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718Y1 -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718Y1
KR200271718Y1 KR2020020000688U KR20020000688U KR200271718Y1 KR 200271718 Y1 KR200271718 Y1 KR 200271718Y1 KR 2020020000688 U KR2020020000688 U KR 2020020000688U KR 20020000688 U KR20020000688 U KR 20020000688U KR 200271718 Y1 KR200271718 Y1 KR 2002717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apartment
fixing
building
fix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6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명현
Original Assignee
도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명현 filed Critical 도명현
Priority to KR20200200006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7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7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718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유로폼거푸집(100a)과 갱폼거푸집(100b)사이에 끼워 고정시키는 세파타이(120)와, 상기 세파타이(120)의 타측단에 결합하는 연결너트(150)와, 상기 연결너트(150)측의 갱폼거푸집(100b)에 용접하여 고정시키는 마감스페이스(110), 및 상기 연결너트(150)에 결합하여 거푸집(100a,100b)의 간격을 정확하게 고정시키는 본체볼트(130)로 구성하므로 거푸집의 제거 후 곧바로 표면의 마무리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공수를 줄이고 콘 제거에 따른 인력의 소모를 방지하며 이에 따른 안전사고의 우려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견고하고 정확한 간격으로 거푸집을 연접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FORM FIXING STRUCTURE FOR CONSTRUCTING OUTER WALL OF APARTMENT}
본 고안은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아파트 등의 건축물 벽체를 구축하기 위해 거푸집을 고정하는 고정구조로 거푸집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푸집의 제거 후 마무리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건축공사에 있어서 외벽체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거푸집(유로폼)과 거푸집(갱폼)을 상호 대응되게 설치하여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외벽체를 구축하였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써, (가)는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나)는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에서 거푸집을 제거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다)는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에서 마무리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과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거푸집을 고정하는 고정구조는 일측단을 유로폼거푸집(100a)과 갱폼거푸집(100b)사이에 끼워 고정시키는 세파타이(120)와, 상기 세파타이(120)의 타측단에 결합하는 콘(150)과, 상기콘(150)에 결합하여 거푸집(100a,100b)의 간격을 정확하게 고정시키는 본체볼트(130)로 구성하였다.
상기 세파타이(120)는 금속봉의 일측을 프레싱하여 지지판부를 형성하고 지지판부에 고정구멍(121)을 형성하여 유로폼거푸집(100a)의 외부 측에서 쐐기 등의 고정구를 끼워 일측을 고정시키도록 하며 타측단에 나사를 형성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콘(150)은 내부에 나사공을 형성하여 세파타이(120)의 타측단에 형성된 나사에 결합하되 나팔형상으로 형성시켜 그 외부측 단이 갱폼거푸집(100b)의 표면에 밀착되게 하였다.
상기 본체볼트(130)는 갱폼거푸집(100b)의 볼트구멍(101)을 관통하여 콘(150)에 완전히 결합하고 컵와셔(131)를 끼운 다음 윙너트(132)로 조여 갱폼거푸집(100b)이 콘(150)에 완전히 밀착되게 하므로 정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거푸집을 고정하는 고정구조는 유로폼거푸집(100a)과 갱폼거푸집(100b)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거푸집(100a,100b)을 제거한 다음 경화된 콘크리트에 박힌 콘(150)을 일일이 제거하여야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인력의 낭비를 초래하였다.
특히 콘(150)은 나팔형상의 외부 조립품이 PVC로 형성된 경우 콘크리트의 타설로 인한 강한압력으로 쉽게 변형되고 이 경우 변형된 콘(150)의 제거가 매우 까다로운 결점이 있었다.
나아가, 아파트 등의 최 외벽체인 경우, 콘(150)의 제거가 매우 까다롭고 위험하여 작업 효율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심지어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주목적은 아파트 등의 벽체 공사 등에서 갱폼거푸집의 제거 후 곧바로 표면의 마무리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콘 조립 및 제거에 따른 인력의 소모를 방지하고 이에 따른 안전사고의 우려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견고하고 정확한 간격으로 거푸집을 연접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써,
(가)는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나)는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에서 거푸집을 제거한 상태의 단면도.
(다)는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에서 마무리한 상태의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의 마감스페이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써,
(가)는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나)는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에서 거푸집을 제거한 상태의 단면도.
