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254Y1 - 거푸집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거푸집 고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70254Y1 KR200370254Y1 KR20-2004-0027099U KR20040027099U KR200370254Y1 KR 200370254 Y1 KR200370254 Y1 KR 200370254Y1 KR 20040027099 U KR20040027099 U KR 20040027099U KR 200370254 Y1 KR200370254 Y1 KR 20037025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formwork
- wall
- rod
- fasten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 E04G17/0728—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04G17/073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fully recover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건물의 벽체 시공을 위한 거푸집의 고정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외벽측 거푸집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고 이에 소요되는 시간이나 공정 등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거푸집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거푸집 고정장치는, 건물의 벽체 시공을 위해 이격 배치되는 내,외벽 거푸집을 관통하는 자세로 위치하고 양측단에는 상기 거푸집들에 대응하여 고정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체결부가 각각 형성되는 단일의 고정로드와, 이 고정로드에서 상기 내벽 거푸집에 대응하는 체결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면서 상기 내벽 거푸집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로드에서 상기 외벽 거푸집에 대응하는 체결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면서 상기 외벽 거푸집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지지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구는, 외벽 거푸집 고정을 위한 체결부가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이 공간상에서 물리적인 접촉에 의한 걸림 작용으로 고정하는 홀더부와, 이 홀더부를 상기 외벽 거푸집측에서 상기 고정로드의 체결부와 끼움 결합이 가능한 자세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거푸집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벽체 시공을 위한 거푸집의 고정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외벽측 거푸집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고 이에 소요되는 시간이나 공정 등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거푸집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건물의 벽체를 시공할 때에는 2개의 거푸집 즉, 내벽 거푸집과 외벽 거푸집이 이격 배치되고, 이와 같이 이격된 상태로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거푸집 고정장치로 고정된다.
상기 거푸집 고장장치는, 이격된 2개의 거푸집을 로드와 고정핀 등을 이용하여 물리적인 체결력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고정장치로는 2003년 출원되어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20-0342749호가 있다.
상기한 종래 거푸집 고정장치의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벽체 시공시 내,외벽면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내벽 및 외벽 거푸집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거푸집 고정장치로서,
내벽 거푸집을 고정하는 내측 고정바와, 이 내측 고정바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벽 거푸집을 고정하는 외측 고정바와, 이 외측 고정바에 설치되고 상기내측 고정바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구와, 상기 외측 고정바를 상기 외벽 거푸집에서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장치는 2개의 고정바가 상기 내벽 및 외벽 거푸집을 각각 관통하는 자세로 체결되어 이들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2개의 거푸집이 벽체 시공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2개의 고정바들은 상기 연결구에 의해 연결 구간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외측 고정바는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상기 외벽 거푸집측에서 상기 내측 고정바와 체결 또는 체결된 상태의 해제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구는 콘(cone) 모양의 원통체로 형성되어 상기 외벽 거푸집측에 관통할 때에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외측 고정바측에서 직경이 작은 단부측이 삽입되도록 이루어지고, 이 연결구의 삽입측 단부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내측 고정바와 나사 결합으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면서 2개의 연결 구간을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2개의 고정바를 이용하여 내벽 거푸집과 외벽 거푸집을 체결하는 이유는 벽체 양생 후 상기 연결구에 의해 상기 내측 고정바에서 상기 외측 고정바가 분리되어 외벽면측에 일체의 돌출된 부분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한 추가 작업 등을 행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외벽면의 시공 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거푸집 고정장치는, 이격된 2개의 거푸집을 관통하는 자세로 2개의 연결 구간 즉, 2개의 고정바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면서 고정력을 확보하는 구조이므로 이와 같은 체결 구조는 가셋팅된 2개의 거푸집 즉, 내벽 거푸집과 외벽 거푸집측에서 이에 대응하는 