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830Y1 - 역회전 방지장치가 설치된 바퀴 - Google Patents

역회전 방지장치가 설치된 바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830Y1
KR200372830Y1 KR20-2004-0028510U KR20040028510U KR200372830Y1 KR 200372830 Y1 KR200372830 Y1 KR 200372830Y1 KR 20040028510 U KR20040028510 U KR 20040028510U KR 200372830 Y1 KR200372830 Y1 KR 2003728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reverse rotation
wheel rim
rim
preven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5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기
Original Assignee
박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기 filed Critical 박성기
Priority to KR20-2004-00285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8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8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8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86Anti-roll-back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9/00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현재 사용되는 일반 휠체어의 여러가지 단점을 보완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특수하게 고안된 일반 수동용 휠체어 바퀴이며, 일반 휠체어는 무게중심점이 바퀴의 정중앙 즉, 센터축에 있지만 본 고안은 무게중심점의 취이가 바퀴의 하부에 위치하여 있음으로 전복의 위험을 최소화 하였음으로 매우 안정적이며 손잡이 자체가 지렛대 역활을 하기 때문에 땅위에서 무거운 드럼통을 굴리는 효과를 갖게되여 사용자의 피로감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오르막길등의 경사면에서 바퀴가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역회전방지장치를 설치한 바퀴를 제안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상기 이동수단의 양측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체결 고정되며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롤러들이 설치되는 롤러프레임과, 상기 롤러프레임의 둘레면에 위치하며 핸들의 작동에 따라 상기 롤러를 타고 회전 운동하는 휠림 및 상기 휠림에 끼워지는 타이어로 구성되며 상기 휠림의 내면에는 상기 휠림의 역회전을 제어하는 역회전 방지장치가 포함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역회전 방지장치가 설치된 바퀴{backlashing prevention equipment of wheel}
본 고안은 휠체어나 수레등의 이동수단에 설치되는 바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바퀴에 역회전방지장치를 설치하여 오르막길등의 경사면에서 바퀴가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역회전방지장치가 설치된 바퀴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동수단중의 하나인 휠체어는 노약자나 장애인이 앉은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의료기구를 말하며, 수레는 큰 중량을 가진 물건등의 이동시에 사용되는 기구를 말한다. 즉, 이러한 이동수단에는 통상 휠체어나 수레의 하중을 지탱함과 동시에 이동을 도와주기 위하여 양측으로 복수개의 바퀴가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한 바퀴에는 별도의 제어장치가 구비되지 못한 관계로 오르막길등의 경사면을 타고 올라가는 과정에서 후진할 경우 자칫 안전사고로 직결될 우려가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0385440 호(명칭: 휠체어의 역회전 방지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바퀴의 회전축상에 내접기어와 외접기어를 가지는 하우징 및 외륜을 장착하고 여기에 스플라인의 안내를 받아 상기 하우징의 내접기어에 결합되어 바퀴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회전 방지수단과, 상기 역회전 방지수단을 하우징에서 착탈시키는 조작손잡이등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에는 바퀴의 구성품들 전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서 역회전방지수단의 설치 위치에 제한을 받을 수 밖에 없으며, 결국 상기한 선행기술의 구조와 같이 회전축상에 역회전방지수단을 설치하게 됨으로서 역회전 방지수단의 구조가 불필요하게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가져왔으며, 따라서 제조코스트 및 유지보수에 많은 시간이 소비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역회전 방지수단은 반드시 조작손잡이의 동작에 따라 작동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초보자의 경우에는 긴박한 상황에서 이를 미쳐 판단하지 못하여 안전사고로 직결될 수 있는 문제점 또한 내포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상기 종래의 바퀴는 휠체어의 하중을 지탱하는 무게중심점이 상기 회전축(즉, 센터축)에 있기 때문에 이동과정에서 휠체어가 전복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퀴의 구조를 개선하여 역회전 방지수단이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바퀴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사용의 편리함의 기할 수 있도록 한 역회전 방지장치가 설치된 바퀴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센터축을 사용치 않음으로서 무게중심점이 바퀴의 하부 즉, 지면쪽에 위치하게 됨으로서 이동과정에서 전복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역회전 방지장치가 설치된 바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휠체어등의 이동수단에 설치되어 하중을 지탱하며 이동을 도와주는 바퀴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의 양측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체결 고정되며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롤러들이 설치되는 롤러프레임과, 상기 롤러프레임의 둘레면에 위치하며 핸들의 작동에 따라 상기 롤러를 타고 회전 운동하는 휠림 및 상기 휠림에 끼워지는 타이어로 구성되며 상기 휠림의 내면에는 상기 휠림의 역회전을 제어하는 역회전 방지장치가 포함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회전 방지장치가 설치된 바퀴가 휠체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역회전 방지장치가 설치된 바퀴의 구조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바퀴에 설치된 역회전 방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퀴에 설치되는 역회전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바퀴에 설치된 역회전 방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이동수단 12: 바퀴
