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532Y1 -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구조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532Y1
KR200374532Y1 KR20-2004-0030391U KR20040030391U KR200374532Y1 KR 200374532 Y1 KR200374532 Y1 KR 200374532Y1 KR 20040030391 U KR20040030391 U KR 20040030391U KR 200374532 Y1 KR200374532 Y1 KR 2003745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food
sink
discharge lin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욱
Original Assignee
김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양욱 filed Critical 김양욱
Priority to KR20-2004-0030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532Y1/ko
Priority to PCT/KR2004/002761 priority patent/WO200504760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5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5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02C18/1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with drive arranged below contain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8Tanks for disinfecting, neutralising, or cooling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의 처치에 있어서의 음식물쓰레기를 모아두는 일이없이 싱크대에서 발생되는 대로 바로 분쇄기에서 분쇄되도록 하고, 분쇄가 완료된 음식물쓰레기는 배출라인을 통하여 정화조로 투입되도록 함으로서, 음식쓰레기에 의한 실내의 냄새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음식물쓰레기가 음식물처리전용 정화조에 유입되어, 정화되어 처리되기 때문에, 환경의 오염없이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싱크(200)의 개수구(210)와는 별도로 싱크(200)에 음식물쓰레기투입통(400)을 연결하고, 상기 음식물쓰레기투입통(400)내에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분쇄커터(410)를 형성하여, 음식물쓰레기투입통(400)으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도록 하는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구조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투입통(400)의 믹서된 음식물이 배출되는 배출관(310)에 음식물배출라인(500)과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음식물배출라인(500)을 통하여 믹서된 음식물이 음식물처리전용 정화조(600)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음식물배출라인(500)에 각 세대의 배출관(310)들이 연결되어, 음식물처리전용 정화조(600)와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구조{Disposal structure of food garbage}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를 싱크대에 별도로 설치한 음식물쓰레기투입통에서분쇄하여 배출관을 통하여 별도로 설치한 음식물처리전용 정화조로 배출하도록 하는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의 처치에 있어서의 음식물쓰레기를 모아두는 일이없이 싱크대에서 발생되는 대로 바로 분쇄기에서 분쇄되도록 하고, 분쇄가 완료된 음식물쓰레기는 배출라인을 통하여 정화조로 투입되도록 함으로서, 음식쓰레기에 의한 실내의 냄새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음식물쓰레기가 음식물처리전용 정화조에 유입되어, 정화되어 처리되기 때문에, 환경의 오염없이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구조에 관한 것이다.
과거의 우리들의 식생활은 음식물을 장만할 때 나오는 음식쓰레기는 바로 가축(소, 돼지, 개, 고양이 및 닭) 등에 동물들의 식성대로 구분하여 주기만 하면 되었다. 오히려 가축들의 사료가 부족하여 이웃집 뜨물 등을 수거하여 사료로 보충하거나 별도로 상하지 않은 음식물을 구입하는 어려운 생활이었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도 없을 뿐 아니라 처리 자체에 신경을 쓸 아무 염려도 없었다.
근래에 음식물 쓰레기가 버려지고 있는 실태를 보면, 싱크대에서는 식기나 식품 및 식사도구를 세척키 위하여 여러 종류의 세제를 사용하게 된다.
이 세척수를 버리는 곳에 음식물의 찌꺼기를 분쇄하는 기구 등을 사용하여 분쇄된 음식물의 찌꺼기가 세척수와 같이 유출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하는 세제는 알칼리성이기 때문에, 그대로 하천으로 방류되므로 하천은 침전물이 쌓이게 되어 하천의 생태계가 파괴되는 것이 현 실정이다.
음식물의 잔물(찌꺼기)을 분류하여 세척제인 알칼리성 물과 배합된 것을 하수구로 흘려 보내는 것을 그대로 하천으로 방류하는 행태는 결코 있을 수가 없다고 사료되는데 이렇게 하수구를 통해 그대로 하천으로 흘려 보낸다면 당초에 싱크대에서는 음식물을 분류해서 방류한다는 발상은 크게 잘못된 판단이다.
우리들의 생활하수는 화장실수와 목욕수를 분류하여 처리하고 있는 원리는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사실이다.