고정바들을 각각 체결하여야 하므로 체결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구조상 과다한 작업 인원과 시간 등이 소요되어 만족할 만한 공정의 효율성 및 작업 능률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리고, 상기 2개의 고정바는 상기 연결구를 사이에 두고 이 연결구에 의해 나사 결합으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구조이므로 특히, 벽체의 양생후 상기 외벽 거푸집을 분리하려면 상기 외측 고정바를 회전시켜서 벽체 내부에 고정된 내측 고정바와 나사 결합된 상태를 다시 해제하여야 하므로 이로 인하여 외벽 거푸집의 설치 및 분리시에 작업성이 더욱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일의 연결 구간을 이용하여 벽체 거푸집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벽체의 양생 후 외벽 거푸집을 분리할 때에 더욱 향상된 작업 편의성을 얻을 수 있는 거푸집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건물의 벽체 시공을 위해 이격 배치되는 내,외벽 거푸집을 관통하는 자세로 위치하고 양측단에는 상기 거푸집들에 대응하여 고정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체결부가 각각 형성되는 단일의 고정로드와, 이 고정로드에서 상기 내벽 거푸집에 대응하는 체결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면서 상기 내벽 거푸집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로드에서 상기 외벽 거푸집에 대응하는 체결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면서 상기 외벽 거푸집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지지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구는, 외벽 거푸집 고정을 위한 체결부가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이 공간상에서 물리적인 접촉에 의한 걸림 작용으로 고정하는 홀더부와, 이 홀더부를 상기 외벽 거푸집측에서 상기 고정로드의 체결부와 끼움 결합이 가능한 자세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을 포함하는 거푸집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장치의 구조 및 바람직한 설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장치의 고정로드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장치의 지지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장치의 지지구와 고정로드의 체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상태로 지지구측에 고정된 고정로드의 체결부를 절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단면도.
도 11은 도 6의 지지구가 외벽 거푸집측에 고정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절단 작용에 의해 외벽 거푸집에 대응하는 고정로드의 체결부가 절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벽체 시공시 거푸집의 설치 및 분리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장치는, 건물의 벽체(W) 시공을 위해 이격 배치되는 내,외벽 거푸집(F1,F2)을 관통하는 자세로 위치하고 양측단에는 상기 거푸집(F1,F2)들에 대응하여 고정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체결부가 각각 형성되는 단일의 고정로드(2)와, 이 고정로드(2)에서 상기 내벽 거푸집(F1)에 대응하는 체결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면서 상기 내벽 거푸집(F1)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핀(4)과, 상기 고정로드(2)에서 상기 외벽 거푸집(F2)에 대응하는 체결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면서 상기 외벽 거푸집(F2)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지지구(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2개의 거푸집 즉, 내벽 거푸집(F1)과 외벽 거푸집(F2)이 도면에서와 같이 이미 잘 알려진 유로폼과 갱폼이 사용되는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유로폼과 갱폼은 건물의 벽체(W) 시공에 널리 사용되는 거푸집들로서, 상기 내벽 거푸집(F1) 즉, 유로폼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벽체(W)의 내벽면을한정할 수 있도록 도면에서와 같이 다수개가 평면의 형태로 연결되고 테두리에는 보강 리브들이 형성되어 이 리브들이 핀과 같은 연결부재의 결합되는 구조이고, 상기 외벽 거푸집(F2) 즉, 갱폼은 상기 내벽 거푸집(F1)에 대응하여 외벽면을 한정할 수 있도록 도면에서와 같이 단일의 플레이트 일측면에 금속파이프들과 같은 지지체(8)가 서로 교차하는 자세로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고정로드(2)는 상기 2개의 거푸집(F, F2)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단일의 연결 구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일정한 직경을 가지며 도 2에서와 같은 방향으로 상기 내벽 거푸집(F1)과 외벽 거푸집(F1)의 삽입홀(H1, H2)들을 관통하는 자세로 끼워지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로드(2)의 양측단에 형성되는 체결부측이 후술하는 고정핀(4)과 지지구(6)에 의해 도 3에서와 같은 상태로 체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로드(2)의 길이 즉, 연결 구간은 상기 이격된 2개의 거푸집(F1, F2)을 관통 한 후 도 3에서와 같이 양측단에 형성된 체결부측이 상기 고정핀(4)과 지지구(6)측에 원활하게 체결될 수 있는 범위내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로드(2)의 재질은 내구성 및 내마모성 등이 우수한 금속이거나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미 잘 알려진 성형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로드(2)에는 후술하는 고정핀(4)의 끼움 결합력에 의해 상기 내벽 거푸집(F1)의 고정이 가능한 체결부 즉,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내벽 거푸집(F1)측에 대응하는 단부측에 상기 고정핀(4)이 끼움 결합되기 위한 핀홀(10)이 형성되고 도 4에서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평면의 표면 영역을 가지는 내측 체결부(12)가 형성된다.
