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996Y1 - 토목 건축 공사용 토류판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토목 건축 공사용 토류판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996Y1
KR200371996Y1 KR20-2004-0025549U KR20040025549U KR200371996Y1 KR 200371996 Y1 KR200371996 Y1 KR 200371996Y1 KR 20040025549 U KR20040025549 U KR 20040025549U KR 200371996 Y1 KR200371996 Y1 KR 2003719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 plate
plate
fastening
earth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5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화
Original Assignee
이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화 filed Critical 이경화
Priority to KR20-2004-00255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9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9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9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철이나 구조물 공사에 사용되는 복공판을 재활용하여 충분한 강성을 가지도록 하면서 시공성이 우수하도록 하도록 한 토목 건축 공사용 토류판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공사시 토사나 암반이 무너지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토류판어셈블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토류판어셈블리(50)는 복공판을 재활용하여 구비하는 토류판(51)과; 상기 토류판(51)의 전면에 공사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토류판(51)의 길이방향으로 부착하는 식별표식(52)과; 상기 식별표식(52)의 상,하측에는 토류판(51)을 적층시 식별표식(5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표식방지수단(53)과; 상기 토류판(51)의 후방에 적층되는 토류판(51)을 단속하여 안정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토류판(51)의 배면 양측에 세로방향으로 긴 길이로 고정되는 고정구(58)와; 상기 고정구(58)에 밀착되어 체결볼트(59)로 단속되는 단속판(60)을 포함하는 고정수단(57)으로 구성하고; 상기 고정구(58)에는 종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하는 체결공(61)과; 상기 체결공(61)의 내부에 고정되는 체결너트(62)를 포함하고; 상기 단속판(60)의 양측에는 장방형으로 형성하는 체결슬포트(63)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토목 건축 공사용 토류판어셈블리{Holding plate assembly for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본 고안은 토목 건축 공사용 토류판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목 및 건축 공사시 토사나 암반의 무너짐이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토류판어셈블리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토목공사시 도로나 옹벽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지면을 깍아내는 절토공사나 건축물 공사시 지하층 형성이나 기초시공을 위하여 행하는 터파기 공사시에는 토사나 암반이 무너지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토류판어셈블리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토류판의 일반적인 형태를 도 6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기술이 적용된 토류판어셈블리(1)는, 절개지나 터파기 지역의 경계에 단면이 H형상을 한 다수개의 에이치(H)빔(2)을 등간격을 유지시킨 채 지면에 고정한다.
상기 각각의 에이치빔(2)사이에는 일정한 두께와 폭과 길이를 가지는 목재질로 된 다수개의 토류판(3,4)을 다단으로 적층하여 토사의 무너짐이나 흘러내림을 방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토류판어셈블리는 토류판이 목재로 구성됨으로서 지반이 순수한 토사로 구성된 경우에는 충분하게 대처할 수 있으나, 흘러내리는 토사의 양이 많거나 암반지대의 경우에는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된다.
이는, 토사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전체 토사의 압력을 견디지 못함으로서 토류판어셈블리 전체의 붕괴를 야기할 수 있고, 암반지대의 경우 암반이 흘러내리게 될 경우 가속도와 중량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엄청난 충격력을 견디지 못함으로서 토류판이 파손되는 것이다.
또한 토류판 하나의 높이가 개략 20센티미터 정도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약 5미터에 이르는 전체 높이에 맞게 시공하고자 할 경우 많은 시간이 투입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시공성이 좋지 못한 등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지하철이나 기타 구조물 공사에 사용되는 복공판을 재활용하여 충분한 강성을 가지도록 하면서 시공성이 우수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불필요한 제작비용을 절감하여 전체적인 시공비용을 절감하면서 토류판어셈블리의 안전성을 학보하고 사용자들의 편익성을 높이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토목 건축 공사용 토류판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토목 건축 공사용 토류판어셈블리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토목 건축 공사용 토류판어셈블리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인 토목 건축 공사용 토류판어셈블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인 토목 건축 공사용 토류판어셈블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발췌 사시도.
