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232Y1 - 떡 성형기 - Google Patents

떡 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232Y1
KR200376232Y1 KR20-2004-0032816U KR20040032816U KR200376232Y1 KR 200376232 Y1 KR200376232 Y1 KR 200376232Y1 KR 20040032816 U KR20040032816 U KR 20040032816U KR 200376232 Y1 KR200376232 Y1 KR 2003762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ing
rice cake
power transmission
dough
transmiss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8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근
박상민
Original Assignee
김봉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근 filed Critical 김봉근
Priority to KR20-2004-00328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2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2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2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21C11/163Applying co-extrusion, i.e. extruding two or more plastic substances simultaneously, e.g. for making filled dough products; Making products from two or more different substances supplied to the extrud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떡 성형기에 관한 것이며, 좀더 상세하게는 가래떡 또는 떡볶이에 쓰이는 떡살과 같이 쌀 및/또는 밀가루의 반죽을 압출하여 일정길이의 바아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반죽이 보관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와 연통되는 이송용중공부를 갖는 케이스와, 외주면에 나선형 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용중공부에 삽입되는 스크류와, 상기 호퍼를 통해 이송용중공부로 유입된 반죽이 상기 케이스의 일방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상기 케이스의 일방에 배치되고 충진물이 이송되는 주입관과 연통되는 노즐을 갖춘 혼합기구로 된 떡압출장치; 충진물이 보관되는 충진물탱크로 힘을 가해 충진물을 상기 주입관으로 강제이송시키는 충진물압출장치; 및, 상기 노즐을 통해 압출되는 가래떡을 절단하는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떡 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충진물압출장치는, 상기 충진물탱크가 중공된 관형상이면서 그 일면은 개구되고 타면은 상기 주입관과 연결된 호스와 연통되며, 상기 충진물탱크의 개구된 일면으로 삽입되고 동력전달바아를 매개로 동력을 전달받아 직선운동을 하면서 중공에 압력을 가해 상기 중공에 보관된 충진물이 상기 호스를 타고 상기 주입관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피스톤이 구비된 압입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떡 성형기{Forming apparatus for rice cake}
본 고안은 떡 성형기에 관한 것이며, 좀더 상세하게는 가래떡 또는 떡볶이에 쓰이는 떡살과 같이 쌀 및/또는 밀가루의 반죽을 압출하여 일정길이의 바아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쌀 및/또는 밀가루의 반죽이 압출되어 일정길이의 바아형상으로 성형되어진 음식물을 '가래떡'이라 명명하겠다.
주지된 바와 같이, 상기 떡을 성형하는 장치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며, 많은 발명들이 특허 또는 실용신안으로 출원되고 있다.
근래들어, 사람들의 기본적인 생활문화인 의식주가 해결되면서 음식, 주거 및 의복에 대한 질적인 향상을 요구하게 되었고, 이에 편승하여 상기 음식문화의 경우에는 단순한 끼니해결을 넘어 맛과 영양에 대해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부응하여 우리나라 전통음식 중 하나인 떡에도 다양한 변화가 시도되었다. 특히, 가래떡의 경우에는 단순히 쌀 및/또는 밀가루 만으로 되어 그냥 먹기에는 밍밍하였고, 젊은 세대가 선호하는 맛과는 다소 동떨어져 있던 것이 사실이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하고자, 가래떡에 꿀, 팥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충진물을 넣어 성형하는 성형기들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종래 성형기들은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상의 곤란함은 물론 이를 완성하더라도 전력을 공급하여 구동시키기에는 효율면에 있어서 불리한 점이 없지 않았다. 또한, 충진물을 갖는 가래떡 성형 시 불량품 발생의 가능성이 커, 종래 성형기들은 실생활로 응용하기에는 현실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성형기들은 가래떡 내에 충진물을 주입함에 있어서 상기 충진물이 가래떡의 양단면에 걸쳐 외관상 드러나게 되므로(도 7 (a)도면 참조), 꿀과 같은 유동성이 큰 충진물의 경우에는 개방된 부위로 배출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가래떡의 양단면을 마감하여 내부에 충진된 충진물이 외관상 드러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충진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형상(도 7 (b)도면 참조)으로 가래떡을 성형할 수 있는 성형기들이 개발되었다.(대한민국공개특허 출원번호 10-2001-0066178)