상기 내측 체결부(12)는 벽체(W) 시공 후 상기 고정로드(2)측에서 물리적인 가압력에 의해 체결부의 절단이 가능하도록 도 4에서와 같이 예를들면, 쐐기모양의 홈(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로드(2)에는 상기 외벽 거푸집(F2)에 대응하는 단부측에서 후술하는 지지구(6)측에 고정되기 위한 체결부 즉, 도 2에서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평면의 표면 영역을 가지며 이 영역이 상기 고정로드(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외측 체결부(16)가 2개 또는 그 이상이 이격 형성된다.
상기 외측체결부(16)는 도 3에서와 같이 후술하는 지지구(6)측에 끼움 결합으로 삽입된 후 걸림 작용에 의하여 용이하게 체결이 가능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외측체결부(16)측에 물리적인 외력을 가하면 상기 고정로드(2)의 단부측에서 쉽게 절단되어 분리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핀(4)은 상기 내벽 거푸집(F1)측에서 상기 고정로드(2)의 내측 체결부(12)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서와 같이 이미 잘 알려진 쐐기판 모양의 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로드(2)의 내측 체결부(12)측에 형성된 핀홀(12)측에 도면에서와 같은 자세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고정핀(4)은 내구성 및 내마모성 등이 우수한 금속이거나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미 잘 알려진 방법으로 제작된다.
한편, 상기 지지구(6)는 상기 외벽 거푸집(F2)측에서 상기 고정로드(2)의 외측 체결부(16)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로드(2) 외측 체결부(16) 구간이 감싸여지는 형태로 끼워질 수 있는 공간(18)을 가지는 홀더부(20)와, 이 홀더부(20)를 상기 외벽 거푸집(F2)측에서 상기 고정로드(2)의 외측 체결부(16)와 끼움 결합이 가능한 자세로 고정하는 고정판(22)을 포함하며, 상기 외벽 거푸집(F2)측에서 상기 고정로드(2)의 위치에 대응하여 도면에서와 같은 자세로 셋팅될 수 있다.
상기 홀더부(20)는, 상기 고정로드(2)의 체결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외측 체결부(16)가 상기 공간(18)측에 끼워지면서 수용될 수 있도록 도 3에서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부(20)는 내구성 및 내마모성 등이 우수한 금속이나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미 잘 알려진 방법으로 성형되거나 내부가 중공인 원형 파이프를 상기와 같은 길이 범위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홀더부(2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18)은 상기 고정로드(2)의 외측 체결부(16)가 끼워진 후 걸림 작용에 의해 록킹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공간(18)에서 상기 고정로드(2)가 끼워지는 단부측에 도 5에서와 같이 타원 모양으로 뚫려진 잠금홀(24)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타원 모양으로 관통 형성된 잠금홀(24)은 상기 홀더부(20)의 공간(18) 직경보다 작은 범위내로 형성되고, 관통된 영역의 폭이 넓은 구간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로드(2)의 외측 체결부(16)가 통과할 수 있는 범위내로 이루어지고, 이와 반대로 관통된 영역의 폭이 좁은 구간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외측 체결부(16)가 끼워진 후 물리적인 접촉에 의해 걸릴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홀더부(20)의 공간(18) 구조는, 상기 고정로드(2)의 외측 체결부(16)측이 상기 외벽 거푸집(F2)을 관통하여 도 7에서와 같은 자세에서만 상기 홀더부(20)의 공간(18)측에 끼워지고, 이와 같은 끼워진 상태에서 축심을 기준으로 상기 로드(2)를 도 8에서와 같이 회전시키면 상기 외측 체결부(16)측이 상기 공간(18)의 잠금홀(24)측에 도면에서와 같이 걸려지면서 록킹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고정로드(2)를 상기 외벽 거푸집(F2)측에 고정하기 위하여 각종 도구나 기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한 동작으로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잠금홀(24)이 도 7에서와 같이 타원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서로 마주하는 2개의 테두리 폭이 서로 다른 장방형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부(20)측에 고정되는 고정로드(2)는 벽체(W) 시공시 2개의 거푸집 즉, 내벽 거푸집(F1)과 외벽 거푸집(F2)의 간격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연결 구간을 가지도록 