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098Y1 - 음식물쓰레기의 변기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의 변기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098Y1
KR200337098Y1 KR20-2003-0030578U KR20030030578U KR200337098Y1 KR 200337098 Y1 KR200337098 Y1 KR 200337098Y1 KR 20030030578 U KR20030030578 U KR 20030030578U KR 200337098 Y1 KR200337098 Y1 KR 2003370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toilet
water
contain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욱
이길웅
Original Assignee
김양욱
이길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양욱, 이길웅 filed Critical 김양욱
Priority to KR20-2003-0030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0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0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0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Landscapes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기의 주위에 음식쓰레기투입통을 형성하고 이 음식쓰레기투입통에는 회전커터의 장착과 또한 변기와 연결되어 통하는 연결관이 장착되도록 하여, 음식쓰레기투입통에 음식쓰레기의 투입과 동시에 스위치의 "온"의하여 회전커터의 구동으로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어 바로 연결관을 통하여 변기에 투입되면, 변기의 물통(수조)의 물에 의하여 정화조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음식쓰레기에 의한 실내의 냄새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음식물쓰레기가 정화조에 유입되어 다른 용변물과 함께 정화되어 처리되기 때문에, 환경의 오염없이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의 변기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급수관(140)으로부터 물이 공급되어 사이펀부(150)을 통하여 배출관(160)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수세식 변기와; 상기 변기와 연결관으로 연결되고,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분쇄커터를 형성하는 음식쓰레기투입통으로 이루어진 음식물쓰레기의 변기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식쓰레기투입통(400)의 아래 부분에 관통구멍(200)을 형성하고, 상기 변기(100)에는 물잔류부(170)에 관통구멍(210)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구멍(200,210)들을 연결관(300)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분쇄커터(410)는 음식쓰레기투입통(400)의 아래에 장착된 모터(420)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의 변기처리장치{Disposal device of toilet bowl of food garbage}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를 변기의 배출관을 통하여 정화조로 배출하도록 하는 음식물쓰레기의 변기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기의 주위에 음식쓰레기투입통을 형성하고 이 음식쓰레기투입통에는 회전커터의 장착과 또한 변기와 연결되어 통하는 연결관이 장착되도록 하여, 음식쓰레기투입통에 음식쓰레기의 투입과 동시에 스위치의 "온"의하여 회전커터의 구동으로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어 바로 연결관을 통하여 변기에 투입되면, 변기의 물통(수조)의 물에 의하여 정화조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음식쓰레기에 의한 실내의 냄새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음식물쓰레기가 정화조에 유입되어 다른 용변물과 함께 정화되어 처리되기 때문에, 환경의 오염없이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의 변기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앞서 음식물쓰레기의 변기처리장치를 제안한 바 있으며, 앞서 제안한 기술내용 중에서 음식물쓰레기의 분쇄를 좀더 업그레이드하여 분쇄의 효율을 높이고자 한다.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현재 음식물 쓰레기가 버려지고 있는 실태를 보면, 씽크대에서는 식기나 식품 및 식사도구를 세척키 위하여 여러 종류의 세제를 사용하게 된다.
이 세척수를 버리는 곳에 음식물의 찌거기를 분쇄하는 기구 등을 이용하여 음식물의 찌거기를 분류한 후 세척수와 같이 유출하게 되는데, 이때에 사용하는 세제는 알카리성이기 때문에 분쇄된 음식물쓰레기와 같이 유출되어 그대로 하천으로 방류되므로 하천은 침전물이 쌓이게 되어 하천의 생태계가 파괴되는 것이 현실정이다.
음식물의 잔물(찌거기)을 분류하여 세척제인 알카리성 물과 배합된 것을 하수구로 흘려 보내는 것을 그대로 하천으로 방류하는 행태는 결코 있을 수가 없다고 사료되는데 이렇게 하수구를 통해 그대로 하천으로 흘려 보낸다면 당초에 싱크대에서는 음식물을 분류해서 방류한다는 발상은 크게 잘못된 판단이다.
음식물을 분류하여 식기 등을 세척한 알카리성 세척수가 통관으로 같이 흘려 보내는 것은 절대 있을 수 없는 공해로 규정된다.
우리들의 생활하수는 화장실수와 목욕수를 분류하여 처리하고 있는 원리는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사실이다.
목욕수는 비누(알카리성제)를 사용하므로 정화조를 통하지 아니하고 그대로 다른 관을 통하여 하천으로 유출되고 있으며 또한 싱크대에서 세제를 사용하여 식기 등을 세척한 알카리수 역시 그대로 목욕수와 같은 통관을 사용하게 되는데 여기에다 음식물 쓰레기를 분류하여 유출시키면 우리의 하천은 음식물 쓰레기가 정화조를 거치지 않고 정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세제와 혼합되어 하천 바닥에 누적되므로 하천 바닥에 침전물이 쌓여 하천의 상태가 파괴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공동주택의 경우의 음식쓰레기의 수거에 있어서는 각 가정에서 하루나 이틀정도 음식물쓰레기를 모음통에 모으게 되는데, 모음통내의 음식물쓰레기는 이미 썩기가 시작하게 되며, 이 쓰레기의 부패로 발생되는 냄새는 이루 표현하기가어렵고, 또한 몇 일만에 수거해 가는 쓰레기의 처리는 부패로 인하여 사료 또는 비료 등으로 재활용할 수 없는 것이 사실이며, 이 쓰레기는 수거해서 불법으로 땅에 매입한 던지 강물 등에 흘러내려 보내는 등으로 환경 파괴의 주범이 되고 있다.
