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4229B1 - 거푸집 시스템 - Google Patents

거푸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4229B1
KR100504229B1 KR10-2002-0050405A KR20020050405A KR100504229B1 KR 100504229 B1 KR100504229 B1 KR 100504229B1 KR 20020050405 A KR20020050405 A KR 20020050405A KR 100504229 B1 KR100504229 B1 KR 100504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wall formwork
bracket
wall
pin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7274A (ko
Inventor
조규용
Original Assignee
조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규용 filed Critical 조규용
Publication of KR20030057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7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2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 E04G17/0728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04G17/0742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remaining completely or partially embedded in the cast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의 외벽 콘크리트공사에 이용되는 거푸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평판(11)에 소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삽입공(111)이 형성된 외벽거푸집(10)을 내벽거푸집(20)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연결 설치하는 거푸집 시스템에 있어서, 직각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그 일측면에는 상기 외벽거푸집(10)의 삽입공(111)과 연통되는 삽입공(412)이 형성되어 외벽거푸집(10)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직각방향으로 위치된 타측면에는 핀홀(411)이 관통 형성된 브래킷(41)과, 그 기단부는 내벽거푸집(20)에 연결되고 그 선단부에는 상기 외벽거푸집(10)과 브래킷(41)의 삽입공(111,412)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외측결합부(422)가 구비되며 이 외측결합부(422)에는 상기 브래킷(41)의 핀홀(411)과 핀(P) 체결되는 핀홀(411)이 형성된 연결부재(42)를 포함하며, 이 연결부재(42)의 외측결합부(422) 내측에는 취약홈을 갖는 절단부(4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거푸집 시스템{Concrete form system}
본 발명은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의 외벽 콘크리트공사에 이용되는 거푸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거푸집 시스템은, 주택, 아파트, 빌딩, 댐, 교각, 상하수도, 지하철공사 등 각종 건축 및 토목현장에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거푸집 시스템은 간편한 구조와 다양한 기능을 발휘하도록 금속소재로 스틸 폼(steel from)을 구성하면, 반복 사용회수를 증가시켜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립성이 양호하여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인건비와 경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제품이 표준화 및 규격화된 패널과 부속으로 구분되어 있어 자재관리가 간편한 이점이 있어 현재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외벽 콘크리트공사의 외벽에 이용되는 거푸집(gang from)은, 제품을 일체형으로 크게 조립하고, 이를 크레인으로 인양하여 저층에서 고층까지 단계적으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고층 아파트나 고층 빌딩의 외벽공사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외벽거푸집은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11)의 외측면에 상.하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수평지지대(12)가 부착되고, 이 수평지지대(12)의 외측에 소정 간극(S)이 생기도록 2개 1조로 수직지지대(13)(13')가 나란하게 부착된다. 이 수직지지대(13)(13')는 평판(11)보다 하향 연장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외벽거푸집(10)은 내벽거푸집(20)과의 사이에 소정 두께의 콘크리트벽이 생성될 수 있는 간격이 유지되도록 상호 결합된다.