체결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고정로드(2)에서 상기 외벽 거푸집(F2)측에 대응하여 2개 이상이 이격 형성되는 외측 체결부(16)를 이용하여 상기 잠금홀(24)측에 끼워지는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거푸집(F1, F2)의 간격에 따라 다양한 연결 구간의 형성이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더욱 향상된 작업 호환성 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부(20)는 상기 2개의 거푸집(F1, F2) 사이에 벽체(W)가 양생되면, 상기 잠금홀(24)측에 걸려져서 벽체(W)의 외벽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록킹된 고정로드(2) 즉, 외측 체결부(16)의 록킹된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 공간(18)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공간(18)은 벽체(W)의 양생 후 상부층 시공을 위해 외벽 거푸집(F2)을 분리할 때에 이 거푸집(F2)의 외측에서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외측 체결부(16)측에 비틀림 압력의 전달이 가능한 절단 도구(D)의 삽입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이 공간(18) 내에서 상기 도구(D)를 이용하여 상기 외측 체결부(16)를 직접 절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홀더부(20)는 도 6에서와 같은 고정판(22)에 결합되어 상기 외벽 거푸집(F2)에서 상기 고정로드(2)의 외측 체결부(16)측에 대응하여 끼움 결합이 가능한 자세로 고정된다. 상기 고정판(22)은 상기 외벽 거푸집(F2)의 지지체(8)측에서 도면에서와 같은 자세로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용접 등에 의해 상기 홀더부(20)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22)은 상기 외벽 거푸집(F2) 즉, 지지체(8)측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판(22)측에 도 6에서와 같은 결합로드(26)가 나사 결합으로 고정되고 이 결합로드(26)의 단부측에는 도면에서와 같은 핀홀(28)이 형성되어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체(8)를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판(22)의 반대편측에서 상기 핀홀(28)측에 이미 잘 알려진 체결핀(3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면서 상기 홀더부(20)를 상기 외벽 거푸집(F2)측에서 셋팅된 위치의 변화가 가능하게 고정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판(22)은 상기 홀더부(20)에서 잠금홀(24)이 형성된 단부측이 상기 외벽 거푸집(F2)의 삽입홀(H2)을 관통하여 도 3에서와 같이 돌출된 상태가되도록 셋팅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벽체(W)의 양생 후 상기 외벽 거푸집(F2)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로드(2)의 외측 체결부(16)측을 절단하면 이 체결부(16)가 절단된 고정로드(2)의 단부측이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벽체(W)의 외벽면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가 되므로 벽체(W)의 시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벽면에서 상기 고정로드(2)의 단부측이 일체 돌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외벽 거푸집(F2)을 분리할 때에 소요되는 시간이나 공정 등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고정로드(2)와 지지구(6)에 의한 외벽 거푸집(F2)의 체결 구조는 상기 고정로드(2)의 외측 체결부(16)를 절단하는 간단한 공정으로 예를들면, 벽체(W) 양생 후 상기 외벽 거푸집(F2)을 완전히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도 12에서와 같이 크레인(C) 등을 이용하여 상부층으로 직접 운반이 가능하므로 더욱 향상된 작업 호환성 및 능률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건물의 벽체 구조물 시공시 바람직한 거푸집의 설치 및 분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내벽 거푸집(F1)과 외벽 거푸집(F2)을 도면에서와 같이 바닥면에 각각 가셋팅한 후, 이와 같이 이격된 2개의 거푸집(F1, F2) 표면에 형성된 삽입홀(H1,H2)들을 통하여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로드(2)를 설치하여 이 로드(2)에 의해 2개의 거푸집(F1,F2)을 고정하기 위한 단일의 연결 구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로드(2)의 외측 체결부(16)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외벽 거푸집(F2)측에 대응하도록 끼워진다.