목욕수는 비누(알칼리성제)를 사용하므로 정화조를 통하지 아니하고 그대로 다른 관을 통하여 하천으로 유출되고 있다. 또한 싱크대에서 세제를 사용하여 식기 등을 세척한 알칼리수, 역시 그대로 목욕수와 같은 관을 사용하게 되는데, 여기에다 음식물 쓰레기를 유출시킨다면, 우리의 하천은 음식물 쓰레기와 세제와 혼합되어 하천 바닥에 누적되므로, 하천의 상태가 파괴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공동주택의 경우의 음식쓰레기의 수거에 있어서는 각 가정에서 하루나 이틀정도 음식물쓰레기를 모음통에 모으게 되는데, 모음통내의 음식물쓰레기는 썩기 시작하게 되며, 이 쓰레기의 부패로 발생되는 냄새는 이루 표현하기가 어렵고, 또한, 몇 일만에 수거해 가는 쓰레기의 처리는 부폐로 인하여 사료 또는 비료 등으로 재활용할 수 없는 것이 사실이며, 이 쓰레기는 수거해서 불법으로 땅에 매입한 다든지 강물 등에 흘러내려 보내는 등으로 인하여, 환경 파괴의 주범이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가정에서 발생되는 음식쓰레기를 싱크대에서 분쇄하되 일반 세제수와 같이 방류되는 일이 없도록 하고, 또한 모음통에 모아 수거하여 재활용한다는 면목으로 땅에 묻는다던가 강에 방류하는 일이 없이 가정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음식물배출라인을 통하여 음식물처리전용 정화조로 배출토록하여, 음식물쓰레기로 인한 환경의 오염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도록 하고, 또한 음식물쓰레기의 정화조에의 배출에 있어서 음식물쓰레기의 찌꺼기가 싱크대에 별도로 설치한 음식물쓰레기투입통에서 믹서되어 음식물처리전용 정화조로 투입되도록 함으로서, 가정의 실내가 냄새 및 병균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더 나아가서는 강산의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획기적인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상기 싱크의 개수구와는 별도로 싱크에 음식물쓰레기투입통을 연결하고, 상기 음식물쓰레기투입통내에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분쇄커터를 형성하여, 음식물쓰레기투입통으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도록 하는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구조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투입통의 믹서된 음식물이 배출되는 배출관에 음식물배출라인과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음식물배출라인을 통하여 믹서된 음식물이 음식물처리전용 정화조로 배출되도록 됨을 기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식물배출라인에 각 세대의 배출관들이 연결되어, 음식물처리전용 정화조와 연결됨을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도 1 는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구조가 설치되는 조리대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구조가 장착된 조리대의 종단면도,
도 3a,b 는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구조의 음식물쓰레기투입통의 실시예시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구조를 아파트에 설치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조리대 110 : 찬장
200 : 싱크 300 : 연결관
310 : 배출관 400 : 음식물쓰레기투입통
410 : 분쇄커터 420 : 모터
440 : 사이펀관 500 : 음식물배출라인
600 : 음식물처리전용 정화조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방에 설치되는 조리대(100)에는 찬장(110)이 설치되고 찬장(110)의 위에 싱크(200)가 설치되며, 싱크(200)에는 수도꼭지(220)가 설치되어 음식물의 준비 등을 위한 처리가 행하여지게 된다.
그리고, 싱크(200)는 일정깊이로 제작되고 바닥에 개수구(210)가 형성되어 싱크(200)의 물을 배출할 수 있으며, 개수구(210)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관(230)이 연결되어 싱크(200)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싱크(200)의 개수구(210)와는 별도로 조리대(100)에 음식물쓰레기 투입통(40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음식물쓰레기투입통(400)은 조리대(100)에 구멍(도시생략)을 뚫어 설치된다.
상기 음식물쓰레기투입통(400)은 싱크(200)내에 설치하지 않는다. 싱크(200)에서는 식기나 식품 및 식사도구를 세척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세제가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세제와 음식물쓰레기가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투입통(400)은 조리대(100)위에 설치하여 세제와 섞이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음식물쓰레기투입통(400)내에는 도 2 및 도 3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원인 모터(420)에 의하여 구동되는 스크류커터 및 분쇄커터(410)가 형성되어, 음식물쓰레기투입통(400)으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게 된다.
상기 음식물쓰레기투입통(400)의 뚜껑(430))을 열고 가정에 수거된 음식물쓰레기를 넣은 후 음식물쓰레기를 약간밀어 넣어주면, 상기 스크류커터 및 분쇄커터(410)는 모터(420)의 구동에 의하여 음식물을 분쇄하게 된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음식물쓰레기투입통(400)내에서 스크류커터(410)에 의하여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는 연결관(300)을 통하여 배출관(310), 사이펀관(440) 및 배출연결관(460)으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식물쓰레기투입통(400)내에 분쇄커터(410)가 형성된 경우에, 상기 분쇄커터(410)는 모터(420)에 의하여 회전하여, 상기 음식물쓰레기투입통(400)내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게 하여 연결관(300)을 통하여 배출관(310)으로 배출되게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상기 분쇄커터(410)는 회전커터 및 스크류커터 만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스크류커터 외에 회전칼날 등의 평면칼날로 대용하여도 되며, 이때에는 모터의 장착 위치 등을 설계 변경하여 장착하여야 할 것이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관(310)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수단이 별도로 장착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음식물쓰레기투입통(400)에는 연결관(300)이 연결되고, 또한 상기 연결관(300)에 배출관(310), 사이펀관(440) 및 배출연결관(460)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음식물쓰레기투입통(400)에서 믹서된 음식물쓰레기는 상기 관들에 안내되어 배출되게 되며, 상기 사이펀관(440)은 음식물쓰레기의 냄새 등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사이펀관(440)에는 주름관(450) 등의 파이프가 연결되어 후술하는 음식물배출라인(500)과 연결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싱크대(200)의 음식물쓰레기투입통(400)에서 믹서된 음식물 쓰레기는 연결관(300), 배출관(310), 사이펀관(440), 주름관(450) 및 배출연결관(460) 등의 파이프라인에 안내되어, 음식물배출라인(500)으로 배출되게 된다. 