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339B1 - 미장재 장착 패널 제조방법과 패널 - Google Patents

미장재 장착 패널 제조방법과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339B1
KR101547339B1 KR1020150023423A KR20150023423A KR101547339B1 KR 101547339 B1 KR101547339 B1 KR 101547339B1 KR 1020150023423 A KR1020150023423 A KR 1020150023423A KR 20150023423 A KR20150023423 A KR 20150023423A KR 101547339 B1 KR101547339 B1 KR 101547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mounting hole
mold
mounting
pl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대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강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강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강산업
Priority to KR1020150023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1Moulds, cores or mandrels specially adapted for mechanically working moulding surfaces during moulding or demoulding, e.g. smoothing by means of mould walls driven during moulding or of parts acting during de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56Means for inserting the elements into the mould or supporting them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7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for decorative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28Centering the press head, e.g. using guiding pins or chamfered mould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장재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를 갖춘 패널 제조방법과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패널 제작을 위한 금형과의 직접적인 고정 없이도 손쉽고 신속하게 상기 패널을 제작할 수 있는 미장재 장착 패널 제조방법과, 상기 제조방법을 통해 제작된 패널에 관한 것으로, 금형에 철근을 배근하고 상기 금형과 철근 사이에 입면체 형상의 장착구를 배치하되, 상기 장착구의 일단은 상기 금형과 가이드홈 및 가이드돌기의 맞물림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장착구의 타단은 상기 철근이 안착해 가압하는 안착홈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금형에 모르타르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제2단계; 상기 장착구의 일단이 전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모르타르가 경화해 생성한 패널을 상기 금형으로부터 탈형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미장재 장착 패널 제조방법과 패널{MANUFACTURING METHOD FOR PLASTERING PANEL AND PANEL}
본 발명은 미장재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를 갖춘 패널 제조방법과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패널 제작을 위한 금형과의 직접적인 고정 없이도 손쉽고 신속하게 상기 패널을 제작할 수 있는 미장재 장착 패널 제조방법과, 상기 제조방법을 통해 제작된 패널에 관한 것이다.
성토지면 또는 절개지면 등(이하 '지면')의 붕괴를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지면의 마감과 미장 등을 목적으로 옹벽블록 또는 축조블록은 물론 패널 형태의 마감재 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블록은 주변 자연경관 또는 도심지 등의 외관과 어울릴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특히 직접 노출되는 블록 전면은 독특한 디자인 또는 형상과 재질로 제작된다.
그런데, 블록은 지면을 지지 및 마감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갖추어야 하므로, 그 재질이 합성 콘크리트 등의 강화소재로 제한될 수밖에 없다. 물론, 이렇게 제조된 블록은 전면 디자인에 변화를 주거나 다양한 색상으로 도색을 해도 표현되는 외관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등록특허번호 제10-1172432호(공고일 2012.08.08)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옹벽블록(10) 등의 본체 블록 전면에 천연석(20) 등과 같은 미장재을 보강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종래 기술을 간단히 설명하면, 시공에 사용되는 완성 블록은 본체를 이루는 옹벽블록(10)과, 장식을 위해 옹벽블록(10) 전면에 설치되는 천연석(20)으로 크게 구성되고, 옹벽블록(10)과 천연석(20)의 결합은 옹벽블록(10)을 직접 천공한 후에 상기 천공 부분에 천연석(20)을 고정한 핀 또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완성된다.
그러나, 콘크리트 재질의 옹벽블록(10)을 천공해서 체결부재를 끼우는 방식의 상기 종래 기술은 옹벽블록(10)의 천공 부분이 마모 및 파손 등으로 인해 직경이 점차 확장되고, 이를 통해 상기 천공 부분에 끼워진 체결부재의 고정성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고강도의 옹벽블록(10)을 직접 천공하는 작업은 고된 노동이 요구되므로 추가로 해소해야할 종래 문제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등록특허번호 제10-1477560호(공고일 2014.12.31)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재질의 장착구(30)를 본체인 패널(20)에 일체로 고정하고, 패널(20)과 자연석재(10)를 결합하는 나사못(11)이 패널(20)을 관통해서 장착구(30)에 삽입되도록 했다. 이를 위해서는 패널(20)에 장착구(30)가 일체로 고정되어야 하므로, 패널성형 금형(40)의 지정 위치에 장착구(30)를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해서, 상기 콘크리트 양생시 장착구(30)가 일체가 되도록 했다.