상기와 같이 2개의 거푸집(F1, F2)을 관통하는 자세로 끼워진 고정로드(2)에서 상기 외벽 거푸집(F2)측에 대응하는 외측 체결부(16)는 상기 지지구(6) 즉, 홀더부(20)의 공간(18)측에 끼워진 후 이 공간(18)의 잠금홀(24)측에 걸려져서 도 7에서와 같은 자세로 고정되고, 상기 내벽 거푸집(F1)측에 대응하는 내측 체결부(12)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핀(4)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외측 체결부(16)의 록킹 동작은 도 7에서와 같은 상태로 상기 공간(18)측에 끼워진 후 상기 로드(2)의 축심을 기준으로 도 8에서와 같이 회전시키면 상기 잠금홀(24)측에 상기 외측 체결부(16)가 걸려지면서 용이하게 록킹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한 고정장치는 벽체(W) 시공시 거푸집(F1, F2)에 요구되는 체결력에 따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거푸집(F1, F2)측에 다수개가 이격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체결 공정으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거푸집(F1, F2)의 체결이 완료되면 이들 거푸집(F1, F2)사이에 이미 잘 알려진 방법으로 콘트리트를 타설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해 도 13에서와 같이 벽체(W)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2개의 거푸집(F1, F2)을 상기 벽체(W)측에서 분리하는 작업을 행하게 되는데, 먼저 상기 내벽 거푸집(F1)은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로드(2)의 내측 체결부(12)에 끼움 결합된 고정핀(4)을 분리하면 상기 내벽 거푸집(F1)과 상기 고정로드(2)의 체결력이 해제되면서 양생된 벽체(W)의 내벽면측에서 상기 내벽 거푸집(F1)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로드(2)에서 상기 고정핀(4)이 분리된 체결부 즉, 내측 체결부(12)는 벽체(W)의 내벽면측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해머 등을 이용하여 도 14에서와 같이 절단 처리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외벽 거푸집(F2)은 상기 고정로드(2)에서 상기 외측 체결부(16)을 절단하는 것에 의해 록킹 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은 절단 작업은 상기 홀더부(20)의 공간(18)측에 도 9에서와 같은 절단 도구(D)를 삽입하여 비틀림 압력 등을 가하면 상기 외측 체결부(16)가 도 10에서와 같이 절단되면서 상기 고정로드(2)와 상기 홀더부(20)의 록킹 상태가 간단하게 해제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외벽 거푸집(F2)이 벽체(W)의 외벽면측에서 분리가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고정로드(2)와 홀더부(20)의 체결 구조는 상기 외벽 거푸집(F2)을 상기 벽체(W)측에서 완전히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 12에서와 같이 크레인(C)을 이용하여 상부층 시공을 위한 위치로 직접 운반이 가능하므로 외벽 거푸집(F2)의 분리 및 운반 등을 위한 작업이 더욱 용이하고, 이에 소요되는 시간이나 공정 등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장치는, 벽체 시공을 위한 2개의 거푸집을 단일의 고정로드에 의한 연결 구간을 통하여 용이하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으므로 거푸집의 설치 및 분리 등을 위한 체결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작업이 용이하여 이에 소요되는 공정이나 시간 등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로드의 연결 구간상에는 상기 2개의 거푸집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가 각각 형성되어 끼움 결합에 의해 상기 거푸집의 고정을 위한 체결력을 간단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벽체 시공후에는 상기 체결부측에 물리적인 압력을 가하여 이 구간을 절단하는 공정에 의해 거푸집의 체결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으므로 더욱 향상된 작업 효율 및 능률 등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벽체 시공 후 상기와 같이 고정로드의 체결부들을 절단 처리하면 벽체의 내벽면이나 외벽면측에 일체의 돌출된 부분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한 추가 작업 등을 행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더욱 향상된 시공 품질을 얻을 수 있다.
