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143Y1 - 비계 발판용 체결구 - Google Patents

비계 발판용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143Y1
KR200375143Y1 KR20-2004-0032966U KR20040032966U KR200375143Y1 KR 200375143 Y1 KR200375143 Y1 KR 200375143Y1 KR 20040032966 U KR20040032966 U KR 20040032966U KR 200375143 Y1 KR200375143 Y1 KR 2003751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fastening member
scaffolding
fastening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9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순
Original Assignee
김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순 filed Critical 김영순
Priority to KR20-2004-00329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1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1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1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85Joining sheets or plates to strips or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공사시 이용되는 비계의 발판을 비계용 빔에 체결시키는 비계 발판용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수평부 및 이 수평부의 양단부 상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제1 및 제2 수직부로 이루어지고, 제1수직부의 단부에는 나사부를 구비하며, 제2수직부의 단부에는 후크부를 구비한 제1체결부재와;
수평부 및 이 수평부의 양단부 상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제1 및 제2 수직부로 이루어지고, 제1수직부의 단부에는 제1체결부재의 나사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공을 구비하며, 제2수직부의 단부에는 제1체결부재의 후크부가 걸림결합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제2체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계 발판용 체결구{Fastener for scaffolding}
본 고안은 건설용 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공사시 이용되는 비계의 발판을 비계용 빔에 체결시키는 비계 발판용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건설현장에서는 구조물을 완성하는 동안에 보행자나 작업자 등의 통행을 위해 발판을 임시로 설치하거나 건물일 경우에는 외부로 불필요한 물체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비계(飛階, scaffolding)가 임시로 설치된다.
이러한 비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공사 시에 높은 곳에서 작업이 용이하도록 임시로 설치되는 임시 가설물로서, 재료운반이나 작업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발판(30) 및 건축물의 외벽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가설되어 발판(30)이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비계용 빔(2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비계는 그 재료면에서 통나무 비계ㆍ파이프 비계로 구분되고, 그 용도면에서 외부비계ㆍ내부비계ㆍ수평비계ㆍ달비계ㆍ간이비계ㆍ사다리비계 등으로 구분되며, 공법면에서 외줄비계ㆍ겹비계ㆍ쌍줄비계 등으로 구분되고, 그 밖에 발돋움비계ㆍ특수비계 등이 있다.
한편, 이러한 비계는 공사 도중에 설치되고 그 공사가 완료된 후에 제거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져야 함에 따라 비계용 빔에 발판을 체결할 때 각종 클램프 또는 체결구 등을 이용하게 된다.
종래의 비계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계용 빔(20)에 발판(30)을 안정적으로 체결시키는 도구로서 U형 볼트(40)가 주로 이용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U형 볼트(40)에 의해 발판(30)이 비계용 빔(20)에 체결될 경우, U형 볼트(40)의 나사부(42)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30)의 하부로 돌출되고, 그 상단부(4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30)의 상부로 돌출됨에 따라, 작업 및 통행시에 작업자에 간섭을 주게 되어 안전성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불편함을 끼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U형 볼트(40)를 이용할 경우에는, U형 볼트(40)가 비계용 빔 (20)및 발판(30) 사이에 기밀하게 접촉되지 못하게 되어 그 체결력이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체결구의 상하부가 발판의 상ㆍ하부로 돌출됨을 방지하여 작업 및 통행 시에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편의성 및 안전성을 부여할 수 있고, 비계용 빔 및 발판 상에 기밀하게 접촉됨에 따라 그 체결력을 향상시킨 비계 발판용 체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평부 및 이 수평부의 양단부 상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제1 및 제2 수직부로 이루어지고, 제1수직부의 단부에는 나사부를 구비하며, 제2수직부의 단부에는 후크부를 구비한 제1체결부재와;
수평부 및 이 수평부의 양단부 상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제1 및 제2 수직부로 이루어지고, 제1수직부의 단부에는 제1체결부재의 나사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공을 구비하며, 제2수직부의 단부에는 제1체결부재의 후크부가 걸림결합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제2체결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체결부재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체결부재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안적으로, 제2체결부재는 제2수직부에서 삽입공과 인접한 주변부분에 제1체결부재의 후크부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절취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 발판용 체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비계 발판용 체결구(10)는 본 고안의 비계 발판용 체결구(10)는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체결부재(11, 15)로 이루어지고, 이 제1 및 제2 체결부재(11, 15) 사이의 공간에 비계용 빔(20) 및 발판(30)의 일측 프레임이 끼워진 상태에서 제1 및 제2 체결부재(11, 15)가 결합됨에 따라 비계용 빔(20)의 상부면에 작업자의 작업 또는 통행을 위한 망체 형상의 발판(30)이 견고하게 체결된다.
제1체결부재(11)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 구조를 가진 봉 형상재질로 이루어지고, 수평방향으로 평평하게 형성된 수평부(11a) 및 이 수평부(11a)의 양단부 상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1 및 제2 수직부(11b, 11c)를 포함한다.
제1수직부(11b)의 단부에는 후술하는 제2체결부재(21)의 체결공(16)에 체결되는 나사부(12)를 구비하고, 제2수직부(11c)의 단부에는 후술하는 제2체결부재(21)의 삽입공(17)에 걸림결합되는 후크부(13)를 구비한다.
제2체결부재(15)는 장방형의 단면 구조를 가진 판 형상재질로 이루어지고, 수평방향으로 평평하게 형성된 수평부(15a) 및 이 수평부(15a)의 양단부 상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제1 및 제2 수직부(15b, 15c)를 포함한다.
제1수직부(15b)의 단부에는 수평부(15a)에 평행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단부(15d)가 형성되고, 이 절곡단부(15d)에는 제1체결부재(11)의 나사부(12)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공(16)이 형성되며, 제2수직부(15c)의 단부에는 제1체결부재(11)의 후크부(13)가 걸림결합되는 삽입공(17)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수직부(15b)의 체결공(16)은 제1체결부재(11)의 나사부(12) 삽입을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슬롯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제1체결부재(11)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체결부재(15)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비계용 빔(20) 및 발판(30)과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그 체결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체결부재(15)의 제2수직부(15c)에 있어서, 그 삽입공(17)에 인접하는 부분에 절취개구(18)를 하향 경사지게 형성시킴으로써, 제1체결부재(11)의 후크부(13)를 제2체결부재(15)의 삽입공(17) 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결합관계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건축물의 외부 또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비계용 빔(20)의 상부면 상에 발판(30)을 얹어 놓은 상태에서, 발판(30)의 일측 프레임과 비계용 빔(20)이 상호 직교되는 부분을 가로질러 제1 및 제2 체결부재(11, 15)를 인접시켜 배치한다.
이런 상태에서, 제1체결부재(11)의 후크부(13)를 제2체결부재(15)의 삽입공(17) 측으로 걸어준 후에 제1체결부재(11)의 나사부(12)를 제2체결부재(15)의 체결공(16) 측으로 삽입시킨다.
이렇게 제1체결부재(11)의 나사부(12)가 제2체결부재(15)의 체결공(16) 내에 삽입된 후에는, 나사부(12) 상에 체결너트(25)를 체결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체결부재(11, 12)를 상호 결합시켜 발판(30)을 비계용 빔(20) 상에 체결시킨다.
이 때, 본 고안은 제1 및 제2 체결부재(11, 15)는 각 수평부(11a, 15a)가 비계용 빔(20) 및 발판(30) 상에 기밀하게 접촉되어 체결됨에 따라,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그 체결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1체결부재(11)의 나사부(12)가 발판(3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음으로 인해 작업자의 통행 및 작업시에 간섭을 주지 않아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체결구의 상ㆍ하부가 발판의 상ㆍ하부로 돌출됨을 방지하여 작업 및 통행 시에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편의성 및 안전성을 부여할 수 있고, 비계용 빔 및 발판 상에 기밀하게 접촉됨에 따라 그 체결력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비계에 있어서 U형 볼트에 의해 비계용 빔 및 발판을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비계에 있어서 U형 볼트에 의해 비계용 빔 및 발판을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계 발판용 체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계 판용 체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비계 발판용 체결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비계 발판용 체결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비계 발판용 체결구 11 : 제1체결부재
15 : 제2체결부재 20 : 비계용 빔
30 : 발판