그런데, 장착구(30)가 패널(20)의 지정된 위치에 정확히 설치되기 위해서는, 패널성형 금형(40)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동안 현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은 패널성형 금형(40)에 금형핀(41)을 형성하거나 장착구(30)에 고정 핀(31)을 부가하고, 이를 매개로 장착구(30)가 패널성형 금형(40)의 지정 위치에 고정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작업자가 장착구(30)를 금형핀(41) 또는 고정핀(31)의 위치에 맞춰 정확히 끼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특히 패널성형 금형(40)에 형성된 금형핀(41)은 작업 과정에서 휨 등의 훼손이 발생할 수 있어서 탈형 과정에 불합리함이 있었다. 더욱이 장착구(30)와 금형(40) 간의 고정은 금형핀(41) 또는 고정핀(31)에만 의존해 이루어지므로, 금형핀(41) 또는 고정핀(31)에 문제가 발생하면 해당 금형핀(41) 또는 고정핀(31)이 각각 설치된 금형(40)이나 장착구(30)를 당장 활용하지 못하거나 폐기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외에도 장착구(30)는 패널(20) 전면의 표면에 단순히 매설된 구조이므로, 패널(20) 전면이 마모 등에 의해 훼손되면 장착구(30)는 지지기반을 상실해서 지지력을 잃게 되고, 이는 곧 자연석재(10)에 영향을 주어서 자연석재(10)가 패널(20)로부터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등록특허번호 제10-1172432호(2012.08.08 공고)
선행기술문헌 2. 등록특허번호 제10-1477560호(2014.12.31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패널 제작시 보강되는 장착구의 금형 고정을 손쉽고 신속히 하면서도, 상기 장착구가 배치되어야 할 위치를 정확히 맞춰 제조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미장재 장착 패널 제조방법과 패널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형에 철근을 배근하고 상기 금형과 철근 사이에 입면체 형상의 장착구를 배치하되, 상기 장착구의 일단은 상기 금형과 가이드홈 및 가이드돌기의 맞물림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장착구의 타단은 상기 철근이 안착해 가압하는 안착홈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금형에 모르타르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제2단계;
상기 장착구의 일단이 전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모르타르가 경화해 생성한 패널을 상기 금형으로부터 탈형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장재 장착 패널 제조방법.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철근과, 가이드홈 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일단이 전면으로 노출된 입면체 형상을 이루고 타단은 상기 철근이 안착해 가압하는 안착홈을 갖춘 장착구를 내설하는 콘크리트 재질의 패널; 및
상기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장착구에 끼워져 고정되는 나사못을 매개로 상기 패널에 고정되는 미장재;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장재 장착 패널.
상기의 본 발명은, 금형 또는 장착구에 별도의 핀 등을 적용하지 않아도 상기 금형에 대한 장착구 고정을 신속하고 손쉽게 처리할 수 있고, 상기 장착구를 갖춘 패널을 제조함에 있어서도 금형 또는 장착구 자체의 훼손에 영향을 받으므로 패널 제조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제조방법의 골격 형성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제조방법에서 다수의 장착구가 철근에 일체가 되는 일실시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철근이 장착구를 고정한 일실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제조방법의 패널 형성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제조방법의 미장재 장착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상기 장착구의 다른 실시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구를 고정한 다른 실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미장재의 고정구멍으로 삽입되는 나사못의 설치모습을 개략적으로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장착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제조방법의 골격 형성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제조방법은 미장재(300; 도 5 참고) 고정용 장착구(240)를 갖춘 패널(200; 도 4 참고) 제조기술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장착구(240)는 사용자가 패널(200) 전면에 미장재(300)를 손쉽게 고정할 수 있도록 패널(200)에 구성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부재이다. 도 1은 패널 제조방법에서 패널(200) 성형용 금형(100)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하기 전까지의 골격 형성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골격 형성과정은 금형(100)에 철근(210)을 배근하는 과정(도 1의 (a)도면; 이하 '철근 배근단계')과, 철근(210)이 장착구(240)를 가압하도록 고정하는 과정(도 1의 (b),(c)도면; 이하 '장착구 고정단계')을 포함한다.