즉, 각 세대의 믹서된 음식물쓰레기는 각 배출연결관(460)들을 통하여 음식물배출라인(500)으로 배출되어서 음식물처리용정화조(600)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음식물처리용정화조(600)는 일반 정화조(700)와 연결되어, 상기 음식물쓰레기투입통(400)에서 믹서된 음식물 쓰레기는 음식물처리용정화조(600)에서 1차정화가 되고, 또한 일반 정화조(700)에서 정화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음식물처리용정화조(600)를 일반 정화조(700)와 연결하였으나, 정화조(700)와 연결하지 않고 음식물처리용정화조(600)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정화처리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그리고, 음식물처리용정화조(600)내에 미생물을 투입하여, 음식물쓰레기투입통(400)에서 믹서된 음식물 쓰레기가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되어 환경에 무해하게 처리되어서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독주택의 경우, 싱크대(200)의 음식물쓰레기투입통(400)에서 믹서된 음식물 쓰레기는 연결관(300), 배출관(310), 사이펀관(440), 주름관(450) 및 배출연결관(460)등의 파이프라인에 안내되어 음식물배출라인(500)을 통하여 음식물처리용정화조(600)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식물쓰레기투입통(400)을 조리대(100)에 설치하지 않고 조리대(100) 주위의 벽 등에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가정에서 발생되는 음식쓰레기를 싱크대에서 분쇄하되 일반 세제수와 같이 방류되는 일이 없도록 하고, 또한 모음통에 모아 수거하여 재활용한다는 면목으로 땅에 묻는다던가 강에 방류하는 일이 없이 가정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음식물배출라인을 통하여 음식물처리전용 정화조로 배출토록하여, 음식물쓰레기로 인한 환경의 오염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도록 하고, 또한 음식물쓰레기의 정화조에의 배출에 있어서 음식물쓰레기의 찌꺼기가 싱크대에 별도로 설치한 음식물쓰레기투입통에서 믹서되어 음식물처리전용 정화조로 투입되도록 함으로서, 가정의 실내가 냄새 및 병균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더 나아가서는 강산의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상기 싱크(200)의 개수구(210)와는 별도로 싱크(200)에 음식물쓰레기투입통(400)을 연결하고, 상기 음식물쓰레기투입통(400)내에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분쇄커터(410)를 형성하여, 음식물쓰레기투입통(400)으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도록 하는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구조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투입통(400)의 믹서된 음식물이 배출되는 배출관(310)에 음식물배출라인(500)과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음식물배출라인(500)을 통하여 믹서된 음식물이 음식물처리전용 정화조(600)로 배출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배출라인(500)에 각 세대의 배출관(310)들이 연결되어, 음식물처리전용 정화조(600)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구조.
KR20-2004-0030391U 2003-10-30 2004-10-27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구조 KR2003745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391U KR200374532Y1 (ko) 2004-10-27 2004-10-27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구조
PCT/KR2004/002761 WO2005047609A1 (en) 2003-10-30 2004-10-29 Disposal structure of food garb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391U KR200374532Y1 (ko) 2004-10-27 2004-10-27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532Y1 true KR200374532Y1 (ko) 2005-01-29

Family

ID=49445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391U KR200374532Y1 (ko) 2003-10-30 2004-10-27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5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609B1 (ko) * 2023-04-25 2023-12-04 크리미크몬 주식회사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609B1 (ko) * 2023-04-25 2023-12-04 크리미크몬 주식회사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559B1 (ko) 미생물 처리기
KR101579963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202272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980000664A (ko) 공동주택의 음식물 쓰레기 공동처리시스템
KR10157996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374532Y1 (ko)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구조
JP2002331276A5 (ko)
KR101445111B1 (ko) 양변기 음식물처리장치
JP2002331276A (ja) 排水利用の湿式有機廃棄物発酵分解処理機
KR101682059B1 (ko) 주방용 오물처리장치
KR200338678Y1 (ko)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구조
KR101847093B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102530299B1 (ko) 합체 구성하는 씽크대 분리형 음식물 자동분쇄처리장치
KR200336784Y1 (ko) 음식물쓰레기의 변기처리장치
KR100294364B1 (ko) 씽크대오물(음식물쓰레기)자동처리기
KR200337098Y1 (ko) 음식물쓰레기의 변기처리장치
WO2005047609A1 (en) Disposal structure of food garbage
JP2001293460A (ja) 分解水処理槽を持ったディスポーザー付き有機廃棄物分解消滅装置、及び分解処理剤と分解媒体材。
KR200145609Y1 (ko) 분쇄기와 정화조가 설치된 싱크대
KR200461309Y1 (ko)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KR20050047887A (ko) 오수관을 이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23778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2299783B1 (ko)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KR102304759B1 (ko) 주방 씽크대용 음식물 처리장치
KR101550828B1 (ko) 음식물 쓰레기의 분료 병합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