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771Y1 - 알루미늄 유로폼용 타이의 고정브라켓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유로폼용 타이의 고정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771Y1
KR200372771Y1 KR20-2004-0030473U KR20040030473U KR200372771Y1 KR 200372771 Y1 KR200372771 Y1 KR 200372771Y1 KR 20040030473 U KR20040030473 U KR 20040030473U KR 200372771 Y1 KR200372771 Y1 KR 2003727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wall
fixing bracket
concrete
eurofor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4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안구
Original Assignee
윤안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안구 filed Critical 윤안구
Priority to KR20-2004-00304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7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7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7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1One-piece elements
    • E04G17/0654One-piece elements remaining completely or partially embedded in the cas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 E04G17/0707One-piece elements
    • E04G17/0714One-piece elements fully recover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알루미늄 유로폼 설치 시 저렴한 세파볼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단가 및 전제적인 콘크리트 타설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타설하고자 하는 벽체의 두께에 구애 받지 않도록 특수한 사양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고정브라켓의 재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알루미늄 유로폼용 타이의 고정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타설하고자 하는 벽체(60)의 내측 또는 내/외측에 동시에 설치된 알루미늄 유로폼(31, 32)의 콘크리트 타설 측으로 배치되어 알루미늄 유로폼(31, 32) 사이 또는 알루미늄 유로폼(31) 및 스틸 갱폼(40) 사이에 배치되어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세파볼트(10)를 지지하기 위해 세파볼트(10)의 일단에 체결되는 콘 너트부(21)와, 상기 콘 너트부(21)의 타측에 일단이 삽입 고정되고 타단이 알루미늄 유로폼(31, 32)을 관통하여 콘크리트 타설 측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원형 또는 직사각형상의 웨지핀 고정부(23b, 23c)에 한쌍의 웨지 핀(71, 73)을 통해 알루미늄 유로폼(31, 32)에 고정되는 고정편(2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알루미늄 유로폼용 타이의 고정브라켓{Fixing Bracket of Tie for Aluminum Euroform}
본 고안은 알루미늄 유로폼용 타이의 고정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알루미늄 유로폼 설치 시 저렴한 세파볼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단가 및 전제적인 콘크리트 타설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타설하고자 하는 벽체의 두께에 구애 받지 않도록 특수한 사양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고정브라켓의 재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알루미늄 유로폼용 타이의 고정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경화하는 동안 정해진 형상과 치수를 유지시키는 역할과 콘크리트가 굳기 전까지 수분의 누출을 방지하고 외기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 해체되는 가설물을 일컫는다.
이와 같은 거푸집은 건설현장에서 공사의 특성에 따라 목재용/합판용 거푸집이나 알루미늄 유로폼 또는 스틸 갱폼 등을 동일 종류 또는 혼합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스틸 갱폼은 하나의 유닛 패널로서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으로 반입 한 후, 크레인 등으로 설치되고 있으며 이러한 스틸 갱폼은 구조적으로 견고하고 값이 싼 장점은 있으나, 하나의 유닛 패널로 제작되는 것이므로 벽체의 내측 즉, 실내 측에 설치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 이유는 스틸 갱폼이 하나의 유닛으로 제작됨에 따라 벽체의 내측에 설치할 경우, 유닛 크기로 인해 반입이 어려워 사용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벽체 타설 후 외부로 인출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주로 타설하고자 하는 벽체의 외측 즉 실외 측에 설치되어 사용한다.