도 6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토목 건축 공사용 토류판어셈블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50; 토류판어셈블리
51; 토류판
52; 식별표식
56; H빔
57; 고정수단
58; 고정구
60; 단속판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토목 건축 공사용 토류판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토목 건축 공사용 토류판어셈블리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토목 건축 공사용 토류판어셈블리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인 토목 건축 공사용 토류판어셈블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인 토목 건축 공사용 토류판어셈블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발췌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토류판어셈블리(50)는, 지하철 공사시 굴착한 도로의 상면을 덮어 사람의 보행은 물론 차량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가설하는 복공판을 재활용하여 토류판(51)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류판(51)의 전면에는 공사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토류판(51)의 길이방향으로 야광테이프나 반사판과 같은 식별표식(52)을 다단으로 부착하고, 상기 식별표식(52)의 상,하측에는 토류판(51)을 적층시 식별표식(5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표식방지수단(53)을 더 구비한다.
상기 표식방지수단(53)은 식별표식(52)보다 높게 돌출되게 환봉이나 판상부재와 같은 것을 용접이나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시켜 토류판(51)을 적층하더라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상기 토류판(51)의 상면에는 적층과 이탈 시 견인을 위한 견인고리(54)를 등간격을 유지시켜 구비하고, 상기 견인고리(54)가 위치하는 토류판(51)의 저면에는 적층시 견인고리(54)가 수납되어 유동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납홈(55)을 형성한다.
상기 토류판(51)의 후방에는 공사지면에 고정되는 H빔(56)에 안정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수단(57)을 더 구비한다.
상기 고정수단(57)은 토류판(51)의 배면 양측에 세로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개략 ㄷ형상으로 고정되는 고정구(58)와, 상기 고정구(58)에 밀착되어 체결볼트(59)로 단속되는 단속판(60)으로 구성한다.
상기 고정구(58)에는 종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하는 체결공(61)과 상기 체결공(61)의 내부에 고정되는 체결너트(62)로 구성하고, 상기 단속판(60)의 양측에는 장방형의 체결슬포트(63)를 형성하여 지면의 경사에 따르는 기울어짐과 지면에 고정되는 H빔(56)의 크기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공사현장에 토사나 암반이 흘러내리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토류판어셈블리(50)를 구축하고자 할 경우에는 공사지면에 토류판(51)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H빔(56)을 등간격을 유지시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지면에 고정된 H빔(56) 상간에는 토류판(51)을 다단으로 적층하고, 토류판(51)의 배변에 구비되는 고정수단(57)을 이용하여 토류판(51)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토류판(51)을 H빔(56)상간에 개재시킬 때에는 토류판(51)의 상면에 구비되는 견인고리(54)를 이용하여 견인하면 되며, 적층되는 하측의 토류판(51)에 구비되는 견인고리(54)는 상측의 토류판(51) 저면에 형성되는 수납홈(55)에 삽입됨으로서 적층에 지장이 없는 것은 물론, 적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동성을 일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이 토류판(51)의 적층이 완료되면, H빔(56)의 양측에 인접한 토류판(51)을 고정수단(57)으로 견고하게 단속 및 체결하면 된다.
이러한 과정을 살펴보면, 토류판(51)의 배면 양측에 고정되는 고정구(58)에 장방형의 체결슬로트(63)를 가지는 단속판(60)을 밀착시킨 후, 체결슬로트(63)와 체결너트(62)를 체결볼트(59)로 단속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단속할 경우에는 지면의 굴곡이나 경사가 있더라도 단속판(60)을 기울일 수 있고, 고정구(58)에 형성되는 체결공(61)의 위치를 달리하면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지면의 경사나 굴곡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된다.
또한, 토류판(51)의 전면에 식별표식(52)을 더 구비함으로서 야간에 주행하는 차량들이 공사지역임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식별표식(52)의 주변에는 표식방지수단(53)을 구비하여 토류판(51)을 적층시켜 보관하는 과정에서 식별표식(5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지하철, 교량, 도로공사 등에 사용된 복공판을 재활용하여 토류판을 구성함으로서 토류판 제작에 불필요한 자원이나 비용이 소요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토류판의 전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된다.