1. 철근 배근단계
패널(200) 성형용 금형(100) 내에 패널(200)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철근(210)을 배근한다. 철근(210)은 패널(200)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1층으로 배근한 철근(210)을 예시한다.
본 실시 예에서 금형(100)은 패널(200)의 전면을 성형하는 부분에 돌출된 돌출부(110)를 형성시켜서, 금형(100)으로부터 양생한 패널(200)을 탈형하면 해당 면에 맞물림 홈(201; 도 4 참고)이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맞물림 홈(201)은 미장재(300)가 맞물리는 부분이다. 하지만 패널(200)의 맞물림 홈(201)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100)의 돌출부(110)는 일실시 예이며, 맞물림 홈(201) 없는 블록의 전면에 미장재(300)을 직접 결합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철근(210)을 금형(100)의 해당 위치에 정확히 배근하기 위해서 금형(100)의 측면에 고정심(120)을 보강하고, 철근(210)은 고정심(120)에 얹어 연결한다. 철근(210)과 고정심(120) 간의 연결은 와이어(미 도시함) 등을 매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2. 장착구 고정단계
장착구(240)가 금형(100)의 해당 지점에 위치하며 고정되도록, 장착구(240)를 철근(210)에 고정한다. 여기서, 장착구(240)의 저면에 해당하는 일단은 금형(100) 바닥에 접하고, 평면에 해당하는 타단은 철근(210)과 맞물린다. 계속해서, 금형(100)과 철근(210) 사이에 배치한 장착구(240)가 흔들림 없이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일단에는 금형(100)과 맞물리는 가이드홈(244; 도 2 참고)이 형성되었고, 타단에는 철근(210)과 맞물리는 안착홈(242; 도 2 참고)이 형성되었다.
도 2(본 발명에 따른 패널 제조방법에서 다수의 장착구가 철근에 일체가 되는 일실시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도 3(상기 철근이 장착구를 고정한 일실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를 참고해서 장착구(240)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착구(240)는 별도의 금형핀 또는 고정핀 없이도 금형(100)에 설치되어야 할 지점에 정확히 배치 및 고정될 수 있게 한 기술로서, 이를 위해서 장착구(240)는 평면과 저면을 갖는 입면체 형상을 이루고, 일단(저면에 해당)에는 금형(100) 바닥의 가이드돌기(130)가 맞물리는 가이드홈(244)이 형성되고, 타단(평면에 해당)에는 철근(210)이 맞물리는 안착홈(241)이 형성된다.