과거의 우리들의 식생활은 음식물을 장만할 때 나오는 쓰레기와 식후에 남는 쓰레기의 처리를 할 수 있도록 가옥구조가 된 상태의 생활환경에서 가정마다 필요로 하는 우, 돈, 견, 묘, 계 등의 가축을 사육하면서 생활하므로 음식물의 쓰레기가 발생하면 그 즉시 동물의 식성대로 구분하여 주기만 하면 되었으며 오히려 동물들의 사료가 부족하여 이웃집 뜨물 등을 수거하여 사료로 보충하거나 별도로 상하지 않은 음식물 쓰레기를 구입하는 어려운 생활이었으므로 음식물의 발생도 없을 뿐 아니라 처리 자체에 신경을 쓸 아무 염려도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우선 음식쓰레기의 분쇄에 있어서의 변기의 주위에 음식쓰레기투입통을 설치하면 음식쓰레기투입통내에 설치되는 분쇄커터가 아래에 장착된 모터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구동력을 받아 회전토록하면서 분쇄커터에 의하여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바로 음식쓰레기투입통의 아래쪽의 관통구멍으로 배출되고, 또한 상기 관통구멍에 연결된 연결관을 통하여 변기로 퉁입되도록 함으로서,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정화조로 배출토록하여 음식물쓰레기로 인한 환경의 오염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도록 하고, 또한 가정의 실내가 냄새 및 병균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더 나아가서는 강산의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획기적인 음식물쓰레기의 변기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급수관으로부터 물이 공급되어 사이펀부을 통하여 배출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수세식 변기와; 상기 변기와 연결관으로 연결되고,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분쇄커터를 형성하는 음식쓰레기투입통으로 이루어진 음식물쓰레기의 변기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식쓰레기투입통의 아래 부분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변기에는 물잔류부에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구멍들을 연결관으로 서로 연결함을 기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분쇄커터는 음식쓰레기투입통의 아래에 장착된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되어 음식쓰레기투입통에 모터가 아래에 장착되어 안정적으로 분쇄커터를 구동시키게 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의 변기처리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의 변기처리장치의 종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투입통돠 연결관의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용 변기처리장치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의 변기처리장치의 제 2 실시예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변기 110 : 물통
150 : 사이펀부 160 : 배출관
170 : 물잔류부 200,210 : 관통구멍
300 : 연결관 310 : 커넥터
400 : 음식물쓰레기투입통 410 : 분쇄커터
420 : 모터 440 : 연결관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100)에 음식물쓰레기투입통(400)이 연결관(300)으로 연결되어 분리 결합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일반 가정용 변기(100)는 물통(수조)(110)이 장착되고 물통(110)의 물은 유입관(500)을 통하여 유입되고, 수세레버(120)의 작동에 의하여 밸브(도시생략)가 급수구(130)를 열어서 급수관(140)을 통해 변기(100)내의 물잔류부(170)로 급수되게 된다.
그리고, 또한 급수관(140)을 통하여 변기(100)의 물잔류부(170)에 유입된 물은 용변과 함께 사이펀부(150)를 넘어서 배출관(160)으로 배출되며, 이 배출관(160)은 배수관(600)을 통하여 정화조(도시생략)로 배출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변기(100)에 음식물쓰레기투입통(400)의 연결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100)의 물잔류부(170)의 측벽에 관통구멍(200)를 뚫어 이 개구부(200)에 연결관(300)이 팩킹 및 고정볼트(도시생략) 등의 기밀수단에 의하여 기밀을 유지하며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음식물쓰레기투입통(400)내의 아래부분에 분쇄음식물이 통과할 수 있는 칫수의 관통구멍(200)을 형성하고, 이 관통구멍(200)의 바깥쪽에는 나선이 형성된 리브로 형성하여, 상기 리브에 연결관(300)이 커넥터(310) 등의 연결부재들에 의하여 체결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310)는 양쪽으로 나선이 형성된 연결구 등을 채용하여 상기 연결관(300)과 음식쓰레기투입통(400)의 관통구멍(200)의 리브와의 결합이 긴밀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음식쓰레기투입통(400)내에는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분쇄커터(4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쇄커터(410)는 음식쓰레기투입통(400)의 아래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모터(420)에 의하여 구동된다.
