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785B1 - 심재가 구비된 우동 면발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심재가 구비된 우동 면발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785B1
KR101775785B1 KR1020150134767A KR20150134767A KR101775785B1 KR 101775785 B1 KR101775785 B1 KR 101775785B1 KR 1020150134767 A KR1020150134767 A KR 1020150134767A KR 20150134767 A KR20150134767 A KR 20150134767A KR 101775785 B1 KR101775785 B1 KR 101775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kneaded
kneading
discharge hole
kneaded produ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7231A (ko
Inventor
김홍찬
Original Assignee
김홍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찬 filed Critical 김홍찬
Priority to KR1020150134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785B1/ko
Publication of KR20150117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78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재가 구비된 우동 면발 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반죽물과 제2 반죽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 소재공급수단과 제2 소재공급수단을 본체 상부면에 적층되게 설치하고, 제1 소재공급수단과 제2 소재공급수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1 반죽물과제2 반죽물이 제1 소재공급수단과 제2 소재공급수단 사이 중앙으로 배출되도록 다공홀이 구비된 브라켓을 출구측에 결합하며, 다공홀을 통과한 다수의 제2 반죽물을 상기 제1 반죽물 내부로 삽입하는 혼합수단을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 결합 구성하므로, 상기 브라켓에 구비된 다공홀을 통해 제2 반죽물이 제1 반죽물 내부에 삽입된 다수의 면발을 제조할 수 있어 면발 제조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심재가 구비된 우동 면발 성형 장치 { A noodle formation devic }
본 발명은 심재가 구비된 우동 면발 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반죽물과 제2 반죽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 소재공급수단과 제2 소재공급수단을 본체 상부면에 적층되게 설치하고, 제1 소재공급수단과 제2 소재공급수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1 반죽물과제2 반죽물이 제1 소재공급수단과 제2 소재공급수단 사이 중앙으로 배출되도록 다공홀이 구비된 브라켓을 출구측에 결합하며, 다공홀을 통과한 다수의 제2 반죽물을 상기 제1 반죽물 내부로 삽입하는 혼합수단을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 결합 구성하므로, 상기 브라켓에 구비된 다공홀을 통해 제2 반죽물이 제1 반죽물 내부에 삽입된 다수의 면발을 제조할 수 있어 면발 제조 시간을 현저히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심재가 구비된 우동 면발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동이란 밀가루를 물에 혼합하고 반죽해서 얻은 반죽물을 늘이거나 길게 자른 후에 물 또는 증기 등에 데쳐서 먹는 식품을 말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밀가루에 물은 혼합한 후에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반죽하여 반죽물을 얻고, 그 반죽물을 칼 등을 이용하여 잘라 우동 면발을 생산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우동 면발을 짧은 시간에 생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특히, 우동을 판매하는 식당 등에는 특정 시간대인 점심시간에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몰리게는 되는 데, 이때 수 작업으로 우동 면발을 생산 시에는 많은 사람들의 주문을 짧은 시간에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우동 면발을 생산할 수 있도록 선 등록 된 실용신안 제 343563 호와 같이 면발 성형장치를 고안하게 되었다.
종래의 면발 성형 장치는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호퍼에 들어있는 제1 반죽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1 스크류가 구비된 제1 압출관을 본체의 상부면에 수직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1 압출관의 측면 중앙에는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호퍼에 들어 있는 제2 반죽물을 제1 스크류 쪽으로 이동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2 스크류가 구비된 제2 압출관을 직교되게 설치한다.