즉, 상기 성형기는 쌀 및/또는 밀가루 반죽을 압출하면서 충진물을 연속적으로 주입하던 종래 방식과는 달리, 충진물 주입부분에 있어서 크랭크 연결방식으로 왕복운동을 실현하여 상기 충진물이 일정간격으로 주입과 정지를 반복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 성형기는 크랭크축의 이동반경, 즉 상기 크랭크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크랭크편의 고정된 직경에 의해 충진물의 주입과 정지에 대한 주기가 결정되므로, 충진물의 충진범위에 대한 다양화가 용이하지 않고, 상기 성형기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반죽을 공급하는 모터, 크랭크편을 구동하는 모터, 반죽을 충진물과 더불어 압출하는 모터, 절단모터 등과 같이 많은 동력장치가 요구되어 현실적으로 그 활용이 용이않았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래떡 충진물의 주입상태를 성형기의 부속교체 및 장치변형 없이도 가래떡 제조자가 임의로 다양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조 또한 단순하여 경제성과 생산성 면에 있어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떡 성형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반죽이 보관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와 연통되는 이송용중공부를 갖는 케이스와, 외주면에 나선형 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용중공부에 삽입되는 스크류와, 상기 호퍼를 통해 이송용중공부로 유입된 반죽이 상기 케이스의 일방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상기 케이스의 일방에 배치되고 충진물이 이송되는 주입관과 연통되는 노즐을 갖춘 혼합기구로 된 떡압출장치; 충진물이 보관되는 충진물탱크로 힘을 가해 충진물을 상기 주입관으로 강제이송시키는 충진물압출장치; 및, 상기 노즐을 통해 압출되는 가래떡을 절단하는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떡 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충진물압출장치는, 상기 충진물탱크가 중공된 관형상이면서 그 일면은 개구되고 타면은 상기 주입관과 연결된 호스와 연통되며, 상기 충진물탱크의 개구된 일면으로 삽입되고 동력전달바아를 매개로 동력을 전달받아 직선운동을 하면서 중공에 압력을 가해 상기 중공에 보관된 충진물이 상기 호스를 타고 상기 주입관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피스톤이 구비된 압입기구를 더 포함하는 떡 성형기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떡 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구는
상기 노즐의 내측으로 관입된 주입관이 반죽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유선형으로 되어 상기 노즐의 내벽에 부착된 체결구를 매개로 고정되고, 상기 주입관과 연통되면서 반죽의 이송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되 종단부가 상기 노즐의 투출구와 거리를 두고 이격된 이송관을 더 포함하면서, 상기 노즐 내측에 상기 이송관의 종단부와 투출구 간의 거리만큼 소정의 형상마감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떡 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압입기구는
상기 동력전달바아의 둘레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일단에 가이드구멍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동력전달바아와 연결되는 슬라이더;
상기 동력전달바아가 관통되며 상기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갖춘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동력발생장치; 및
상기 가이드구멍으로 유동가능하게 끼워져서, 직선운동하는 동력전달바아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아;
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떡 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바아의 구동여부를 감지하여 동력전달바아가 정지될 경우 이에 대한 정지신호를 발신하는 센서부와, 상기 정지신호를 수신하여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절단장치에 구동신호를 발신하는 타이머부가 구비된 연동장치;
