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319Y1 - 욕조 - Google Patents

욕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319Y1
KR200372319Y1 KR20-2004-0028837U KR20040028837U KR200372319Y1 KR 200372319 Y1 KR200372319 Y1 KR 200372319Y1 KR 20040028837 U KR20040028837 U KR 20040028837U KR 200372319 Y1 KR200372319 Y1 KR 2003723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bath
tub body
bathtub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8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학
Original Assignee
이재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학 filed Critical 이재학
Priority to KR20-2004-0028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3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3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3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6Devices for fastening baths to floors or walls; Adjustable bath feet ; Lining panels or attachment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공이 용이하며, 단열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욕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바닥에 배수공(12)이 형성된 욕조본체(10)와, 욕실바닥(1)에 배치되며 상면에 상기 욕조본체(10)의 바닥이 안착되는 개구부(22)가 형성된 받침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욕조본체(10)를 받침대(20)에 안착시키면 욕조본체(10)의 바닥이 욕실바닥(1)에서 이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욕조{A bathtub}
본 고안은 욕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이 용이하며, 단열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욕조에 관한 것이다.
가정의 욕실에는 입욕을 할 수 있도록 욕조가 구비된다. 이러한 욕조는 욕실 바닥에 콘크리트로 부착시공된다. 따라서 욕조를 새 것으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욕실 바닥을 깨고 욕조를 떼어 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공사규모가 커질 뿐만 아니라 공사비용도 많이 소요된다.
한편, 입욕 중에서도 반신욕은 전신욕에 비해 건강에 훨씬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반신욕은 물의 양과 온도가 상당히 중요한데, 사용자의 명치의 아래까지만 물에 잠길 정도로 물을 받아야 하며, 물의 온도는 체온보다 약간 높은 37~38℃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반신욕 초기에 물의 온도를 상기 수준으로 맞추었다 하더라도 시간이 경과될수록 물의 온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반신욕을 하는 동안 더운 물을 보충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물을 보충하면 물의 양이 많아져서 사용자의 명치 위까지 물이 올라오게 되므로 반신욕 효과가 저하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욕실바닥에 부착시공되지 않으므로 설치가 용이하며, 이에 따라 욕조 교체도 용이하고, 또한, 욕조의 단열성이 향상되어 물이 빨리 식지 않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경제적이며 건강증진효과도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욕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욕조본체 12. 배수공
20. 받침대 22. 개구부
본 고안에 따르면, 바닥에 배수공(12)이 형성된 욕조본체(10)와, 욕실바닥(1)에 배치되며 상면에 상기 욕조본체(10)의 바닥이 안착되는 개구부(22)가 형성된 받침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욕조본체(10)를 받침대(20)에 안착시키면 욕조본체(10)의 바닥이 욕실바닥(1)에서 이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받침대(20)의 저면에는 받침대(20)가 욕실바닥(1)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찰부재(28)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욕조본체(10)와 받침대(20) 중 적어도 욕조본체(10)에는 황토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배수공(12)이 형성된 욕조본체(10)와, 이 욕조본체가 욕실바닥(1)에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안착되는 받침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욕조본체(10)는 바닥에 배수공(12)이 형성되며, 그 일측에는 반신욕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된 착좌부(13)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욕조본체(10)에는 황토가 함유되는데, 욕조본체(10)는 황토와 탄산칼슘과 같은 석분 및 기타 첨가제가 혼합된 혼합물로 성형된다. 상기 혼합물에서 황토의 혼합비율은 제품의 성형성과 요구되는 단열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된다.
황토는 단열성이 우수하므로 욕조본체(10)에 황토가 함유되는 경우에는 욕조본체(10)의 단열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욕조에 담아진 물이 상대적으로 늦게 식게 되므로 반신욕 등을 하는 경우에 물의 초기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더운 물을 보충해 주어야 하는 수고를 할 필요가 없으므로 편리하고 물의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들므로 경제적이다. 또한, 황토에서는 원적외선이 방사되므로 욕조본체(10)에 황토가 함유되면 원적외선에 의해 사용자의 혈액순환이 촉진되고 노폐물배출이 촉진되는 등 건강증진효과도 얻을 수 있다. 미 설명부호 16은 욕조본체(10)의 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해 욕조본체(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유리창이며, 이 유리창(16)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이 유리창(16)을 잡고 일어설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실리콘(19)이 몰딩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20)는 상면에 상하로 개구된 개구부(22)가 형성되어 대략 좌우로 긴 테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받침대(20)의 개구부 둘레부에는 욕조본체(10)의 바닥면 둘레부가 안착되는 안착부(24)가 형성된다. 이러한 받침대(20)에 욕조본체(10)를 올려놓는데, 이와 같이 하면 욕조본체(10)의 바닥면은 욕실바닥(1)에서 받침대(20)의 높이 만큼 이격되며, 욕조본체(10)의 배수공(12)은 받침대(20)의 개구부(22) 내부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대(20)도 욕조본체(10)와 같이 황토가 함유되도록 성형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받침대(20)의 저면에는 실리콘이나 고무소재로 된 마찰부재(28)가 구비된다. 이러한 마찰부재(28)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마찰부재(28)에 의해 받침대(20)가 유동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뿐만 아니라 받침대(20)가 욕실바닥(1)에 밀착되어 받침대(20) 내부로 수밀이 유지되므로 욕실바닥(1)의 물이 받침대(20) 내부로 유입되어 고이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욕조를 설치할 때에는 먼저 받침대(20)를 욕실에 배치시키는데, 욕실바닥(1)에 형성된 하수공(6)이 받침대(20)의 개구부(22) 내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욕조본체(10)의 배수공(12)과 상기 하수공(6)을 배수관(8)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욕조본체(10)가 받침대(20)에 의해 욕실바닥(1)에서 이격되어 있으므로 욕조본체(10)의 배수공(12)과 하수공(6)을 연결시키기가 용이하다. 즉, 욕조본체(10)가 욕실바닥(20)에 접하는 경우에는 욕조본체(10)의 배수공(12)이 하수공(6)과 일치되어야만 배수공(12)과 하수공(6)을 연결시킬 수 있는데, 각 가정마다 욕실 하수공(6)의 위치가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욕조본체(10)의 배수공(12)과 하수공(6)의 위치를 일치시키기가 상당히 곤란하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욕조본체(10)의 바닥면이 욕실바닥(1)과 이격되므로 배수공(12)과 하수공(6)의 위치가 일치되지 않아도 된다. 단지 배수공(12)과 하수공(6)을 연결시키는 배수관(8)의 길이가 적절하게 확보되기만 하면, 욕조본체(10)와 욕실바닥(1)의 이격되는 공간사이에서 배수관(8)이 적절히 구부려져서 배관되므로 배수공(12)과 하수공(6)의 위치가 일치되지 않아도 배관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욕조본체(10)의 배수공(12)과 욕실바닥(1)의 하수공(6)을 연결한 다음, 욕조본체(10)를 받침대(20)에 안착시킨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욕실바닥(1)에 부착시공되는 종래의 욕조에 비해 시공이 용이하며, 또한, 욕조본체(10)가 욕실바닥(1)에서 이격되게 설치되므로 욕조본체(12)의 배수공(12)과 욕실바닥(1)의 하수공(6)을 굳이 일치시키지 않아도 배관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이러한 배관상태가 받침대(20)에 의해 커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설치된 외관도 깔끔하다. 이상에서는 받침대(20)가 욕조본체(10)와 별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받침대(20)가 욕조본체(10)의 하측에 일체로 연장되도록 성형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욕실바닥에 부착시공되지 않으므로 설치가 용이하며, 욕조의 단열성이 향상되어 사용이 편리하고 경제적이며 건강증진효과도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욕조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욕조는 욕실바닥에 부착되지 않으므로 욕조와 하수공을 연결한 배관만 제거하면 욕조를 욕실에서 쉽게 떼어 낼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이사를 하는 경우에 욕조를 가지고 갈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바닥에 배수공(12)이 형성된 욕조본체(10)와, 욕실바닥(1)에 배치되며 상면에 상기 욕조본체(10)의 바닥이 안착되는 개구부(22)가 형성된 받침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욕조본체(10)를 받침대(20)에 안착시키면 욕조본체(10)의 바닥이 욕실바닥(1)에서 이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20)의 저면에는 받침대(20)가 욕실바닥(1)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찰부재(28)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본체(10)와 받침대(20) 중 적어도 욕조본체(10)에는 황토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
KR20-2004-0028837U 2004-10-12 2004-10-12 욕조 KR2003723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837U KR200372319Y1 (ko) 2004-10-12 2004-10-12 욕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837U KR200372319Y1 (ko) 2004-10-12 2004-10-12 욕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238A Division KR20040096964A (ko) 2004-10-12 2004-10-12 욕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319Y1 true KR200372319Y1 (ko) 2005-01-10