Claims (7)
- 건물의 벽체 시공을 위해 이격 배치되는 내,외벽 거푸집을 관통하는 자세로 위치하고 양측단에는 상기 거푸집들에 대응하여 고정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체결부가 각각 형성되는 단일의 고정로드와, 이 고정로드에서 상기 내벽 거푸집에 대응하는 체결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면서 상기 내벽 거푸집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로드에서 상기 외벽 거푸집에 대응하는 체결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면서 상기 외벽 거푸집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지지구를 포함하며,상기 지지구는, 외벽 거푸집 고정을 위한 체결부가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이 공간상에서 물리적인 접촉에 의한 걸림 작용으로 고정하는 홀더부와, 이 홀더부를 상기 외벽 거푸집측에서 상기 고정로드의 체결부와 끼움 결합이 가능한 자세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을 포함하는 거푸집 고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로드의 체결부들은 이에 대응하는 거푸집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과 지지구측에 끼움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거푸집 고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로드에서 내벽 거푸집측에 대응하는 체결부에는 상기 고정핀이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는 거푸집 고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로드에서 외벽 거푸집측에 대응하는 체결부는 상기 홀더부의 공간측에 끼워지는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걸려지도록 상기 로드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모양을 가지며 2개 이상이 이격 형성되는 거푸집 고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의 공간에는 상기 고정로드에서 외벽 거푸집에 대응하는 체결부가 끼워진 후 걸림 작용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타원 또는 장방향 모양의 홈이 형성되는 거푸집 고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로드는 상기 홀더부의 공간측에 체결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축심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상기 공간측에 걸려지면서 외벽 거푸집의 고정이 가능한 록킹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로드의 체결부들은 물리적인 외력에 의해 상기 로드의 양측단부에서 일부 구간의 절단이 가능하도록 상기 로드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절단 지점들이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는 거푸집 고장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27099U KR200370254Y1 (ko) | 2004-09-21 | 2004-09-21 | 거푸집 고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27099U KR200370254Y1 (ko) | 2004-09-21 | 2004-09-21 | 거푸집 고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70254Y1 true KR200370254Y1 (ko) | 2004-12-13 |
Family
ID=49442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27099U KR200370254Y1 (ko) | 2004-09-21 | 2004-09-21 | 거푸집 고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70254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2362B1 (ko) | 2015-06-16 | 2015-10-22 |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 구조물의 벽체와 외부 단열재가 일체로 형성되는 시공구조 및 방법 |
-
2004
- 2004-09-21 KR KR20-2004-0027099U patent/KR20037025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2362B1 (ko) | 2015-06-16 | 2015-10-22 |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 구조물의 벽체와 외부 단열재가 일체로 형성되는 시공구조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133972A (ko) | 철근 연결 장치 | |
KR200370254Y1 (ko) | 거푸집 고정장치 | |
KR20190019654A (ko) | 폼타이에 결합되는 거푸집 고정구 | |
KR200442013Y1 (ko) | 벽체 관통 스리브 구조 | |
KR100996578B1 (ko) | 거푸집 지지 웨일러 | |
KR200342749Y1 (ko) | 거푸집 고정장치 | |
KR101106160B1 (ko) | 외부장착이 가능한 거푸집 연결구 | |
CN216405835U (zh) | 管状连接件及保温外模板现浇混凝土墙体 | |
KR200402917Y1 (ko) | 거푸집용 간격유지 타이볼트 | |
KR100850230B1 (ko) | 입상 성형 슬리브 설치 구조체 및 그것을 이용한 공사 방법 | |
KR101547339B1 (ko) | 미장재 장착 패널 제조방법과 패널 | |
KR20170003729U (ko) | 전선 배선용 호스 지지구 | |
JP5213165B2 (ja) | 貫通孔成形用ピ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造方法 | |
KR19990035156U (ko) | 건축용거푸집고정장치 | |
JP4199615B2 (ja) | コンクリート製品の連結具 | |
KR100504229B1 (ko) | 거푸집 시스템 | |
KR20190001817U (ko) | 거푸집 간격유지 고정장치 | |
KR200320198Y1 (ko) |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 | |
KR200271718Y1 (ko) |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 | |
KR102198442B1 (ko) |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 |
KR200399666Y1 (ko) | 급수배관용 엘보우 | |
JP3081441U (ja) | コンクリート型枠板の締結具 | |
KR200314984Y1 (ko) |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용 간격 유지구 | |
JP3043843U (ja) | 弾性材よりなる雄抜型を備えたコンクリート製品成形型 | |
KR200397248Y1 (ko) | 거푸집용 체결부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1126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