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609B1 -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609B1
KR102609609B1 KR1020230054329A KR20230054329A KR102609609B1 KR 102609609 B1 KR102609609 B1 KR 102609609B1 KR 1020230054329 A KR1020230054329 A KR 1020230054329A KR 20230054329 A KR20230054329 A KR 20230054329A KR 102609609 B1 KR102609609 B1 KR 102609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food waste
sink
outlet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4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찬
Original Assignee
크리미크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미크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리미크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54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6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6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의 기능과 음식물쓰레기를 분해하여 버리는 장치의 기능이 복합된 장치이다. 즉, 본 발명의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이다. 이러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부, 내부에 제1배출구와 제2배출구가 타공 형성되어 하우징부의 상단에 설치되며 하측면에 제1배출구와 중첩되는 호스연결모듈과 제2배출구와 중첩되는 제1플랜지모듈이 형성된 싱크볼부, 일단이 호스연결모듈과 연결되고 타단이 하수관과 연결되어 제1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물을 하수관으로 배수하는 배수관부, 상측면에 일면이 제1플랜지모듈과 접하는 제2플랜지모듈이 형성된 커버모듈과 상측면이 커버모듈에 의해 덮어지며 제2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내부에 수용하는 교반조모듈과 교반조모듈의 일측면에 설치된 구동축모듈과 구동축모듈에 축 결합되어 교반조모듈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교반날모듈과 교반조모듈의 내부에 교반날모듈 사이에서 유동 가능하게 채워진 복수 개의 충돌입자모듈을 포함하는 교반분해부, 제1플랜지모듈과 제2플랜지모듈의 돌출 부분을 수용하며 제1플랜지모듈과 제2플랜지모듈을 고정시키는 클램프부 및 일단이 교반분해부의 하단에 연통되고 타단이 하수관과 연결되어 교반분해부에서 배출되는 분해된 음식물쓰레기를 하수관으로 배출하는 처리수배출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With Sink}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를 분해하여 버리는 장치와 관련된 기술이다.
많은 사람들이 외식을 함에 따라, 식당 및 카페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이 많아지고 있다.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의 증가에 따라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의 설치 또한 필수적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장치의 필요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설치 공간이 부족하여 설치를 못하는 경우가 많다. 통상적으로 작은 식당이라도 기본 사이즈 가로 600cm, 폭 600cm, 높이 850~900cm의 싱크대가 설치되고 있다. 작은 공간에서 싱크대가 설치되고 나면, 작업자의 동선 확보를 위해 더 이상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의 설치가 어렵게 된다.
이에,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의 설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공보 제10-1838915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공고일자:2018. 03. 15)
본 발명은 공간이 좁고 작은 공간에서 싱크대가 설치된 후, 여유 공간이 없어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가 설치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부, 내부에 제1배출구와 제2배출구가 타공 형성되어 하우징부의 상단에 설치되며 하측면에 제1배출구와 중첩되는 호스연결모듈과 제2배출구와 중첩되는 제1플랜지모듈이 형성된 싱크볼부, 일단이 호스연결모듈과 연결되고 타단이 하수관과 연결되어 제1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물을 하수관으로 배수하는 배수관부, 상측면에 일면이 제1플랜지모듈과 접하는 제2플랜지모듈이 형성된 커버모듈과, 상측면이 커버모듈에 의해 덮어지며 제2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내부에 수용하는 교반조모듈과, 교반조모듈의 일측면에 설치된 구동축모듈과, 구동축모듈에 축 결합되어 교반조모듈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교반날모듈과, 교반조모듈의 내부에 교반날모듈 사이에서 유동 가능하게 채워진 복수 개의 충돌입자모듈을 포함하는 교반분해부, 제1플랜지모듈과 제2플랜지모듈의 돌출 부분을 수용하며 제1플랜지모듈과 제2플랜지모듈을 고정시키는 클램프부 및 일단이 교반분해부의 하단에 연통되고 타단이 하수관과 연결되어 교반분해부에서 배출되는 분해된 음식물쓰레기를 하수관으로 배출하는 처리수배출관부, 제1플랜지모듈과 제2플렌지모듈은 투명 플라스틱 또는 유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제1플랜지모듈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빛을 사선 방향으로 출력하는 발광모듈과, 발광모듈이 설치된 위치보다 낮은 제2플랜지모듈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발광모듈에서 출력하는 빛을 수신하는 수광모듈을 포함하는 센서부 및 음성메시지가 저장된 메모리와 메모리에서 출력되는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센서부와 연결되어 센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포함한다.