한편, 알루미늄 유로폼은 다수의 조각단위로 조립 분해가 가능한 알루미늄 패널로 제작되어 타설하고자 하는 벽체의 내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도 1과 같이 내/외측 모두에 설치하여 사용된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설하고자 하는 벽체(9)의 내측 및 외측에 각각 알루미늄 유로폼(1, 7)을 설치할 경우, 내/외측 알루미늄 유로폼(1, 7) 사이로 장입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을 견뎌내면서 유로폼(1, 7)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호 고정시키기 위해 소정길이를 갖는 판형상의 폼 타이(2)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폼 타이(2)는 알루미늄 유로폼(1, 7) 외부로 돌출된 좌우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웨지 핀(3, 5)에 의해 알루미늄 유로폼(1, 7)에 고정되며, 벽체(9)의 내/외측에 인접한 부분에는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부분을 제외한 즉, 외부로 돌출되는 폼 타이의 양단을 절단하기 위한 노치홈(2a)이 각각 상하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금속 폼 타이(2)는 폼 타이(2)의 양측부를 제외한 나머지 중앙부분이 콘크리트에 매립되고, 폼 타이(2)의 절단부분은 벽체(9)의 내외측면과 거의 동일한 면으로 외부에 노출이 되는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폼 타이(9)는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부식됨에 따라 벽체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식성을 갖는 고가의 금속으로 제작되며, 이에 따라 일회성 소모품으로 쓰이는 종래의 폼 타이는 재질이 철로 이루어진 저렴한 일반 세파볼트에 비하여 가격 경쟁력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 비용이 전반적으로 상승하게 되는 요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폼 타이는 미리 정해진 콘크리트의 벽두께에 대응하여 일정한 두께로 대량 생산됨에 따라 벽체를 일반적인 벽체의 두께보다 더 두껍거나 얇게 콘크리트를 타설해야 할 경우 이에 대응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알루미늄 유로폼 설치 시 저렴한 세파볼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단가 및 전제적인 콘크리트 타설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타설하고자 하는 벽체의 두께에 구애 받지 않도록 특수한 사양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고정브라켓의 재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알루미늄 유로폼용 타이의 고정브라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알루미늄 유로폼용 타이가 알루미늄 내외측 유로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알루미늄 유로폼용 타이의 고정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알루미늄 유로폼용 타이의 고정브라켓을 내/외측 유로폼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알루미늄 유로폼용 타이의 고정브라켓을 알루미늄 유로폼 및 스틸 갱폼의 혼합사용 시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도 6은 도 4에 표시된 "B"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브라켓의 웨지핀 고정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 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 고정브라켓 21: 콘 너트부
21a: 경사면 21b: 체결홈
21c: 삽입홈 23: 고정편
23a: 삽입부 23b, 23c: 웨지핀 고정부
31, 32: 알루미늄 유로폼 40: 스틸 갱폼
41: 세로보강바 43: 가로보강바
50: 고정구 51: 제1 거치대
52: 제2 거치대 53 볼트고정부
53a: 체결홈 54: 지지볼트
55: 나비너트 71, 73: 웨지핀
71a: 삽입구멍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타설하고자 하는 벽체의 내측 또는 내/외측에 동시에 설치된 알루미늄 유로폼의 콘크리트 타설 측으로 배치되어, 알루미늄 유로폼 사이 또는 알루미늄 유로폼 및 스틸 갱폼 사이에 배치되어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세파볼트를 지지하기 위해 세파볼트의 일단에 체결되는 콘 너트부와, 상기 콘 너트부의 타측에 일단이 삽입 고정되고 타단이 알루미늄 유로폼을 관통하여 콘크리트 타설 측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원형 또는 직사각형상의 웨지핀 고정부에 한쌍의 웨지핀을 통해 알루미늄 유로폼에 고정되는 고정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유로폼용 타이의 고정브라켓을 제공한다.
이 경우, 콘크리트 타설 후 상기 세파볼트와 나사 결합된 콘 너트부를 세파볼트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콘 너트부와 고정편을 용접을 통해 상호 일체로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저가의 세파볼트를 사용하여 알루미늄 유로폼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는 재사용 가능한 고정브라켓을 채용함에 따라 전체적인 콘크리트 타설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특수사양의 두께를 갖는 콘크리트 벽체를 타설하는데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알루미늄 유로폼용 타이의 고정브라켓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알루미늄 유로폼용 타이의 고정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알루미늄 유로폼용 타이의 고정브라켓을 내/외측 유로폼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표시된 "B"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알루미늄 유로폼용 타이의 고정브라켓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세파볼트(10)의 일측에 체결되는 콘 너트부(21) 및 콘 너트부(21) 타측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편(23)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콘 너트부(21)는 일측에 상기 세파볼트(10)의 나사부가 나사 결합되는 체결홈(21b)이 형성되고, 아울러 외주면이 콘크리트 타설 후 벽체(6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고정편(23) 측에서 체결홈(21b)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2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콘 너트부(21) 타측에는 고정편(23)의 돌출부(23a)가 삽입되는 삽입홈(21c)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 용접으로 상호 고정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고정브라켓(20)은 고정편(23)을 회전시킴에 따라 도 4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 후 세파볼트(10)와 나사 결합된 상태로 함께 벽체(60)에 매립된 콘 너트부(21)를 세파볼트(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20)은 도 4 및 도 6과 같이 알루미늄 유로폼(31, 32)에 한쌍의 웨지핀(71, 73)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도 6과 같이 상기 웨지핀 중 원통타입의 웨지핀(71)을 삽입시키기 위해 고정편(23)에 원형으로 관통된 웨지핀 고정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브라켓의 웨지핀 고정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더욱이, 상기 도 6에 도시된 원통형 타입 이외에 도 7과 같이 판타입의 웨지핀(75)을 삽입할 경우, 상기 웨지핀 고정부(23b)는 이에 대응하도록 판타입 웨지핀(75)에 대응하도록 직사각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타설하고자 하는 벽체의 외측 및 내측에 모두 알루미늄 유로폼(31, 32)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 본 고안에 따른 고정브라켓(20)이 적용되는 예를 알루미늄 유로폼의 설치 및 해체 순서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타설하고자 하는 벽체의 외측에 다수의 유닛단위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유로폼(31)을 설치하면서 도 4와 같이 한쌍의 웨지핀(71, 73)을 통해 고정브라켓의 고정편(23)을 외측 알루미늄 유로폼(31)에 고정시킨다.