가이드홈(244)은 금형(100)에서 다양한 형태를 이루는 가이드돌기(130)가 맞물린다면 특정 형상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반면, 안착홈(241)은 금형(100)에 배근한 철근(210)이 맞물리도록 좌우로 개방된 라인 형상을 이룬다. 또한 안착홈(241)은 장착구(240)가 배치될 지점에 이루어진 철근(210)의 배근 형태와 상응하는 형태를 이루는데, 도 3의 (a)도면에서 보인 장착구(240a)는 1개의 철근(211)만이 안착하는 1개의 안착홈(241)을 이룰 수 있고, 도 3의 (b)도면에서 보인 장착구(240b)는 서로 교차하는 철근(211, 212)이 안착하는 교차된 2개의 안착홈(241)을 이룰 수 있으며, 도 3의 (c)도면에서 보인 장착구(240c)는 교차된 2개의 철근(211, 212)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깊이를 갖는 안착홈(241)을 이룰 수도 있다. 참고로, 장착구의 설치 위치가 규칙적일 경우에는 그 위치에 맞춰 철근(210)이 교차하도록 배근하면 되나, 장착구의 설치 위치가 불규칙적일 경우에는 장착구의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로 철근(210)을 배근해야 하므로, 철근(210) 배근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장착구를 철근(210)이 교차하는 지점에만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일정하게 가압하는 철근(210)으로부터 장착구(240)의 탈선을 방지하고 장착구(240)가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철근(210)과 접하는 장착구(240)의 타단을 확장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장착구(240)의 타단을 단순히 넓히는데 그치지 않고 금형(100)에 타설하는 콘크리트 모르타르(M; 도 4 참고)가 장착구(240)의 외면과 밀착하며 효과적으로 결속하도록, 장착구(240)의 타단 확장은 안착홈(241)의 길이방향으로만 돌출한 지지암(242)에 의해 이루어진다. 결국, 금형(100)으로의 모르타르(M) 타설시 상방으로 노출된 장착구(240)의 타단은 물론 서로 이웃하는 지지암(242) 사이로 노출된 장착구(240)의 둘레면으로도 모르타르(M)가 원활히 유입되어서, 장착구(240)의 외면에 대한 모르타르(M)의 접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금형(100)과 철근(210) 사이에 배치한 장착구(240)는 철근(210)이 가하는 압력에 의해서 현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나, 모르타르 타설 과정에서 금형(100)이 가하는 진동에 의해 이탈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지지암(242)과 철근(210)을 벨트(220)로 묶어 고정할 수 있고, 벨트(220)가 지지암(242)으로부터 쉽게 분리하지 않도록 지지암(242)은 감김홈(242a)을 형성한다. 본 실시 예에서 감김홈(242a)이 지지암(242)의 저면부에만 형성된 것으로 했으나, 지지암(242)을 감는 벨트(220)의 위치를 따라 상기 저면부는 물론 좌우 측면부에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철근(210)을 우선 배근하고 철근(210)과 금형(100) 사이에 장착구(240)를 설치하는 것으로 했으나, 장착구(240)를 금형(100)의 해당 지점에 우선 배치한 후에 장착구(240) 위에 철근을 배근할 수도 있다. 이는 장착구(240)의 일면에 가이드홈(244)이 형성되고 금형(100)의 바닥면에는 가이드돌기(130)가 형성되어서, 작업자가 가이드돌기(130)와 가이드홈(244)이 맞물리는 위치에 장착구(240)를 손쉽게 배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제조방법의 패널 형성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상기 골격 형성과정이 완료하면 패널(200) 형성을 위한 패널 형성과정을 진행한다. 상기 패널 형성과정은 패널(200) 형성을 위해 콘크리트 모르타르(M)를 금형(100)에 타설하는 과정(도 4의 (a)도면; 이하 '모르타르 타설단계')과, 모르타르(M)를 양생하는 과정(도 4의 (b)도면; 이하 '양생단계')과, 양생 과정을 통해 경화된 패널(200)을 금형(100)으로부터 탈형하는 과정(도 4의 (c)도면; 이하 '탈형단계')을 포함한다.
4. 모르타르 타설단계
패널(200)의 소재인 콘크리트 모르타르(M)를 금형(100)에 타설한다. 타설 과정에서 모르타르(M)의 균일한 확산 등을 위해 금형(100)에 진동을 가할 수 있다.
5. 양생단계
금형(100)에 모르타르(M)가 모두 타설되면 일정기간 양생해서 충분한 강도를 갖는 본체(200)로 강화한다.