14: 고정프레임 16: 롤러프레임
20: 롤러 22: 휠림(Wheel Rim)
30: 역회전 방지장치 32: 래칫 휠
34: 스토퍼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우선 본 고안은 휠체어나 수레등의 이동수단이 가지는 하중을 지탱하며 이동을 도와주기 위하여 설치되는 바퀴에 역회전 방지장치를 설치하여 오르막길등의 경사면에서 바퀴가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바퀴의 구성에 있어서, 바퀴의 구성 전체가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외륜에 해당하는 타이어 및 상기 타이어가 끼워지는 휠림(Wheel Rim)만이 회전토록 구성함으로서 상기 역회전방지장치를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하여 바퀴에 설 치할 수 있도록 함을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로 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는 상기한 바퀴가 설치되어 지는 이동수단을 휠체어에 대표하여 설명할 것이나, 상기 휠체어 대신 수레나 기타 다양한 이동수단에 설치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일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역회전 방지장치가 설치된 바퀴 및 상기 바퀴가 설치되어 지는 휠체어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고안인 바퀴의 구조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바퀴(12)는 이동수단(10)인 휠체어의 양측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4)과, 상기 고정프레임(14)에 장착되는 롤러프레임(16)과, 타이어(28)가 끼워지며 회전운동하는 휠림(22) 및 상기 휠림(22)에 설치되는 역회전 방지장치(3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롤러프레임(16)은 원형의 형태로 그 단면이 "ㄷ"형태로 밴딩 처리된 것으로서, 이 롤러프레임(16)은 상기 고정프레임(14)과 볼트(18)로 체결되어 고정프레임(14)상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롤러프레임(16)의 둘레면에는 일정간격을 두며 다수개의 롤러(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롤러(20)들은 상술한 휠림(22)의 회전운동을 도와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롤러프레임(16)의 둘레면에 위치하는 휠림(22)은 바퀴(12)의 구성품중에서 회전 운동하며 휠체어를 이동시키는 수단으로서, 중앙면에는 상기 롤러(20)가 끼워지기 위한 레일홈(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에는 상기 휠림(22)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26)이 장착되어 진다. 즉, 상기 휠림(22)은 상기 핸들(26)에서 발생한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롤러(20)를 타고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휠림(22)에는 바퀴(12)의 외주에 해당하는 타이어(28)가 끼워진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바퀴(12)는 내륜에 해당하는 롤러플레임(16)은 휠체어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륜에 해당하는 휠림(22) 및 타이어(28)만이 회전하게 됨으로서 종래와 같이 센터축에 해당하는 회전축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종래 휠체어의 하중이 모여지는 무게중심점(또는 하중점)이 회전축에 모여지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하중점이 바퀴(12)의 하부 즉, 지면쪽에 위치하게 됨으로서 보다 안정감있게 이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휠체어의 전복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휠림(22)의 내측 둘레면에는 상기 휠림(22)의 역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인 역회전 방지장치(30)가 설치되는 바, 이러한 역회전 방지장치(30)의 상세구조는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회전 방지장치(30)는 상기 휠림(22)의 내측 둘레면를 따라 설치되며 톱니형태를 가진 다수개의 기어이(32a)를 가지는 래칫휠(32)과, 상기 래칫휠(32)의 기어이(32a)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며 상기 래칫휠(32)이 역회전할 때 상기 기어이(32a)중 어느 하나의 기어이(32a)에 걸려지는 스토퍼(3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34)는 롤러프레임(16)과 축핀(36)으로 연결되어 일측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지며, 따라서 상기 스토퍼(34)는 휠림(22)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하지 않고 롤러프레임(16)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34)에는 비록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스토퍼(34)가 항시 일측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스프링등의 텐션수단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휠림(22)이 정회전(휠체어가 전진하는 회전방향)할 때에는 상기 스토퍼(34)가 텐션력으로 레칫휠(32)의 기어이(32a)를 타고 넘도록 하고, 만일 휠림(22)이 역회전(휠체어가 후진하는 회전방향)할 때에는 상기 스토퍼(34)가 텐션력으로 기어이(32a)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역회전 방지장치가 설치된 바퀴의동작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이동수단인 휠체어를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바퀴(12)에 장착되어 있는 핸들(26)을 잡은 상태에서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핸들(26)에 연결되어 있는 휠림(22)은 롤러(20)를 타고 회전운동을 하며 휠체어를 전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휠림(22)의 내면에 위치하고 있는 롤러프레임(16)은 고정프레임(14)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휠림(22)만이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휠체어가 오르막길등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후진할 경우에는 롤러프레임(16)상에 설치되어 있는 스토퍼(34)가 휠림(22)의 내측둘레면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래칫휠(32)의 기어이(32a)중 어느 하나의 기어이(32a)에 걸림 고정됨으로서 휠림(22)이 역회전하는 것을 제어하게 되며, 따라서 휠체어는 후진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바퀴에 설치된 역회전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회전 방지장치(60)는 앞서 언급한 제 1실시 예의 역회전 방지장치(30)가 설치된 