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320Y1 - 잉크카트리지용 석션키트 - Google Patents

잉크카트리지용 석션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320Y1
KR200378320Y1 KR20-2004-0036127U KR20040036127U KR200378320Y1 KR 200378320 Y1 KR200378320 Y1 KR 200378320Y1 KR 20040036127 U KR20040036127 U KR 20040036127U KR 200378320 Y1 KR200378320 Y1 KR 2003783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ink
ink cartridge
slider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1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춘
조남부
이정국
허백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잉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잉크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잉크테크
Priority to KR20-2004-00361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3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3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320Y1/ko
Priority to PCT/KR2005/002579 priority patent/WO2006068361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2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by driving a fluid through the nozzles to the outside thereof, e.g. by applying pressure to the inside or vacuum at the outside of the print head
    • B41J2/16526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by driving a fluid through the nozzles to the outside thereof, e.g. by applying pressure to the inside or vacuum at the outside of the print head by applying pressure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9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for removing air bubble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잉크카트리지용 석션키트에 관한 것으로, 일측이 밀폐된 통 형상을 갖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내부에 기밀을 유지하면서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되는 슬라이더(20)와, 일측 단부가 상기 슬라이더(20)에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바디(10)의 밀폐된 일측을 관통하여 기밀을 유지하면서 슬라이딩되도록 끼워지며 슬라이더(20)에 고정된 부위의 외부와 그와 반대쪽 단부를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된 로드(24)와, 탄력적인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로드(24)의 타측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로드(24)의 내부와 연결되는 관통구멍(34)이 형성된 패드(30)를 포함하며, 이에 의하면 잉크카트리지내의 공기 및 잉크를 손쉽게 빼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잉크카트리지용 석션키트{Suction kit for ink cartridge}
본 고안은 잉크카트리지용 석션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잉크카트리지내의 공기 및 잉크를 손쉽게 빼낼 수 있도록 된 잉크카트리지용 석션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 프린터에 사용되는 잉크카트리지는 내부에 잉크가 충전되고 외부 일측에 마련된 잉크분사노즐을 통해 잉크가 분사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잉크카트리지는 잉크가 완전히 소모되면 새것으로 교환되어진다.
대개 잉크카트리지는 정상적인 사용 조건에서 잉크가 전량 소모되어도 잉크 분사노즐을 포함한 프린트 헤드의 성능이 유지되기 때문에 잉크카트리지가 새것인 경우 10회 이상 잉크를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사용자는 고가인 잉크카트리지를 새것으로 교환하기보다는 사용된 잉크카트리지에 잉크를 충전하여 재활용하고 있다.
잉크카트리지에 잉크를 충전하는 방법은 잉크카트리지의 구조에 따라 다르며, 특히 자동 압력 조절식 구조를 갖는 잉크카트리지에 잉크를 충전하는 경우, 잉크를 충전한 다음 잉크카트리지의 내부 압력이 평형을 이루도록 내부의 공기 및 소정량의 잉크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자동 압력 조절식 구조를 갖는 잉크카트리지에 잉크를 충전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키트가 알려져 있는바, 대개 상기 키트는 잉크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케이스와, 그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잉크카트리지의 잉크분사노즐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패드 및 공기와 잉크를 배출시키는데 사용되는 내압조절기를 포함하며, 상기 내압조절기는 선단부가 뾰족한 원통형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이루어진다.
즉, 케이스에 잉크카트리지를 장착하여 그 잉크카트리지에 잉크의 충전 작업이 완료되면, 내압조절기를 이루는 원통형 실린더의 뾰족한 선단부를 패드의 중앙 부위에 끼운 후 피스톤을 후진시킴으로써 잉크분사노즐을 통해 잉크카트리지 내부의 공기와 잉크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내압조절작업이 수행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에 의해 공기와 잉크를 잉크카트리지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법은, 패드를 갖는 케이스에 잉크카트리지를 장착한 후 별도로 구비되는 내압조절기를 이용하여 잉크카트리지의 공기와 잉크를 외부로 빼내는 것으로 그 작업 방법이 번거로운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게다가, 이 케이스는 잉크카트리지의 종류에 따라 다른 규격을 갖도록 나뉘어짐으로써 종래의 방법에 의해 내압조절기를 사용하려면 각 잉크카트리지에 적합한 케이스가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도 갖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잉크카트리지의 잉크분사노즐에 직접 밀착되어 잉크카트리지로부터 잉크 및 공기를 빼낼 수 있도록 간단한 구조를 갖는 잉크카트리지용 석션키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일측이 밀폐된 통 형상을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내부에 기밀을 유지하면서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되는 슬라이더와, 일측 단부가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바디의 밀폐된 일측을 관통하여 기밀을 유지하면서 슬라이딩되도록 끼워지며 슬라이더에 고정된 부위의 외부와 그와 반대쪽 단부를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된 로드와, 탄력적인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로드의 타측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로드의 내부와 연결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패드를 포함하는 잉크카트리지용 석션키트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잉크카트리지용 석션키트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2는 평면도이며, 도3은 단면도이다.
