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378Y1 -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구조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378Y1
KR200370378Y1 KR20-2004-0026248U KR20040026248U KR200370378Y1 KR 200370378 Y1 KR200370378 Y1 KR 200370378Y1 KR 20040026248 U KR20040026248 U KR 20040026248U KR 200370378 Y1 KR200370378 Y1 KR 2003703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sheet
waterproof
waterproofing agent
concrete structur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2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신풍티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풍티앤티 filed Critical (주)신풍티앤티
Priority to KR20-2004-00262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3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3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3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방수시트에 도막 방수제를 도포함으로써 방수시트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방수시트가 접착된 부분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막 방수제에 의해 내충격성이 강화될 수 있고, 특히 EPDM재질로 된 방수시트와 탄성 우레탄 도막 방수제를 사용함으로써 탄성 우레탄 도막 방수제는 EPDM재질로 된 방수시트와의 접착성이 양호하여 들뜨지 않고 잘 도포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구조{Waterproofing structure of concrete structure}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방수시트에 도막 방수제를 도포함으로써 방수시트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방수시트가 접착된 부분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막 방수제에 의해 내충격성이 강화될 수 있고, 특히 EPDM재질로 된 방수시트와 탄성 우레탄 도막 방수제를 사용함으로써 탄성 우레탄 도막 방수제는 EPDM재질로 된 방수시트와의 접착성이 양호하여 들뜨지 않고 잘 도포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옥상 바닥에 빗물 또는 지하수가 침투하게 되는 경우 콘크리트 재료의 결합력을 저하시키고 온도 변화에 의한 물의 체적 변화에 따른 공극 균열이 발생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명 저하가 초래되므로 방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를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종래 방수공법으로서 옥상 바닥 위에 우레탄 도막을 도포하는 방수공법이 있다. 그러나 옥상바닥은 배수를 위해 경사지게 물흐름 경사(구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우레탄 도막을 도포할 때 우레탄 도막이 채 마르기도 전에 흘러내려 균일한 도막 형성이 어렵다.
한편, 합성수지재로 된 시트의 하부에 합금재로 이루어진 금속판이 부착되어 옥상 바닥면에 부착 설치할 수 있는 방수공법이 한국 등록실용신안 출원번호 제 20-2000-0020618호의 공보에 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따르면, 합성고분자(EPDM)물질인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시트의 하부에 합금재로 이루어진 금속판이 부착 고정되고, 시트와 금속판의 접합부에 절연 테이프가 설치되며, 금속판의 하부면에 본드를 도포하거나 또는 방수용 못과 와셔를 통해 건물의 옥상 바닥면에 부착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공법은 시트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장시간 사용시 갈라지며 외부 충격 등에 의해 구멍이나 하자가 발생하며, 시트가 들뜨거나 박리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방수시트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방수시트가 접착된 부분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탄성 우레탄 도막 방수제에 의해 내충격성이 강화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구조가 옥상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콘크리트 구조물 110 : 옥상
111 : 옥상 바닥면 113 : 옥상 난간벽
200 : 제 1 접착제 300 : 방수시트
400 : 제 2 접착제 500 : 도막 방수제
600 : 콘크리트못 610 : 커버 플레이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구조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옥상 바닥을 위한 방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도포되는 제 1 접착제; 상기 제 1 접착제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서로 겹쳐지게 부착되는 합성수지재로 된 방수시트; 상기 방수시트의 겹쳐진 부분에 삽입되어 상기 방수시트의 겹쳐진 부분을 서로 접착시켜주는 제 2 접착제; 상기 방수시트 상면에 도포되는 도막 방수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방수시트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방수시트가 접착된 부분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막 방수제에 의해 내충격성이 강화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 1 접착제는 본드이며, 상기 제 2 접착제는 접착 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수시트의 재질은 합성고분자(EPDM)재질이며, 상기 도막 방수제는 탄성 우레탄 도막 방수제이면, 탄성 우레탄 도막 방수제는 합성고분자재질로 된 방수시트와의 접착성이 양호하여 들뜨지 않고 잘 도포된다.
