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874Y1 - 수분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수분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874Y1
KR200374874Y1 KR20-2004-0021752U KR20040021752U KR200374874Y1 KR 200374874 Y1 KR200374874 Y1 KR 200374874Y1 KR 20040021752 U KR20040021752 U KR 20040021752U KR 200374874 Y1 KR200374874 Y1 KR 2003748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illary
induced
fibreboard
cut
fibrou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7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인일
Original Assignee
류인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인일 filed Critical 류인일
Priority to KR20-2004-00217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8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8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8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60Apparatus for preparing growth substrates or culture med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고 작은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의 한쪽을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길이와 폭으로, 임의의 개수로 잘라진 것을, 크기가 작은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이 위에 오게 하는 방법으로 전체의 개수만큼, 길이 방향으로 자르지 않은 부분을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의 크기가 차이 나는 만큼, 보이게 겹쳐지고, 자른 부분의 끝 일부를 제외한 겹쳐지는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 부분과, 길이방향으로 잘라지지 않은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의 길이만큼, 그 밑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을 합성수지로 싸는 방법으로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 숫자만큼 계속 진행하여,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 마다 흡수되는 수분은, 각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마다 별도로 식물에 공급되게 되며, 길이방향으로 잘라진 수분공급부분을, 수분량의 필요에 따라 임의의 개수를 선택하여 수분량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분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분공급장치{Moisture Supply Equipment}
본 고안은 자연의 현상으로 쉽게 수분을 공급할 수 없는 실내외에서 식물을 재배하고자 할 때, 크고 작은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의 일부분을 제외하고 겹쳐 일정한 면적에 적당량의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수분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고 작은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 한쪽을 길이방향의 일정한 길이와 폭으로, 임의의 개수로 잘라진 것을, 크기가 작은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이 위에 오게 하는 방법으로 전체의 개수만큼 겹쳐서 잘라진 일부를 제외하고 접착제나 바느질로 고정하는데, 이때 제일 위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이 닿는, 위에서 두번째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부분에는 합성수지재로 덮거나 둘러싸서, 제일위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의 섬유와, 위에서 두번째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의 섬유와 직접 닿지 않게 하고, 위에서 두번째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부분이 닿는, 위에서 세번째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 부분에는 위의 두번째와 같이 합성수지로 덮거나 둘러싸서, 위에서 두번째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의 섬유와 위에서 세번째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의 섬유와 직접 닿지 않게 하는 방법으로, 크고 작은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 개수만큼 진행하여, 자른 부분 전체를 물이 있는 물통에 넣어 두면, 크고 작은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 전부는 모세관현상으로 수분을 흡수하게 되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 두번째, 세번째의 합성수지로 덮어져 있거나 싸여져 있는 부분에는 수분이 서로 합쳐지지 않고 각 모세관 현상 유발 섬유판별로, 합성수지로 싸여져 있지 않은 부분에서만, 수분이 밖으로 서며 나올 수 있어, 자른 부분이 아닌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 전체의 면적에 수분이 골고루 공급될 수 있고, 임의의 개수로 수분공급부분을 잘라 두었기 때문에, 잘라진 것 어느 하나를 물통 밖으로 내어 물통에서 칸을 친 칸막이위에 얹어두면 그만큼 수분공급이 적게 되게 되며, 수분공급을 완전히 중단하고자하면 물통에 넣어진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 전체를 물통 밖으로 들어내어 물통에 칸을 친 칸막이위에 얹어두면 수분공급이 완전히 중단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에는 실내에서 식물을 재배하고자하는 화분이나 노지의 식물에 수분공급하고자할 때 호스나 바가지로 직접 물을 부어 주었는데 이러한 불편한 점을 해결하고자 근래 개발되어 있는 것은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41214호의 작물의 수분 공급용 급수관,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41195호의 심지를 이용한 화분의 수분 공급 장치,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20967호의 수분 공급장치등 다수가 있으나 파이프의 구멍의 크기를 