바디(10)는 일측이 밀폐된 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바디(10)의 내부에 기밀을 유지하면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슬라이더(20)가 장착된다.
상기 바디(10)는 적어도 상기 슬라이더(20)가 이동하는 거리에서 원, 타원, 다각형 등의 형상이 연속된 단면을 가지며, 이 바디(10)의 단면 형상은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제조의 용이성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디(10)의 단면 형상이 밀폐된 일측 단부를 제외한 전체 길이에 걸쳐 원 모양으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20)도 바디(10)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원 모양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10)의 밀폐된 일측 단부에는 그 중앙에 바디(10)와 평행한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로드 지지구(12)가 관통하여 고정된다.
상기 로드 지지구(12)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그 단면은 원, 타원, 다각형 등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드 지지구(12)의 단면 형상이 원 모양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20)의 가장자리 부위와 바디(10)의 내부 표면 사이를 통해 공기 및 잉크 등의 유체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바, 슬라이더(20)의 외주면에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O-링(22)이 장착되고 그 O-링(22)이 바디(10)의 내부 표면에 밀착된다.
물론, 상기 슬라이더(20)의 가장자리 부위와 바디(10)의 내부 표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다른 구성도 채택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슬라이더(20)가 약간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이 슬라이더(20)의 가장자리가 약간 수축되면서 바디(10)의 내부 표면에 밀착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20)에는 상기 바디(10)의 로드 지지구(12)에 끼워지는 로드(24)가 고정되며, 상기 로드(24)는 바디(10)와 나란한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다. 상기 로드(24)의 단면은 로드 지지구(12)의 단면 형상에 부합하도록 원, 타원, 다각형 등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드 지지구(12)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원 모양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24)의 가장자리 부위와 로드 지지구(12)의 내부 표면 사이를 통해 공기 및 잉크 등의 유체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바, 로드(24)의 외주면에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O-링(26)이 장착되고 그 O-링(26)이 로드 지지구(12)의 내부 표면에 밀착된다. 물론, 상기 로드(24)가 약간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이 로드(24)의 가장자리가 약간 수축되면서 로드 지지구(12)의 내부 표면에 밀착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로드(24)에 장착되는 O-링(26)은 슬라이더(20)와 함께 이동되는 로드(24)의 이동 거리에 따라 그 로드(24)의 여러 개소에 배치됨으로써 로드(24)와 로드 지지구(12)의 사이가 항상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로드(24)에는 일측 단부의 외부와 타측 단부를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는바, 이 통로는 로드(24)의 내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중공부를 갖게 하고 슬라이더(20)에 연결된 부위에 방사상으로 관통된 적어도 1개의 홀(25)이 형성된 것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홀(25)의 위치는 슬라이더(20)가 로드지지구(12) 쪽으로 최대한 이동된 상태일 때 홀(25)이 로드지지구(12)의 내측에 위치되고 슬라이더(20)가 로드지지구(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홀(25)이 로드지지구(12)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24)에는 