상기 외벽거푸집(10)과 내벽거푸집(20)을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연결하는 결합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내벽거푸집(20)에 핀(P) 고정되는 고정편(311)을 구비한 타이볼트(31)와, 이 타이볼트(31)의 선단에 체결되며 콘크리트(C)의 외측 표면에 매립되는 콘너트(32)와, 이 콘너트(32)에 체결되어 외벽거푸집(10)을 관통하는 체결볼트(33)와, 이 체결볼트(33)의 외측 선단에 삽입되어 수직지지대(13)(13')의 표면에 밀착되는 리브와셔(34)와, 이 리브와셔(34)의 외측에서 체결볼트(33)와 체결되는 윈치너트(35)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결합구조에 의해 거푸집이 결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타이볼트(31)의 선단에 콘너트(32)를 체결하고, 이 타이볼트(31) 기단의 고정편(311)을 내벽거푸집(20)과 내벽거푸집(20) 사이로 삽입하여 핀(P)으로 고정시킨다. 이어서, 상기 체결볼트(33)를 외벽거푸집(10)의 평판(11)을 관통하여 수직지지대(13) 사이의 간극(S)으로 빼내어 그 기단을 콘너트(32)에 체결하며, 체결볼트(33)의 선단에는 리브와셔(34)와 윈치너트(35)를 순차적으로 끼워 리브와셔(34)가 한 쌍의 수직지지대(13)(13') 표면에 밀착도록 윈치너트(35)를 체결한다. 이때 콘너트(32)의 확장된 선단은 외벽거푸집(10)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내외벽거푸집(10)(20)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면, 그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C)를 타설한다. 타설된 콘크리트(C)가 양생되면, 내벽거푸집(20)에 고정된 핀(P)을 이탈시킴과 동시에 내벽거푸집(20)을 콘크리트(C)로부터 해체시킨다. 이어서, 윈치너트(35)를 풀어 리브와셔(34)가 수직지지대(13)로부터 이격되게 한 후 체결볼트(33)를 풀어 콘너트(32)와 분리시키고, 외벽거푸집(10)을 콘크리트(C)로부터 해체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내외벽거푸집(20)(10)의 해체가 완료되면, 콘크리트(C)의 내벽으로 돌출된 고정편(311)을 절단하고, 외벽 표면에 매설된 콘너트(32)를 풀어 분리시킨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거푸집 시스템은 외벽거푸집(10)의 양측 가장자리에 수직지지대(13)를 2개 1조로 부착하여 그 사이에 체결볼트(33)를 삽입하게 되므로, 거푸집의 강도와는 무관하게 그 구조상 필요 이상의 수직지지대(13,13')가 요구되어 자재의 소모 및 제조원가의 상승 원인이 된다.
또한, 거푸집 연결시 윈치너트(35)와 콘너트(32)의 조임정도에 따라 내외벽거푸집(10,2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므로, 이 내외벽거푸집(10,20) 사이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하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윈치너트(35)를 과도하게 조이게 되면, 상기 콘너트(32)가 윈치너트(35)쪽으로 끌려나오면서 외벽거푸집(10)의 평판(11)을 바깥쪽으로 불룩하게 변형되도록 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C)의 벽면이 평활하지 못하고 울퉁불퉁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C)가 양생된 후에는 외측벽면에 매설된 콘너트(32)를 회전시켜 해체하여야 하는데, 이 콘너트(32)는 타이볼트(31)와 체결볼트(33)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깊이로 형성되어야 함과 더불어, 해체를 위해서는 외측으로 갈수록 벌어지도록 테이퍼지도록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사이즈가 커질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콘너트(32)가 이탈된 부분을 다시 메우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요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그 외에도, 축조되는 건축물에 따라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내부 벽체의 위치나 벽체의 두께 등이 서로 달라, 외벽거푸집(10)에 대한 내벽거푸집(20)의 상대위치가 건축물마다 서로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내벽거푸집(20)과 내벽거푸집(20) 사이로 통과되는 타이볼트(31) 및 체결볼트(33)의 위치가 건축물마다 서로 다르며, 이러한 타이볼트(31)와 체결볼트(33)의 위치에 맞추어 외벽거푸집(10)의 외측면에는 쌍으로 된 수직바아(13,13`)가 구비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종래의 외벽거푸집(10)을 다른 건축물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외벽거푸집(10)에 용접 설치된 기존의 수직바아(13,13`)를 일일이 절단해내어, 이 수직바아(13,13`)를 타이볼트(31)와 체결볼트(33)의 위치에 맞추어 일일이 재설치하여야 하는 작업상의 어려움때문에, 이를 재사용하지 못하고 폐기처리함에 따라 자원낭비 및 시공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수직지지대의 소요량을 줄이고 결합수단의 부품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체결 과정을 간소화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벽거푸집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된 거푸집 시스템을 제공함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평판(11)의 외측면에 상.