달리하여 그 속에 모세관현상 유발섬유를 넣어 수분공급을 골고루 적당량 배분하고자 하는 것은 물이 들어가는 앞쪽과 물이 나오는 뒤쪽이 같은 적당한 수분배분이 불가능하며, 일정한 원형파이프에 넣어진 모세관현상유발섬유로는 식물재배지의 파이프에 비해 넓은 평면이므로 수분 공급이 어려우며(0241214), 심지를 이용한 것은 한 점에만 수분을 공급하므로 일정 면적이 있는 채소 재배지에 골고루 수분공급을 하기에는 사용하기곤란하며(0241195), 일정한 넓이의 모세관 현상유발섬유를, 수분이 스며들거나 나올 수 있는 같은 크기의 구멍이 있는 것도 수분 공급이 고르지 못하며(0220967), 수분이 스며드는 입구와 스며 나오는 출구의 구멍의 크기가 다른 구멍이 있는 합성수지로 싸서 채소류재배상자를 사용하여 채소를 재배하고자 할 때에도, 수분공급이 되는 입구 쪽에 구멍이 작더라도 수분이 먼저 공급되는 현상이며, 경제적인 면에서 모세관현상 유발섬유판의 두께가 얇은 것이 좋으며, 모세관현상 유발섬유를 둘러싸는 합성수지의 수분 공급 쪽의 구멍은 작게 하고 수분 공급부에서 멀어지는 쪽의 구멍을 크게 하는 방법으로는 모세관현상 유발섬유의 굵기나 두께의 한정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수분 양을 한 시설물 내에서 공급의 시차를 줄이는 것은 극히 어려우며, 수분이 공급되는 쪽의 모세관현상 유발섬유가 오직 한 개(한 묶음 또는 판형의 한개)로만 되어있어 수분공급을 줄이고자 할 때 기존장치의 수분을 완전히 중단하는 방법 외에는 수분공급을 조금씩 하는 등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크고 작은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의 한쪽을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임의의 개수로, 잘라진 것을 크기가 작은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이 위에 오게 하는 방법으로 전체의 개수만큼 겹쳐서 고정하고, 제일 위의 것이 길이방향으로 잘라진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닿는, 위에서 두번째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 부분에는, 합성수지재로 덮거나 둘러싸서, 제일위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의 섬유와, 위에서 두번째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의 섬유가 직접 닿지 않게 하고, 위에서 두번째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의 자른 부분이 아닌, 부분이 닿는, 위에서 세 번째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 부분에는, 위에서 두번째와 같이 합성수지로 덮거나 둘러싸서 위에서 두번째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의 섬유와, 위에서 세번째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의 섬유와 직접 닿지 않게 하는 방법으로, 크고 작은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 개수만큼 진행하고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의 길이방향으로 잘라진 부분 전체를, 본체에 서랍식으로 넣어져 고정되어 일부가 나와 있으면서 작은 칸막이로 된 바닥이 옆에 있는 물통에 넣으면서, 잘라지지 않은 부분은 본 고안의 본체 바닥에 얹고, 그 위에 사각형 테를 올려놓고, 투명한 재료로 만들어진 물통커버에 있는 물통커버 고정 편으로, 사각형 테에 있는 커버 고정걸이에 걸면, 물통커버가 고정됨과 동시에, 칸막이로 만들어진 바닥과 물통은 덮어지며, 수분공급을 줄이거나 중단하고자 할 시는 투명한 물통 커버를 들고 물통 안에 있는 잘라진 부분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의 일부 또는 전부를 물통 밖으로 들어내어, 몸통을 갈라놓는 칸막이 위에 올려놓으면 수분공급은 줄어들거나 중지하게 된다.
도 1 - 본 고안의 외관 구성 사시도
도 2 - 크고 작은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의 사시도
도 3 - 사각형 테의 사시도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고정과 식물 재배용 흙의 양 조정)
도 4 - 사용된 크고 작은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을 겹친 사시도
도 5 - 본 고안의 본체와 물통, 물통 커버 사시도
도 6 -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도 4)을 본 고안의 본체(도 5) 위에 얹으면서 한 끝을 물통(3)에 넣은 사시도
도 7 -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을 본체위에 얹은(도6)위에 사각형 테(도3)를 얹은 사시도
도 8 -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의 길이 방향으로 잘라진 일부만 물통 밖으로 나오게 한 사시도
도 9 - 물통커버와 A-A단면도
물통과 B-B단면도
도 10 - 사용상태의 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B: 길이 방향으로 잘라진 부분의 폭(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 5, 6, 7 에 해당)
1 : 본 고안의 본체
2 : 사각형 테
3 : 물통
4 : 물통커버(투명한 재료)
5, 6, 7 :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
5', 5",5"',6',6",6"',7',7",7"' : 크고 작은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 한쪽을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길이(L)와 폭(B)으로 잘라진 부분
8 :칸막이(본체 바닥보다 높게)
9 :물통커버 고정걸이
10:물통커버 고정편
11:돌기 (섬유판고정)
15:본체 손잡이
16:본체 배수구멍
17:비품함
18:물통 칸막이 배수구멍
20:물 공급 및 정수위 밸브연결구멍
21:물 공급 호스
가,나 :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을 덮거나 싼 합성수지재 부
다 :본 고안 본체 바닥(식물재배자리)
라,마: 물통커버 고정걸이가 들어갈 공간
바:물통에서 칸막이로 된 바닥
사:물통 바닥
L :길이방향으로 잘라진 부분의 길이(치수)