배수관부는 타단이 제1하수관과 연결되고 처리수배출관부는 타단이 제1하수관과 다른 제2하수관에 연결될 수 있다.
싱크볼부는 하단면이 일방에서 타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제2배출구는 제1배출구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충돌입자모듈은 입자형 담체에 발효미생물이 담지되어 음식물쓰레기와 충돌하며 음식물쓰레기를 분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싱크대의 크기로 형성되고 싱크대의 기능과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기능을 모두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협소한 장소에 설치되어 싱크대의 기능과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를 설치할 여유 공간이 없는 장소에서도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를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싱크볼부가 교반분해부에서 쉽게 분리되어 교반분해부의 유지보수가 쉽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기능의 유지보수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기능이 유지보수 되더라도 싱크대의 기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설치된 싱크볼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설치되는 다양한 싱크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하우징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싱크볼부의 하측면에 설치된 제1플랜지모듈과 교반조모듈의 커버모듈에 설치된 제2플랜지모듈 그리고 제1플랜지모듈과 제2플랜지모듈을 고정시키는 클램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교반조모듈의 상측면이 커버모듈과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제1플랜지모듈의 외측면에 설치된 발광모듈과 제2플랜지모듈의 외측면에 설치된 수광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I-I’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하우징부의 내부에 설치된 교반분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수관부가 제1배출구와 하수관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분해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수관부가 제1배출구와 하수관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분해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9의 발광모듈과 수광모듈에 의해 교반분해부에서 역류되는 물을 감지하고, 역류를 감지하였을 때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는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 기술된 여러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이에, 본 발명의 정의는 명세서 상에 기술된 여러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오로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이 명확해질 수 있도록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와 제2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후, 설명된 내용을 바탕으로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작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설치된 싱크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설치되는 다양한 싱크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 1-1, 1-2)는 기존의 싱크대의 크기로 형성되어 싱크대의 기능과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기능을 모두 구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 1-1, 1-2)는 여유 공간이 없어 싱크대 이외의 음식물처리 장치가 설치될 수 없는 장소에 설치되어 싱크대의 기능 그리고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 1-1, 1-2)는 싱크볼부가 교반분해부에서 쉽게 분리되어 교반분해부의 유지보수가 쉽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기능의 유지보수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기능이 유지보수 되더라도 싱크대의 기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 1-1, 1-2)는 교반분해부(40)에서 음식물쓰레기 분쇄물의 침전 및 침전 후 미생물 발효에 의한 미생물 분해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 1-1, 1-2)는 미생물 발효에 의해 분해된 음식물쓰레기를 제2배출구(202)를 거쳐 하수관으로 배출하도록 하고 설거지 또는 과일 및 채소등 음식물을 세척하는 등에 사용된 물은 제1배출구(201)를 통해 하수관으로 배출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는 제1실시예(1), 제2실시예(1-1) 및 제3실시예(1-2) 등 여러 실시예로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 그리고 전술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로 변형되는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에서 공통적인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후 설명된 내용과 차별되는 점을 기반으로 각 실시예의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하우징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 싱크볼부의 하측면에 설치된 제1플랜지모듈과 교반조모듈의 커버모듈에 설치된 제2플랜지모듈 그리고 제1플랜지모듈과 제2플랜지모듈을 고정시키는 클램프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교반조모듈의 상측면이 