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976Y1 - 분리형 포켓을 갖는 자동차 도어트림 - Google Patents

분리형 포켓을 갖는 자동차 도어트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976Y1
KR200370976Y1 KR20-2004-0026523U KR20040026523U KR200370976Y1 KR 200370976 Y1 KR200370976 Y1 KR 200370976Y1 KR 20040026523 U KR20040026523 U KR 20040026523U KR 200370976 Y1 KR200370976 Y1 KR 2003709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lower panel
door trim
door
moun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5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욱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65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9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9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9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3Inner panel, e.g. characterised by carrying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형 포켓을 갖는 자동차 도어트림에 관한 것이다. 이는 그 테두리부가 상호 연접되어 도어의 내벽을 이루는 상하부판넬을 갖는 자동차 도어트림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판넬의 맞닿아 있는 테두리부의 일부는 서로에 대해 어긋나게 벌어지되 하부판넬의 테두리가 상부판넬의 테두리보다 상대적으로 실내공간측으로 돌출되어 하부판넬 뒤쪽으로 장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장착공간에는 필요시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포켓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분리형 포켓을 갖는 자동차 도어트림은, 도어포켓을 도어트림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포켓의 청소가 용이함은 물론 포켓에 수납되어 있는 물건을 쉽게 꺼낼 수 있다. 또한 포켓이 하부로 새지 않아 예컨대 비 묻은 우산을 꼽을 경우 실내 바닥이 빗물로 오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형 포켓을 갖는 자동차 도어트림{Door trim of vehicle having separable pocket}
본 고안은 분리형 포켓을 갖는 자동차 도어트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도어는, 철판으로 프레싱 제작되며 그 내부에 창문을 열고 닫는 개폐장치 등이 내장되어 있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실내공간을 향하는 내측면에 장착되어 실내공간의 내벽면을 이루는 도어트림(door trim)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트림은 도어의 실내공간을 향하는 마감면으로서 미감을 고려하여 여러 가지 디자인이 적용됨은 물론 탑승자의 편리성을 위한 각종 장치가 장착된다. 상기한 편리장치의 하나로서 도어포켓이 있다. 상기 도어포켓은 예컨대 잡지나 지도책을 간단히 수납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그 디자인은 도어트림의 종류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도 1에 포켓이 구비된 종래의 자동차 도어트림을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도어트림(11)은, 상부판넬(13)과, 상기 상부판넬(13)의 하부에 그 테두리부가 연접 설치되는 하부판넬(15)과, 상기 하부판넬(15)에 구비되는 도어포켓(17)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판넬(13)과 하부판넬(15)은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되며 소정두께를 가지고 그 테두리부가 상호 맞닿아 하나의 도어트림(11)을 이룬다.
여하튼 상기 포켓(17)을 마련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판넬(13)에는 오목부(13a)가 형성되고 하부판넬(15)에는 볼록부(15a)가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13a) 및 볼록부(15a)는 상하부판넬(13,15)을 성형할 때 형성한 것으로서 오목부(13a) 하단의 테두리와 볼록부(15a) 상단의 테두리가 상호 어긋나 볼록부(15a) 뒤쪽으로 공간을 갖는다.
상기 볼록부(15a)의 뒤쪽에는 후술할 포켓부재(21)가 장착되어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하나의 도어포켓(17)을 이룬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자동차 도어트림에서의 포켓의 고정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를 절제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어트림을 뒤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판넬(15)의 볼록부(15a) 뒤쪽에 포켓부재(21)가 고정됨을 알 수 있다. 상기 포켓부재(21)는 부분원통의 형태를 취하는 측벽부(21d)와, 상기 측벽부(21d)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부(21e)와, 상기 측벽부(21d) 및 바닥부(21e)의 테두리부에 일체로 위치하며 각각 관통구멍(21c)을 갖는 고정탭(21b)을 가지며 다수의 고정나사(23)를 통해 하부판넬(15)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볼록부(15a) 주변 및 내부에는 다수의 체결보스(25)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보스(25)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돌기로서 상기 관통구멍(21c)에 일대일 대응한다.
따라서 상기 볼록부(15a)의 뒤쪽에서 각 고정탭(21)의 관통구멍(21c)을 체결보스(25)에 대응시킨 후 각 관통구멍(21c)을 통해 고정나사(23)를 체결보스(25)에결합시킴으로써 하부판넬(15) 뒤쪽에 포켓부재(21)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포켓부재(21)를 상기와 같이 장착시킴으로써 내부공간을 갖는 도어포켓(17)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도어포켓(17)의 벽면은 상기 볼록부(15a)의 뒷면과 이에 결합한 포켓부재(21)의 측벽부(21d)이고, 바닥은 포켓부재(21)가 갖는 바닥부(21e)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도어트림(11)은, 도어포켓이 고정식이므로 도어포켓(17)을 도어트림(11)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다. 따라서 도어포켓(17)을 청소하기가 불편함은 물론 도어포켓(17)에 수납된 물건을 꺼내기 불편할 때가 있다. 예컨대 동전이 상기 바닥부(21e)에 눕혀 있을 경우 손을 넣어 손가락 끝으로 동전을 꺼내기가 번거롭다.