(모세관현상유발 섬유판 5,6,7 전부에 해당)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 도 4, 도 6, 도 7, 도 8,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의 크고 작은(5는 6보다 작고, 6은 7보다 작게)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6,7)의 한쪽 부분을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길이(L)와 폭(B)이 되게 즉,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 (5)의 한쪽 부분을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길이(L)와 일정한 폭(B)으로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을 등분(5',5",5"')하고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 (6)의 한쪽 부분도 일정한 길이(L)와 일정한 폭(B)으로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을 등분(6', 6", 6"')하고 이의 한 부분을,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의 길이방향으로 잘라진 부분 (L)의 끝 일부를 제외한 모세관 현상 유발 섬유판 (5)의 전부분이 닿는 부분인 도 2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에 합성수지재로 둘러싸고(가) 또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의 한쪽 부분도 일정한 길이(L)와 일정한 폭(B)이 되게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을 등분(7',7",7"')하고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의 길이방향으로 잘라진 부분 (L)의 끝 일부를 제외한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의 전부분이 닿는 부분인, 도 2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에 합성수지재로 둘러싼 부분(나)과 같이 만들고, 크고 작은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6,7)의 잘라진 쪽의 끝을 기점으로 작은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이 위에 오게 하고, 잘라진 부분은 잘라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잘라지지 않은 부분 전체를 무해한 접착제나 바느질로 포개면서 밀착되게 고정하여,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6,7) 중에서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를 나누어 자른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 5", 5"')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을 나누어 자른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6",6"')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을 나누어 자른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7",7"')에서,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과 포개고,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과 포개고,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과 포개져 도 4와 같이 되어 잘라진 부분은 맞닿게 포개어져 있는 상태가 되며, 이것을 본체 (1)에 서랍식으로 되어있는 물통(3)의 물통바닥(사)에 넣으면서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6,7)의 잘라지지 않은 부분을 본 고안의 본체 바닥(다)에 얹으면, 도 6과 같이 되고, 도 6에서 물통(3)의 물통바닥(사)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 중의 일부를, 도 8처럼 제일 위에 있는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의 일정한 길이와 폭으로 잘라진 일부인, 가운데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을 들어내거나, 또는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과 포개고,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과 포개고,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 (5)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 (6)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관(7)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이 맞닿게 포개어져 있는 일부나 전부를 물통(3)의 물통바닥(사) 밖으로 들어내어, 끝이 물통에서 칸막이로 된 바닥(바)쪽으로 향하게 물통(3)의 칸막이(8)위에 얹힐 수 있게 되어있으며, 도 6에 밑 부분의 절개된 부분에, 돌기(11)가 돌설된 사각형 테(2)(도 3)를 얹으면, 도 7과같이 되며, 이 도 7의 사각형 테(2)의 돌기 (11)의 위쪽에 있는 커버 고정걸이(9)양끝부분이 물통커버 고정걸이가 들어갈 공간 (라, 마)에 들어가, 도 9에 나타낸 물통커버 고정 편(10)을 걸어 고정하면 투명 재료로 된, 물통커버(4)는 본체(1)의 바닥(다)보다 높게 된 칸막이(8)를 포함하여 물통에서 칸막이로 된 바닥(바)과 물통(3)의 노출된 부분을 덮으면 본 고안의 외관구성 사시노인 도 1과 같이 구성되어 진다
이와 같이 구성 된 수분공급장치가 목적하는 바와 같이 완전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작용을 도 2와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에서 설명하면 크고 작은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 세 개(5,6,7)을 도 4와 같이 잘라지지 않은 부분을 겹쳐 밀착되게 고정하고 잘라서 서로 맞닿게,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과 서로 포개고,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 현상 유발 섬유판(6")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헌상 유발 섬유판(7")과 서로 포개고,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을 서로 맞닿게 포개진 것을 도 6, 도 7과 같이 물통(3)의 바닥(사)에 넣으면, 위의 잘라져 포개어진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6',7')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6",7")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6"',7"')에서 물이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6,7)의 잘라지지 않은 부분으로 스며들기 시작한 후, 제일 위에 있고, 제일 작은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은 잘라지지 않은 전체의 표면으로 수분이 스며 나오고, 위에서 두 번째에 있고 그 다음 작은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은 합성수지재로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만큼의 넓이로 둘러싸여진 도 2의 (가)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표면으로 수분이 스며 나오고, 위에서 세 번째에 있고 제일 큰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에서는,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의 