Claims (3)

  1. 수평부 및 이 수평부의 양단부 상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제1 및 제2 수직부로 이루어지고, 제1수직부의 단부에는 나사부를 구비하며, 제2수직부의 단부에는 후크부를 구비한 제1체결부재와;
    수평부 및 이 수평부의 양단부 상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제1 및 제2 수직부로 이루어지고, 제1수직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나사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공을 구비하며, 제2수직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1체결부재의 후크부가 걸림결합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제2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발판용 체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재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체결부재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발판용 체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부재는 제2수직부에서 삽입공과 인접한 주변부분에 제1체결부재의 후크부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절취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발판용 체결구.
KR20-2004-0032966U 2004-11-22 2004-11-22 비계 발판용 체결구 KR2003751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966U KR200375143Y1 (ko) 2004-11-22 2004-11-22 비계 발판용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966U KR200375143Y1 (ko) 2004-11-22 2004-11-22 비계 발판용 체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143Y1 true KR200375143Y1 (ko) 2005-03-11

Family

ID=43677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966U KR200375143Y1 (ko) 2004-11-22 2004-11-22 비계 발판용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1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98346A1 (en) Fall Protection Guardrail
KR200398859Y1 (ko) 건축물용 방호창
JP3564405B2 (ja) 足場板用幅木
KR200375143Y1 (ko) 비계 발판용 체결구
JP6778090B2 (ja) ハンガーと該ハンガーを用いたシステム天井構造
KR200482903Y1 (ko) 생명선 설치용 지주
KR200326563Y1 (ko) 거푸집 체결부재
JP2002174027A (ja) 足場板隙間カバー
JP2002061338A (ja) 屋根改修工法および改修屋根用の下地構造
JPH0516347Y2 (ko)
JP4459381B2 (ja) 外壁改修構造
JP2004218325A (ja) 火打ち
JP2004044156A (ja) 壁面下地の桟材、壁材受けレール及び壁面下地
JP4025269B2 (ja) 外壁材留め金具
JPS5911522Y2 (ja) 間柱の取付け構造
KR200178640Y1 (ko) 건축용 천정판 고정구
JPH0241210Y2 (ko)
JP7400176B2 (ja) 安全器具保持機能を備えた雪止め金具および雪止め金具設置方法
KR200250962Y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고정너트
KR20080072170A (ko) 거푸집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
JPH0736995Y2 (ja) 足場装置
JP3049514B2 (ja) 天井パネルの支持金具
JPS59406Y2 (ja) 形鋼と角材の取付け装置
KR200209583Y1 (ko) 커텐레일 고정구
JP3072214U (ja) 建設中の床開口部閉鎖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