 밑판;
    경첩을 매개로 상기 제2측판의 일면에 접철가능하게 고정되는 추가용 중간선반; 및
    상기 제1측판의 소정위치에, 상기 제2측판으로부터 펼쳐진 상기 추가용 중간선반의 말단이 맞물려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측판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은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이동자 및 제2이동자와, 상기 제1이동자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하기 추가용 중간선반에 고정되는 제1고정관 및, 상기 제2이동자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2측판에 고정되는 제2고정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KR1020060052550A 2006-06-12 2006-06-12 책장 조립방법과 책장 KR100751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550A KR100751868B1 (ko) 2006-06-12 2006-06-12 책장 조립방법과 책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550A KR100751868B1 (ko) 2006-06-12 2006-06-12 책장 조립방법과 책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1868B1 true KR100751868B1 (ko) 2007-08-23

Family

ID=38615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550A KR100751868B1 (ko) 2006-06-12 2006-06-12 책장 조립방법과 책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18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145Y1 (ko) 2008-04-07 2010-03-19 두진홍 조립식 책장
CN108209215A (zh) * 2018-03-15 2018-06-29 河北振兴柜业有限公司 一种模块化钢质组合书架
KR102341472B1 (ko) 2020-07-31 2021-12-22 기영미 확장성과 간편성을 갖춘 조립식 수납 진열가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830A (ja) * 1992-01-07 1994-03-22 Kazumi Kamaike 家具部材の接合構造及び組立て家具、及び家具の組立てに使用する接合部材及び蓋部材
KR970000254U (ko) * 1995-06-02 1997-01-21 이대룡 가구용 서랍레일
KR200162984Y1 (ko) * 1997-02-28 1999-12-15 김인철 조립식 콘솔
KR200211411Y1 (ko) * 2000-07-15 2001-01-15 대신자토산업주식회사 조립식 수납구겸 책장
KR200334261Y1 (ko) * 2003-08-12 2003-11-21 김득근 미닫이 장롱
JP2005237671A (ja) * 2004-02-26 2005-09-08 Misawa Homes Co Ltd 収納家具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830A (ja) * 1992-01-07 1994-03-22 Kazumi Kamaike 家具部材の接合構造及び組立て家具、及び家具の組立てに使用する接合部材及び蓋部材
KR970000254U (ko) * 1995-06-02 1997-01-21 이대룡 가구용 서랍레일
KR200162984Y1 (ko) * 1997-02-28 1999-12-15 김인철 조립식 콘솔
KR200211411Y1 (ko) * 2000-07-15 2001-01-15 대신자토산업주식회사 조립식 수납구겸 책장
KR200334261Y1 (ko) * 2003-08-12 2003-11-21 김득근 미닫이 장롱
JP2005237671A (ja) * 2004-02-26 2005-09-08 Misawa Homes Co Ltd 収納家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145Y1 (ko) 2008-04-07 2010-03-19 두진홍 조립식 책장
CN108209215A (zh) * 2018-03-15 2018-06-29 河北振兴柜业有限公司 一种模块化钢质组合书架
KR102341472B1 (ko) 2020-07-31 2021-12-22 기영미 확장성과 간편성을 갖춘 조립식 수납 진열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8932B2 (en) Partition panel system and method
US8967738B2 (en) Customizable expandable storage systems for the home
WO2004090250A1 (en) Straddle bin
US5695264A (en) Portable office
US5117989A (en) Shelf storage furniture apparatus
EP3453014B1 (en) A display unit
KR100751868B1 (ko) 책장 조립방법과 책장
US20110088332A1 (en) Modular Closet Unit
JP5421308B2 (ja) システム机
JP2002199949A (ja) 組立式収納補助家具
BE1017256A3 (nl) Modulaire kast en draagprofiel daarbij toegepast.
KR20110000634U (ko) 수납공간을 전,후방 공간부로 구획 가능한 격벽을 갖는 가변 조립식 수납선반
CN109645669A (zh) 可收纳隔板
JP3552948B2 (ja) 間仕切用折畳み保管庫
KR101538375B1 (ko) 수납함을 구비한 조립식 파티션
JP3382652B2 (ja) 間仕切り収納家具
JP3382651B2 (ja) 間仕切り収納家具
KR200228183Y1 (ko) 절첩식 책장
JPH10148000A (ja) 自立型間仕切り
KR930002919Y1 (ko) 간이 조립 가구세트
JPH06225815A (ja) 間仕切り収納家具
JP2005299082A (ja) 壁面収納システム
KR200405623Y1 (ko) 조립식 cd 수납장
JPH0658739U (ja) 収納家具
JPH04133740U (ja) 引出し付き本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13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