6. 탈형단계
모르타르(M)의 양생을 완료하면, 생성된 패널(200)을 금형(100)으로부터 탈형한다. 이 과정에서 철근(210) 및 장착구(240) 모두가 패널(200)과 일체가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철근(210)은 고정심(120)에 의해 금형(100)에 고정되었으므로, 탈형시 고정심(120)과 함께 탈형된다. 따라서 패널(200)을 완전히 탈형하면 고정심(120)을 강제로 분리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패널(200)의 전면에는 금형(100)의 돌출부(110)로 인해 맞물림 홈(201)이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방법에 따라 장착구(240)가 패널(200)에 내설되면 장착구(240)는 패널(200)에 함께 내설된 철근(210)의 지지를 받고, 이를 통해서 장착구(240)는 패널(200)의 표면 훼손과 상관없이 항상 제 위치를 유지하며 미장재(3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지지암(242)을 보강한 경우에는 지지암(242)이 앵커 기능을 수행해서 패널(200)과 안착구(240)가 긴밀한 결속을 이룰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제조방법의 미장재 장착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상기 패널 형성과정이 완료하면 미장재(300) 장착을 위한 미장재 장착과정을 진행한다. 상기 미장재 장착과정은 미장재(300)를 본체(200)의 외면에 맞추는 과정(도 5의 (a)도면; 이하 '미장재 배치단계')과, 본체(200)의 외면에 맞춰진 미장재(300)을 고정하는 과정(도 5의 (b)도면; 이하 '미장재 고정단계')을 포함한다.
7. 미장재 배치단계
패널(200)이 완성되면 미장재(300)를 패널(200)의 지정된 일면에 맞춰 배치한다. 일반적으로 미장재(300)는 외관의 자연스러움과 미를 높이기 위한 요소이므로, 패널(200)의 전면에 배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패널(200) 전면에는 맞물림 홈(201)이 형성되고, 미장재(300)는 맞물림 홈(201)에 맞물리도록 배치한다.
8. 미장재 고정단계
패널(200)과 미장재(300)를 나사못(320)을 매개로 고정한다. 나사못(320)은 미장재(300)에 생성한 고정구멍(310)을 관통해서 패널(200)의 장착구(240)에 삽입된다. 본 실시 예에서 장착구(240) 1개당 1개의 나사못(320)이 삽입되는 것으로 했으나, 다수 개의 나사못(320)을 1개의 장착구(240)에 함께 삽입할 수도 있다.
도 6은 상기 장착구의 다른 실시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6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장착구(240d)는 일단에 나사못(320)이 삽입되는 삽입공(245)을 형성한다. 삽입공(245)은 미장재(300)를 관통한 나사못(320)이 장착구(240d)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삽입공(245)은 금형(100)에 타설되는 모르타르(M)가 유입하지 않도록 마개(246)에 의해 폐구되고, 패널(200) 제조가 완료되면 전면에 노출된 마개(246)를 뽑아서 나사못(320)이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공(245)을 개구한다.
본 실시 예에서 삽입공(245)을 가이드홈(244)의 중앙에 형성했으나, 이외에도 나사못(320)을 고정할 수 있는 구간이라면 장착구의 특정 위치에 한정하지 않고 형성할 수 있다.
도 6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장착구(240e)의 가이드홈(244')을 직선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원형 등의 곡선 형태로도 형성할 수 있고, 직선 형태와 곡선 형태를 조합한 형태로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해서 금형(100)의 가이드돌기(130) 또한 가이드홈(244')과 맞물릴 수 있는 형태로 형성한다.