(다)는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에서 마무리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a, 유로폼거푸집 100b : 갱폼거푸집
101 : 볼트구멍 102 : 가이드홈
110 : 마감스페이서 111 : 걸림턱
112 : 볼트구멍 113 : 용접홈
120 : 세파타이 121 : 고정구멍
122 : 메인고정핀 123 : 보조고정핀
124 : 절단홈 130 : 본체볼트
131 : 컵와셔 132 : 윙너트
140 : 지지프레임 150 : 연결너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는 거푸집과 거푸집사이에 끼워 고정시키는 간격유지볼트와, 상기 간격유지볼트의 타측단에 결합하는 연결너트와, 상기 연결너트측의 거푸집에 용접하여 고정시키는 가이드구, 및 상기 연결너트에 결합하여 거푸집의 간격을 정확하게 고정시키는 조임나사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에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의 마감스페이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며,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써, (가)는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나)는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에서 거푸집을 제거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다)는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에서 마무리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는 유로폼거푸집(100a)과 갱폼거푸집(100b)사이에 끼워 고정시키는 세파타이(120)와, 상기 세파타이(120)의 타측단에 결합하는 연결너트(150)와, 상기 연결너트(150)측의 갱폼거푸집(100b)에 용접하여 고정시키는 마감스페이서(110), 및 상기 연결너트(150)에 결합하여 거푸집(100a,100b)의 간격을 정확하게 고정시키는 본체볼트(130)로 구성한다.
상기 세파타이(120)는 금속봉의 일측을 프레싱하여 지지판부를 형성하고 지지판부에 고정구멍(121)을 형성하여 유로폼거푸집(100a)의 외부 측에서 쐐기 등의 고정구를 끼워 일측을 고정시키도록 하며 타측단에 나사를 형성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세파타이(120)는 금속봉의 일측을 프레싱하여 유로폼거푸집(100a)의 가이드홈(102)에 끼워져 고정되는 지지판부를 형성하되 지지판부에 고정구멍(121)을 형성하여 유로폼거푸집(100a)의 외부 측에서 메인고정구(122)를 끼워 일측을 고정시키도록 하고 메인고정구(122)의 구멍에 보조고정구(123)를 끼워 견고하게 고정시키며 지지판부의 소정위치에 절단홈(124)을 형성하여 유로폼거푸집(100a)의 제거 후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판부를 간편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세파타이(120)의 타측단에는 소정 길이로 나사를 형성하여 간격을 정확히 세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너트(150)는 내부에 나사공을 형성하여 세파타이(120)의 타측단에 형성된 나사에 결합하되 연결너트(150)의 1/2만 체결하도록 제작하여 현장에서 갱폼거푸집(100b)의 세팅시 본체볼트(130)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감스페이서(110)는 갱폼거푸집(100a)에 형성된 볼트구멍(101)의 내주연과 일치되는 걸림턱(111)을 형성하고 머리부분을 돌출되게 형성하되 본체볼트(130)가 관통되는 볼트구멍(112)을 형성하며 머리부분의 외주연에 용접홈(113)을 형성하여 철재로 된 갱폼거푸집(100b)에 튼튼하고 깨끗하게 용접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볼트(130)는 갱폼거푸집(100b)의 볼트구멍(101)을 관통하여 연결너트(150)에 완전히 결합시킨 다음 컵와셔(131)를 끼우고 윙너트(132)로 조여 갱폼거푸집(100b)에 부착된 마감스페이서(110)가 연결너트(125)에 완전히 밀착되게 하므로 정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과 동시에 콘크리트 및 이물질이 새어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적층되어 조립되는 유로폼거푸집(100a)의 가이드홈(102)에 세파타이의 지지판부를 위치시켜 유로폼거푸집(100a)을 적층하고 외부로 노출된 지지판부의 고정구멍(121)에 메인고정구(122)를 끼워 고정시킨 다음 메인고정구(122)의 구멍에 보조고정구(123)를 끼워 견고하게 고정시키되 세파타이(120)의 타측단에 형성된 나사에 연결너트(150)를 완전히 결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너트(150)에 마감스페이서(110)가 용접된 갱폼거푸집(100b)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마감스페이서(110)의 볼트구멍(112)으로 본체볼트(130)를 삽입하여 연결너트(150)에 결합한 다음 컵와셔(131)를 끼우고 윙너트(132)로 조여 견고하게 조립한다.
따라서 연결너트(150)에 마감스페이서(110)가 밀착되고 이로 인하여 갱폼거푸집(100b)과 유로폼거푸집(100a)은 정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본체볼트(130)는 갱폼거푸집(100b)에 지지프레임(140)을 설치하고 이를 관통시켜 조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조립이 완료되면, 내부에 콘크리트 등을 타설하고 완전히 경화되면 본체볼트(130)를 분리하고 갱폼거푸집(100b)의 제거한다.