따라서, 제1 스크류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1 반죽물을 제2 반죽물이 감싼 우동 면발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나의 제2 반죽물의 내부에 다른 제1 반죽물이 감싸듯이 우동 면발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므로, 우동 면발의 맛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우동 면발을 섭취하는 사용자는 제2 반죽물 내부에 들어 있는 다른 제1 반죽물로 인해 영양을 골고루 섭취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제2 반죽물은 밀가루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제1 반죽물은 고기, 치즈, 야채 등이 포함된 반죽물로서, 이러한 제2 반죽물이 제1 반죽물 중앙에 유입되도록 우동 면발을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함에 따라서 종래의 밀가루만으로만 된 우동 면발에 의해 맛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 반죽물로 인해 영양분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심재가 구비된 우동 면발 성형 장치의 문제점은 제1 반죽물은 제1 스크류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때 제2 스크류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2 반죽물에 감싸듯이 배출되는 데, 이때 하나의 제1 반죽물이 내부에 구비된 제2 반죽물을 생산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즉, 종래에는 제1 반죽물 및 제2 반죽물을 여러 가닥으로 분리하여 혼합할 수 있는 구성이 전혀 구현되어 있지 않으므로, 우동 면발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가닥의 우동 면발을 생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 반죽물과 제2 반죽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 소재공급수단과 제2 소재공급수단을 본체 상부면에 적층되게 설치하고, 제1 소재공급수단과 제2 소재공급수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1 반죽물과제2 반죽물이 제1 소재공급수단과 제2 소재공급수단 사이 중앙으로 배출되도록 다공홀이 구비된 브라켓을 출구측에 결합하며, 다공홀을 통과한 다수의 제2 반죽물을 상기 제1 반죽물 내부로 삽입하는 혼합수단을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 결합 구성하므로, 상기 브라켓에 구비된 다공홀을 통해 제2 반죽물이 제1 반죽물 내부에 삽입된 다수의 면발을 제조할 수 있어 면발 제조 시간을 현저히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제3 경사면이 구비된 제2 하부배출홀을 혼합수단에 형성하여 제2 반죽물이 삽입된 제1 반죽물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상기 제1 반죽물 내부에 삽입된 제2 반죽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심재가 구비된 우동 면발 성형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제1 호퍼(24)로부터 공급되는 제1 반죽물(200)을 출구로 배출하는 제1 압출관(21)을 구비한 제1 소재공급수단(20); 제2 호퍼(34)로부터 공급되는 제2 반죽물(210)을 출구로 배출하며, 상기 제1 압출관(21)의 상부에 적층 되게 설치되는 제2 압출관(31)을 구비한 제2 소재공급수단(30); 상기 제1 압출관(21)과 제2 압출관(31)의 출구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반죽물(200)과 제2 반죽물(210)을 각각 중앙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1 안내홀(50)과 제2 안내홀(60)이 내부에 형성된 브라켓(40); 및 상기 브라켓(40)의 일측에 결합 구성되고, 제1 안내홀(50)과 연통 되는 제1 성형홀(81)이 형성되는 하부몸체(80)와 제2 안내홀(60)과 연통되는 제2 성형홀(91)이 내부에 형성되는 상부몸체(90)로 구성되는 혼합수단(7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성형홀(81)은 제1 다공홀(51)과 연통되는 제1 하부배출홀(82)과, 상기 제1 하부배출홀(82) 보다 직경이 작은 제2 하부배출홀(83)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성형홀(91)은 제2 다공홀(61)과 연통되는 제1 상부배출홀(92)과, 상기 제1 하부배출홀(82)과 연통되는 제2 상부배출홀(93)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상부배출홀(93)의 끝단에는, 상기 제2 반죽물(210)을 제1 반죽물(200)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반죽물(200)에 유입홈(201)을 형성하는 'ㄴ'자 모양의 삽입부(100)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부(100)의 끝단(100a)이 상기 제1 하부배출홀(8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제1 반죽물(200) 내부로 제2 