커버모듈과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6의 제1플랜지모듈의 외측면에 설치된 발광모듈과 제2플랜지모듈의 외측면에 설치된 수광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I-I’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하우징부의 내부에 설치된 교반분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변형되는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 1-1, 1-2)는 하우징부(10), 싱크볼부(20, 20-1, 20-2), 배수관부(30), 교반분해부(40), 클램프부(50) 및 처리수배출관부(60)를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그리고 연결부(70) 및 센서부(80) 그리고 알람부(90) 등을 구성요소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변형되는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 1-1, 1-2)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우징부(10)는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 1-1, 1-2)의 몸체가 된다. 일례로, 하우징부(10)는 가로 600cm, 폭 600cm, 높이 850~900cm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부(10)는 외부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문(101)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문의 일측으로 형성된 개구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개폐문(101)는 사용자에 의해 하우징부(10)의 내부 수용공간에 설치된 복수 개의 배수관부(30), 교반분해부(40), 클램프부(50) 등이 유지보수 될 때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개구부(102)는 하우징부가 큰 사이즈로 형성될 경우, 호스연결모듈(203)에 배수관부(30)를 쉽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하우징부(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배수관부(30), 교반분해부(40), 클램프부(50) 및 처리수배출관부(60)의 일부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부(10)의 상단에는 싱크볼부(20, 20-1, 20-2)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우징부(10)는 수용공간에 후술하는 구성들을 내장할 수 있는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싱크볼부(20, 20-1, 20-2)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물(B) 또는 음식물 들을 담을 수 있는 용기가 된다. 이러한 싱크볼부(20, 20-1, 20-2)의 내부의 수용공간에는 제1배출구(201)와 제2배출구(202)가 타공되고, 하측면에는 제1배출구(201)와 중첩되도록 호스연결모듈(203)이 설치되고 제2배출구(202)와 중첩되도록 제1플랜지모듈(204)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싱크볼부(20, 20-1, 20-2)는 일례로 종단면이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부(1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10)의 크기에 대응하여 다양한 크기로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의 길이가 600mm로 형성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와 같이 가로가 600mm 이상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볼부(20-1)는 가로가 1200mm 길이로 형성될 수 있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가 900mm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가 800mm 길이로 형성될 수 있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가 700mm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싱크볼부(20, 20-1, 20-2)는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싱크볼부(20, 20-1, 20-2)는 설치되는 장소의 크기에 맞춰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싱크볼부(20, 20-1)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배출구(201, 202)이 형성된다. 일례로,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제1배출구(201)과 제2배출구(20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배출구(201)는 싱크볼부(20, 20-1)의 가로 길이의 중심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이때 제1배출구(201)는 호스연결모듈(203)과 중첩되는 구멍이 되고, 제2배출구(202)는 제1플랜지모듈(204)과 중첩되는 구멍이 된다. 이와 같은 제1배출구(201)과 제2배출구(202)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뚜껑(D)이 덮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배출구(201)에는 제1배출구뚜껑(D1)이 덮어질 수 있고 제2배출구(202)에는 제2배출구뚜껑(D2)이 덮어질 수 있다.
제1배출구뚜껑(D1)은 제1배출구(201)의 상단을 덮었을 때 제1배출구(201)로 물(B)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제1배출구(201)의 상단에서 분리되었을 때, 제1배출구(201)로 물(B)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2배출구뚜껑(D2)은 제2배출구(202)의 상단을 덮었을 때 음식물쓰레기(C) 및 물(B)이 제2배출구(202)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제2배출구(202)의 상단에서 분리되었을 때, 음식물쓰레기(C)가 제2배출구(202)로 배출되도록 한다.
배수관부(30)는 제1배출구(201)와 중첩된 호스연결모듈(203)에 일단이 연결되고 하수관(A)에 타단이 연결되어 제1배출구(201)에서 배출되는 물(B)을 하수관(A)으로 흘려보낼 수 있다.