하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수평지지대(12)를 부착하고 이 수평지지대(12)의 외측에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수직지지대(13)를 부착하여 외벽거푸집(10)을 구성하고, 이 외벽거푸집(10)과 내벽거푸집(20)을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수평으로 연결하여 구성한 거푸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12) 외측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하나씩 설치되는 수직지지대(13)와, 이 수직지지대(13)의 일면에 일측이 밀착되고 평판(11)의 외측면에 타측이 밀착되도록 절곡되며 일측판에는 핀홀(411)이 통공되고 타측판에는 평판(11)의 삽입공(111)과 일치하는 삽입공(412)이 통공되어 수직지지대(13)의 일면과 평판(11)의 외측면에 부착된 브래킷(41)과, 동일한 두께의 철판으로 된 몸체(421)의 선단에 몸체(421)보다 작은 폭으로 연장되어 핀홀(422a)이 길이 방향으로 통공된 외측결합부(422)를 구비하고 이 외측결합부(422)와 몸체(421)의 경계부에 폭이 좁아지도록 절취된 절단부(424)가 형성되며 몸체(421)의 기단에도 선단과 동일한 구성으로 내측결합부(423)와 절단부(424')가 구비된 연결부재(42)와, 상기 외측결합부(422)의 내측과 내측결합부(423)의 내측에 삽입되어 절단부 선단에 걸리도록 중앙이 관통된 와셔(43)(43')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42)의 몸체(421) 중심(42A)을 90도 비틀어 외측결합부(422)의 핀홀(422a)이 브래킷(41)의 핀홀(411)과 대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평판(11)에 소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삽입공(111)이 형성된 외벽거푸집(10)을 내벽거푸집(20)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연결 설치하는 거푸집 시스템에 있어서, 직각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그 일측면에는 상기 외벽거푸집(10)의 삽입공(111)과 연통되는 삽입공(412)이 형성되어 외벽거푸집(10)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직각방향으로 위치된 타측면에는 핀홀(411)이 관통 형성된 브래킷(41)과, 그 기단부는 내벽거푸집(20)에 연결되고 그 선단부에는 상기 외벽거푸집(10)과 브래킷(41)의 삽입공(111,412)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외측결합부(422)가 구비되며 이 외측결합부(422)에는 상기 브래킷(41)의 핀홀(411)과 핀(P) 체결되는 핀홀(411)이 형성된 연결부재(42)를 포함하며, 이 연결부재(42)의 외측결합부(422) 내측에는 취약홈을 갖는 절단부(4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외벽거푸집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거푸집 시스템은 평판(11)의 외측면에 상.하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수평지지대(12)를 부착하고, 이 수평지지대(12)의 외측에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수직지지대(13)를 부착하여 외벽거푸집(10)을 구성하고, 이 외벽거푸집(10)과 내벽거푸집(20)을 일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연결부재(421)에 의해 체결한 것이다.
이러한 거푸집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평지지대(12)의 외측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수직지지대(13)가 하나씩 설치되고, 이 수직지지대(13)의 일측벽과 평판(11)의 외측면에는 직각으로 절곡된 브래킷(41)을 부착하며, 선단은 평판(11)과 브래킷(41)을 관통하여 브래킷(41)의 외측에서 핀 결합되고 그 기단은 내벽거푸집(20)에 결합되어 상기 내외벽거푸집(10,20)을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고정하며, 콘크리트(C) 양생 후에는 양단을 절단하도록 된 연결부재(42)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브래킷(41)은 일측이 수직지지대(13)의 일측면에 용접되고 타측이 평판(11)의 외측면에 용접되도록 절곡 형성되고, 수직지지대(13)에 용접된 일측면에는 핀홀(411)을 통공시키고, 평판(11)에 용접된 타측면에는 평판(11)의 삽입공(111)과 일치하는 삽입공(412)을 통공한다.