반죽물(210)을 유입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삽입부(100)의 끝단(100a)에 의해 형성된 상기 유입홈(201)의 개구단을 폐쇄할 수 있도록,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제3 경사면(84)이 상기 제2 하부배출홀(83)의 끝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40) 제1 안내홀(50) 및 제2 안내홀(60)에 구비된 입구단(50a)(60a)과 출구단(50b)(60b) 사이에는 경사면(52)(6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원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심재가 구비된 우동 면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반죽물과 제2 반죽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 소재공급수단과 제2 소재공급수단을 본체 상부면에 적층되게 설치하고, 제1 소재공급수단과 제2 소재공급수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1 반죽물과제2 반죽물이 제1 소재공급수단과 제2 소재공급수단 사이 중앙으로 배출되도록 다공홀이 구비된 브라켓을 출구측에 결합하며, 다공홀을 통과한 다수의 제2 반죽물을 상기 제1 반죽물 내부로 삽입하는 혼합수단을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 결합 구성하므로, 상기 브라켓에 구비된 다공홀을 통해 제2 반죽물이 제1 반죽물 내부에 삽입된 다수의 면발을 제조할 수 있어 면발 제조 시간을 현저히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제3 경사면이 구비된 제2 하부배출홀을 혼합수단에 형성하여 제2 반죽물이 삽입된 제1 반죽물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상기 제1 반죽물 내부에 삽입된 제2 반죽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심재가 구비된 우동 면발 성형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압출관에 결합 되는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브라켓에 결합 되는 혼합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혼합관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혼합관의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심재가 구비된 우동 면발 성형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테이블(10)과;
모터(2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 호퍼(24)로부터 공급되는 제1 반죽물(200)을 출구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테이블(10)이 상부면에 설치되는 제1 압출관(21)이 구비된 제1 소재공급수단(20)과;
모터(3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 호퍼(34)로부터 공급되는 제2 반죽물(210)을 출구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압출관(21)의 상부에 적층 되게 설치되는 제2 압출관(31)이 구비된 제2 소재공급수단(30)과;
제1 압출관(21)과 제2 압출관(31)의 출구에 위치하도록 결합 구성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제1 반죽물(200)과 제2 반죽물(210)을 중앙으로 안내하는 제1 안내홀(50)과 제2 안내홀(60)이 내부에 형성된 브라켓(40)과;
브라켓(40)의 일측에 결합 구성되고, 제1 안내홀(50) 및 제2 안내홀(60)과 연통 되는 제1 성형홀(81)과 제2 성형홀(91)이 내부에 형성되며, 제2 호퍼(34)를 통해 유입되는 제2 반죽물(210)을 제1 반죽물(200) 내부로 유입할 수 있도록 제2 성형홀(91)의 끝단에 돌출 형성되는 삽입부(100)가 구비된 혼합수단(70);으로 구성하되,
혼합수단(70)으로 유입되는 제1 반죽물(200) 및 제2 반죽물(210)을 분배시키는 제1 다공홀(51)과 제2 다공홀(61)을 각각 제1 안내홀(50)과 제2 안내홀(60)에 구비된 출구단(50b)(60b)에 형성하고,
제1 다공홀(51)과 제2 다공홀(61)에 각각 대응되도록 다수의 제1 성형홀(81)과 제2 성형홀(91)을 혼합수단(70)에 내부에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10)의 상부면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소재공급수단(20)는 도 1과 같이 도면상 좌,우로 길게 제1 압출관(21)을 형성하고, 제1 압출관(21)의 내부에는 모터(2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측 방향으로 회전는 제1 압출스크류(22)를 형성하여 제1 호퍼(24)로부터 공급되는 제1 반죽물(200)을 상기 제1 압출스크류(22)에 의해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소재공급수단(2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2 소재공급수단(20)는 도면상 좌,우로 길게 제2 압출관(31)을 형성하고, 제2 압출관(31)의 내부에는 모터(3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 압출스크류(32)를 형성하여, 제2 호퍼(34)로부터 공급되는 제2 반죽물(210)을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 압출관(21)과 제2 압출관(31)은 기어로 연결하여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이와 같이 본체(10)에 설치되는 제1 압축관(21)과 제2 압출관(31)의 일면에는 브라켓(40)을 결합하는 데,