바퀴(12)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 바퀴(12)에 설치되어 휠림(22)의 역회전을 방지하여 휠체어가 경사면에서 후진하는 것을 방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하기에서는 상기한 바퀴(12)의 구성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역회전 방지장치(60)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역회전 방지장치(60)는 휠림(22)의 내측 둘레면를 따라 설치되며 일정간격을 두며 다수개의 체결구멍(62a)들이 천공된 보조림(62)과, 상기 보조림(62)이 역회전할 때 상기 체결구멍(62a)들중 어느 하나의 체결구멍(62a)에 끼워지는 고정핀(6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핀(64)는 롤러프레임(16)과 축핀(66)으로 연결되어 일측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지며, 따라서 상기 고정핀(66)은 휠림(22)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하지 않고 롤러프레임(16)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핀(66)에는 비록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고정핀(66)이 항시 일측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스프링등의 텐션수단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휠림(22)이 정회전(휠체어가 전진하는 회전방향)할 때에는 상기 고정핀(66)이 텐션력으로 보조림(62)의 체결구멍(62a)에 끼워지지 않고 상기 체결구멍(62a)을 타고 넘도록 하고, 만일 휠림(22)이 역회전(휠체어가 후진하는 회전방향)할 때에는 상기 고정핀(66)이 체결구멍(66a)에 걸려져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휠체어나 수레등의 이동수단이 가지는 하중을 지탱하며 이동을 도와주기 위하여 설치되는 바퀴에 역회전 방지장치를 설치하여 오르막길등의 경사면에서 바퀴가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바퀴의 구성에 있어서, 바퀴의 구성 전체가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외륜에 해당하는 타이어 및 상기 타이어가 끼워지는 휠림만이 회전토록 구성함으로서 상기 역회전방지장치를 종래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하여 바퀴에 설치할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휠체어등의 이동수단(10)에 설치되어 하중을 지탱하며 이동을 도와주는 바퀴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10)의 양측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4)과;
    상기 고정프레임(14)에 체결 고정되며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롤러(20)들이 설치되는 롤러프레임(16)과;
    상기 롤러프레임(16)의 둘레면에 위치하며 핸들(26)의 작동에 따라 상기 롤러(20)를 타고 회전 운동하는 휠림(22) 및 상기 휠림(22)에 끼워지는 타이어(28)로 구성되며;
    상기 휠림(22)의 내면에는 상기 휠림(22)의 역회전을 제어하는 역회전 방지장치가 포함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회전 방지장치가 설치된 바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방지장치는 상기 휠림(22)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설치되는 래칫휠(32)과, 상기 래칫휠(32)의 기어이(32a)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며 상기 기어이(32a)중 어느 하나의 기어이(32a)에 걸려지는 스토퍼(3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역회전 방지장치가 설치된 바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방지장치는 상기 휠림(22)의 내면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일정간격을 두며 다수개의 체결구멍(62a)들이 천공된 보조림(62)과, 상기 체결구멍(62a)들중 어느 하나의 체결구멍(62a)에 끼워지는 고정핀(64)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역회전 방지장치가 설치된 바퀴.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10)에서 발생한 하중이 모여지는 하중점은 바퀴(12)의 하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회전 방지장치가 설치된 바퀴.
KR20-2004-0028510U 2004-10-08 2004-10-08 역회전 방지장치가 설치된 바퀴 KR2003728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510U KR200372830Y1 (ko) 2004-10-08 2004-10-08 역회전 방지장치가 설치된 바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510U KR200372830Y1 (ko) 2004-10-08 2004-10-08 역회전 방지장치가 설치된 바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830Y1 true KR200372830Y1 (ko) 2005-01-15

Family

ID=49444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510U KR200372830Y1 (ko) 2004-10-08 2004-10-08 역회전 방지장치가 설치된 바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8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69146A (en) Occupant actuated means for propelling, stopping, directing, and curb hopping a wheelchair
US4316616A (en) Self-propelling and steering attachment for a wheel-chair
US20050167942A1 (en) Wheelchair drive mechanism
HUT58248A (en) Stabilizing system particularly for vehicles of pedal drive
JP4310555B2 (ja) 手押し運搬車
US5301971A (en) Ratcheting wheelchair hub
KR102271700B1 (ko) 수동용 차륜 부착 이동체
KR200372830Y1 (ko) 역회전 방지장치가 설치된 바퀴
CN101264719A (zh) 轮支撑装置
JP4195223B2 (ja) 足踏式車椅子
US20020104698A1 (en) Drive unit of electric vehicle
JP2007153137A (ja) 二輪車用スタンドおよびそれを備えた二輪車
JP3259039B2 (ja) 車椅子搬送機能をもつ補助動力付自転車
JP2008295528A (ja) 車いす
JP3544071B2 (ja) 起立姿勢で運転可能な電動走行車
JP2006223372A (ja) 車椅子の駆動機構
JP2003000651A (ja) 車椅子
US20030226719A1 (en) Gravity reacting anti-rollerback brake
KR20200057901A (ko) 스위칭기능을 가진 역회전 방지 바퀴
KR200418697Y1 (ko) 휠체어 시스템
JP2004194848A (ja) 車椅子
JP4284602B2 (ja) 車椅子のドラムブレーキ機構
JPH10272159A (ja) 車椅子
WO2009068902A1 (en) Drivable anti-tip castors
KR101982322B1 (ko) 휠체어용 바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