교반분해부(40)는 제2배출구(202)와 중첩된 제1플랜지모듈(204)에 제2플랜지모듈(401)이 연결되어 제2배출구(202)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C)를 수용하여 분해시킨다. 이때, 교반분해부(40)의 제1플랜지모듈(204)과 제2플랜지모듈(401)은 클램프부(50)에 의해 고정되어 교반분해부(40)의 음식물쓰레기 처리 작동 시 발생되는 많은 진동에 의해서도 분리되지 않게 된다.
교반분해부(40)는 내부에 수용된 충돌입자모듈(440)을 음식물쓰레기(C)과 충돌시키며 충돌입자모듈의 분쇄물의 침전 및 침전 후 미생물 발효에 의한 미생분 분해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고, 처리된 음식물쓰레기(C)를 처리수배출관부(60)를 통해 하수관(A)으로 배출한다.
이와 같은 교반분해부(40)는 상측면에 일면이 제1플랜지모듈(204)과 접하는 제2플랜지모듈(401)이 형성된 커버모듈(400)과 상측면이 커버모듈(400)에 의해 덮어지며 제2배출구(202)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C)를 내부에 수용하는 교반조모듈(410)과 교반조모듈(410)의 일측면에 설치된 구동축모듈(420)과 구동축모듈(420)에 축 결합되어 교반조모듈(410)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교반날모듈(430)을 포함한다. 그리고 교반조모듈(410)의 내부에 교반날모듈(430) 사이에서 유동 가능하게 채워진 복수 개의 충돌입자모듈(4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교반날모듈(430)은 구동축모듈(420)에 연결되는 교반중심축(431), 교반중심축(431)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복수 개의 교반축(432)와 교반축(432)의 말단에 형성된 교반날(433)을 포함한다. 교반날(433)은 교반중심축이 롤 방향으로 회전에 대응되도록 회전하며 교반조모듈(410)에 수용된 충돌입자모듈(440)과 분쇄된 음식물쓰레기(C)를 섞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교반날(433)의 적어도 일부에는 충돌입자모듈(440)과 접촉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탄성체가 도포되어 교반날(433)은 충돌입자모듈(440)을 섞을 때 파괴시키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음식물쓰레기(C)는 파쇄장치 등으로 파쇄된 음식물쓰레기가 될 수 있고 충돌입자모듈(440)은 입자형 담체에 발효미생물이 담지 된 담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충돌입자모듈(440)은 교반날모듈(430)에 의해 음식물쓰레기(C)와 충돌하며 음식물쓰레기(C)를 미세하게 분해할 수 있다.
클램프부(50)는 제1플랜지모듈(204)과 제2플랜지모듈(401)의 돌출 부분을 수용하며 제1플랜지모듈(204)과 제2플랜지모듈(401)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일례로, 클램프부(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볼부(20, 20-1)의 하측면에 형성된 제1플랜지모듈(204)과 교반분해부(40)의 커버모듈(400) 상측면에 형성되어 일면이 제1플랜지모듈(204)과 접하는 제2플랜지모듈(401)을 수용하며 제1플랜지모듈(204)과 제2플랜지모듈(401)이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제1플랜지모듈(204)의 하단면 또는 제2플랜지모듈(401)의 상단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오링(E)이 수용될 수 있다. 수용홈에 수용된 오링(E)은 교반분해부(40)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제1플랜지모듈(204)과 제2플랜지모듈(401)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처리수배출관부(60)는 일단이 교반분해부(40)의 하단에 연통되고 타단이 하수관(A)과 연결되어 교반분해부(40)에서 배출되는 분해된 음식물쓰레기를 하수관으로 배출한다.
연결부(70)는 커버모듈(400)과 교반조모듈(410)을 연결하는 부재가 된다. 이와 같은 연결부(40)는 볼트모듈(710)과 너트모듈(72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70)는 볼트모듈(710)이 커버모듈(400)과 교반조모듈(410)에 형성된 타공홀에 일단이 삽입되며 돌출되고 너트모듈(720)이 돌출된 일단에 수용되며 커버모듈(400)과 교반조모듈(410)을 고정시킨다.