나아가, 상기 방수시트는 옥상 바닥면으로부터 옥상 난간벽의 상부면 외측 모서리까지 부착되며, 상기 도막 방수제는 옥상 바닥면으로부터 옥상 난간벽의 내측벽 중간부까지 도포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옥상 난간벽의 상부면에 위치한 방수시트 및 상기 옥상 난간벽의 외측벽을 덮는 앵글형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방수시트를 관통하며 옥상 난간벽의 상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콘크리트못이 부가되면, 방수시트의 끝단부분을 커버 플레이트와 콘크리트못을 이용하여 옥상 난간벽에 고정시킴으로써 단단하고 견고하게 고정되고 빗물 등의 수분이 스며들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례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고안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례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구조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옥상 바닥을 위한 방수구조에 있어서: 제 1 접착제(200)와 방수시트(300)와 제 2 접착제(400)와 도막 방수제(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제 1 접착제(200)가 도포되며, 제 1 접착제(200)는 유기배합제로 된 본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된 제 1 접착제(200)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합성수지재로 된방수시트(300)가 부착된다.
방수시트(300)는 일정 규격을 갖는 단위품으로 제작되어 서로 겹쳐지게 부착된다.
본 실시례에 사용되는 방수시트(300)의 두께는 약 1.5 ~ 2 mm이며, 이 두께는 실시례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방수시트(300)는 합성고분자(EPDM)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고분자(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이하 EPDM)란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류의 공중합체로 구성된 폴리머로써 내후성, 내열노화성, 내오존성이 아주 뛰어난 탄성체이다. 특히 EPDM은 외부적 환경요인에도 물성변화가 없어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방수제로써 많이 활용되고 있다.
복수의 방수시트(300)가 서로 겹쳐진 부분에는 제 2 접착제(400)가 삽입되어 방수시트(300)의 겹쳐진 부분을 서로 접착시켜주며 동시에 충진제의 역할도 한다.
이러한 제 2 접착제(400)는 접착 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겹쳐지게 부착된 방수시트(300)의 상면에는 도막 방수제(500)가 도포된다.
도막 방수제의 종류로는 에폭시계 도막 방수제, 우레탄계 도막 방수제, 아크릴에멀젼계 도막 방수제가 있으며, 본 실시례에서 도막 방수제(500)는 우레탄계 도막 방수제의 일종인 탄성 우레탄 도막 방수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우레탄 도막 방수제는 1액형 반응경화형 수용성우레탄 탄성방수도료이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례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구조가 옥상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콘크리트 구조물인 옥상(110)의 옥상 바닥면(111)에 본드(200)를 도포한 후 EPDM재질로 된 방수시트(300)를 서로 겹쳐지게 부착한다.
이때 방수시트(300)는 옥상 바닥면(111)으로부터 옥상 난간벽(113)의 상부면 외측 모서리까지 부착한다.
방수시트(300)가 서로 겹쳐지는 부분은 접착 테이프(400)로 접착한다.
여기서 복수의 방수시트(300)를 접착 테이프(400)로 서로 겹쳐지게 접착한 후 옥상 바닥면(111)에 일괄적으로 부착하여도 되고, 옥상 바닥면(111)에 복수의 방수시트(300)를 서로 겹쳐지게 부착한 후 서로 겹쳐진 부분을 접착 테이프(400)로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방수시트(300)를 서로 겹쳐지게 부착한 다음 방수시트(300)의 상면에 탄성 우레탄 도막 방수제(500)를 도포한다.
탄성 우레탄 도막 방수제(500)는 0.7 ~ 0.8 mm의 두께로 하여 약 2회 정도 도포하며, 옥상 바닥면(111)으로부터 옥상 난간벽(113)의 내측벽 중간부까지 발라준다.
이렇게 방수시트(300)에 도막 방수제(500)를 도포함으로써 방수시트(30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방수시트(300)가 접착된 부분의 들뜸이 없어지고 도막 방수제(500)에 의해 내충격성이 강화된다.
특히 EPDM재질로 된 방수시트(300)와 탄성 우레탄 도막 방수제(500)를 사용하면 탄성 우레탄 도막 방수제(500)는 EPDM재질로 된 방수시트(300)와의 접착성이 양호하여 들뜨지 않고 잘 도포된다.
탄성 우레탄 도막 방수제(500)를 도포한 후 옥상 난간벽(113)의 상부면에 위치한 방수시트(300) 및 옥상 난간벽(113)의 외측벽에 앵글형 커버 플레이트(610)를 배치한다.
커버 플레이트(610)를 배치한 후 커버 플레이트(610) 및 방수시트(300)를 관통하며 옥상 난간벽(113)의 상부면에 고정되도록 콘크리트못(600)을 결합시킨다.
이런 식으로 옥상 난간벽(113)의 상부면을 따라 복수의 콘크리트못(600)을 결합시켜 방수시트(300)의 끝단을 옥상 난간벽(113) 상부면에 고정시킨다.
