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031Y1 - 자동차 차체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차체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031Y1
KR200374031Y1 KR20-2004-0030968U KR20040030968U KR200374031Y1 KR 200374031 Y1 KR200374031 Y1 KR 200374031Y1 KR 20040030968 U KR20040030968 U KR 20040030968U KR 200374031 Y1 KR200374031 Y1 KR 2003740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frame
frame
coupled
vehicle body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9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호
Original Assignee
유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호 filed Critical 유병호
Priority to KR20-2004-00309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0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0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0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차체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조립중인 자동차 차체를 싣고 운반할 수 있으며 특히 회전반경이 획기적으로 단축된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차체 운반장치는, 자동차 차체가 상면에 올려지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하부프레임과, 상기 제1 하부프레임과 이격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하부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제1 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 일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 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 일단에 대향하는 제2 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 일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막대와, 상기 제1 하부프레임 및 상기 제2 하부프레임의 하면에 각각 한 쌍씩 결합된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차체 운반장치{DEVICE FOR CARRYING A CAR BODY}
본 고안은 자동차 차체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조립중인 자동차 차체를 싣고 운반할 수 있으며 특히 회전반경이 획기적으로 단축된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미완성 차체를 다음 공정을 위해 운반해야할 필요가 생긴다. 도 1은 이 때 차체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종래의 운반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운반장치는 차체가 상면에 올려지는 프레임(1)과, 프레임(1)의 하면에 설치된 바퀴(2)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은 금속막대를 상호 결합하여 이루어지며, 차체의 형상에 따라 장방형인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기 바퀴(2)는 4개가 각각 상기 프레임(2)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데, 특히 상기 4개의 바퀴(2) 중 도면에 화살표로 나타낸 진행방향의 전방에 위치한 2개의 전륜은 진행방향을 바꿀 수 있는 캐스터(caster)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운반장치를 사용하여 차체를 운반하는 경우, 운반장치의 회전반경이 커지므로 협소한 공간에서 사용하기에 불편하다. 나아가 종래의 운반장치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는 전륜의 진행방향을 바꿀 수 없고 운반장치를 이동시키면서 전륜의 진행방향을 바꿔야 하므로 더욱 큰 회전반경이 필요해진다. 또한 고정바퀴 이외에 자체적으로 진행방향을 바꿀 수 있는 캐스터를 반드시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본 고안은 협소한 공간에서도 작은 회전반경으로 진행방향을 바꿀 수 있는 자동차 차체 운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 차체 운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차체 운반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실시예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 선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실시예의 각 하부프레임이 회전한 상태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상부프레임 20a 지지보스
20b 지지축 31 제1 하부프레임
32 제2 하부프레임 40 연결막대
50 바퀴 61 소켓
62 구름볼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차체 운반장치는, 자동차 차체가 상면에 올려지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하부프레임과, 상기 제1 하부프레임과 이격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하부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제1 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 일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 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 일단에 대향하는 제2 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 일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막대와, 상기 제1 하부프레임 및 상기 제2 하부프레임의 하면에 각각 한 쌍씩 결합된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하부프레임과 제2 하부프레임이 상부프레임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면에 상호 이격되어 고정된 한 쌍의 지지축과, 각각 상기 제1 하부프레임 및 제2 하부프레임의 중앙부에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축이 각각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하부프레임과 제2 하부프레임 각각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개구면이 상측을 향하는 소켓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에 일부가 삽입지지되어 소켓 내부에서 회전가능한 구름볼과, 상키 소켓으로부터 노출된 상기 구름볼의 상단에 접촉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면에 결합된 가이드판을 더 포함하면 하중 분산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차체 운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차체 운반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실시예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 선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부프레임(10)과, 제1 하부프레임(31)과, 제2 하부프레임(32)과, 연결막대(40)와, 바퀴(50)를 포함한다.
상부프레임(10)은 금속재 막대를 장방형으로 짜맞추어 구성되며, 상면에 운반하고자 하는 자동차의 차체가 놓여진다.