센서부(80)는 빛을 출력하는 발광모듈(810)과 수광모듈(820) 등으로 구성되어 알람부(90)에 신호를 전송하는 센서가 된다. 이와 같은 센서부(80)의 발광모듈(8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랜지모듈(204)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빛을 사선 방향으로 출력하고, 수광모듈(820)은 발광모듈(810)이 설치된 위치보다 낮은 위치의 제2플랜지모듈(401)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발광모듈(810)에서 사선으로 출력되는 빛을 수신한다. 이때, 수광모듈(820)은 제2플랜지모듈(401)의 내부에 물이 채워질 경우에 발광모듈(810)에서 출력되는 빛이 물에 의해 굴절되어 빛을 수신하지 못하게 되면서 제2플랜지모듈(401)의 내부에 물이 채워지지 않은 경우와 다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부(80)가 제1플랜지모듈(204)과 제2플랜지모듈(401)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경우 제1플랜지모듈(204)과 제2플랜지모듈(401)은 발광모듈(810)에서 출력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플랜지모듈(204)과 제2플랜지모듈(401)은 투명 플라스틱 및 유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알람부(90)는 센서부(80)와 연결되어 센서부(8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알람부(90)는 음성메시지가 저장된 메모리와 메모리에서 출력되는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 등으로 구성된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제1실시예의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작동 그리고 교반분해부가 제2실시예의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작동 그리고 교반분해부와 동일하다. 이에, 작동 및 교반분해부의 구조에 대한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할 수 있도록 제1실시예의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작동 및 교반분해부를 설명하고, 이를 통해 제2실시예의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작동의 설명과 교반분해부의 설명을 갈음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수관부가 제1배출구와 하수관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분해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는 싱크대 그리고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는 싱크대 기능과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은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는 싱크대의 기능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제1배출구(201)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제2배출구(202)가 형성된다.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는 제1배출구(201)와 제2배출구(202)를 포함함에 따라, 배출구 한 개가 형성된 채로 싱크대의 기능과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기능을 나타나도록 할 때의 문제점 즉, 싱크볼부에 물을 받았다가 물을 배수했을 때 교반분해부(40)에서 물 및 교반분해부(40)에 있는 자난과 담채가 싱크볼부의 위로 넘쳐서 올라오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즉,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는 싱크대로 사용될 때 교반분해부(40)에 의한 발생될 수 있는 역류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는 교반분해부(40)가 고장이 났을 때에 사용자가 싱크대의 개폐문(101)을 열고 연결부(70)를 해제한 후, 클램프부(50)를 해제시키는 과정으로 싱크볼부(20, 20-1)가 하우징부(10)에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 1-1)는 쉬운 분해 과정을 통해 교반분해부(40)가 고장이 났을 경우, 교반분해부(40)를 싱크볼부(20, 20-1)에서 분리시켜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빠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교반분해부(40)가 없는 상태에서도 제1배출구(201)와 배수관부(30)를 통해 싱크대 기능을 원활하게 나타낼 수 있다. 즉,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의 기능을 못하더라도 싱크대의 기능은 문제없이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볼부(20-1)에 수용된 물(B)을 제1배출구(201)과 배수관부(30)를 통해 하수관(A)으로 배출한다. 