슬라이더(20)가 연결된 부위와 반대쪽 단부에 패드(30)가 고정 설치되며, 이 패드(30)는 탄력적인 고무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패드(30)는 잉크카트리지의 잉크분사노즐을 이루는 가장자리 부위에 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바, 상기 패드(30)의 가장자리 부위는 잉크카트리지의 잉크분사노즐을 이루는 가장자리 부위에 밀착될 수 있도록 평탄하게 형성되고, 그 패드(30)의 중앙 부위에는 패드(30)가 잉크분사노즐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오목한 홈(32)이 형성되며, 상기 홈(32)에는 로드(24)의 중공부와 연결되는 관통구멍(3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패드(30)에는 로드(24)의 끝단 부위를 감싸는 형상의 결합지지구(36)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결합지지구(36)는 패드(30)가 로드(24)의 끝단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다. 물론, 상기 결합지지구(36)는 패드(30)와 동일한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결합지지구(36)의 강도를 패드(30)에 비하여 크게 형성하는 것도 좋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패드(30)를 로드(24)쪽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된 패드 지지구(40)를 가지며, 상기 패드 지지구(40)는 상기 결합지지구(36)의 하단과 외주면 및 상기 패드(30)의 하단에 면 접촉하여 패드(30)를 지지하는 형상을 가지며, 이 패드 지지구(40)는 상기 로드(24)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패드 지지구(40)는 바디(10) 쪽으로 길게 연장된 모양을 갖는 것이 좋으며, 이렇게 연장된 부위는 바디(10)의 외표면을 타고 슬라이딩되면서 로드(24)가 바디(10)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딩되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잉크카트리지용 석션키트를 이용하여 잉크카트리지내의 공기 및 잉크를 빼내는 작업방법을 설명한다.
잉크 충전이 완료되거나 잉크분사노즐 부위가 막혀 출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잉크카트리지를 잉크분사노즐이 상부에 위치되도록 바닥 등에 놓고, 패드(30)가 하부에 있도록 하여 본 고안의 석션키트를 잉크카트리지의 상부에 위치시킨다. 이때, 석션키트의 슬라이더(20)는 도4의 (a)에 도시된 것처럼 바디(10)의 밀폐된 일측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이동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석션키트의 패드(30)가 잉크분사노즐에 밀착되도록 석션키트를 이동시키면, 패드(30)의 가장자리 부위와 잉크분사노즐의 가장자리 부위가 밀착되어 잉크분사노즐이 외부 공기와 차단되는 실링 상태가 된다.
계속하여, 바디(10)를 손으로 잡고 도4의 (b) 및 도4의 (c)에 도시된 것처럼 패드(30) 쪽으로 밀어 이동시키며, 이때 바디(10)의 내부에 장착된 슬라이더(20)가 바디(10)와 상대 이동하는 작용에 의해 바디(10)의 내부가 진공 압력을 갖게 된다.
그리고, 바디(10)의 진공 압력은 로드(24)에 형성된 홀(25)과 로드(24)의 중공부 및 패드(30)의 관통구멍(34)을 통해 잉크분사노즐에 미치며, 이 진공 압력에 의해 잉크카트리지 내부의 공기와 잉크가 상기 패드(30)의 관통구멍(34), 로드(24)의 중공부 및 그 로드(24)에 형성된 홀(25)을 통해 바디(10)의 내부로 빨려 배출된다.
이와 같이 잉크카트리지 내부의 공기와 잉크를 소정량 배출시킨 후, 석션키트를 잉크카트리지의 잉크분사노즐로부터 분리시킨다. 물론, 바디(10)를 패드(30) 쪽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길이가 크면 클수록 잉크카트리지 내부의 공기와 잉크가 더 많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작업이 완료되면, 석션키트의 내부를 소제하고, 슬라이더(20)가 바디(10)의 밀폐된 일측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이동시킨 후, 본 고안의 석션키트를 다음 작업을 위해 보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잉크카트리지용 석션키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먼저, 패드를 잉크카트리지의 잉크분사노즐에 밀착시킨 후 바디를 잉크분사노즐 쪽으로 미는 간단한 조작으로 잉크카트리지내의 공기와 잉크를 외부로 빼낼 수 있어 조작성이 우수하다.
다음, 서로 다른 규격을 갖는 잉크카트리지에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어 호환성이 우수하다.