가 더 포함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떡 성형기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대한 부분 단면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떡 성형기(10)는, 반죽이 보관되는 호퍼(120)와, 상기 호퍼(120)와 연통되는 이송용중공부(130a)를 갖는 케이스(130)와, 외주면에 나선형 날개(151)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용중공부(130a)에 삽입되는 스크류(150)와, 상기 호퍼(120)를 통해 이송용중공부(130a)로 유입된 반죽이 상기 케이스(130)의 일방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스크류(15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110)와, 상기 케이스(130)의 일방에 배치되고 충진물이 이송되는 주입관(143)을 구비한 노즐(146)을 갖춘 혼합기구(140)로 구성된 떡압출장치(100); 충진물이 보관되는 충진물탱크(210)에 힘을 가해 상기 주입관(143)으로 강제이송시키는 충진물압출장치(200); 및, 상기 노즐(146)을 통해 압출되는 가래떡을 절단하는 절단장치(300)를 포함하는 떡 성형기(10)에 있어서, 상기 충진물압출장치(200)는, 상기 충진물탱크(210)는 중공된 관형상을 가지면서 그 일면은 개구되고 타면은 상기 주입관(143)과 연결된 호스(141)와 연통되며, 상기 충진물탱크(210)의 개구된 일면으로 삽입되고 동력전달바아(221)를 매개로 동력을 전달받아 직선운동을 하면서 중공(211)에 압력을 가해 상기 중공(211)에 보관된 충진물이 상기 호스(141)를 타고 상기 주입관(143)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피스톤(225)이 포함된 압입기구(220)가 더 포함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반죽이 성형되어 가래떡으로 제작되는 공정순으로 본 고안에 따른 떡 성형기(10)의 구성요소를 하나하나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호퍼(120)는 쌀 및/또는 밀가루 반죽이 보관되어서 다량의 가래떡을 연속적으로 제작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상기 호퍼(120)는 상기 이송용중공부(130a)와 연통되어서 호퍼(120) 안에 채워진 반죽이 곧바로 이송용중공부(130a)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호퍼(120)는 저면이 통공되어서 이를 통해 상기 이송용중공부(130a)와 연통된다.
상기 케이스(130)는 상기 이송용중공부(130a)를 구비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떡 성형기(10)의 본체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 이러한 케이스(13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베이스(400)의 상면에 고정/안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400)는 본 고안에 따른 떡 성형기(10) 전체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떡압출장치(100), 충진물압출장치(200) 및 절단장치(300) 등을 일괄적으로 수용하며, 저면에 바퀴(410)를 더 부착시켜서 떡 성형기(1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물론, 상기 베이스(400)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으며, 공간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베이스(400)의 내측에 공간부(미도시됨)를 두고 이 공간부와 외부와 소통할 수 있도록 출입구를 둘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쌀 성형기(10)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출입구가 도어(420)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었다.
계속해서, 상기 케이스(130) 내에 형성된 이송용중공부(130a)는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호퍼(120)에 보관되고 있는 반죽이 유입되어 이송되는 곳으로, 반죽의 강제이송을 위해 스크류(150)가 포함된다. 상기 스크류(150)는 외주면에 나선형 날개(15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크류(150)를 회전시켰을 경우 날개(151)가 회전되면서 반죽을 일방으로 강제이송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크류(15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11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모터(110)는 회전축(111)을 매개로 스크류(150)와 연동되므로, 모터(110)가 회전하면 상기 스크류(150)도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터(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11)이 직접 스크류(150)에 연결되어 그 회전력을 스크류(150)에 직접 전달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기어나 체인 또는 벨트에 의한 동력전달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작은 힘으로도 큰 동력을 얻기 위한 주지된 기술이며, 본 고안에서는 상기 스크류(150)의 회전속도, 회전방향 및 회전여부를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적용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상기 이송용중공부(130a)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한편, 상기 스크류(150)의 회전으로 반죽이 강제이송되어야 하므로, 스크류(150)의 회전에 간섭을 주지 않는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용중공부(130a)의 일단면에는 혼합기구(140)가 위치되고, 그 타단면에는 모터(110)가 배치되어 상기 스크류(150)에 회전력을 전달하므로, 그 양단면이 모두 개구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물론, 상기 이송용중공부(130a)의 일단면은 혼합기구(140)로 폐구되고, 타단면은 회전축(111)이 유동가능하게 관통되는 고정구(133)에 폐구되어서, 이송용중공부(130a)를 따라 이송되는 반죽의 유출은 문제될 것이 없다.