제1 하부프레임(31)은 금속재 막대 형상이며, 상부프레임(10)의 하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 하부프레임(32) 또한 금속재 막대 형상으로서, 제1 하부프레임(31)과는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부프레임(10)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 때 제1 하부프레임(31) 및 제2 하부프레임(32)이 상부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기 위해 공지의 다양한 기술들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는 도 2 및 도 4의 단면 확대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한 쌍의 지지축(20b)과 지지보스(20a)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축(20b)은 한 쌍으로서 각각 상부프레임(10)의 하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된다. 이 때 상부프레임(10)이 장방형이므로 한 쌍의 지지축(20b)은 상부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보스(20a) 또한 한 쌍으로서, 각각 제1 하부프레임(31)과 제2 하부프레임(32)의 중앙부에 고정된다. 또한 한 쌍의 지지보스(20a)는 각각 상기 한 쌍의 지지축(20b)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이 때 회전을 원활히 하기 위해 지지축(20b)과 지지보스(20a) 사이에 베어링(20c)을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막대(40)는 일단이 제1 하부프레임(31)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이 제2 하부프레임(32)의 상기 제1 하부프레임의 일단에 대향하는 쪽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바퀴(50)는 제1 하부프레임(31) 및 제2 하부프레임(32)의 하면에 각각 한 쌍씩, 도합 4개가 결합된다.
한편 도 4의 단면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부프레임과 제2 하부프레임 각각의 길이방향 양단 각각에 소켓(61)을 형성하고, 상기 소켓(61)에는 구름볼(62)이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이 때 각 소켓(61)의 개구면은 상측을 향하고 있으며, 상기 소켓(61)의 개구면을 통해 구름볼(62)의 일부가 돌출된다. 또한, 상부프레임(10)의 하면에는 상기 구름볼(62)의 상단에 접촉하는 가이드판(11)이 고정된다. 하부프레임(31, 32)이 지지축(20b)과 지지보스(20a)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구름볼(62)은 호형의 궤적을 그리게 되므로, 구름볼(62)의 상단이 계속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판(11)의 형상 또한 호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를 견인하기 용이하도록 제1 하부프레임(31)에 토잉 바(31a)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하부프레임(32)에 고리걸이(32a)를 설치하고 상기 토잉 바(31a)에 고리(31b)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실시예와 같은 자동차 차체 운반장치 복수 개를 하나의 견인차량으로 한꺼번에 견인할 때, 어느 한 운반장치의 고리걸이에 이웃하는 다른 운반장치의 고리를 걸어 복수의 운반장치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차체 운반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해상세히 설명한다.
상부프레임(10) 위에 자동차 차체를 싣고 본 실시예의 운반장치를 이동시키다가, 진행방향을 바꿀 필요가 있을 때에 두 하부프레임(31, 32) 중 진행방향에 대해 전방에 위치한 하부프레임, 예컨대 구비된 제1 하부프레임(31)을 상부프레임(10)에 대해 회전시킨다. 제1 하부프레임(31)에 토잉 바(31a)가 구비되어 있다면 견인차량에 토잉 바(31a)를 연결한 채 견인하면서 견인차량의 진행방향을 바꾸기만 하면 제1 하부프레임(31)도 자연스럽게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상부프레임(10) 위에 올려진 차체에 의한 하중은 지지축(20b) 및 지지보스(20a)에 집중된다. 따라서 소켓(61)에 삽입지지된 구름볼(62)이 상부프레임(10) 하면에 설치된 가이드판(11)에 접촉함으로써 하중 분산의 효과를 얻는다. 특히 상부프레임에 올려진 차체의 무게중심이 지지축(20b) 및 지지보스(20a)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지지축(20b) 및 지지보스(20a)에 편심하중이 가해지면 굽힘모멘트에 의해 상부프레임에 대한 하부프레임의 회전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는데 구름볼(62)이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으므로 하부프레임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지지축(20b) 및 지지보스(20a)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하부프레임(31)이 상부프레임(10)에 대해 회전하면 연결막대(40)가 움직이면서 후방에 위치한 다른 하부프레임, 즉 제2 하부프레임(32)도 회전하는데, 연결막대(40)의 양단은 각각 두 하부프레임(31, 32)의 상호 대향하는 일단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후방의 제2 하부프레임(32)은 전방의 제1 하부프레임(31)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도 5의 평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하부프레임(31, 32) 각각의 길이방향 일측은 서로 가까워지고 타측은 서로 멀어지며, 두 하부프레임(31, 32) 각각의 하면에 결합된 모든 바퀴의 방향도 자동적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운반장치는 작은 회전반경을 갖고 진행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차체 운반장치는 작은 회전반경을 갖고 움직일 수 있으며, 정지한 상태에서도 바퀴의 진행방향을 바꿀 수 있으므로 좁은 공간에서의 활용도가 월등히 향상된다. 또한 캐스터 없이 고정바퀴만으로도 진행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부품 조달이 용이하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을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3)