합성수지재로 싸진 부분(가)과 합성수지재로 싸지지 않은 부분만큼의 넓이인 도 2의 (나)부분이 합성수지재로 싸져있기 때문에 수분이 밖으로 스며 나올 수 없고, 합성수지재로 싸지지 않은 부분의 넓이의 표면으로만 수분이 스며 나올 수 있어, 수분이 공급되는 부분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과 포개고,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 (7)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과 포개고,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이 서로 맞닿게 포개어진 섬유판에 스며든 수분은,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 (5, 6, 7)에서 잘라진 부분을 제외한 합성수지재로 둘러 싸지지 않은 부분에서만 스며 나와, 결국 각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에서 잘라진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5",5"')의 끝에서 스며든 수분이,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의 잘라지지 않은 표면으로만 스며 나오고,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에서 잘라진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6",6"')의 끝에서 스며든 수분은,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의 잘라지지 않은 표면으로만 스며 나오고,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에서 잘라진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7",7"')의 끝에서 스며든 수분은,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에서 잘라지지 않은 표면으로만 스며 나올 수 있게 되어,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 (5,6,7)의 수분이 섞이지 않으면서 수분이 공급되지만, 물통(3)의 물통바닥(사)에 있는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과 포개고,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과 포개고,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 현상 유발 섬유판(6"')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을 맞닿게 포개진 것의 일부 또는 전부를 물통(3)의 물통바닥(사)에서 밖으로 들어내어 끝을 물통에 칸막이가 된 바닥(바)쪽으로 향하게 물통(3)의 칸막이(8)위에 얹어 놓으면 수분공급을 줄이거나 중단할 수 있고, 또 크고 작은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7)의 일부를 합성수지재로 싸서 식물을 재배하고자 하는 한 상자 내에서도, 수분이 스며들어가는 가까운 곳에서 수분이 스며 나오는 수분량과 수분이 스며들어 가는 곳에서 수분이 스며 나오는 곳이 먼 곳에서 스며 나오는 수분량 차이를 줄이면서 수분을 공급할 수 있으며,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6,7)에서 잘라 나누어 포개지게 하였으나 접착하지 않은 것인,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분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과 포개고,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 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과 포개고,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이 맞닿게 포개지게 한 것은 수분량의 필요에 따른 부분별로 수분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게 하기위한 것이며, 일정한 면적에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의 숫자가 많으면 수분이 공급되는 전체면적에 수분공급량의 차이가 적게 골고루 공급되지만, 식물재배 면적이 작은 경우는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 (5, 6, 7) 에서 잘라진, 즉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을 나누어 자른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5",5"')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을 나누어 자른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6",6"')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을 나누어 자른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7",7"') 중에서 선택적으로 수분공급이 가능하며, 작은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보다 큰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에서 수분이 들어가는 곳에서부터 수분이 스며 나오는 거리가 길므로 수분공급이 늦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미리 섬유판 전체를 물에 적셔 사용하면 큰 섬유판에서 수분공급이 늦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인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을 도 5인 본 고안의 본체에 얹은 상태인 도 6에 도 3인 사각형 테를 얹은 도 7에서 밑 부분의 돌기(11)는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을 안전하게 고정 하며 또 교체가 용이하므로 식물를 재배하기 위한 흙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미 설명 부호 바,15,16,17,18,20,21중 물통에 칸막이가 된 바닥(바)는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과 포개고,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과 포개고,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의 한끝을 나누어 자른 부분 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이 맞닿게 포개어져 있는 것을, 수분공급을 일부(도 8)또는 전부 중지하고자 물통 밖으로 들어내어 물통(3)의 칸막이(8)에 얹었을 때 나올 수 있는 물의 고임부이며, 이 물통 칸막이의 높이는 물통의 물의 수위보다 높게 되어 있으며, 18은 물이 빠지는 구멍이고, 15는 본 고안의 본체를 취급하기 쉽게 하기위한 손잡이고, 16은 수분이 과잉공급 되었을 때 빠질 수 있는 구멍이며, 17은 본 고안 사용 시 필요한 비품함이며, 20은 물통에 물을 공급 할 수 있는 구멍과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는 물 공급 또는 정수위 밸브설치구멍이고, 21은 물통에 물을 공급하는 호스이다.
