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136Y1 - 포유병에 연결되는 가스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포유병에 연결되는 가스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136Y1
KR200367136Y1 KR20-2004-0022303U KR20040022303U KR200367136Y1 KR 200367136 Y1 KR200367136 Y1 KR 200367136Y1 KR 20040022303 U KR20040022303 U KR 20040022303U KR 200367136 Y1 KR200367136 Y1 KR 2003671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fluid guide
mammal
fluid
annula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3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리엄슈
Original Assignee
퉁링 인더스트리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퉁링 인더스트리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퉁링 인더스트리얼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23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1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1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1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가스방지장치는 포유병에 연결되며, 꼭지와 포유병의 본체 사이에 피팅되어 병내에 일방향 흐름경로를 정의하는 유체 가이드 및 유체 가이드의 하부 테두리 주위에 피팅되어 포유병의 본체에 위치되는 기포 수집기를 포함한다. 빨던 꼭지를 놓는 순간 병으로 들어가는 공기는 유체 가이드를 통해 기포 수집기로 안내되어 병내의 유체와 섞이지 않고 또한 유아의 위장으로 흡수되어 불필요한 가스를 유발하지 않고 포유병 바닥에 쌓이게 된다.

Description

포유병에 연결되는 가스방지장치{FLATULENCY-PREVENTING DEVICE ASSOCIATED WITH NURSING BOTTLE}
본 고안은 포유병에 포함되는 가스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스방지장치는 유체속의 가스가 자동으로 유체의 높은 위치로 떠오르는 원리를 이용하며, 포유병내의 유체에 대한 일방향 경로를 한정하여, 병속으로 들어가는 공기가 유체와 혼합되어 유아의 위장에 흡수되어 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포유병은 단일의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본체, 및 그 상부에 제공되는 기공을 갖는 꼭지(nipple)를 포함한다. 유아가 꼭지를 빨다가 꼭지를 입에서 떼어 놓는 순간, 이미 개방되어 있는 기공을 통해 꼭지로 공기가 들어가, 포유병내에서 천천히 부유되는 기포를 형성한다. 기포의 일부는 유아가 다시 꼭지를 빨 때 포유병내의 유체로 빨려 들어가, 유체와 함께 유아의 위장으로 들어가서 가스를 유발한다. 따라서, 유아의 위장으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포유병으로 포유시킨 후 매번 유아의 등을 토닥여줄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포유병 제조사들에 의해 많은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대부분 과거의 시도들은 꼭지상의 기공을 통해 포유병으로 들어가는 공기를 자연스럽게 안내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사실상, 공기는 항상 한 번 빤 후 꼭지가 놓여지게 되는 순간에 포유병으로 들어가서, 동시에 병속으로 재유입되는 유체와 혼합된다. 포유병으로 들어간 공기는 기포를 형성하고 천천히 유체상에 부유된다. 따라서, 포유병으로 들어가는 공기가 유체와 섞이지 않고 또한 유아의 위장으로 흡수되어 가스를 유발하지 않도록 유체 외부에서 부유되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포유병으로 포유한 후에 불필요한 가스로부터 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포유병을 구성하는 가스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가스방지장치를 갖는 포유병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포유병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포유병의 단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 사시도가 취해진 위치를 나타내는 도 1의 포유병의 단면도.
