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328Y1 -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328Y1
KR200378328Y1 KR20-2004-0036224U KR20040036224U KR200378328Y1 KR 200378328 Y1 KR200378328 Y1 KR 200378328Y1 KR 20040036224 U KR20040036224 U KR 20040036224U KR 200378328 Y1 KR200378328 Y1 KR 2003783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phalt
reinforcement
support
coating devic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2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조순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건설
김원기
에스앤피 클레버 리인포스먼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건설, 김원기, 에스앤피 클레버 리인포스먼트 아게 filed Critical (주)에스엔건설
Priority to KR20-2004-00362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3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3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3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01C11/165Reinforcements particularly for bituminous or rubber- or plastic-bound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01C19/522Apparatus for laying the elements by rolling or unfolding, e.g. for temporary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1/00Machine characteristics, part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1C2301/02Feeding devices for pa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아스팔트 보강재를 아스팔트 기층표면에 도포하는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롤링된 상기 보강재의 중심에 봉을 입설하고, 상기 봉의 양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로 이루어진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하방에 결합된 압착롤러; 하단에 바퀴 및 상단에 손잡이부가 결합된 조향부재; 및 상기 지지체 및 조향부재를 연결하는 수평프레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의하면 부피 및 중량이 작은 소형이기 때문에 이동성 및 작업의 신속성이 뛰어나고, 더욱이 인출된 보강재의 하부 즉, 아스팔트 기층표면에 근접한 부분에만 화염을 분사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Applying system of asphalt Reinforcement}
본 고안은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스팔트 보강재를 아스팔트 기층표면에 보다 원활하게 도포하기 위한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스팔트는 교통하중, 지반거동 뿐만 아니라 결빙, 해빙 및 결빙을 없애는 염화물의 침입이 포장면에 수직 또는 수평변형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이러한 아스팔트는 균열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보강재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특히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02-50024호 ‘아스팔트 보강재 제조방법 및 그 도포방법’에서는 매우 획기적인 아스팔트 보강재 및 도포방법을 제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여 보강재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로 격자망(110)을 형성하고, 상기 격자망(110)을 아스팔트 에멀젼에 함침하여 제조된다. 또한 상기 보강재(100)를 원통형으로 롤링하여 보관 및 운반할 때, 서로 엉겨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면에 필름(120)을 부착하고, 또한 표면을 모래(130)로 샌딩처리하여 아스팔트 보강재를 제조한다. 또한 그 보강재 도포방법은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스팔트의 기층표면(200)에 아스팔트 보강재(100)를 배치시키고, 다시 상기 아스팔트 보강재(100) 상에 아스팔트 상층(300)을 포장하는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방법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보강재(100)는 아스팔트 기층표면(200)에 배치되는 순간 그 저면의 필름(120)이 용융되면서 아스팔트 기층표면(200)에 견고히 부착될 수 있도록 화염에 의해 가열되어 보강하는 것이었다.
또한 이와 같은 아스팔트 보강재를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도포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01599호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가 제안되었는 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된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수평 프레임이 결합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단에는 각각 수직 프레임이 전후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부에 수직 지지대가 입설된 수평 지지대와 또 하나의 수평 지지대가 상기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수직 프레임의 후단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된 뼈대;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전방에 일정간격을 두고 전방을 향하도록 결합된 수평 지지대의 전방에 결합되어 있는 ‘П’자 형상의 릴 지지대의 최전방 안쪽에 형성된 한쌍의 릴; 상기 한 쌍의 릴에 장착된 원통으로부터 공급되어 아스팔트 기층표면과 다짐용 롤러 사이로 진입하는 보강재에 근접되게 배치되어 보강재 일면에 부착된 비닐을 제거하는 버너;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단에 연장된 연장 수직 프레임의 최하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릴로부터 공급되는 보강재를 아스팔트 기층표면에 밀착시키는 다짐용 롤러; 및 상기 수평 프레임의 후방 밑면에 지지편으로 결합된 고정축에 결합되어 상기 다짐용 롤러에 의해 아스팔트 기층표면에 밀착된 보강재를 압착시켜 도포하는 압착용 롤러로 구성되었다.
상술한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를 이용하여 보강재를 원활하게 도포할 수 있으나, 그 부피 및 중량이 너무나 커서 작동 또는 운반하는데 지게차 등의 다른 차량의 도움을 받아야만 작동 및 운반할 수 있을 정도의 부피 및 중량을 가진 것이었다.