상기 브라켓(40)에 형성되는 제1 안내홀(50)과 제2 안내홀(60)은 직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며,
제1 안내홀(50) 및 제2 안내홀(60)에 구비된 입구단(50a)(60a)과 출구단(50b)(60b) 사이로 경사면(52)(6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안내홀(50)과 제2 안내홀(60)을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하므로, 제1 압내홀(50)과 제2 안내홀(60)에 형성되는 제1 다공홀(51)과 제2 다공홀(61)은 사용자가 원하는 갯수만큼 형성하여 제1 압출스크류(22)와 제2 압출스크류(3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1 반죽물(200)과 제2 반죽물(210)을 여러 가닥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브라켓(40)의 일면에 형성된 결합홈(41)에 결합 되는 혼합수단(70)은,
브라켓(40)의 일측면에 형성된 결합홈(41)에 결합 되는 하부몸체(80)와 상부몸체(90)로 구성하고,
하부몸체(80)와 상부몸체(90)의 내부에는 제1 성형홀(81)과 제2 성형홀(91)을 각각 형성하되,
제1 성형홀(81)은 제1 다공홀(51)과 연통 되는 제1 하부배출홀(82)과, 제1 하부배출홀(82)보다 직경이 작은 제2 하부배출홀(83)로 구성하고,
제2 성형홀(91) 제2 다공홀(61)과 연통되는 제1 상부배출홀(92)과, 제1 하부배출홀(82)과 연통 되는 제2 상부배출홀(93)로 구성되며,
제2 반죽물(210)을 제1 반죽물(200) 내부로 유입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반죽물(200)에 유입홈(201)을 형성하는 'ㄴ'자 모양의 삽입부(100)를 제1 하부배출홀(82) 내부에 유입되게 상기 제2 상부배출홀(93)의 끝단에 형성하되,
삽입부(100)의 끝단(100a)은 제2 하부배출홀(83)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며,
제1 반죽물(200) 내부로 제2 반죽물(210)이 유입과 동시에 제1 반죽물(200)에 형성된 유입홈(201)의 개구단을 폐쇄할 수 있도록 제2 하부배출홀(83)에는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제3 경사면(8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하부배출홀(83)에는 내측으로 경사진 제3 경사면(84)을 형성하므로서, 도 6과 같이 삽입부(100)에 의해 형성된 유입홈(201)이 제2 하부배출홀(83)을 통과하면서 내측 방향으로 강하게 모아져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작동 상태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과 같이 모터(23)(3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 압출관(21)과 제2 압출관(31)의 내부에 설치된 제1 압출스크류(22)와 제2 압출스크류(32)를 회전시켜 제1 호퍼(24)와 제2 호퍼(34)로부터 공급되는 제1 반죽물(200)과 제2 반죽물(210)를 브라켓(40)에 구비된 제1 안내홀(50)과 제2 안내홀(60)로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제1 안내홀(50)로 공급되는 제1 반죽물(200)은 도 3과 같이 제1 안내홀(50)의 내부에 형성된 제1 경사면(52)을 따라 브라켓(40)의 상부 중앙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제2 안내홀(60)로 공급되는 제2 반죽물(210)은 도 3과 같이 제2 안내홀(60) 내부에 형성된 제2 경사면(62)을 따라 브라켓(40)의 하부 중앙으로 공급된다.
즉, 제1 안내홀(50)에 구비된 입구단(50a)과 출구단(50b)을 상향 경사진 제1 경사면(52)으로 연결함에 따라서 제1 안내홀(50)로 유입된 제1 반죽물(200)은 제1 경사면(52)을 따라 브라켓(40)의 상부 중앙으로 이동하는 것이며,
제2 안내홀(50)에 구비된 입구단(60a)과 출구단(60b)을 하향 경사진 제2 경사면(62)으로 연결함에 따라서 제2 안내홀(60)로 유입된 제2 반죽물(210)은 제2 경사면(62)을 따라 브라켓(40)의 하부 중앙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경사면(52)과 제2 경사면(62)에 의해 브라켓(40)으로 공급되는 제1 반죽물(200)과 제2 반죽물(210)은 상기 브라켓(40)의 일측면 중앙을 통해 혼합수단(70)으로 공급되는 것인데,
이때, 도 4와 같이 출구단(50b)(60b)에 형성된 제1 다공홀(51)과 제2 다공홀(61)로 인해 여러 가닥으로 나누어지면서 혼합수단(70)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혼합수단(70)으로 이동된 제1 반죽물(200)은 제1 성형홀(81)에 구비된 제1 하부배출홀(82)을 통해 제2 하부배출홀(83)로 유입되고, 제2 반죽물(210)은 제2 성형홀(91)에 구비된 제2 상부배출홀(92)을 제2 상부배출홀(93)로 공급된다.