이렇게 강제이송되는 반죽은 이송용중공부(130a)를 따라 상기 혼합기구(140)로 이송된다.
기타, 인출번호 "131"은 고정체로, 케이스(130)와 베이스(400) 간을 상호 고정한다. 또한, 인출번호 "132"는 호퍼고정기구로, 호퍼(120)와 케이스(130) 간을 상호 고정한다.
도 3은 도 2의 B방향 단면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혼합기구(140)는, 상기 노즐(146)의 내측으로 관입된 주입관(143)이 반죽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유선형으로 되어 상기 노즐(146)의 내벽에 부착된 체결구(144)를 매개로 고정되고, 상기 주입관(143)과 연통되면서 반죽의 이송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되 그 종단부가 상기 노즐(146)의 투출구(142)와 거리를 두고 이격된 이송관(147)을 더 포함하면서, 상기 노즐(146)의 내측 종부에 소정의 형상마감공간(148)이 형성되도록 된다.
상기 주입관(143)은 상기 충진물압출장치(200)로부터 호스(141)를 통해 공급되는 충진물을 받아 상기 노즐(146) 안쪽으로 전달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주입관(143)은 그 종단이 노즐(146)의 내측으로 관입된다. 관입된 주입관(143)은 상기 이송용중공부(130a)로부터 강제이송되는 반죽의 운동에너지와 직접 맞닿게 되므로, 이를 지탱할 만한 충분한 지지력을 가져야 하는 한편, 반죽의 이송과정에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노즐(146)의 내측으로 관입된 주입관(14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의 이동방향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된 유선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주입관(143)에 상응하여 유선형상으로 된 체결구(144)를 매개로 노즐(146)의 내벽에 부착되어 단단히 고정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상기 반죽의 경우에는 점성이 커 스크류(150)의 강제이송에 따른 이동력은 무시할 수 없을만큼 크므로, 주입관(143)의 보호를 위해 상기 체결구(144)와 유선형의 몸체는 필수적으로 갖추어져야 할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이송관(147)은 상기 주입관(143)을 통해 유입되는 충진물을 반죽 안으로 주입하기 위해 더 형성되며, 기능상 상기 충진물이 반죽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투출되어야 하므로 상기 이송관(147)은 반죽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위치된다.
도 7(본 고안에 따른 떡 성형기를 통해 성형된 떡 단면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래떡 내에 주입된 충진물은 가래떡의 중심에서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위치되는 것이 좋으므로, 상기 이송관(147)의 종단은 노즐(146)의 투출구(142) 중심에서 유동없이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이송관(147)은 위치고정구(145)에 의해 단단히 고정된다.
계속해서, 상기 이송관(147)의 종단은 투출구(142)로부터 소정거리로 이격되게 위치되면서 이송관(147)의 종단과 투출구(142) 사이에 소정공간인 형상마감공간(148)이 형성된다. 즉, 상기 형상마감공간(148)은 상기 이송관(147)으로부터 투출되는 충진물이 반죽 내에 주입되고, 이렇제 주입된 반죽이 투출구(1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전까지 그 형상을 다지고 마감하기 위한 공간이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충진물탱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충진물압출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C-C'선에 대한 부분 단면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호스(141)를 통해 주입관(143)으로 유입되는 충진물은 충진물압출장치(200)에 의해 공급된다.
상기 충진물압출장치(200)는, 충진물이 보관되는 충진물탱크(210)와, 이 충진물탱크(210)에 힘을 가해 상기 주입관(143)으로 전달하는 압입기구(220)를 포함한다.