도 5는 가스방지장치가 작동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 1의 포유병의 또 다른 단면 사시도.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스방지장치는 꼭지와 포유병의 본체 사이에 피팅되어 병내의 일방향 경로를 정의하는 유체 가이드 및 유체 가이드의 하부 테두리 주위에 피팅되어 포유병의 본체에 위치되는 기포 수집기를 포함한다. 빨던 꼭지를 놓는 순간 포유병으로 들어가는 공기는 유체 가이드를 통해 기포 수집기로 안내되어 병내의 유체와 섞이지 않고, 유아의 위장으로 흡수되어 불필요한 가스를 유발하지 않고, 포유병의 바닥에 쌓이게 된다.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구조적 및 기술적 수단은 다음의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도면들을 참조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과 관련한 가스방지장치를 갖는 포유병의 사시도인 도 1을 참조하면, 포유병은 기본적으로 일반적인 포유병과 구조적으로 유사하며, 본체(1), 두껑(2), 및 그 상부에 기공(31)을 갖는 꼭지(3)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1의 포유병은 흐름 안내 메카니즘으로서 독특한 가스방지장치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도 1의 포유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방지장치는 뚜껑(2)과 꼭지(3) 밑 포유병의 본체(1)에 피팅되며, 유체 가이드(4) 및 기포 수집기(5)를 포함한다. 본체(1)에 장착된 가스방지장치로, 본체(1)에 의해 정의되는 내부 챔버(11)는 유체가 포유병 내에서 일방향으로만 순환하도록 된다.
유체 가이드(4)는 실질적으로 고리모양 벽을 갖는 환형 부재이다. 유체 가이드(4)는 주로, 고리모양 벽의 상부 테두리로부터 방사상으로 외부로 연장되는 플랜지(41), 최상부 방출구(43)를 정의하는 상향돌출형의 오목한 중앙 허브(46), 및 상기 중앙 허브(46)와 고리모양 벽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 막대(45)를 포함한다. 연결 막대(45)는 오목 부재들로서, 각각 고리모양 벽상의 하부 유입구(42)를 정의하는 방사상의 외단부를 갖는다. 하부 유입구(42)들은 중앙 허브(46)의 최상부 유출구(43)와 연통가능하다. 고리모양 벽과 중앙 허브(46)사이의 유체 가이드(4)내의 공간과 연결 막대(45)들은 역류 관통홀(44)들을 형성한다. 역류 홀(44)들의 갯수는 연결막대(45)들의 갯수에 따른다. 기포 수집기(5)는 유체 가이드(4)의 고리모양 벽의 하부 테두리 주위에 피팅되며, 기포 수집기 챔버(51)로 기능하는 확장형 상부와 포유병 본체(1)의 내측 바닥에 근접한 지점으로 연장하도록 되는 하향축소 테이퍼형의 하부 평판부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가스방지장치와 도 1의 포유명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 사시도가 취해지는 부위를 나타낸 도 1의 포유병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꼭지(3)와 본체(1)의 내측 챔버(11)는 함께 포유병 내부에 완전한 공간을 구성하며, 꼭지(3)와 본체(1) 사이에 유체 가이드(4)가 위치되도록 하여 포유병의 완전한 공간을 두 부분으로 분리하게 된다. 내측 챔버(11)는 유체 가이드(4)의 고리모양 벽상의 연결 막대(45)의 하부 유입구(42)들을 통해서 최상부 유출구(43)와 연통가능하다. 최상부 유출구(43)는 꼭지(3)의 오목한 내측으로 상향 돌출되어 있다. 유체 가이드(4)에 정의된 역류 홀(44)은 유입구(42) 높이 보다 낮게 위치되며, 기포 수집기(5)의 기포수집 챔버(51)를 꼭지(3)와 연통시킨다. 역류 홀(44)들은 기포 수집기(5)의 하향으로 연장되는 튜브부분을 통해 포유병의 내측 챔버의 바닥과 연통가능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가스방지장치를 갖는 포유병이 유아(도시 생략)가 빨기 적합한 경사진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꼭지(3)를 빨았다가 놓을 때, 공기가 순간적으로 기공(31)을 통해 꼭지(3)로 들어가, 이로 흐르는 유체(M)가 있는 꼭지(3)에 재빨리 기포(B)를 형성한다. 기포(B)는 유체(M) 보다 가볍기 때문에, 경사진 포유병의 더 높은 쪽으로 부유한다. 빨던 꼭지(3)를 놓는 순간에, 기포(B)는 재빨리 역류 홀(44)을 통과하여 기포 수집 챔버(51)로 안내되며, 기포 수집기(5)의 축소형 튜부 부분으로 흘러 나가면서 조금씩 모아진다. 꼭지(3)를 다시 빨기 시작할 때, 기포(B)가 없는 유체(M)가 유체 가이드(4)의 고리모양 벽상의 하부 유입구(42)를 통해 중앙 허브(46)의 최상부 유출구(43)로 유도되며, 결국 꼭지(3)의 기공(32)으로 흘러 들어간다.
본 고안의 표본에 대해 시험을 행한 결과, 본 고안의 가스방지장치는 포유병으로 들어가는 기포가 포유병으로 유아에게 포유시키는 동안 병속의 유체와 섞이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방지하였다. 따라서, 유아는 종래의 포유병으로 포유될 때 통상 발생하게 되는 불요의 가스로부터 보호된다.