이때, 제2배출구(202)에 제2배출구뚜껑(D2)이 덮어지면 물(B) 또는 음식물쓰레기(C) 등은 교반분해부(40)로 흘러 들어가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쓰레기(C)를 분해하여 하수관(A)으로 배출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는 전 처리된 음식물쓰레기(C)가 제2배출구(202)를 통해 교반조모듈(410)로 유입되었을 때, 구동축모듈(420)이 작동하며 교반날모듈(430)을 통해 전 처리된 음식물쓰레기(C)와 복수 개의 충돌입자모듈(440)이 계속해서 섞이도록 한다. 이때, 충돌입자모듈(440)은 교반날모듈(430)의 회전에 의해 음식물쓰레기(C)와 섞이면서 음식물쓰레기(C)를 교반조모듈(410) 내부에서 분해되도록 한다. 특히, 충돌입자모듈(440)은 음식물쓰레기(C)와 충돌, 충돌에 의한 마찰 등의 과정이 반복되면서 음식물쓰레기(C)를 미세하게 분해시킨다. 그리고 분해된 음식물쓰레기(C)를 하수관(A)으로 배출시킨다. 이때, 교반분해부(40)의 하단에 일단이 연통되고 타단이 하수관(A)과 연결된 처리수배출관부(60)를 통해 교반분해부(40)에서 분해된 음식물쓰레기(C)를 하수관(A)으로 배출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는 싱크대 기능과 음식물쓰레기 처리 기능을 구현하며 싱크대 기능할 때 물 그리고 음식물쓰레기 처리 기능을 구현할 때 음식물쓰레기를 하수관(A)으로 배출한다. 이때, 하수관(A)은 배수관부(30)와 연결되는 제1하수관(A1)과 교반분해부(40)와 연결된 처리수배출관부(60)와 연결된 제2하수관(A2)을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의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는 하수관(A)으로 흘러들어가는 물(B)과 분해된 음식물쓰레기(C)가 하수관으로 배출될 때 역류되지 않도록 배수관부(30)가 제1하수관(A1)과 연결되도록 하고 교반분해부(40)가 제2하수관(A2)과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요소 및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수관부가 제1배출구와 하수관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분해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의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2)는 전술 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와 대비하였을 때, 싱크볼부(20-2)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이에, 싱크볼부(20-2)에 대해서만 집중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싱크볼부(20-2)는 하단면이 일방에서 타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볼부(20-2)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배출구(202)는 제1배출구(201)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배출구(202)는 제1배출구(201)보다 ‘Δh’높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싱크볼부(20-2)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2) 또한 싱크대의 기능 그리고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2)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2)는 싱크볼부(20-2)에 수용된 물(B)을 제1배출구(201)과 배수관부(30)를 통해 제1하수관(A1)으로 배출한다. 이때, 제2배출구(202)에는 제2배출구뚜껑(D2)이 덮어져 물(B) 또는 음식물쓰레기(C) 등이 교반분해부(40)로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2)는 음식물쓰레기(C)를 분해하여 하수관(A)으로 배출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2)는 전 처리된 음식물쓰레기(C)가 제2배출구(202)를 통해 교반조모듈(410)로 유입되었을 때, 구동축모듈(420)이 작동하게 하며 교반날모듈(430)을 통해 전 처리된 음식물쓰레기(C)와 복수 개의 충돌입자모듈(440)이 계속해서 섞이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따른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2)는 교반분해부(40)의 하단에 일단이 연통되고 타단이 하수관(A)과 연결된 처리수배출관부(60)를 통해 교반분해부(40)에서 분해된 음식물쓰레기(C)를 하수관(A)으로 배출시킨다.
이하, 도 16을 참조하여 센서부의 작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6은 도 9의 발광모듈과 수광모듈에 의해 교반분해부에서 역류되는 물을 감지하고, 역류를 감지하였을 때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센서부(8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랜지모듈(204) 그리고 제2플랜지모듈(401)에 설치된다. 이때, 센서부(80)의 발광모듈(810)과 수광모듈(820)은 가상사선의 일단 그리고 타단에 각각 설치된다. 다시 말해, 발광모듈(810)은 사선방향으로 빛을 출력하고, 수광모듈(820)은 사선방향으로 수신되는 빛을 수신한다.