상기 충진물탱크(210)는 중공된 관형상을 가지면서 그 일면은 개구되고 타면은 상기 주입관(143)과 연결된 호스(141)와 연통되며, 상기 압입기구(220)는, 상기 충진물탱크(210)의 개구된 일면으로 삽입되고 동력전달바아(221)를 매개로 동력을 전달받아 직선운동을 하면서 중공(211)에 압력을 가해 상기 중공(211)에 보관된 충진물이 상기 호스(141)를 타고 상기 주입관(143)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피스톤(225)이 포함된다.
즉, 상기 충진물탱크(210)는 실린더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압입기구(220)에는 실린더에 상응하는 피스톤(225) 기능을 수행하면서 상기 중공(211)에 보관된 충진물을 뿜어낼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떡 성형기(10)는 상기 동력전달바아(221)의 직선운동으로 반죽에 주입되는 충진물의 양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바아(221)의 직선운동과 더불어 충진물의 주입략을 동시에 조절해야 하는 압입기구(220)의 동력원이 모터(미도시됨) 하나만으로도 충분하므로, 구동에 필요한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낳는다.
도 7에 도시된 가래떡의 단면도를 보면, (a)도면에 도시된 가래떡의 경우 충진물의 주입을 중단하지 않으면서 반죽을 계속 압출해 성형한 것이고, (b)도면 및 (c)도면에 도시된 가래떡의 경우 반죽의 압출은 계속 진행하면서 충진물의 주입은 (비)주기적으로 중단하여 성형한 것이다. 이때, (b)도면과 (c)도면에 도시된 가래떡의 경우에는 상기 절단장치(300)의 타이밍으로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다양한 모습의 가래떡을 제작하면서도, 이를 위해 복잡하고 비경제적인 구동비용을 소비할 필요없이, 상기 압입기구(220)의 동력원인 모터 한개와 절단장치(300) 및 충진물압출장치(200)의 모터 한개만을 상호 연동시켜 상호간의 작동 타이밍를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이룰 수 있다.
상기 "230"은 체결기구로, 상기 충진물탱크(210)를 상기 베이스(400)에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며, 이를 위해, 상기 체결기구(230)에는 충진물탱크(210)가 끼워질 수 있는 안착부(231)와, 상기 베이스(40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재(232)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바아(221)의 직선운동을 위해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상기 동력전달바아(221)가 유압방식으로 동작하거나, 이하에서 기술되는 실시예인 스크류방식으로 동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충진물압출장치(200)의 압입기구(220)는, 상기 동력전달바아(221)는 그 둘레면에 나사산(221a)이 형성되고, 일단에 가이드구멍(224)이 구비된 슬라이더(222)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력전달바아(221)가 관통되며 상기 나사산(221a)에 상응하는 나사산(227b)이 내주면에 형성된 관통공(227c)을 갖춘 회전체(227a)와, 상기 회전체(227a)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미도시됨)를 포함하는 동력발생장치(227); 및, 상기 가이드구멍(224)으로 유동가능하게 끼워져서, 직선운동하는 동력전달바아(221)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아(223)를 더 포함한다.
유압방식으로 상기 동력전달바아(221)가 직선운동하는 경우, 소음이 크고 상기 절단장치(300)에 상응하여 그 타이밍을 맞추기 위한 정확도가 다소 떨어지는 문제가 있는 반면,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스크류방식은 소음이 상대적으로 작고 충진물의 주입타이밍을 비교적 정확히 맞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동력전달바아(22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221a)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나사산(221a)과 맞물려서 동력전달바아(221)의 직선운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체(227a)를 갖춘 동력발생장치(227)가 구성된다.
상기 동력발생장치(227)는, 회전체(227a)와, 이 회전체(227a)의 회전을 위해 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미도시됨)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모터가 회전체(227a)와 맞물려 직접적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지만,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터와 동력축(227e)를 매개로 연결된 폴리(227d)를 통해 회전체(227a)에 동력을 공급한다. 즉, 상기 폴리(227d)와 회전체(227a)의 둘레면에 각각 하나의 벨트 또는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매개(227c)를 감아 이를 통해 상호 연동시킴으로서 그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었다.