Family

ID=49353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837U KR200372319Y1 (ko) 2004-10-12 2004-10-12 욕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3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5610B2 (en) Portable bathtub water-level control device
RU232082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ереполнения и стока для ванной
KR200372319Y1 (ko) 욕조
KR20040096964A (ko) 욕조
US7392553B2 (en) Overflow drain assembly for sanitary vessels
NO20083224L (no) Badekar
KR100741513B1 (ko) 족욕기
JPH0123349Y2 (ko)
KR200353197Y1 (ko) 이동식 욕조
KR20110114397A (ko) 세면대를 구비한 욕조
JP3144631U (ja) 足湯装置
JP7337424B1 (ja) 排水構造および排水システム
DE502004011155D1 (de) Ablaufarmatur für eine sanitäre Apparatur, insbesondere Duschwanne
JP2006063518A (ja) 洗面化粧台
JP2010059654A (ja) 排水構造、シャワー室の排水構造、洗濯機用防水パンの排水構造
KR101148237B1 (ko) 욕실용 배수장치
JP2008142144A (ja) 排水栓装置
RU24917U1 (ru)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ое изделие
KR970003932Y1 (ko) 개폐식 홈통 배수구
JP2001073426A (ja) 浴室の排水構造
JP3555755B2 (ja) 浴室ユニット
JPS6041199Y2 (ja) 埋込式ユニツトバス
KR20030067104A (ko) 보조 세면대가 삽입된 세면대
KR200215021Y1 (ko) 샤워기 행거가 일체로 형성된 욕실용 수도꼭지
JPH11182075A (ja) 浴 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