이때 경화된 콘크리트(2)에 박힌 연결너트(121) 부분은 마감스페이서(110)로 인하여 약간 오목하게 파인 상태가 되고 여기를 시멘트 몰탈 등을 채워 연결너트(121)를 콘크리트(2) 내부에 함몰시켜 마무리한다.
또한 세파타이(120)의 메인고정구(122)의 구멍에 끼워진 보조고정구(123)를 제거하고 다시 지지판부 볼트구멍(121)에 끼워진 메인고정구(123)를 분리한 후 유로폼거푸집(110a)을 제거하고 절단홈(124)을 통하여 돌출된 지지편부을 간편하게 절단하여 제거한 다음 시멘트 몰탈 등의 채워 마무리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는 유로폼거푸집(100a)과 갱폼거푸집(100b)사이에 끼워 고정시키는 세파타이(120)와, 상기 세파타이(120)의 타측단에 결합하는 연결너트(150)와, 상기 연결너트(150)측의 갱폼거푸집(100b)에 용접하여 고정시키는 마감스페이서(110), 및 상기 연결너트(150)에 결합하여 거푸집(100a,100b)의 간격을 정확하게 고정시키는 본체볼트(130)로 구성하므로 거푸집의 제거 후 곧바로 표면의 마무리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공수를 줄이고 콘 제거에 따른 인력의 소모를 방지하며 이에 따른 안전사고의 우려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견고하고 정확한 간격으로 거푸집을 연접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유로폼거푸집(100a)과 갱폼거푸집(100b)사이에 끼워 고정시키는 세파타이(120)와,
    상기 세파타이(120)의 타측단에 결합하는 연결너트(150)와,
    상기 연결너트(150)측의 갱폼거푸집(100b)에 용접하여 고정시키는 마감스페이서(110), 및
    상기 연결너트(150)에 결합하여 거푸집(100a,100b)의 간격을 정확하게 고정시키는 본체볼트(13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스페이서(110)는 갱폼거푸집(100a)에 형성된 볼트구멍(101)의 내주연과 일치되는 걸림턱(111)을 형성하고 머리부분을 약간 돌출되게 형성하되 본체볼트(130)가 관통되는 볼트구멍(112)을 형성하며 머리부분의 외주연에 용접홈(113)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
KR2020020000688U 2002-01-09 2002-01-09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 KR2002717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688U KR200271718Y1 (ko) 2002-01-09 2002-01-09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688U KR200271718Y1 (ko) 2002-01-09 2002-01-09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718Y1 true KR200271718Y1 (ko) 2002-04-10

Family

ID=73115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688U KR200271718Y1 (ko) 2002-01-09 2002-01-09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71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461B1 (ko) * 2002-09-28 2005-03-10 주식회사 진성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구
KR100715788B1 (ko) * 2005-02-28 2007-05-07 박점록 거푸집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461B1 (ko) * 2002-09-28 2005-03-10 주식회사 진성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구
KR100715788B1 (ko) * 2005-02-28 2007-05-07 박점록 거푸집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823B1 (ko) 충전형 앵커 소켓을 이용한 보 단면증설 방법
JP5213249B2 (ja) 既成コンクリート杭の杭頭部構造及び杭頭部形成方法
KR20060052756A (ko) 철근이음장치
KR200271718Y1 (ko) 아파트 외벽체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조
KR200402917Y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 타이볼트
KR100715788B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200291482Y1 (ko)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구
KR20100009320U (ko) 배관 연결용 관통 슬리브
KR100850230B1 (ko) 입상 성형 슬리브 설치 구조체 및 그것을 이용한 공사 방법
JP4676447B2 (ja) 外装コンクリート管の製造方法及び外装コンクリート管製造用型枠
KR200306733Y1 (ko) 콘크리트 거푸집의 고정장치
JPH06341226A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のコーンとこのコーンに用いる型枠締付け金具
KR200392006Y1 (ko) 세파타이
KR200321433Y1 (ko) 거푸집용 세파타이
KR100475461B1 (ko)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구
JP2566851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材製造法と型枠
JPS6315390Y2 (ko)
JPH0242830Y2 (ko)
KR200345020Y1 (ko) 콘크리트 타설용 내,외부폼의 결속장치
JP2000328556A (ja) 杭の継手構造
KR200345032Y1 (ko) 거푸집 고정장치
JP4308403B2 (ja) 型枠用セパレータ支持具
KR200272780Y1 (ko) 거푸집 시스템
JPH0238988Y2 (ko)
JPS631125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