상기 연결부재(42)는 동일한 두께의 철판으로 된 몸체(421)의 선단에 몸체(421)보다 작은 폭으로 연장되어 핀홀(422a)이 길이 방향으로 통공된 외측결합부(422)를 구비하며, 이 외측결합부(422)와 몸체(421)의 경계선에는 양측이 오목하게 절취된 절단부(424)를 형성하고, 몸체(421)의 후단에도 선단과 동일한 구성으로 내측결합부(423)와 절단부(424')를 구비한다. 또한, 외측결합부(422)의 내측과 내측결합부(423)의 내측에 삽입되어 절단부 선단에 걸리도록 중앙이 관통된 와셔(43)(4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42)의 다른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2) 몸체(421)의 중심(42A)을 90도 비틀어 외측결합부(422)의 핀홀(422a)이 브래킷(41)의 핀홀(411)과 대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 거푸집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브래킷(41)을 외벽거푸집(10)의 평판(11)에 용접 부착함과 더불어, 내외벽거푸집(10,2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42)를 이 브래킷(41)에 핀(P)결합하여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외벽거푸집(10)은 금속재의 평판(11) 외측면에 다수개의 수평지지대(12)가 소정간격 이격되게 고정 설치되고, 이 수평지지대(12)의 외측에는 수직지지대(13)를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보다 더 넓은 간격으로 고정 설치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수직지지대(13)를 일 실시예에서 보다 더 넓은 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은 상기 브래킷(41)을 수직지지대(13)에 용접하지 않고 외벽거푸집(10)의 평판(11)에 용접하여 고정하므로, 외벽거푸집(10)의 강도만을 고려하여 수직지지대(13)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평판(11)에는 연결부재(42)의 선단부가 통과되기 위한 다수개의 삽입공(111)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공(111)은 스트립 형상의 연결부재(42)와 대응되도록 장공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삽입공(111)을 외벽거푸집(10)의 평판(11)에 직접 기계가공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나, 상기 평판(11)은 그 사이즈가 상당히 커 이를 절삭기계에 올려놓고 장공을 형성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이 평판(11)에는 드릴로 원형구멍(113)을 형성하고, 이 원형구멍(113)에 장공 형상의 삽입공(111)이 형성된 별도의 와셔(43)를 매입되도록 용접하는 것이 작업의 편의상 바람직하다.
상기 브래킷(41)은 평판(11)의 삽입공(111)에 포개어져 위치되도록 외벽거푸집(10)의 평판(11)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평판(11)에 용접되는 고정면(413)과, 이 고정면(413)의 일측에 직각으로 형성된 측면(414)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면(413)에는 평판(11)의 삽입공(111)과 연통되는 삽입공(412)이 형성되며, 측면(414)에는 연결부재(42)와 핀(P) 체결하기 위한 핀홀(411)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공(412)은 장공 형태로 성형될 수 있으나, 원형으로 성형하는 것이 거푸집 해체시 연결부재(42)를 절단하기 용이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이 브래킷(41)은 외벽거푸집(10)의 평판(11)을 보강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연결부재(42)는 스트립 형상의 금속 부재로서, 내벽거푸집(20)과 외벽거푸집(10)을 소정간격 이격되게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결부재(42)는 그 기단부와 선단부에 핀홀(422a,423a)이 형성된 내측결합부(423)와 외측결합부(422)가 형성되어 각각 내벽거푸집(20)과 외벽거푸집(10)에 핀(P) 결합되며, 이 내외측결합부(422,423) 사이에는 몸체(42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내외측결합부(422,423)와 몸체(421) 사이에는 상하면을 V자형으로 절취한 절단부(424,424')가 형성되는데, 이 절단부(424,424')는 두께방향으로 절취홈을 형성하는 것 등도 가능하다. 또한, 상하면이 V자형으로 절취된 절단부(424,424')의 안쪽에는 절단유도공(425)이 형성되어 거푸집 해체시 내외측결합부(422,423)를 반복적으로 굽혀 절단할 때 그 파단선이 이 절단유도공(425)쪽으로 형성되어 콘크리트(C) 벽면 안쪽을 향해 절단되도록 한다.
그 외에도, 본 발명에서는 외벽거푸집(10)과 연결되는 부분이 주 특징이므로, 내벽거푸집(20)과 연결되는 부분은 핀(P) 결합 이외에 어떠한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일실시예의 결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부재(42) 선단의 외측결합부(422)에 와셔(43)를 삽입한 후 외측결합부(422)를 외벽거푸집(10)과 브래킷(41)의 삽입공(111,412)로 통과시켜 핀홀(422a)에 핀(P)을 박아 고정한다. 이어서, 내측결합부(423)에 와셔(43')를 삽입한 후 내측결합부(423)를 내벽거푸집(20)으로 통과시켜 핀홀(423a)에 핀(P)을 박아 고정한다. 또한??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결합부(422)의 핀홀(422a)이 브래킷(41)의 핀홀(411)과 대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핀(P)을 박아 브래킷(41)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내외벽거푸집(10,20) 사이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양생 완료된 후에는 상기 결합과정의 역순으로 내외벽거푸집(10,20)을 해체하게 되며, 거푸집 해체작업이 종료되면, 콘크리트(C) 벽면 내외부로 돌출된 연결부재(42)의 내외측결합부(422)(423)을 반복적으로 굽혀 상기 절단부(424)(424')가 절단되도록 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2)의 몸체(421)만 콘크리트(C)내에 매설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1에서와 같이, 연결부재(42)의 내외측결합부(422,423)에 별도의 와셔를 삽입할 필요가 없으며, 외측결합부(422)를 외벽거푸집(10)과 브래킷(41)의 삽입공(111,412)로 통과시켜 브래킷(41)의 핀홀(422a)에 핀(P) 체결하여 고정한다. 그 외에는 상기 일실시예의 결합과정이나 해체과정과 동일하게 진행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외벽거푸집(10)에 설치되는 수직지지대(13)의 소모량을 줄임은 물론, 내외벽거푸집(10,20)을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하기 위한 결합구조가 매우 간소화되어 시공비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42)의 양단부에 내외벽거푸집(10,20)을 핀(P) 체결하거나 분리하기만 하면, 거푸집이 간단하게 조립되고 해체되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시스템은 외벽거푸집(10)을 다른 건축물 시공시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 삽입공(111)을 메운 후 연결부재(42)의 위치에 맞추어 삽입공(111)을 형성하고, 브래킷(41)을 설치하기만 하면 간편하게 재사용할 수 있어 자원절약 및 시공비 절감효과가 있다.