수광모듈(820)은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모듈(810)에서 출력되는 빛을 수신하면 전기신호 일례로 디지털 신호 ‘0’을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수광모듈(20)은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모듈(810)에서 출력되는 빛을 수신하지 못하게 되면 전기신호 일례로 디지털 신호 ‘1’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수광모듈(820)은 출력된 디지털 신호 ‘0’과 ‘1’을 알람부(90)에 전송하여 알람부(90)에 기 저정된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한다. 이때, 알람부(90)에는 기 저장된 음성메시지 일례로, “역류 발생! 역류 발생!” 이라는 음성메시지 또는 “삑!”이라는 음성메시지 등이 출력될 수 있다.
이렇게 출력된 음성메시지는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 1-1, 1-2)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교반분해부(40)에 물이 과하게 들어가 교반분해부(40)에 들어가는 물(B)이 역류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음성메시지를 통해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 1-1, 1-2)의 교반분해부(40)에서 역류 발생을 인지하여, 제2배출구(202)에 제2배출구뚜껑(D2)을 덮어 교반분해부(40)에 물이 더 이상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 1-1, 1-2)의 교반분해부(40)에서 역류가 발생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전술한 바와 같은 음성메시지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개폐문, 연결부 및 클램프부의 연결을 해제시킨 후, 수광모듈의 고장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 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1-1, 1-2: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0, 10-1: 하우징부
101: 개폐문 102: 개구부
20, 20-1, 20-2: 싱크볼부
201: 제1배출구 202: 제2배출구
203: 호스연결모듈 204: 제1플랜지모듈
30: 배수관부
40: 교반분해부
400: 커버모듈 401: 제2플랜지모듈
410: 교반조모듈 420: 구동축모듈
430: 교반날모듈 431: 교반중심축
432: 교반축 433: 교반날
440: 충돌입자모듈
50: 클램프부 60: 처리수배출관부
70: 연결부
710: 볼트모듈 720: 너트모듈
80: 센서부
810: 발광모듈 820: 수광모듈
90: 알람부
A: 하수관
A1: 제1하수관 A2: 제2하수관
B: 물 C: 음식물쓰레기
D: 배출구뚜껑
D1: 제1배출구뚜껑 D2: 제2배출구뚜껑
E: 오링

Claims (4)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부(10);
    내부에 제1배출구(201)와 제2배출구(202)가 타공 형성되어 하우징부(10)의 상단에 설치되며 하측면에 제1배출구(201)와 중첩되는 호스연결모듈(203)과 제2배출구(202)와 중첩되는 제1플랜지모듈(204)이 형성된 싱크볼부(20, 20-1, 20-2);
    일단이 호스연결모듈(203)과 연결되고, 타단이 하수관(A)과 연결되어 제1배출구(201)에서 배출되는 물(B)을 하수관(A)으로 배수하는 배수관부(30);
    상측면에 일면이 제1플랜지모듈(204)과 접하는 제2플랜지모듈(401)이 형성된 커버모듈(400)과, 상측면이 커버모듈(400)에 의해 덮어지며 제2배출구(202)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C)를 내부에 수용하는 교반조모듈(410)과, 교반조모듈(410)의 일측면에 설치된 구동축모듈(420)과, 구동축모듈(420)에 축 결합되어 교반조모듈(410)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교반날모듈(430)과, 교반조모듈(410)의 내부에 교반날모듈(430) 사이에서 유동 가능하게 채워진 복수 개의 충돌입자모듈(440)을 포함하는 교반분해부(40);
    제1플랜지모듈(204)과 제2플랜지모듈(401)의 돌출 부분을 수용하며 제1플랜지모듈(204)과 제2플랜지모듈(401)을 고정시키는 클램프부(50);
    일단이 교반분해부(40)의 하단에 연통되고 타단이 하수관(A)과 연결되어 교반분해부(40)에서 배출되는 분해된 음식물쓰레기를 하수관(A)으로 배출하는 처리수배출관부(60);
    제1플랜지모듈(204)과 제2플렌지모듈(401)은 투명 플라스틱 또는 유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제1플랜지모듈(204)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빛을 사선 방향으로 출력하는 발광모듈(810)과, 발광모듈(810)이 설치된 위치보다 낮은 제2플랜지모듈(401)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발광모듈(810)에서 출력하는 빛을 수신하는 수광모듈(820)을 포함하는 센서부(80); 및
    음성메시지가 저장된 메모리와 메모리에서 출력되는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센서부(80)와 연결되어 센서부(8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람부(90)를 포함하는,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배수관부(30)는, 타단이 제1하수관(A1)과 연결되고,
    처리수배출관부(60)는, 타단이 제1하수관(A1)과 다른 제2하수관(A2)에 연결되는,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싱크볼부(20-2)는,
    하단면이 일방에서 타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제2배출구(202)는 제1배출구(201)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하는,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충돌입자모듈(440)은,