하지만 이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보인 것에 불과하며, 실제로 본 고안이 청구하고자 하는 기술적 사상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를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회전체(227a)의 관통공(227c)으로 삽입된 동력전달바아(221)는 나사산결합을 이루게 되고, 상기 회전체(227a)가 회전되면 스크류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체(227a)가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물론, 상기 동력전달바아(221)는 운동하고 있는 상기 회전체(227a)와는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어야 하므로, 동력전달바아(221)에는 슬라이더(222)가 구비되며, 이 슬라이더(222)에는 가이드바아(223)가 유동가능하게 관통될 수 있는 가이드구멍(22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222)는 가이드바아(223)에 의해 상기 회전체(227a)의 회전과 더불어 운동되지 않고, 이로인해 상기 동력전달바아(221) 또한 고정되므로, 상기 동력전달바아(221)는 상기 회전체(227a)가 회전하면 상기 가이드바아(223)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피스톤(225)은 동력전달바아(221)와는 다른 재질로 될 것이므로, 동력전달바아(221)의 일단에 부착되며, 이를위해 상기 동력전달바아(221)의 일단에는 철부(221b)가, 상기 피스톤(225)의 일면에는 상기 철부(221b)에 상응하는 고정홈(225a) 및/또는 요부(225b)가 형성되어서 이를 매개로 상호 단단히 고정될 것이다.
기타, 상기 충진물압출장치(200) 또한 상기 베이스(400)에 수용될 수 있으므로, 베이스(400)에 연결되는 체결부재(22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절단장치(300)는 떡 성형기에서 압출되는 가래떡을 자동으로 절단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한쌍의 커터부(310)가 상호 맞물려서 그 중심으로 배출되는 가래떡을 절단하도록 되고, 이 커터부(310)가 일정한 속도로 작동하도록 회전축부(320) 및 모터(미도시됨)를 두었다. 이는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본 고안에 따른 떡 성형장치(10)는 가래떡을 절단하기 위해 종래 공개되고 적용된 모든 절단장치(300)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본 고안에 따른 떡 성형기(10)는 상기 절단장치(300)가 충진물을 포함한 가래떡에서 충진물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정확히 절단해야 한다. 물론, 도 7 (a)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진물이 외부에 드러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지만 (b)도면에서와 같이 충진물이 드러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이는 본 고안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요한 부분 중 하나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충진물압출장치(200)와 절단장치(300)를 상호 연동시키는 연동장치(5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동장치(500)는, 상기 동력전달바아(221)의 구동여부를 감지하여 동력전달바아(221)가 정지될 경우 이에 대한 정지신호를 발신하는 센서부(510)와, 상기 정지신호를 수신하여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절단장치(300)에 구동신호를 발신하는 타이머부(520)를 구비한다.
상기 혼합기구(140)로부터 압출되는 가래떡은 상기 투출구(142)와 상기 절단장치(300) 사이의 이격거리만큼을 이동해야 한다. 이때, 상기 모터(110)는 일정한 회전속도로 상기 스크류(150)를 회전시키므로 반죽은 일정한 속도로 이동되고 투출구(142)를 통해 압출되는 가래떡 또한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510)는 동력전달바아(221)가 정지되는 때를 감지하여 정지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타이머부(520)는 이 정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동력전달바아(221)가 정지된 순간부터 동력전달바아(221)의 정지로 충진물이 가래떡 내에 주입되지 못해 반죽으로만 매꿔진 당해 가래떡의 일지점이 상기 절단장치(300)의 커터부(310)의 도달하는 시간까지 대기하다가 상기 절단장치(300)에 구동신호를 발신한다.