즉, 제1 다공홀(51)과 제2 다공홀(61)과 연통 되게 형성된 다수의 제1 성형홀(81)과 제2 성형홀(91)로 인해 여러 가닥으로 나누어진 제1 반죽물(200)과 제2 반죽물(210)은 혼합수단(70)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혼합수단(70)으로 유입된 제1 반죽물(200)은 제1 하부배출홀(82)을 통해 제2 하부배출홀(83)를 유입되는 데, 이때 제1 하부배출홀(82)의 중간에 유입된 삽입부(100)로 인해 도 6의 (b)와 같이 제1 반죽물(200)은 'U'자 모양의 유입홀(201)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혼합수단(70)으로 유입된 제2 반죽물(210)은 제2 상부배출홀(92)을 통해 제2 상부배출홀(93)로 유입되고, 그 제2 상부배출홀(93)과 연통 되게 제1 상부배출홀(82) 내부로 돌출 형성된 삽입부(100)로 인해 도 7의 (b)와 같이 제1 반죽물(200) 구비된 유입홈(201) 내측으로 제2 반죽물(210)이 유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2 반죽물(210)이 유입된 제1 반죽물(200)은 제2 하부배출홀(83)을 통해 가운데로 모아지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즉, 도 6의 (a)와 같이 제1 반죽물(200)이 A 지점을 통과하게 되면, 제1 하부배출홀(82)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삽입부(100)에 의해 도 6의 (b)와 같이 상단이 개구된 'U'자 모양의 유입홈(201)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U'자 모양의 유입홈(201)이 형성된 제1 반죽물(200)이 도 7의 (a)와 같이 B 지점을 통과하게 되면, 도 7의 (b)와 같이 삽입부(100)를 통해 유입홈(201)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제2 반죽물(210)에 의해 도 7의 (b)와 같이 유입홈(201)의 내측에 제2 내용물(210)이 유입된 제1 반죽물(200)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2 반죽물(210)에 유입된 제1 반죽물(200)이 도 8의 (a)와 같이 C 지점을 통과하게 되면, 제2 하부배출홀(83)에 구비된 제3 경사면(84)에 의해 유입홈(201)의 개구단을 내측으로 강하게 모이면서 결합된 도 8의 (b)와 같은 제1 반죽물(200)을 면발 성형장치 외부로 유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3 경사면(84)에 의해 강하게 결합 된 제1 반죽물(200)에 의해 상기 제1 반죽물(200) 내부에 내장된 제2 반죽물(21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 소재공급수단(20)과 제2 소재공급수단(30)을 통해 브라켓(40)으로 유입된 제1 반죽물(200)과 제2 반죽물(210)은 상기 브라켓(40)의 출구단(50b)(60b)에 형성된 제1 다공홀(51)과 제2 다공홀(61)을 통과하면서 여러 가닥으로 나우어진 상태로 혼합수단(70)으로 유입되고, 상기 혼합수단(70)으로 유입된 제1 반죽물(200)과 제2 반죽물(210)은 삽입부(100)에 의해 제1 반죽물(200) 내부에 제2 반죽물(210)이 내장 된 상태로 배출하기 때문에 한번의 작업으로 인해 제2 반죽물(210)이 제1 반죽물(200)에 내장된 면발을 생산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반죽물(210)이 유입홈(201) 내부로 유입된 제1 반죽물(200)은 도 8의 (a)와 같이 제3 경사면(84)이 구비된 제2 하부배출홀(83)을 통과하면서 강하게 결합 되기 때문에 제1 반죽물(200)의 내부에 들어 있는 제2 반죽물(210)의 외부로 쉽게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본체, 20: 제1 소재공급수단,
21: 제1 압출관, 22: 제1 압출스크류,
23: 모터, 23: 제1 호퍼,
30: 제2 소재공급수단, 31: 제2 압출관,
32: 제2 압출스크류, 33: 모터,
34: 제2 호퍼, 40: 브라켓,
41: 결합홈, 50: 제1 안내홀,
51: 제1 다공홀, 52: 제1 경사면,
60: 제2 안내홀, 61: 제2 다공홀,
62: 제2 경사면, 50a,60a: 입구단,
50b,60b: 출구단, 70: 혼합수단,
80: 하부몸체, 81: 제1 성형홀,
82: 제1 하부배출홀, 83: 제2 하부배출홀,
84: 경사면, 90: 상부몸체,
91: 제2 성형홀, 92: 제1 상부배출홀,
93: 제2 상부배출홀, 100: 삽입부,
100a: 끝단, 200: 제1 반죽물,
201: 유입홈, 210: 제2 반죽물,

Claims (3)

  1. 제1 호퍼(24)로부터 공급되는 제1 반죽물(200)을 출구로 배출하는 제1 압출관(21)을 구비한 제1 소재공급수단(20);
    제2 호퍼(34)로부터 공급되는 제2 반죽물(210)을 출구로 배출하며, 상기 제1 압출관(21)의 상부에 적층 되게 설치되는 제2 압출관(31)을 구비한 제2 소재공급수단(30);
    상기 제1 압출관(21)과 제2 압출관(31)의 출구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반죽물(200)과 제2 반죽물(210)을 각각 중앙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1 안내홀(50)과 제2 안내홀(60)이 내부에 형성된 브라켓(40); 및