이어서, 내측 알루미늄 유로폼(32)을 벽체의 내측에 설치하면서 외측에 설치된 고정브라켓과 동일한 고정브라켓을 사용하여 한쌍의 웨지핀(71, 73)을 통해 고정브라켓의 고정편(23)을 내측 알루미늄 유로폼(32)에 고정시킨다.
이 경우, 내/외측 알루미늄 유로폼(31, 32)에 각각 대응 설치된 콘 너트부(21)의 체결홈(21b)에 세파볼트(10)의 양측을 나사 결합시킨 후, 콘크리트를 내/외측 알루미늄 유로폼(31, 32) 사이로 장입한다.
그 후, 양생기간을 거쳐 벽체(60)가 형성되면 내/외측 알루미늄 유로폼(31, 32)에 각각 설치된 고정브라켓(20)의 고정편(23)에 결합된 한쌍의 웨지핀(71, 73)을 순차적으로 분리시킨 후, 내/외측 알루미늄 유로폼(31, 32)을 벽체로부터 각각 분리시킨다.
이어서 세파볼트(10)와 함께 벽체(60)의 내/외측에 각각 매립된 고정브라켓(20)의 콘 너트부(21)를 벽체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고정편(23)을 잡고 벽체의 반대방향으로 당기면서 동시에 일방향으로 고정브라켓(20)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벽체(60)의 내/외측에 각각 일부 매립된 고정브라켓(20)을 세파볼트(10)로부터 분리시킴과 동시에 벽체(60)로부터 완전 분리시킨다. 이때, 벽체(60)의 콘 너트부(21)가 매립되었던 부분에는 빈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부분에는 몰탈 처리하여 메워준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정브라켓(20)을 사용하여 알루미늄 유로폼(31, 32)을 설치할 경우에는 종래의 내식성을 갖는 고가의 폼 타이 보다 저렴한 세파볼트(10)를 이용할 수 있어, 전체적인 콘크리트 타설 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것은 물론 벽체의 두께를 기존 규격과 달리 좀 더 두껍거나 얇게 형성할 경우에도 간단하게 세파볼트의 길이를 적용하고자 하는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타설하고자 하는 벽체의 두께에 제한받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고정브라켓(20)은 상기와 같이 벽체의 내/외측에 알루미늄 유로폼을 설치하는 경우 이외에도, 알루미늄 유로폼 및 스틸 갱폼을 혼용할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설하고자 하는 벽체(60)의 외측에 스틸 갱폼(40)을 설치한 후, 세파볼트(10)를 지지하기 위한 볼트고정부(53)를 스틸 갱폼(40)에 삽입시킨 상태로 제1 및 제2 거치대(51, 53)를 가로보강바(43)의 내/외측에 고정시킨 후 지지볼트(54) 일단의 나비너트(55)를 체결하여 고정구(50)를 스틸 갱폼(40)에 설치한다.
그 후, 알루미늄 유로폼(32)에 고정브라켓(20)을 설치하면서 동시에 세파볼트(10)의 양단을 고정브라켓(20)의 콘 너트부(21b) 및 고정구(50)의 볼트고정부(53)에 각각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기간을 거쳐 벽체(60)가 완성되면, 상기 고정구(50)를 스틸 갱폼(40)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이어서 스틸 갱폼(40)을 벽체(60)의 외측으로부터 분리시킨다.