  1. 자동차 차체가 상면에 올려지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하부프레임과,
    상기 제1 하부프레임과 이격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하부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제1 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 일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 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 일단에 대향하는 제2 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 일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막대와,
    상기 제1 하부프레임 및 상기 제2 하부프레임의 하면에 각각 한 쌍씩 결합된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체 운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면에 상호 이격되어 고정된 한 쌍의 지지축과,
    각각 상기 제1 하부프레임 및 제2 하부프레임의 중앙부에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축이 각각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 차체 운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프레임과 제2 하부프레임 각각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개구면이 상측을 향하는 소켓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에 일부가 삽입지지되어 소켓 내부에서 회전가능한 구름볼과,
    상키 소켓으로부터 노출된 상기 구름볼의 상단에 접촉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면에 결합된 가이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체 운반장치.
KR20-2004-0030968U 2004-11-02 2004-11-02 자동차 차체 운반장치 KR2003740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968U KR200374031Y1 (ko) 2004-11-02 2004-11-02 자동차 차체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968U KR200374031Y1 (ko) 2004-11-02 2004-11-02 자동차 차체 운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367A Division KR100620985B1 (ko) 2004-11-02 2004-11-02 자동차 차체 운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031Y1 true KR200374031Y1 (ko) 2005-01-27

Family

ID=49445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968U KR200374031Y1 (ko) 2004-11-02 2004-11-02 자동차 차체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0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617Y1 (ko) 2012-12-10 2014-10-01 송재준 소독기 운반차의 조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617Y1 (ko) 2012-12-10 2014-10-01 송재준 소독기 운반차의 조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9172B2 (ja) 自在キャスター
US9493205B2 (en) Tricycle with foldable double-wheel assembly
US2713179A (en) Dolly caster
JP5364283B2 (ja) 運搬台車
KR200374031Y1 (ko) 자동차 차체 운반장치
CN103935387A (zh) 新型四轮操舵物流运输车
KR100620985B1 (ko) 자동차 차체 운반장치
JP2013151287A (ja) 自在キャスター
CN205971381U (zh) 方便转向的手推车
GB2493992A (en) Wheeled load-carrying apparatus
KR200460971Y1 (ko) 손수레
JP5208667B2 (ja) 台車
JP3218504U (ja) 搬送ローラー
JP3037640U (ja) 被牽引台車のステアリング装置
EP2875973B1 (en) Suspension for a trailer
CN217396543U (zh) 运输台车
JP2000198451A (ja) 雪面道路及び非雪面道路兼用キャスタ―
CN203666736U (zh) 一种防滚落四轮板车
CN212654397U (zh) 一种铜材加工原材料短距离转运装置
KR200484417Y1 (ko) 화물운반용 전방향 회전대차
CN105752137A (zh) 一种卷状铜丝运输车专用
JP2007145215A (ja) 手押し式二輪車
CN207433570U (zh) 新型手推车
GB2424858A (en) Wheel assembly with at least two spaced ground contacting portions
KR200388065Y1 (ko) 짐받이가 수평으로 조절되는 손수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