계속해서 장착구(240e)는 모르타르(M)와의 접촉면을 넓히고 패널(200)과의 물리적 결속을 강화하기 위해서 둘레면에 걸림홈(247)을 형성한다. 걸림홈(247)은 금형(100)에 타설하는 모르타르(M)가 유입돼 경화하므로 철근(210)과 더불어서 장착구(240e)를 고정한다. 결국 패널(200) 표면이 마모 또는 훼손되어 장착구(240e) 일단에 대한 지지력이 상실해도 걸림홈(247)에 의한 지지력과 철근(210)에 의한 지지력이 장착구(240e)를 지탱하므로, 패널(200)과 미장재(300) 간의 안정된 결속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걸림홈(247)이 장착구(240e)의 둘레면을 따라 연속해 형성된 홈으로 했으나, 이외에도 상기 둘레면을 따라 다수 개가 독립해 형성된 홈일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구를 고정한 다른 실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미장재의 고정구멍으로 삽입되는 나사못의 설치모습을 개략적으로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장착구를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장착구과 금형은 서로 간의 배치 지점을 맞추기 위해서 가이드홈과 가이드돌기를 각각 형성한다. 앞선 실시 예에서 장착구는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금형은 가이드돌기를 형성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실시 예에서 장착구(240')는 가이드돌기(248)를 형성하고, 금형(100')은 가이드홈(140)을 형성한다. 더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는 장착구(240')의 가이드돌기(248)를 핀 형태로 돌출시키고, 금형(100')의 가이드홈(140)은 가이드돌기(248)가 맞물리는 핀 구멍 형태로 형성한다. 결국, 도 7의 (a)도면 및 도 9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가이드돌기(248)를 가이드홈(140)에 삽입해서 해당 장착구(240')를 금형(100')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한다. 이외에도 본 실시 예의 장착구(240f; 도 9 참고)는 안착홈(241")이 형성되는 단부에 모르타르와의 결속을 강화하기 위한 오목부(249)가 형성될 수도 있다. 참고로, 장착구(240f)의 가이드돌기(248)는 선 형태로 돌출될 수도 있고, 일반 핀 형태로만 돌출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금형(100')과의 맞물림을 위한 형상이라면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계속해서, 금형(100')에 장착구(240')가 배치되면 배근, 타설 및 양생을 통해 패널(200)을 완성하고, 패널(200)의 전면에 미장재(300)를 고정한다. 이때, 도 7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미장재(300)의 고정구멍(310)을 가이드돌기(248)에 맞춰 형성해서 가이드돌기(248)가 미장재(300)의 고정구멍(310)에 삽입될 수 있게 한다.
가이드돌기(248)가 미장재(300)의 고정구멍(310)에 삽입되면 미장재(300) 또한 패널(200)의 지정 위치에 정확히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돌기(248)가 삽입된 고정구멍(310)으로 나사못(320)을 삽입하면 나사못(320)은 가이드돌기(248)로 삽입되며 장착구(240')에 고정된다. 한편, 가이드돌기(248)는 장착구(240')의 삽입으로 확장하면서 고정구멍(310)의 내벽에 밀착한다.
나사못(320)의 고정과정을 도 8을 참고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8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장착구(240')의 가이드돌기(248)는 미장재(300)의 고정구멍(310)에 삽입된다. 이후, 도 8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나사못(320)은 고정구멍(310)으로 삽입되면서 가이드돌기(248)에 끼워지고, 가이드돌기(248)는 나사못(320)의 삽입에 의해 확장하면서 고정구멍(310)의 내벽에 밀착한다. 결국, 가이드돌기(248)는 장착구(240')에 대한 나사못(320)의 삽입 깊이를 높여서 나사못(320)을 매개로 한 패널(200)과 미장재(300) 간의 결속률을 높이고, 더불어서 고정구멍(310)에서의 패킹 기능까지 갖추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금형 110; 돌출부 120; 고정심
200; 패널 210; 철근 220; 벨트
240, 240'; 장착구 241; 안착홈 242; 지지암
244; 가이드홈 245; 삽입공 246; 마개
247; 걸림홈 248; 가이드돌기 300; 미장재
310; 고정구멍 320; 나사못

Claims (7)

  1. 금형에 철근을 배근하고 상기 금형과 철근 사이에 입면체 형상의 장착구를 배치하되, 상기 장착구의 일단은 상기 금형과 가이드홈 및 가이드돌기의 맞물림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장착구의 타단은 상기 철근이 안착해 가압하는 안착홈을 형성한 제1단계;
    상기 금형에 모르타르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제2단계;
    상기 장착구의 일단이 전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모르타르가 경화해 생성한 패널을 상기 금형으로부터 탈형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장재 장착 패널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패널의 전면에 미장재를 맞추는 제4단계; 및
    나사못을 상기 미장재의 고정구멍으로 관통해서 상기 장착구에 삽입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장재 장착 패널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구의 타단에는 상기 안착홈을 따라 돌출된 지지암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장재 장착 패널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과 철근을 감싸 고정하는 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장재 장착 패널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구의 둘레면에 모르타르 유입을 위한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장재 장착 패널 제조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구는 패널의 전면에 돌출되어 상기 고정구멍으로 삽입하는 가이드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나사못은 상기 고정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돌기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장재 장착 패널 제조방법.