물론, 상기 구동신호를 수신한 절단장치(300)는 상기 가래떡의 일지점을 절단하여 충진물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절단하게 된다. 상기 대기시간은 모터(110)의 회전력에 따라 달라질 것이므로, 실험을 통해 상기 모터(110)의 회전속도에 따른 최적의 대기시간을 찾아내어 이를 타이머부(520)의 작동에 적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한편, 도 7의 (a)도면 및 (c)도면에서와 같은 모습의 가래떡을 성형해야할 경우에는 상기 센서부(510)의 정지신호 여부에 관계없이 절단장치(300)가 계속해서 구동되도록 하고, (c)도면에서와 같이 충진물을 가래떡 내에 둘 이상의 범위로 부분적으로 주입할 경우에는 상기 센서부(510)로부터 발신되는 정지신호의 수신횟수를 카운팅하여 결정된 횟수의 정지신호가 수신되면 그때 상기 타이머부(520)를 통해 구동신호가 발신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센서부(510) 및 타이머부(520)와 연동되는 제어부(5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가래떡 내에 충진물을 주입함에 있어 다양한 모습이 성형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각각의 장치들에 동력을 전달하는 다수개의 모터를 복잡하게 구성하여 하나하나 연동시킬 필요가 없는 한편, 떡 성형기의 운전에 필요한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도 있어 경제적이고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떡 성형기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B방향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충진물탱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충진물압출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C-C'선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떡 성형기를 통해 성형된 떡 단면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연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 ; 떡 성형기 100 ; 떡압출장치
120 ; 호퍼 130 ; 케이스
130a ; 이송용중공부 140 ; 혼합기구
150 ; 스크류 200 ; 충진물압출장치
210 ; 충진물탱크 220 ; 압입기구
221 ; 동력전달바아 223 ; 가이드
300 ; 절단장치 400 ; 베이스
500 ; 연동장치 510 ; 센서부
520 ; 타이머부 530 ; 제어부

Claims (4)

  1. 반죽이 보관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와 연통되는 이송용중공부를 갖는 케이스와, 외주면에 나선형 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용중공부에 삽입되는 스크류와, 상기 호퍼를 통해 이송용중공부로 유입된 반죽이 상기 케이스의 일방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상기 케이스의 일방에 배치되고 충진물이 이송되는 주입관과 연통되는 노즐을 갖춘 혼합기구로 된 떡압출장치; 충진물이 보관되는 충진물탱크로 힘을 가해 충진물을 상기 주입관으로 강제이송시키는 충진물압출장치; 및, 상기 노즐을 통해 압출되는 가래떡을 절단하는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떡 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충진물압출장치는, 상기 충진물탱크가 중공된 관형상이면서 그 일면은 개구되고 타면은 상기 주입관과 연결된 호스와 연통되며, 상기 충진물탱크의 개구된 일면으로 삽입되고 동력전달바아를 매개로 동력을 전달받아 직선운동을 하면서 중공에 압력을 가해 상기 중공에 보관된 충진물이 상기 호스를 타고 상기 주입관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피스톤이 구비된 압입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성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구는
    상기 노즐의 내측으로 관입된 주입관이 반죽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유선형으로 되어 상기 노즐의 내벽에 부착된 체결구를 매개로 고정되고, 상기 주입관과 연통되면서 반죽의 이송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되 종단부가 상기 노즐의 투출구와 거리를 두고 이격된 이송관을 더 포함하면서, 상기 노즐 내측에 상기 이송관의 종단부와 투출구 간의 거리만큼 소정의 형상마감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성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기구는
    상기 동력전달바아의 둘레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일단에 가이드구멍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동력전달바아와 연결되는 슬라이더;
    상기 동력전달바아가 관통되며 상기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갖춘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동력발생장치; 및
    상기 가이드구멍으로 유동가능하게 끼워져서, 직선운동하는 동력전달바아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성형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바아의 구동여부를 감지하여 동력전달바아가 정지될 경우 이에 대한 정지신호를 발신하는 센서부와, 상기 정지신호를 수신하여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절단장치에 구동신호를 발신하는 타이머부가 구비된 연동장치;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성형기.