그 외에도, 상기 거푸집 시스템은 규격화된 연결부재(42)를 핀(P) 결합하여 거푸집을 조립하므로, 내외벽거푸집(10,20) 사이의 간격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C) 벽면이 울퉁불퉁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거푸집 시스템의 결합 상태를 보인 구성도로서,
a는 정면구성도이고,
b는 측면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외벽거푸집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양생 후 해체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연결부재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외벽거푸집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외벽거푸집 11: 평판
12: 수평지지대 13: 수직지지대
20: 내벽거푸집 41: 브래킷
42: 연결부재 43: 와셔

Claims (3)

  1. 평판(11)의 외측면에 상.하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수평지지대(12)를 부착하고 이 수평지지대(12)의 외측에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수직지지대(13)를 부착하여 외벽거푸집(10)을 구성하고, 이 외벽거푸집(10)과 내벽거푸집(20)을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수평으로 연결하여 구성한 거푸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12) 외측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하나씩 설치되는 수직지지대(13)와, 이 수직지지대(13)의 일면에 일측이 밀착되고 평판(11)의 외측면에 타측이 밀착되도록 절곡되며 일측판에는 핀홀(411)이 통공되고 타측판에는 평판(11)의 삽입공(111)과 일치하는 삽입공(412)이 통공되어 수직지지대(13)의 일면과 평판(11)의 외측면에 부착된 브래킷(41)과, 동일한 두께의 철판으로 된 몸체(421)의 선단에 몸체(421)보다 작은 폭으로 연장되어 핀홀(422a)이 길이 방향으로 통공된 외측결합부(422)를 구비하고 이 외측결합부(422)와 몸체(421)의 경계부에 폭이 좁아지도록 절취된 절단부(424)가 형성되며 몸체(421)의 기단에도 선단과 동일한 구성으로 내측결합부(423)와 절단부(424')가 구비된 연결부재(42)와, 상기 외측결합부(422)의 내측과 내측결합부(423)의 내측에 삽입되어 절단부 선단에 걸리도록 중앙이 관통된 와셔(43)(43')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2)의 몸체(421) 중심(42A)을 90도 비틀어 외측결합부(422)의 핀홀(422a)이 브래킷(41)의 핀홀(411)과 대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시스템.
  3. 평판(11)에 소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삽입공(111)이 형성된 외벽거푸집(10)을 내벽거푸집(20)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연결 설치하는 거푸집 시스템에 있어서, 직각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그 일측면에는 상기 외벽거푸집(10)의 삽입공(111)과 연통되는 삽입공(412)이 형성되어 외벽거푸집(10)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직각방향으로 위치된 타측면에는 핀홀(411)이 관통 형성된 브래킷(41)과, 그 기단부는 내벽거푸집(20)에 연결되고 그 선단부에는 상기 외벽거푸집(10)과 브래킷(41)의 삽입공(111,412)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외측결합부(422)가 구비되며 이 외측결합부(422)에는 상기 브래킷(41)의 핀홀(411)과 핀(P) 체결되는 핀홀(411)이 형성된 연결부재(42)를 포함하며, 이 연결부재(42)의 외측결합부(422) 내측에는 취약홈을 갖는 절단부(4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시스템.