또한 상기 필름은 기층표면에 밀착되기 직전에 용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이를 위해 인출된 보강재의 하부에만 화염을 분사하여 필름을 용융시켜야 한다. 그러나 화염의 세기, 바람의 영향 및 필름의 특성상 인출된 보강재의 상부까지 필름이 용융되기도 하고, 심지어 아직 언롤링되지 아니한 원통형의 보강재까지도 화염이 옮겨 붙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또한 계절적 영향 등으로 아스팔트 기층표면의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보강재 도포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화염에 의해 가열되고 필름이 용융된 보강재가 상기 온도가 낮은 기층표면에 제대로 접합되지 아니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상기 압착롤러가 상기 필름이 용융된 보강재를 압착함에 따라, 상기 압착롤러의 표면에 용융된 필름 또는 이물질이 부착되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동성이 뛰어난 소형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아스팔트 보강재 뿐만 아니라 아스팔트 기층표면을 예열함으로써 상기 보강재 및 기층표면간의 접합이 우수한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는 아스팔트 보강재를 아스팔트 기층표면에 도포하는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롤링된 상기 보강재의 중심에 봉을 입설하고, 상기 봉의 양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로 이루어진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하방에 결합된 압착롤러;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단에 바퀴 및 상단에 손잡이부가 결합된 조향부재; 및 상기 지지체 및 조향부재를 연결하는 수평프레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의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조향부재의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가 설정된 각도에서 유지되도록 조임부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가, 상기 한 쌍의 지지대 하부에 금속재의 차폐막이 더 부가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체의 각 상면에, 상기 봉이 안착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철형 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는 보강재 지지체(10), 압착롤러(15), 조향부재(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지지체(10)는 수직으로 입설된 한 쌍의 지지대(11)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대(11)의 중간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1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대(11)의 상면은 철(凸)형 홈(13a)이 형성된 안착부(1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13a)에 원통형으로 롤링된 아스팔트 보강재(30)의 중심을 관통하는 봉(31)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11)의 하부에는 금속재의 차폐막(23)이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보강재(30)의 일면에 부착된 필름을 용융하기 위하여 필름용융용 토치(41)에서 화염을 분사하는데, 이 때, 상기 화염이 인출된 보강재(30)의 하면에만 도달하게 하고, 상부에는 화염이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보강재(30) 및 아스팔트 기층표면(32) 간의 접합효율을 높이고, 화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압착롤러(15)는 다수개로 구성되어 중심 축(14)에 결합되며, 상기 중심 축(14)은 상기 지지체(10), 구체적으로는 상기 연결대(12)의 하방에 연결된다. 또한 각 압착롤러(15)는 상기 중심 축(14)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나의 압착롤러가 이물질로 인해 상승한다 해도 나머지 압착롤러는 지속적으로 아스팔트 기층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압착롤러(15)는 자중에 의해 필름이 용융된 보강재(30)를 아스팔트 기층표면에 압착하여 도포한다.
상기 조향부재(17)는 수직으로 입설된 수직 지지대(18), 상기 수직지지대(18)의 하단에 바퀴(19) 및 상단에 손잡이부(2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바퀴(19)는 360°회전가능하며, 상기 손잡이부(20)는 상기 수직지지대(18)를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20)를 회동하여 소정의 각도를 설정하고,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일측에 조임부재(2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부(20)를 후방의 적당한 각도로 회동시키고, 이 상태에서 조임부재(21)를 조여 상기 각도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본 보강재 도포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작업을 하지 아니하고 보관 또는 운반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조임부재(21)를 풀어 상기 손잡이부(20)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소요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향부재(17) 및 지지체(10)를 수평프레임(22)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조향부재(17)의 조작에 의해 상기 지지체(10) 및 이에 연결된 압착롤러(15)의 진행방향을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보강재 도포장치를 이용한 보강재 도포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아스팔트 기층표면 상에 아스팔트 에멀젼을 도포한다. 다음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롤링된 보강재(30)의 중심에 봉(31)을 입설하고, 상기 봉(31)의 양단을 상기 지지대(11)의 홈(13a)에 안착하여 지지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대(11)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재(30)를 언롤링하여 그 선단부를 차폐막(23)의 후방을 따라 아스팔트 기층표면(32) 가까이 인출시킨다. 이 상태에서 별도로 구비되어 보조 작업자가 휴대하거나 또는 본 보강재 도포장치의 일측에 마련된 화염발생장치와 연결된 필름용융용 토치(41)를 이용해 본 보강재 도포장치의 전방에서 상기 차폐막(23) 하부로 노출된 보강재에 화염을 분사한다. 한편으로는 아스팔트 기층표면(32)에 도포된 아스팔트 에멀젼도 기층표면 예열용 토치(42)을 이용해 화염을 분사하여 예열한다. 그러나 이와 달리 상기 아스팔트 에멀젼의 예열은 직접 화염이 분사되지 아니하고, 열을 방사하는 수단을 이용하여 간접가열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필름이 용융되고 한편으로는 기층표면(32)이 예열된 후, 상기 필름이 용융된 보강재(30)를 상기 압착롤러(15) 및 기층표면(32) 사이로 삽입하고 상기 압착롤러(15)를 진행시켜 자중에 의해 도포한다. 또 한편으로는 분사노즐(43)을 통해 주기적으로 계면활성제를 상기 압착롤러의 표면에 분사하여 상기 압착롤러(15)의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도포한다. 또한 상기 화염발생장치 및 이에 연결된 토치(필름용융용 토치 및 기층표면 예열용 토치)를 본 보강재 도포장치의 일측에 구비하여 주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계면활성제의 분사도 역시 계면활성제 수용탱크 및 이에 연결된 분사노즐 역시 본 보강재 도포장치의 일측에 구비하여 주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분사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부피 및 중량이 작은 소형이기 때문에 이동성 및 작업의 신속성이 뛰어나다.