또한 상기 바닥부(21e)의 테두리와 볼록부(15a)의 뒷면이 미세하게 벌어져 있으므로 예컨대 물이나 음료수를 흘렸을 경우 상기 바디내부로 흘러든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도어포켓을 도어트림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포켓의 청소가 용이함은 물론 포켓에 수납되어 있는 물건을 쉽게 꺼낼 수 있고, 또한 포켓이 하부로 새지 않아 예컨대 비 묻은 우산을 꼽을 경우 실내 바닥이 빗물로 오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자동차 도어트림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고정식 포켓이 구비된 종래의 자동차 도어트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자동차 도어트림에서의 포켓의 고정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포켓을 갖는 자동차 도어트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자동차 도어트림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의 포켓장착공간내에 포켓을 안착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51:도어트림 13,53:상부판넬
13a,53a:오목부 15,55:하부판넬
15a,55a:볼록부 17,57:도어포켓
21:포켓부재 21b:고정탭
21c:관통구멍 21d:측벽부
21e:바닥부 23:고정나사
25:체결보스 57a:걸림부
59:포켓장착공간 61:포켓지지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그 테두리부가 상호 연접되어 도어의 내벽을 이루는 상하부판넬을 갖는 자동차 도어트림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판넬의 맞닿아 있는 테두리부의 일부는 서로에 대해 어긋나게 벌어지되 하부판넬의 테두리가 상부판넬의 테두리보다 상대적으로 실내공간측으로 돌출되어 하부판넬 뒤쪽으로 장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장착공간에는 필요시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포켓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켓은 소정용적의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로서 그 입구부에는 상기 하부판넬의 테두리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장착공간은, 상기 상부판넬의 테두리부 일부가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하부판넬의 대응 테두리부로부터 벌어져 이루어진 하부판넬 뒤쪽의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공간은, 상기 하부판넬의 테두리부 일부가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써 상부판넬의 대응 테두리부로부터 벌어져 이루어진 하부판넬 뒤쪽의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공간은, 상기 상부판넬의 테두리부 일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부판넬의 대응 테두리부가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서 이루어진 하부판넬 뒤쪽의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포켓을 갖는 자동차 도어트림을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포켓을 갖는 자동차 도어트림(51)은, 상부판넬(53)과, 상기 상부판넬(53)의 하부에서 상부판넬(53)의 테두리에 연접하는 하부판넬(55)과, 상기 하부판넬(55)의 뒤쪽에 위치하며 필요시 그 자체를 하부판넬(55)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컵 형태의 도어포켓(5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포켓(57)은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되며 입구부 테두리에 걸림부(57a)를 갖는다. 상기 걸림부(57a)는 하부판넬(55)에 마련되어 있는 포켓지지부(도 4의 61)에 걸리는 부위로서 도어포켓(57)이 포켓장착공간(도 4의 59) 내부로 빠지지 않게 한다. 상기 도어포켓(57)의 바닥부는 완전히 막혀있다.
상기 상부판넬(53)과 하부판넬(55)의 테두리부는 상호 맞닿아 하나의 도어트림(51)을 이루되, 상기 포켓장착공간(59)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상부판넬(53)에는 오목부(53a)가, 하부판넬(55)에는 볼록부(55a)가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53a) 및 볼록부(55a)는 상하부판넬(53,55)을 제작할 때 형성한 것으로서 각각의 하단 및 상단 테두리는 연접하지 않고 어긋나 도 4와같이 도어포켓(57)을 끼울 수 있게 벌어져 있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자동차 도어트림에서의 도어포켓을 포켓장착공간으로부터 분리한 상태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판넬(53)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53a)의 하단 테두리부와 하부판넬(55)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55a)의 상단 테두리부가 상기 도어포켓(57)의 입구 형상에 형합 하도록 벌어져, 상기 하부판넬(55)의 뒤쪽으로 도어포켓(57)을 끼워 넣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록부(55a)의 상단 테두리부에는 도어포켓(57)의 걸림부(57a)가 끼워지는 포켓지지부가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컵의 형태를 갖는 도어포켓(57)을 예로 들었지만 도어포켓의 형상은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도어포켓의 형상이 변경됨에 따라 포켓장착공간의 형상도 변경됨은 물론이다.