KR10-2002-0050405A 2001-12-28 2002-08-26 거푸집 시스템 KR1005042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272 2001-12-28
KR1020010087272A KR20020023911A (ko) 2001-12-28 2001-12-28 거푸집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7274A KR20030057274A (ko) 2003-07-04
KR100504229B1 true KR100504229B1 (ko) 2005-07-27

Family

ID=197178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7272A KR20020023911A (ko) 2001-12-28 2001-12-28 거푸집 시스템
KR10-2002-0050405A KR100504229B1 (ko) 2001-12-28 2002-08-26 거푸집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7272A KR20020023911A (ko) 2001-12-28 2001-12-28 거푸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00239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637Y1 (ko) 2015-07-21 2016-06-17 유대식 통폼 연결 브래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626B1 (ko) * 2005-07-22 2007-09-13 깨뱉시스템(주) 현장조립식 대형거푸집
CN112012481A (zh) * 2020-08-25 2020-12-01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预制叠合板接缝吊模结构及其安装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5276A (en) * 1979-05-01 1980-11-12 Shizuhito Ikeda Method of assembling concrete form
KR930005580U (ko) * 1991-08-14 1993-03-22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솔레노이드 보빈
KR950027730U (ko) * 1994-03-24 1995-10-18 김태철 거푸집 조임장치
KR19980010639U (ko) * 1996-08-09 1998-05-15 윤건원 건축용 거푸집 설치구(Device for mould construction)
KR200159182Y1 (ko) * 1997-01-06 1999-10-15 이원형 거푸집 고정장치
KR200176715Y1 (ko) * 1999-10-29 2000-04-15 이인희 건축용 거푸집의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5276A (en) * 1979-05-01 1980-11-12 Shizuhito Ikeda Method of assembling concrete form
KR930005580U (ko) * 1991-08-14 1993-03-22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솔레노이드 보빈
KR950027730U (ko) * 1994-03-24 1995-10-18 김태철 거푸집 조임장치
KR19980010639U (ko) * 1996-08-09 1998-05-15 윤건원 건축용 거푸집 설치구(Device for mould construction)
KR200159182Y1 (ko) * 1997-01-06 1999-10-15 이원형 거푸집 고정장치
KR200176715Y1 (ko) * 1999-10-29 2000-04-15 이인희 건축용 거푸집의 조립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637Y1 (ko) 2015-07-21 2016-06-17 유대식 통폼 연결 브래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911A (ko) 2002-03-29
KR20030057274A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1153A (ko)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
KR101585942B1 (ko) 콘크리트 타설용 마감부재
CN110359701B (zh) 一种外墙模板
KR20090049250A (ko)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KR100504229B1 (ko) 거푸집 시스템
KR20030009832A (ko) 강관말뚝용 철근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강관말뚝 머리부와철근콘크리트 기초의 결합구조
KR200268242Y1 (ko) 거푸집 시스템
KR200436781Y1 (ko) 기둥 거푸집용 고정밴드.
KR100322486B1 (ko) 거푸집용몰딩바및이를이용한거푸집설치방법
CN111139977A (zh) 一种组合式半灌浆套筒及其安装方法
JP5165622B2 (ja) 鋼管ソイルセメント複合杭
KR100374537B1 (ko) 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골 보의 접합부
KR200163423Y1 (ko) 거푸집구조물
KR200342284Y1 (ko) 건축용 거푸집의 유로폼과 갱폼의 체결구조
KR200272780Y1 (ko) 거푸집 시스템
KR102194554B1 (ko) 내진성능이 강화된 pc 벽식 복합화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298101Y1 (ko) 건축용 거푸집
KR200268243Y1 (ko) 거푸집 시스템
KR200339378Y1 (ko) 건축용 거푸집 간격유지구
KR200446594Y1 (ko) 보강편이 형성된 거푸집 간격유지구 및 체결구
KR20190104668A (ko) 거푸집용 지지대 고정구
KR200291484Y1 (ko) 거푸집용 스페이서 어셈블리
KR200187741Y1 (ko) 거푸집용 몰딩바
KR200373289Y1 (ko) 거푸집 간격유지구
KR200354100Y1 (ko) 거푸집 연결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