종래에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를 사용한 식물의 수분공급상의 불편사항인, 수분을 공급을 하고자하는 곳에 고르게 수분을 공급 할 수 없는 어려움을, 크기가 다르고 일부분에 합성수지재로 둘러싸진,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의 크기가 작은 것이 위에 오게 하면서, 잘라진 한쪽을 기점으로 겹쳐지게 하면서 잘라지지 않은 부분을 부착하는 방법으로 고정하여 해결했으며, 수분이 공급되는 쪽이 잘라 나누어져 있어 필요한 수분의 양에 따라 수분을 쉽게 조절 할 수 있으며, 물통 커버의 재질을 투명재로 하여 물통안의 물량을 쉽게 알 수 있고, 물통크기의 대부분을 식물을 재배하고자하는 재배상자 밑에 들어있게 구성되어 식물 재배하는 곳의 옆에 물통을 두는 것 보다 실내의 좁은 공간사용에 효율적이며, 식물 재배상자 역할을 하는 본 고안의 본체에서 물통을 쉽게 분리하여 본 고안의 본체 없이 물통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만으로도 별 보충 조치 없이, 노지에서도 식물을 재배 할 수 있으며, 또 구조가 간단하고 전부를 합성수지재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염가로 대중에게 공급 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재로 싸지지 않는 부분이 시작되는 위치에서 기존의 싸진 합성수지를 간단하게 연장하여 , 연장을 시작하는 쪽에는 작은 구멍을, 연장한 쪽에서 멀어진 곳에는 큰 구멍을 만들 수 있어, 수분을 더욱 고르게 공급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Claims (2)

  1.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것에 있어서,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의 한쪽 끝부분을 길이방향으로 길이(L)와 폭(B)으로 나누어 자른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5",5"')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의 한쪽 끝부분을 길이방향으로 길이(L)와 폭(B)으로 나누어 자른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6",6"')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의 한쪽 끝부분을 길이방향으로 길이(L)와 폭(B)으로 나누어 자른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7",7"')중에서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을 나누어 자른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을 나누어 자른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을 나누어 자른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과 포개고, 또 모세관 현상 유발 섬유판(5)을 나누어 자른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을 나누어 자른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을 나누어 자른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과 포개고, 또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을 나누어 자른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을 나누어 자른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6"')과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을 나누어 자른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7"')을 포개고, 이 포개어진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 전부를 물통(3)의 바닥(사)에 넣고,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6,7)의 나누어 잘라지지 않은 부분을 본체바닥(다)에 얹어서 수분공급을 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물통(3)의 물통바닥(사)에 길이 방향으로 잘라 포개어져 있는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중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이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 5"')이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 5", 5"')이나, 모세관현상 유발 섬유판(5", 6", 7")을 물통(3)의 물통바닥(사)에서 밖으로 들어내어, 물통(3)의 칸막이(8)위에 얹어 수분공급의 조절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공급장치.
KR20-2004-0021752U 2004-07-22 2004-07-22 수분공급장치 KR2003748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752U KR200374874Y1 (ko) 2004-07-22 2004-07-22 수분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752U KR200374874Y1 (ko) 2004-07-22 2004-07-22 수분공급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128A Division KR100566691B1 (ko) 2004-08-31 2004-08-31 수분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874Y1 true KR200374874Y1 (ko) 2005-02-07

Family

ID=49354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752U KR200374874Y1 (ko) 2004-07-22 2004-07-22 수분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87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614B1 (ko) 벽면식재장치
US20080202026A1 (en) Manufacture Method of Block Type Culture Soil Contain Seeds
JP2014171471A (ja) 花器を植木鉢として使用するための技術
CN200983773Y (zh) 底部无漏无污环保花盆
KR102626053B1 (ko) 식물재배용 팩 및 그 제조방법
KR200374874Y1 (ko) 수분공급장치
KR101313866B1 (ko) 시스템 식재 포트
KR100566691B1 (ko) 수분공급장치
JP2011142835A (ja) 節水型の木製プランター
JP2006174829A (ja) 簡易式養液栽培容器
JP2004065228A (ja) 植木鉢植物根腐れ防止木片水分調整装置
KR200425493Y1 (ko) 액자 기능을 갖는 탁상용 화분
JP2569747Y2 (ja) プランター
KR200281182Y1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20020032504A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200365120Y1 (ko) 수조가 구비된 화분
JP3208295U (ja) 多目的テーブル
JP2020198820A (ja) 植栽構造体
CN208144092U (zh) 花盆自动供水装置
JP3117839U (ja) 底面吸水の園芸鉢皿
KR102645809B1 (ko) 식물과 식재 환경에 연동된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유닛
KR20040095527A (ko) 난초 화분용 받침대
KR200224411Y1 (ko) 육묘용 부상틀
JP3890499B2 (ja) 植物栽培用容器において使用する置き敷き
JP2004121103A (ja) 給水板を備えた植木鉢用給水装置及びその給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