이렇게 방수시트(300)의 끝단부분을 커버 플레이트(610)와 콘크리트못을 이용하여 옥상(110) 난간벽(113)에 고정시킴으로써 단단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커버 플레이트(610)가 방수시트(300)가 접착된 끝단을 덮어 빗물 등의 수분이 침투하기 어려운 구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구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방수시트에 도막 방수제를 도포함으로써 방수시트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방수시트가 접착된 부분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막 방수제에 의해 내충격성이 강화될 수 있다.
특히 EPDM재질로 된 방수시트와 탄성 우레탄 도막 방수제를 사용함으로써 탄성 우레탄 도막 방수제는 EPDM재질로 된 방수시트와의 접착성이 양호하여 들뜨지 않고 잘 도포된다.
또한 방수시트의 끝단부분을 커버 플레이트와 콘크리트못을 이용하여 옥상 난간벽에 고정시킴으로써 단단하고 견고하게 고정되고 빗물 등의 수분이 스며들지 않는다.

Claims (5)

  1. 콘크리트 구조물의 옥상 바닥을 위한 방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도포되는 제 1 접착제;
    상기 제 1 접착제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서로 겹쳐지게 부착되는 합성수지재로 된 방수시트;
    상기 방수시트의 겹쳐진 부분에 삽입되어 상기 방수시트의 겹쳐진 부분을 서로 접착시켜주는 제 2 접착제;
    상기 방수시트 상면에 도포되는 도막 방수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제는 본드이며,
    상기 제 2 접착제는 접착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의 재질은 합성고분자(EPDM)재질이며, 상기 도막 방수제는 탄성 우레탄 도막 방수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는 옥상 바닥면으로부터 옥상 난간벽의 상부면 외측 모서리까지 부착되며,
    상기 도막 방수제는 옥상 바닥면으로부터 옥상 난간벽의 내측벽 중간부까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옥상 난간벽의 상부면에 위치한 방수시트 및 상기 옥상 난간벽의 외측벽을 덮는 앵글형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방수시트를 관통하며 옥상 난간벽의 상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콘크리트못이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구조.
KR20-2004-0026248U 2004-09-13 2004-09-13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구조 KR2003703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248U KR200370378Y1 (ko) 2004-09-13 2004-09-13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248U KR200370378Y1 (ko) 2004-09-13 2004-09-13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378Y1 true KR200370378Y1 (ko) 2004-12-16

Family

ID=49352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248U KR200370378Y1 (ko) 2004-09-13 2004-09-13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37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648B1 (ko) * 2016-06-20 2017-03-13 수형산업개발 유한회사 인열강도가 보강된 복합방수공법
KR101894008B1 (ko) 2018-03-15 2018-08-31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콘크리트 부재 간 수밀구조 및 상기 수밀구조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648B1 (ko) * 2016-06-20 2017-03-13 수형산업개발 유한회사 인열강도가 보강된 복합방수공법
KR101894008B1 (ko) 2018-03-15 2018-08-31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콘크리트 부재 간 수밀구조 및 상기 수밀구조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1685B2 (en) Waterproof roofing barrier
US7204063B2 (en) Roofing shingle with headlap seal and improved coverage
US20070175170A1 (en) Self-stick metal plate and method of applying the same
US9719247B2 (en) Reinforced water-resistant board with traffic coat
US7971403B2 (en) Plate-shaped cover material
JP2011523688A (ja) 屋根瓦の取り付け方法
KR200370378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구조
JP2003105936A (ja) 屋根用防水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防水施工方法
JP2005171531A (ja) 防水シートの立ち上がり壁面の納め構造
KR200189604Y1 (ko) 바닥구조
JPH036732Y2 (ko)
JP3825957B2 (ja) 屋根下地用合板
KR200181977Y1 (ko) 루핑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CA2448498C (en) Roofing shingle with headlap seal and improved coverage
KR100556019B1 (ko) 방수시트 고정용 레일식 고정구
KR200200831Y1 (ko) 빗물유입방지기능을 갖는 지붕재
JPH1018523A (ja) 乾式下地防水工法
JP2012057422A (ja) 屋根の漏水防止材及び漏水防止工法
KR200205952Y1 (ko) 합성 고분자용 방수 판넬
JP2913538B2 (ja) 瓦棒型金属板葺屋根の防水補修工法
JPS6324182Y2 (ko)
KR20060115126A (ko) 돌출부가 결합된 시공용 못 및 돌출부가 결합된 시공용못을 이용한 건축물 외장재의 시공방법
JPH1096304A (ja) 屋根下地構造
JP2008106599A (ja) 水切り部材及び防水シート端部の固定構造
JPH09256553A (ja) 屋根の冠部材取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