도 5는 상기 도 4의 포켓장착공간내에 도어포켓을 장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포켓장착공간(59)의 내부로 도어포켓(57)이 삽입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도어포켓(57)이 포켓장착공간(59)의 내부로 계속 하강하여 마침내 상기 걸림부(57a)가 포켓지지부(61)에 도달하면 도어포켓(57)의 안착이 완료된다.
이후, 예컨대 도어포켓(57)을 청소한다거나 또는 도어포켓(57)내에 수납되어 있는 동전을 꺼낸다거나 또는 고여있는 물을 빼내고자 할 경우 도어포켓(57)을 들어올려 포켓장착공간(59)으로부터 분리한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분리형 포켓을 갖는 자동차 도어트림은,필요에 따라 도어포켓을 도어트림으로부터 간단히 분리할 수 있어, 포켓의 청소가 용이함은 물론 포켓에 수납되어 있는 물건을 쉽게 꺼낼 수 있다. 또한 도어포켓의 하부가 밀폐되어 있으므로 예컨대 비 묻은 우산을 꼽을 경우 실내 바닥이 빗물로 오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Claims (5)

  1. 그 테두리부가 상호 연접되어 도어의 내벽을 이루는 상하부판넬을 갖는 자동차 도어트림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판넬의 맞닿아 있는 테두리부의 일부는 서로에 대해 어긋나게 벌어지되 하부판넬의 테두리가 상부판넬의 테두리보다 상대적으로 실내공간측으로 돌출되어 하부판넬 뒤쪽으로 장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장착공간에는 필요시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포켓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포켓을 갖는 자동차 도어트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소정용적의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로서 그 입구부에는 상기 하부판넬의 테두리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포켓을 갖는 자동차 도어트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간은, 상기 상부판넬의 테두리부 일부가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하부판넬의 대응 테두리부로부터 벌어져 이루어진 하부판넬 뒤쪽의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포켓을 갖는 자동차 도어트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간은, 상기 하부판넬의 테두리부 일부가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써 상부판넬의 대응 테두리부로부터 벌어져 이루어진 하부판넬 뒤쪽의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포켓을 갖는 자동차 도어트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간은, 상기 상부판넬의 테두리부 일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부판넬의 대응 테두리부가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서 이루어진 하부판넬 뒤쪽의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포켓을 갖는 자동차 도어트림.
KR20-2004-0026523U 2004-09-15 2004-09-15 분리형 포켓을 갖는 자동차 도어트림 KR2003709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523U KR200370976Y1 (ko) 2004-09-15 2004-09-15 분리형 포켓을 갖는 자동차 도어트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523U KR200370976Y1 (ko) 2004-09-15 2004-09-15 분리형 포켓을 갖는 자동차 도어트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976Y1 true KR200370976Y1 (ko) 2004-12-23

Family

ID=49443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523U KR200370976Y1 (ko) 2004-09-15 2004-09-15 분리형 포켓을 갖는 자동차 도어트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9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00880B2 (ja) 車両のルーフラック固定装置
CN101676150B (zh) 用于汽车的储藏格和带有该储藏格的汽车
US20180127031A1 (en)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of vehicle
US6508499B1 (en) Rear cargo lining storage area
US7631920B2 (en) Sidewall storage assembly with sliding cover
KR200370976Y1 (ko) 분리형 포켓을 갖는 자동차 도어트림
JP4205085B2 (ja) リッド装置
CN208149187U (zh) 一种多功能汽车顶眼镜盒
JP4115225B2 (ja) 自動車用内装部品に備えたポケット構造
KR100526896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컵홀더
US7338105B2 (en) Article box for a beach buggy
KR20060129752A (ko) 냉장고용 도어바스켓
KR20060005807A (ko) 수납물 이탈방지용 글로브박스
CN215889682U (zh) 车门把手
JP3621855B2 (ja) グローブボックス構造
KR100338565B1 (ko) 승용차의 도어 손잡이 장치
KR100387657B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JP2005014764A (ja) 水抜きバルブ
JPS6018516Y2 (ja) ドアロツキングボタンの取付構造
JP2002165715A (ja) 水受け部付きカウンター
KR101754768B1 (ko) 차량용 카드홀더
JP3973981B2 (ja) 自動車用フリーラックにおけるドア取付け構造
JPS5921967Y2 (ja) 自動車用ポケツト
JP2554085Y2 (ja) 洗濯機の蓋
KR200191418Y1 (ko) 자동차 도어 트림 내부의 우산꽂이 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