    상기 브라켓(40)의 일측에 결합 구성되고, 제1 안내홀(50)과 연통 되는 제1 성형홀(81)이 형성되는 하부몸체(80)와 제2 안내홀(60)과 연통되는 제2 성형홀(91)이 내부에 형성되는 상부몸체(90)로 구성되는 혼합수단(7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성형홀(81)은 제1 다공홀(51)과 연통되는 제1 하부배출홀(82)과, 상기 제1 하부배출홀(82) 보다 직경이 작은 제2 하부배출홀(83)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성형홀(91)은 제2 다공홀(61)과 연통되는 제1 상부배출홀(92)과, 상기 제1 하부배출홀(82)과 연통되는 제2 상부배출홀(93)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상부배출홀(93)의 끝단에는, 상기 제2 반죽물(210)을 제1 반죽물(200)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반죽물(200)에 유입홈(201)을 형성하는 'ㄴ'자 모양의 삽입부(100)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부(100)의 끝단(100a)이 상기 제1 하부배출홀(8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제1 반죽물(200) 내부로 제2 반죽물(210)을 유입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삽입부(100)의 끝단(100a)에 의해 형성된 상기 유입홈(201)의 개구단을 폐쇄할 수 있도록,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제3 경사면(84)이 상기 제2 하부배출홀(83)의 끝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재가 구비된 우동 면발 성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40) 제1 안내홀(50) 및 제2 안내홀(60)에 구비된 입구단(50a)(60a)과 출구단(50b)(60b) 사이에는 경사면(52)(6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재가 구비된 우동 면발 성형 장치.
  3. 삭제
KR1020150134767A 2015-09-21 2015-09-21 심재가 구비된 우동 면발 성형 장치 Active KR101775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767A KR101775785B1 (ko) 2015-09-21 2015-09-21 심재가 구비된 우동 면발 성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767A KR101775785B1 (ko) 2015-09-21 2015-09-21 심재가 구비된 우동 면발 성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231A KR20150117231A (ko) 2015-10-19
KR101775785B1 true KR101775785B1 (ko) 2017-09-19

Family

ID=54399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767A Active KR101775785B1 (ko) 2015-09-21 2015-09-21 심재가 구비된 우동 면발 성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7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6557A (ko) 2018-05-02 2019-11-12 김홍찬 이중 면발 성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8123B2 (en) 2016-09-16 2021-07-13 Haas Food Equipment Gmbh Food dough extrusion ma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232Y1 (ko) * 2004-11-19 2005-03-11 김봉근 떡 성형기
KR101092182B1 (ko) 2009-02-24 2011-12-13 변미영 가래떡 및 그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232Y1 (ko) * 2004-11-19 2005-03-11 김봉근 떡 성형기
KR101092182B1 (ko) 2009-02-24 2011-12-13 변미영 가래떡 및 그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6557A (ko) 2018-05-02 2019-11-12 김홍찬 이중 면발 성형 장치
KR102056731B1 (ko) * 2018-05-02 2019-12-17 김홍찬 이중 면발 성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231A (ko) 2015-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620942B (zh) 食料供给装置及供给方法
KR101775785B1 (ko) 심재가 구비된 우동 면발 성형 장치
US8177542B2 (en) Rotating nozzle die machine for extrusion of two or more types of dough
KR101126863B1 (ko) 떡볶이 떡의 제조장치
CN201238581Y (zh) 全自动连续制糖成套设备
CN103533854B (zh) 一种用于卷曲的挤出的食物产品的装置
TWI450688B (zh) 麵粉攪拌結構及包括該麵粉攪拌結構之製麵機
US201601006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rled Extrudate
JP2000014375A (ja) 押出成形装置及びその押出成形装置を用いたペットフ−ドの押出成形方法
CN202407030U (zh) 虾片机生产线
KR20150140608A (ko)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
AU201124103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multiple food extrudates
CN205284960U (zh) 一种用于干料食品成型的装置
CN209268714U (zh) 一种通心粉模具
KR20180121050A (ko) 기계적 안전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어묵 성형기
CN204393211U (zh) 一种面皮成型模头及一种面食机
CN222737119U (zh) 一种糕点成型模具
CN205284958U (zh) 一种可包合多重馅料的复合头装置
CN204540560U (zh) 面条机
CN205284959U (zh) 一种制备具有多重馅料的汤圆的改进型装置
KR102194471B1 (ko) 이중면 제조장치
CN204560776U (zh) 一种多头高效率全自动包馅机
CN103948156B (zh) 一种双色或双料膨化机
CN205284957U (zh) 一种制备具有多重馅料的汤圆的装置
KR20090004175U (ko) 공기 떡볶이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