Claims (2)

  1. 포유병에 연결되는 가스방지장치로서,
    상기 포유병은 본체 및 상기 본체와 뚜껑을 통해 피팅되는 꼭지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방지장치는 상기 본체와 상기 꼭지 사이에서 상기 포유병에 피팅되는 유체 가이드, 및 상기 유체 가이드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포유병의 상기 본체에 위치되는 기포 수집기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 가이드는 방사상으로 외부로 연장되는 플랜지가 그 상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고리모양 벽을 갖는 환형부재이며, 최상부 유출구를 정의하는 상향돌출형의 오목한 중앙허브 및 상기 중앙허브와 상기 고리모양 벽 사이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막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막대는 상기 최상부 유출구와 연통되도록 방사상의 외측단부가 상기 고리모양 벽상의 하부 유입구를 정의하는 오목 부재이며; 상기 고리모양 벽과 상기 중앙 허브 사이에 정의된 상기 유체 가이드 내의 공간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막대는 역류 관통홀로 기능하며; 및
    상기 기포 수집기는 상기 유체 가이드의 상기 고리모양 벽의 하부 테두리 주위로 피팅되며, 확장형 상부 기포수집 챔버 및 상기 기포수집 챔버 아래에 하향축소 테이퍼형의 튜브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기포 수집기의 상기 튜브 부분의 하단은 상기 포유병의 상기 본체의 내측 바닥으로 근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유체 가이드 및 상기 기포 수집기는 함께 흐름 안내 메카니즘으로 기능하여, 상기 꼭지로 들어간 공기는 상기 역류 관통홀들을 통해 상기 기포 수집기로안내되는 반면, 상기 포유병 내의 유체는 상기 고리모양 벽상의 상기 연결 막대의 상기 하부 유입구 및 상기 중앙 허브상의 상기 최상부 유출구를 통해 상기 꼭지로 안내되어, 상기 포유병으로 들어간 공기에 의해 형성된 기포가 상기 포유병내의 유체와 섞여서 유아의 위장으로 흡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가이드는 적어도 두 개의 연결 막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방지장치.
KR20-2004-0022303U 2004-08-04 2004-08-04 포유병에 연결되는 가스방지장치 KR2003671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303U KR200367136Y1 (ko) 2004-08-04 2004-08-04 포유병에 연결되는 가스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303U KR200367136Y1 (ko) 2004-08-04 2004-08-04 포유병에 연결되는 가스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136Y1 true KR200367136Y1 (ko) 2004-11-10

Family

ID=49440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303U KR200367136Y1 (ko) 2004-08-04 2004-08-04 포유병에 연결되는 가스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13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485B1 (ko) * 2005-06-14 2009-05-26 뉴 벤트 디자인스, 인크 젖병 조립체
KR200451532Y1 (ko) 2010-06-03 2010-12-20 안명선 착탈식 공기 배출 장치로 공기를 배출 하는 우유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485B1 (ko) * 2005-06-14 2009-05-26 뉴 벤트 디자인스, 인크 젖병 조립체
KR200451532Y1 (ko) 2010-06-03 2010-12-20 안명선 착탈식 공기 배출 장치로 공기를 배출 하는 우유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36353A1 (en) Flatulency-preventing device associated with nursing bottle
CA2328339C (en) Waterslide bowl
KR100647197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US7210596B1 (en) Child's drinking cup
HU192223B (en) Claw for milking machines
RU2733476C2 (ru) Раздел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бутылочки для кормления и бутылочка для кормления
US7044316B1 (en) Straw set with a ventilating structure
JPS5949763A (ja) 尿滴下室
JP2012520404A5 (ko)
US6438766B1 (en) Swimming pool bottom flushing device
KR200367136Y1 (ko) 포유병에 연결되는 가스방지장치
JP4185076B2 (ja) こんろ用バーナ
JP2000213033A (ja) 床排水トラップ
SE503529C2 (sv) Handfatsventil med integrerat vattenlås
EP2981342A2 (en) Hydraulic fluid reservoir with improved de-aeration
JP4754716B2 (ja) 阻集器
JP2002052301A (ja) オゾン水生成器
EP3598964B1 (en) Partitioning component for a feeding bottle device and feeding bottle device
CN208435523U (zh) 用于水槽洗碗机的呼吸器和水槽洗碗机
CN212164598U (zh) 一种防蚂蚁隧道式带帽雨水自动收集喂鸟装置
RU2803381C2 (ru) Раздел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бутылочки для кормления и бутылочка для кормления
JP2007211580A (ja) 排水トラップおよび排水トラップを備えた浴室
EP3906005B1 (en) Baby feeding bottle
JP2003250864A (ja) 哺乳瓶用管状キャップ
CN211203150U (zh) 一种清洗机排水管防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