  7. 삭제
KR1020150023423A 2015-02-16 2015-02-16 미장재 장착 패널 제조방법과 패널 KR101547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423A KR101547339B1 (ko) 2015-02-16 2015-02-16 미장재 장착 패널 제조방법과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423A KR101547339B1 (ko) 2015-02-16 2015-02-16 미장재 장착 패널 제조방법과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7339B1 true KR101547339B1 (ko) 2015-08-26

Family

ID=54061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423A KR101547339B1 (ko) 2015-02-16 2015-02-16 미장재 장착 패널 제조방법과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3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912B1 (ko) * 2015-09-01 2016-10-20 박미녀 옹벽패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560B1 (ko) * 2013-08-23 2014-12-31 박미녀 멀티 장착구에 의한 자연석재가 장착되는 패널 및 그 시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560B1 (ko) * 2013-08-23 2014-12-31 박미녀 멀티 장착구에 의한 자연석재가 장착되는 패널 및 그 시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912B1 (ko) * 2015-09-01 2016-10-20 박미녀 옹벽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4337B2 (en) Formwork panel for concreting formworks
KR101547339B1 (ko) 미장재 장착 패널 제조방법과 패널
KR101944344B1 (ko) 장식패널 일체형 옹벽 단위블록
US20120252593A1 (en) Bowling ball with indicia and method therefor
JP7461180B2 (ja) プレキャスト部材の鉄筋挿入孔の形成方法、プレキャスト部材の接合方法およびプレキャスト部材の製造方法
KR101900689B1 (ko)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건물의 벽체 시공방법
KR101658606B1 (ko) 장식패널 장착형 블록 제조방법과 블록
KR100973780B1 (ko) 콘크리트 건축 부재의 성형틀 제조방법 및 그 성형틀
KR100362356B1 (ko) 장식블록의 성형방법
JP3831069B2 (ja) 雄抜型を備えたコンクリート製品成形型および雄抜型の取付方法
KR101187031B1 (ko) 보조형틀을 활용해 하나의 형틀로부터 다양한 블록을 제조하는 블록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작된 블록
KR101859406B1 (ko)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CN207892233U (zh) 结构与装饰一体化的现浇混凝土用弹性装饰造型模板系统
JP6839622B2 (ja) コンクリート床版の接合構造、コンクリート床版の接合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床版の製造方法
JP4667351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用の型構造、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用の型構造に用いられるホルダー、およ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造方法
JPH07329110A (ja) バン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7175528U (zh) 一种采用预制冲筋的墙面施工结构
JP2000006127A (ja) コンクリート成形品の取付穴の形成方法および雄成形型
KR101857536B1 (ko) 콘크리트 요철판를 이용한 타설 시기를 달리하는 콘크리트 연결면 시공방법
JP2009226777A (ja) 貫通孔成形用ピ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造方法
JP3105911U (ja) Frp管スリーブ
KR101915181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JP6382170B2 (ja) 残存型枠
KR200281375Y1 (ko) 거푸집 간격유지용 고정도구
KR100950272B1 (ko) 조형물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