또한 인출된 보강재의 하부 즉, 아스팔트 기층표면에 근접한 부분에만 화염을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 보강재 뿐만 아니라 아스팔트 기층표면을 예열함으로써 상기 보강재 및 기층표면간의 접합이 우수하다.
또한 압착롤러의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의 중단 없이 신속하게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도포장치는 비교적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코너링이 우수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 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아스팔트 보강재의 분리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의 보강재 도포장치를 이용한 도포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지체 11: 지지대 12: 연결대
13: 안착부 13a: 홈 14: 중심 축
15: 압착롤러 16: 연결지지대 17: 조향부재
18: 수직지지대 19: 바퀴 20: 손잡이부
21: 조임부재 22: 수평프레임 23: 차폐막
30: 아스팔트 보강재 31: 봉 32: 아스팔트기층표면
41: 필름용융용 토치 42: 기층표면 예열용 토치 43: 분사노즐

Claims (5)

  1. 아스팔트 보강재를 아스팔트 기층표면에 도포하는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롤링된 상기 보강재의 중심에 봉을 입설하고, 상기 봉의 양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로 이루어진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하방에 결합된 압착롤러;
    수직으로 입설된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단에 바퀴 및 상단에 손잡이부가 결합된 조향부재; 및
    상기 지지체 및 조향부재를 연결하는 수평프레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조향부재의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상기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가 설정된 각도에서 유지되도록 조임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대 하부에 금속재의 차폐막이 더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체의 각 상면에, 상기 봉이 안착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철형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KR20-2004-0036224U 2004-12-21 2004-12-21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KR2003783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224U KR200378328Y1 (ko) 2004-12-21 2004-12-21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224U KR200378328Y1 (ko) 2004-12-21 2004-12-21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9326A Division KR100536147B1 (ko) 2004-12-21 2004-12-21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재 도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328Y1 true KR200378328Y1 (ko) 2005-03-14

Family

ID=43680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224U KR200378328Y1 (ko) 2004-12-21 2004-12-21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32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389B1 (ko) 아스팔트 보강용 섬유그리드 도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포방법
KR100536147B1 (ko)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재 도포방법
KR101817121B1 (ko) 방수시트 시공장치
KR200378328Y1 (ko)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US3761335A (en) Method for the wiping transfer of bonding agent onto a longitudinal member and an underlapping margin of a tape on the longitudinal member
KR100536146B1 (ko)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재 도포방법
KR200378327Y1 (ko)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CN219664090U (zh) 一种板材底板涂油设备
US6369342B1 (en) Method of manufacture for a metal pallet
KR20060015707A (ko) 방수시트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CN209443682U (zh) 一种移动式防水卷材铺设装置
CN211713701U (zh) 一种沥青防水卷材铺设装置
CN215244520U (zh) 一种风电塔筒运输装置
KR102249540B1 (ko) 배관 이송용 롤링 이송장치
CN109229471B (zh) 用于钢管的无纺布自动包裹装置
KR101797581B1 (ko) 보강재 포설장치
JPH026622B2 (ko)
US2764808A (en) Method of producing a protected metal article
CN112282386A (zh) 一种沥青防水卷材铺贴压实机具
CN214169696U (zh) 一种屋面防水卷材铺设用加热装置
KR200420328Y1 (ko) 방수시공장치
JP3145236U (ja) ガスバーナー運搬用キャリア
CN108723710A (zh) 一种简易起重机走台支撑装置的制作方法
CN219930663U (zh) 一种公路施工用铺膜装置
CN219382501U (zh) 防滚落式防水卷材转运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