    입자형 담체에 발효미생물이 담지되어 음식물쓰레기와 충돌하며 음식물쓰레기를 분해하는,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0230054329A 2023-04-25 2023-04-25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609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329A KR102609609B1 (ko) 2023-04-25 2023-04-25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329A KR102609609B1 (ko) 2023-04-25 2023-04-25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9609B1 true KR102609609B1 (ko) 2023-12-04

Family

ID=89165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4329A KR102609609B1 (ko) 2023-04-25 2023-04-25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6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86492A (zh) * 2024-03-14 2024-04-16 山东康沃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农业经济水资源灌溉自动循环补水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532Y1 (ko) * 2004-10-27 2005-01-29 김양욱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구조
JP2005342670A (ja) * 2004-06-04 2005-12-15 Max Co Ltd 生ゴミ投入装置
KR100588556B1 (ko) * 2005-02-22 2006-06-19 주식회사 싱크피아 싱크대 장착용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US20100095444A1 (en) * 2007-01-24 2010-04-22 Sullivan Daniel O Seamless Sink Drain Assembly With Disposer/Strainer Mounting System
KR101838915B1 (ko) 2016-05-02 2018-03-15 (주) 에코베네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465299B1 (ko) * 2022-05-16 2022-11-09 크리미크몬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2670A (ja) * 2004-06-04 2005-12-15 Max Co Ltd 生ゴミ投入装置
KR200374532Y1 (ko) * 2004-10-27 2005-01-29 김양욱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구조
KR100588556B1 (ko) * 2005-02-22 2006-06-19 주식회사 싱크피아 싱크대 장착용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US20100095444A1 (en) * 2007-01-24 2010-04-22 Sullivan Daniel O Seamless Sink Drain Assembly With Disposer/Strainer Mounting System
KR101838915B1 (ko) 2016-05-02 2018-03-15 (주) 에코베네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465299B1 (ko) * 2022-05-16 2022-11-09 크리미크몬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86492A (zh) * 2024-03-14 2024-04-16 山东康沃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农业经济水资源灌溉自动循环补水装置
CN117886492B (zh) * 2024-03-14 2024-06-07 山东康沃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农业经济水资源灌溉自动循环补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9609B1 (ko) 싱크대 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413883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KR101579963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90763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7905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75021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08078446A (zh) 高效清洗消毒装置
KR100588556B1 (ko) 싱크대 장착용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157996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70045818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2229107B1 (ko) 주방용 오물 분쇄기
JP6153216B2 (ja) 生ゴミ処理装置
KR10190732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47093B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101570306B1 (ko) 재순환장치가 구비된 음식물처리기용 교반장치
KR102229110B1 (ko) 주방용 오물 분쇄기
KR20220112919A (ko) 합체 구성하는 씽크대 분리형 음식물 자동분쇄처리장치
KR20110111346A (ko) 싱크대에 장착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14585455B (zh) 食物垃圾处理装置
JP2003154339A (ja) 生ごみ処理装置
KR20230067498A (ko) 음식물 처리 장치
KR20190032254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31168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3639565B2 (ja) 厨芥処理装置
KR960006217B1 (ko) 음식찌꺼기 분쇄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