상기 커넥터(310)의 형성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관(300)과 음식쓰레기투입통(400)을 서로 분리하여 청소 및 점검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음식물쓰레기투입통(400)의 뚜껑(430))을 열고 가정에 수거된 음식물쓰레기를 넣은 후, 스위치를 "온" 하면, 상기 분쇄커터(410)에 의하여 분쇄되는 동시에 그의 원심력에 의하여 관통구멍(200)을 통하여 연결관(300)으로 추출되어서 변기(100)의 물잔류부(170)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연결관(300)은 변기(100)의 관통구멍(210)과의 적당한 경사의 구배를 유지하게 끔하여 음식물쓰레기의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고, 또한 음식쓰레기투입통(400)내에 적당량의 물을 투입하면서 모터(420)를 가동하여 원심력에 의하여 잔류의 찌꺼기가 변기(100)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물의 투입은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100)의 수조(110)의 물이 호스(320)로 연결하여 음식쓰레기투입통(400)내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하여도 되며, 이때 호스(320)에 콕크(도시생략)를 장착하여 필요시에 콕크를 열어 물이 음식쓰레기투입통(400)내에 투입되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연결관(300)의 형성에 있어서도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로우즈의 주름연결관(300)으로 형성하여 변기(100)의 주위에 음식쓰레기투입통(300)의 설치 위치를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주름연결관(300)의 양쪽 끝단에는 변기(100)와 음식쓰레기투입통(400)쪽의 각 관통구멍(200,210)에 기밀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주름연결관(300)이 긴밀히 고정될 수 있는 팩킹부재 또는 연결부재(330,330) 등으로 형성하여 변기(100)와 음식쓰레기투입통(400)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가정에서 발생되는 음식쓰레기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씽크대에서 분쇄하여 일반 세제수와 같이 방류되는 일이 없도록 하고, 또한 모음통에 모아 수거하여 재활용한다는 면목으로 땅에 묻는다던가 강에 방류하는 일이 없이 가정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정화조로 배출토록하여 음식물쓰레기로인한 환경의 오염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도록 하고, 또한 음식물쓰레기의 정화조에의 배출에 있어서 음식물쓰레기의 찌꺼기가 변기의 배출관을 막히게 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는 정화조의 용변물과의 혼합이 용이하도록 하여 빠른 시일내에 정화처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변기에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기를 통과하여 변기의 배출관을 통하도록 함으로서, 가정의 실내가 냄새 및 병균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더 나아가서는 강산의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급수관(140)으로부터 물이 공급되어 사이펀부(150)을 통하여 배출관(160)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수세식 변기와; 상기 변기와 연결관으로 연결되고,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분쇄커터를 형성하는 음식쓰레기투입통으로 이루어진 음식물쓰레기의 변기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식쓰레기투입통(400)의 아래 부분에 관통구멍(200)을 형성하고, 상기 변기(100)에는 물잔류부(170)에 관통구멍(210)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구멍(200,210)들을 연결관(300)으로 서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의 변기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커터(410)는 음식쓰레기투입통(400)의 아래에 장착된 모터(420)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의 변기처리장치.
KR20-2003-0030578U 2003-09-27 2003-09-27 음식물쓰레기의 변기처리장치 KR2003370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578U KR200337098Y1 (ko) 2003-09-27 2003-09-27 음식물쓰레기의 변기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578U KR200337098Y1 (ko) 2003-09-27 2003-09-27 음식물쓰레기의 변기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098Y1 true KR200337098Y1 (ko) 2003-12-31

Family

ID=49421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578U KR200337098Y1 (ko) 2003-09-27 2003-09-27 음식물쓰레기의 변기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0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111B1 (ko) * 2011-10-07 2014-10-01 박흥복 양변기 음식물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111B1 (ko) * 2011-10-07 2014-10-01 박흥복 양변기 음식물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05155C2 (ru) Туалет со слив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US5971303A (en) Waste router recycling system
KR101835559B1 (ko) 미생물 처리기
KR980000664A (ko) 공동주택의 음식물 쓰레기 공동처리시스템
KR200337098Y1 (ko) 음식물쓰레기의 변기처리장치
JP2002331276A5 (ko)
KR200336784Y1 (ko) 음식물쓰레기의 변기처리장치
KR101445111B1 (ko) 양변기 음식물처리장치
KR200338678Y1 (ko)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구조
KR200374532Y1 (ko)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구조
KR101847093B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102530299B1 (ko) 합체 구성하는 씽크대 분리형 음식물 자동분쇄처리장치
JP2004025155A (ja) 流し台等装着の生ごみ分解消滅機。
WO2005047609A1 (en) Disposal structure of food garbage
KR102304759B1 (ko) 주방 씽크대용 음식물 처리장치
KR101550828B1 (ko) 음식물 쓰레기의 분료 병합 처리장치
KR200145609Y1 (ko) 분쇄기와 정화조가 설치된 싱크대
KR10223778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0285087Y1 (ko) 공동주택 음식물 쓰레기 분리처리시스템
KR20050047887A (ko) 오수관을 이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299783B1 (ko)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KR200197006Y1 (ko)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수거장치
KR200461309Y1 (ko)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JP3639565B2 (ja) 厨芥処理装置
CN211037176U (zh) 节水餐厨垃圾处理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