KR20-2004-0032816U 2004-11-19 2004-11-19 떡 성형기 KR2003762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816U KR200376232Y1 (ko) 2004-11-19 2004-11-19 떡 성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816U KR200376232Y1 (ko) 2004-11-19 2004-11-19 떡 성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232Y1 true KR200376232Y1 (ko) 2005-03-11

Family

ID=43678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816U KR200376232Y1 (ko) 2004-11-19 2004-11-19 떡 성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23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5737A2 (ko) * 2010-06-07 2011-12-15 Kim In Ho 충진물 압입형 가래떡 성형기
KR101384617B1 (ko) 2013-09-05 2014-04-14 주식회사 효성어묵 떡어묵 성형장치
KR101775785B1 (ko) * 2015-09-21 2017-09-19 김홍찬 심재가 구비된 우동 면발 성형 장치
KR101793459B1 (ko) * 2016-01-26 2017-11-03 조봉연 치즈 주입장치
KR20190007182A (ko) * 2017-07-12 2019-01-22 주식회사 씨앤씨유통 치즈 주입장치
KR102467083B1 (ko) * 2021-09-28 2022-11-14 최규일 떡 제조기용 고물 주입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5737A2 (ko) * 2010-06-07 2011-12-15 Kim In Ho 충진물 압입형 가래떡 성형기
WO2011155737A3 (ko) * 2010-06-07 2012-05-03 Kim In Ho 충진물 압입형 가래떡 성형기
KR101212933B1 (ko) 2010-06-07 2012-12-14 김인호 충진물 압입형 가래떡 성형기
KR101384617B1 (ko) 2013-09-05 2014-04-14 주식회사 효성어묵 떡어묵 성형장치
KR101775785B1 (ko) * 2015-09-21 2017-09-19 김홍찬 심재가 구비된 우동 면발 성형 장치
KR101793459B1 (ko) * 2016-01-26 2017-11-03 조봉연 치즈 주입장치
KR20190007182A (ko) * 2017-07-12 2019-01-22 주식회사 씨앤씨유통 치즈 주입장치
KR102099603B1 (ko) 2017-07-12 2020-04-10 조봉연 치즈 주입장치
KR102467083B1 (ko) * 2021-09-28 2022-11-14 최규일 떡 제조기용 고물 주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74515A1 (en) Tube valve arrangement for a patty-forming machine
KR200376232Y1 (ko) 떡 성형기
CN105173682A (zh) 一种艾柱自动卷制装置
KR20160065653A (ko) 만두 제조장치
FI98194C (fi) Ruokatuotteiden valmistuslaite
CN215359586U (zh) 一种能够均匀输料的注塑用送料装置
CN101313685B (zh) 月饼成型机
CN201911278U (zh) 食品包馅装置注馅组件
CN109431276A (zh) 一种用于流体发泡的设备
CN113349237A (zh) 一种鱼丸制作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192971B1 (ko) 새알심 제조장치
CN205284823U (zh) 多重馅料成型装置
CN113183395B (zh) 一种工件生产加工用机电一体注塑装置
CN201045832Y (zh) 月饼成型机
CN204980300U (zh) 一种艾柱自动卷制装置
CN209682555U (zh) 一种升芯回转式自动制管机
CN205284822U (zh) 直线工位的多重馅料成型装置
KR100715183B1 (ko) 순대충진기
CN207428340U (zh) 一种曲奇机的旋转模头组件
CN202184098U (zh) 全自动雪糕机
CN205511920U (zh) 一种灌汤水饺
KR200404992Y1 (ko) 입형식 이종 사출성형기
WO2007045516A1 (en) Piston pump for creamy food products
CN102389017B (zh) 一种巧克力浇注生产线下料机构
CN219880308U (zh) 一种塑料模板上油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