마지막으로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벽체(60) 내측에 설치된 알루미늄 유로폼(32)에 설치된 고정브라켓(20)의 고정편(23)에 결합된 한쌍의 웨지핀(71, 73)을 순차적으로 분리시킨 후, 내/외측 알루미늄 유로폼(31, 32)을 벽체로부터 각각 분리시킨 뒤, 고정편(23)을 잡고 벽체의 반대방향으로 당기면서 동시에 일방향으로 고정브라켓(20)을 회전시켜 벽체(60)에 일부 매립된 고정브라켓(20)을 세파볼트(10) 및 벽체(60)로부터 완전 분리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고정브라켓(20)은 재사용이 가능하며, 종래의 고가의 폼 타이를 사용할 필요 없이 저렴한 세파볼트를 사용함에 따라 전체적인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저가의 세파볼트를 사용하여 알루미늄 유로폼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는 재사용 가능한 고정브라켓을 채용함에 따라 전체적인 콘크리트 타설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특수사양의 두께를 갖는 콘크리트 벽체를 타설하는데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개요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타설하고자 하는 벽체(60)의 내측 또는 내/외측에 동시에 설치된 알루미늄 유로폼(31, 32)의 콘크리트 타설 측으로 배치되어 알루미늄 유로폼(31, 32) 사이 또는 알루미늄 유로폼(31) 및 스틸 갱폼(40) 사이에 배치되어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세파볼트(10)를 지지하기 위해 세파볼트(10)의 일단에 체결되는 콘 너트부(21)와,
    상기 콘 너트부(21)의 타측에 일단이 삽입 고정되고 타단이 알루미늄 유로폼(31, 32)을 관통하여 콘크리트 타설 측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원형 또는 직사각형상의 웨지핀 고정부(23b, 23c)에 한쌍의 웨지 핀(71, 73)을 통해 알루미늄 유로폼(31, 32)에 고정되는 고정편(2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유로폼용 타이의 고정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 너트부(21)와 고정편(23)은 용접을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유로폼용 타이의 고정브라켓.
KR20-2004-0030473U 2004-10-28 2004-10-28 알루미늄 유로폼용 타이의 고정브라켓 KR2003727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473U KR200372771Y1 (ko) 2004-10-28 2004-10-28 알루미늄 유로폼용 타이의 고정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473U KR200372771Y1 (ko) 2004-10-28 2004-10-28 알루미늄 유로폼용 타이의 고정브라켓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2165A Division KR20060038330A (ko) 2004-12-07 2004-12-07 알루미늄 유로폼용 타이의 고정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771Y1 true KR200372771Y1 (ko) 2005-01-14

Family

ID=49353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473U KR200372771Y1 (ko) 2004-10-28 2004-10-28 알루미늄 유로폼용 타이의 고정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7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0495A (zh) * 2022-07-11 2022-09-09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一种新型铝模板固位拉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0495A (zh) * 2022-07-11 2022-09-09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一种新型铝模板固位拉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45883B1 (en) A tie rod for formwork
KR102087035B1 (ko) 앵커볼트 설치용 지그
KR200372771Y1 (ko) 알루미늄 유로폼용 타이의 고정브라켓
KR101508960B1 (ko)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
KR100722376B1 (ko) 알루미늄 유로폼용 타이
KR20100004638U (ko)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
KR20060038330A (ko) 알루미늄 유로폼용 타이의 고정브라켓
KR20100023228A (ko) 분리형 플렛타이
JP2006336238A (ja) 型枠兼用断熱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建築用型枠
KR0114180Y1 (ko) 거푸집 조임장치
KR102473429B1 (ko) 내외측 단열재 지지구
JP3135595U (ja) 布基礎部用残存型枠
KR101298861B1 (ko) 층간바닥 이중관 시공용 이중관 노출배관 수직 고정구
KR200326109Y1 (ko)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간격유지장치
JP2004003168A (ja) コンクリート型枠の固定金具
JPH11229622A (ja) 誘発目地の形成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目地形成用型材並びに止水板一体型堰板保持具
KR200354124Y1 (ko) 구조물 고정 플레이트
KR200321429Y1 (ko) 콘크리트 타설용 내.외부폼의 결속장치
KR20130076845A (ko) 하이브리드 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200381348Y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조절구조
JP3201980U (ja) スラブコンクリートの打継用柵
JPS63251571A (ja) 地下構造物用足場金具の取付け方法
JPS6316770Y2 (ko)
KR20160126551A (ko) 크랙 및 녹물방지용 콘크리트 타설장치
JP2002121892A (ja) コンクリート型枠固定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型枠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