또한 복공판의 사용 경험에 의한 내구성 등이 입증된 상태이기 때문에 토류판으로 사용시 견고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은 물론, 사용 후 폐기처분될 수 있는 복공판을 재활용함으로서 재활용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지하철이나 구조물 공사에 사용되는 복공판을 재활용하여 충분한 강성을 가지도록 하면서 시공성이 우수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불필요한 제작비용을 절감하여 전체적인 시공비용을 절감하여 토류판어셈블리의 안전성을 학보하면서 사용자들의 편익성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이다.

Claims (2)

  1. 각종 공사시 토사나 암반이 무너지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토류판어셈블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토류판어셈블리(50)는 복공판을 재활용하여 구비하는 토류판(51)과;
    상기 토류판(51)의 전면에 공사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토류판(51)의 길이방향으로 부착하는 식별표식(52)과;
    상기 식별표식(52)의 상,하측에는 토류판(51)을 적층시 식별표식(5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표식방지수단(53)과;
    상기 토류판(51)의 후방에 적층되는 토류판(51)을 단속하여 안정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토류판(51)의 배면 양측에 세로방향으로 긴 길이로 고정되는 고정구(58)와;
    상기 고정구(58)에 밀착되어 체결볼트(59)로 단속되는 단속판(60)을 포함하는 고정수단(57)으로 구성하고;
    상기 고정구(58)에는 종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하는 체결공(61)과;
    상기 체결공(61)의 내부에 고정되는 체결너트(62)를 포함하고;
    상기 단속판(60)의 양측에는 장방형으로 형성하는 체결슬포트(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건축 공사용 토류판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류판(51)의 상면에는 적층과 이탈 시 견인이 가능하도록 견인고리(54)를 구비하고;
    상기 견인고리(54)가 위치하는 토류판(51)의 저면에는 적층시 견인고리(54)가 수납되어 유동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납홈(55)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건축 공사용 토류판어셈블리.
KR20-2004-0025549U 2004-09-06 2004-09-06 토목 건축 공사용 토류판어셈블리 KR2003719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549U KR200371996Y1 (ko) 2004-09-06 2004-09-06 토목 건축 공사용 토류판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549U KR200371996Y1 (ko) 2004-09-06 2004-09-06 토목 건축 공사용 토류판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996Y1 true KR200371996Y1 (ko) 2005-01-10

Family

ID=49443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549U KR200371996Y1 (ko) 2004-09-06 2004-09-06 토목 건축 공사용 토류판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9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2333B1 (ko) 프리스트레스트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1열 자립식 흙막이공법
KR100948501B1 (ko) 옹벽용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801017B1 (ko) 조립식 수로용 옹벽
KR101257215B1 (ko) 루프 구조체 및 이 시공 방법
KR200371996Y1 (ko) 토목 건축 공사용 토류판어셈블리
JP6144726B2 (ja) 高速道路の山岳トンネルの盤ぶくれした走行路線の修復工法および修復工法用の吊り桟橋
KR200263964Y1 (ko) 조립식 pc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옹벽
KR20050076286A (ko) 운행중인 지하철 구조물의 벽체 철거 및 확장 공법
KR101378097B1 (ko) 복공판
KR200369479Y1 (ko) 흙막이용 패널
KR200387013Y1 (ko) 낙석방지책
JPS622116B2 (ko)
JP4939101B2 (ja) アプローチ構築方法
JP4599303B2 (ja) アンダーパス工法
KR20100010201A (ko) 건축공사용 흙막이 시설
JP4834649B2 (ja) 盛土構造物を構築する盛土構造及び盛土構造構成用の擁壁ブロック並びに盛土構造物の構築工法
JP6276300B2 (ja) オープンシールド工法
CN220414786U (zh) 狭窄空间基坑内侧施工平台结构
JP4593913B2 (ja) 分岐トンネルの構築方法
JP4349570B2 (ja) 分割函体及び地下立体交差の構築方法
JP5167578B2 (ja) 地下構造物の構築工法
KR200339441Y1 (ko) 토목 건축 공사용 토류판
JP3450294B2 (ja) 覆工板の支持構造及び覆工方法
JP4423390B2 (ja) 斜面保護擁壁の施工法
KR100903216B1 (ko) 패널을 이용한 옹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