게다가, 잉크분사노즐 부위가 막혀 출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본 고안의 석션키트를 이용하여 잉크분사노즐을 통해 소량의 잉크를 외부로 빼냄으로써 잉크분사노즐의 막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잉크카트리지용 석션키트를 나타낸 정면도;
도2는 도1의 평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잉크카트리지용 석션키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4의 (a) 내지 (c)는 본 고안에 따른 잉크카트리지용 석션키트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디 12 : 로드지지구
20 : 슬라이더 22, 26 : O-링
24 : 로드 25 : 홀
30 : 패드 32 : 홈
34 : 관통구멍 36 : 결합지지구
40 : 패드지지구

Claims (6)

  1. 일측이 밀폐된 통 형상을 갖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내부에 기밀을 유지하면서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되는 슬라이더(20)와,
    일측 단부가 상기 슬라이더(20)에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바디(10)의 밀폐된 일측을 관통하여 기밀을 유지하면서 슬라이딩되도록 끼워지며 슬라이더(20)에 고정된 부위의 외부와 그와 반대쪽 단부를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된 로드(24)와,
    탄력적인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로드(24)의 타측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로드(24)의 내부와 연결되는 관통구멍(34)이 형성된 패드(30)를 포함하는 잉크카트리지용 석션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30)의 로드(24) 쪽 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로드(24)에 고정된 패드지지구(40)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용 석션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는 밀폐된 일측 단부에 상기 로드(24)의 외부를 소정 길이 감싸는 형상을 갖는 로드지지구(12)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용 석션키트.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20)와 로드(24)에는 외부 표면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O-링(22)(26)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용 석션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로드(24)의 내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중공부와, 상기 슬라이더(20)에 연결된 부위의 로드(24)에 방사상으로 관통된 적어도 1개의 홀(25)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용 석션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30)는 잉크카트리지의 잉크분사노즐이 위치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34)이 위치되는 홈(32)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용 석션키트.
KR20-2004-0036127U 2004-12-20 2004-12-20 잉크카트리지용 석션키트 KR2003783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127U KR200378320Y1 (ko) 2004-12-20 2004-12-20 잉크카트리지용 석션키트
PCT/KR2005/002579 WO2006068361A1 (en) 2004-12-20 2005-08-08 Suction kit for ink cart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127U KR200378320Y1 (ko) 2004-12-20 2004-12-20 잉크카트리지용 석션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320Y1 true KR200378320Y1 (ko) 2005-03-14

Family

ID=36601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127U KR200378320Y1 (ko) 2004-12-20 2004-12-20 잉크카트리지용 석션키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78320Y1 (ko)
WO (1) WO2006068361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3307B2 (ja) * 1997-01-24 2005-01-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のインク供給路の気泡排除方法、及びこれに適した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US5905518A (en) * 1998-04-29 1999-05-18 Hewlett-Packard Company One shot air purge for replaceable ink supp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68361A1 (en) 200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87431C (zh) 给墨盒充墨的方法、墨盒填充器、夹具和墨供应系统
US1152950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uncturing the epidermis with controlled fluid delivery
JP4702435B2 (ja) インク充填装置、及びインク充填用の治具
JP5131754B2 (ja) フォーマーポンプ
KR20020066224A (ko) 액체 용기, 액체 용기용 탄성 부재 및 기록 장치
EP1281443A2 (en) Pump dispenser and spray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US5883652A (en) Device for filling up a container with fluid
JP6435182B2 (ja) エアゾール容器の定量噴射機構
KR200378320Y1 (ko) 잉크카트리지용 석션키트
JP6064066B2 (ja) 噴出器
JP6726606B2 (ja) 噴出器
JP4479280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7530860A (ja) ノンインパクト噴射吐出モジュール及び方法
JP5567450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WO2012153542A1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
KR101355655B1 (ko) 잔존물 제거를 위한 공기분출형 화장품 용기
JP2006095817A (ja) 液体噴射装置の液体供給針構造
JP4236748B2 (ja) 液体射出器
JP7268224B1 (ja) 液体噴出器
JP4318169B2 (ja) ポンプ
JP2005288344A (ja) 縦型ポンプ
JP2006082318A (ja) インク充填装置、インク充填構造、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充填方法
KR100436621B1 (ko) 잉크 리필 장치
JPH08198298A (ja) 定量噴出バルブと定量噴出バルブ用噴射頭を有する定量 噴出バルブと定量噴出バルブ用噴射頭を有する定量噴出 バルブの定量噴出方法
KR200328152Y1 (ko) 잉크 리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