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532Y1 - 착탈식 공기 배출 장치로 공기를 배출 하는 우유병 - Google Patents

착탈식 공기 배출 장치로 공기를 배출 하는 우유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532Y1
KR200451532Y1 KR2020100005880U KR20100005880U KR200451532Y1 KR 200451532 Y1 KR200451532 Y1 KR 200451532Y1 KR 2020100005880 U KR2020100005880 U KR 2020100005880U KR 20100005880 U KR20100005880 U KR 20100005880U KR 200451532 Y1 KR200451532 Y1 KR 2004515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ilk
hole
air discharge
milk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8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명선
Original Assignee
안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명선 filed Critical 안명선
Priority to KR20201000058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5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5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532Y1/ko
Priority to PCT/KR2010/009435 priority patent/WO2011081412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4Feeding-bottles in general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 공기가 배출 되는 우유병(20)에 관 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우유병(20)의 몸체(30)의 상부에 구멍(80)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80)에는 탄력성 있는 재질로 절단부(70)가 형성된 공기배출부(60)로 이루어진 공기배출 장치로 구성 하고 상기 공기배출부를 막음하는 덮개(110)로 구성하고 상기 구멍(80)에 공기배출부(60)를 삽입하거나 분리하므로 착탈 한다.
공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공기배출기(100)의 삽입구(110A) 부분을 구멍에 삽입된 공기배출부의 내부로 삽입 하고 삽입구 부분이 절단부에 닿으면 절단부가 개방 되어 공기가 배출 되고
공기배출기의 삽입구가 구멍에 삽입된 공기배출부에 형성된 절단부에서 분리하는 찰라 탄성에 의하여 즉시 오무라들어 막음되므로 외부공기도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공기 배출 장치로 공기 배출이 되는 우유병이 제공된다.
구멍, 공기배출부, 절단부,

Description

착탈식 공기 배출 장치로 공기를 배출 하는 우유병{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공기배출부가 삽입된 우유병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공기배출 장치인 공기배출부의 설명도.
도 3은 본 고안의 공기배출기가 작동하는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공기배출부의 절단부가 개방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의 설명〉
20. 우유병 60. 공기배출부
70. 절단부 80. 구멍
100. 공기배출기
본 고안은 공기 배출을 위한 장치가 구비되는 우유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유병은 집에서 우유와 뜨거운 물을 혼합하여서 넣고 아기에게 적절한 온도에 맞추어서 먹인다 그리고 외출 때 에도 간단하게 우유병에 넣어서 야외로 가는데, 이때 기온이 높거나, 야외로 가기 위하여 차를 승차 할 때 차안 등의 온도가 높으면 우유와 함께 유입된 공기 때문에 쉽게 변질이 되고 조금의 시간이 흐르고 먹이려면 우유가가 빠르게 부폐 하게 된다.
그리고 부폐된 우유는 눈으로 정확하게 식별하기 어렵고, 혹시 섭취 하게 되면 세균의 번식 등으로 생명의 위협을 초래하므로 아기의 주식인 우유의 관리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고 모든 정성을 다하여 조심 한다.
그리고 엄마의 젖은 아기에게 완전한 식품이고 모유를 먹일때는 모유에 공기가 들어 있지 않아 아기가 먹기 쉽고 소화도 잘되지만 엄마의 건강이 나쁘거나. 직장을 다니거나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하여 우유를 먹이는데 이때 우유병 속의 공기를 우유와 함께 마시거나 삼키는 과정에서 우유와 공기를쭉 빠는데 입속에서 공기 때문에 목으로 삼키려면 매우 힘이 든다 실제로 마셔보면 성인에게도 힘드는데 아기는 아마 고통스러울 정도이지만 부모들이 실제로 아기의 입장에서 5분 이상 마셔보면 입속에서 꿀꺽 목으로 삼키기 힘드는데 부모는 마셔보지도 않으면서 아기에게 무리하게 먹인다. 그래서 우유먹는 아기는 입주변은 거품우유가 묻는 것을 관찰 할 수 있다.
그리고 우유와 함께 공기가 위에 들어가면 위장이 부담이 되므로 억지로 트림을 시키는데 이 상태가 이유식 기간을 포함하면 일년 가까이 된다 아기를 안고 등을 아래로 두드려 트림을 시켜야 소화가 되고 이 과정을 생략하면 아기의 생명에도 위험하다.
일반적으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우유병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기술이 있는데 이는 우유병의 우유가 줄어들면 우유가 잘 나오지 않아서 고안된 기술이며 우유의 변질을 지연 시키거나 아기의 고통과 건강은 고려하지 않는 기술이다. 그리고 또한 공기가 우유병의 꼭지 부분을 통하여 아기가 마시면 꼭지 절단선 부분이 꼭지의 남음 부분으로 들어가므로 공기가 찬 꼭지를 엄마 등 보호자가 식별 할 수 있게 하는데 이것은 우유병 내부의 공기를 차단하거나 배출하는 기술이 아니고 임시방편으로 공기와 우유를 먹이는 것을 지연 하고 또한 아기가 공기를 우유와 함께 마시게 되는 것을 예방하거나 차단하기 어렵다.
본 고안의 목적은, 우유병(20)의 몸체(30) 상부에 구멍(80)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80)에는 탄력성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절단부(70)가 형성된 공기배출부(60)로 이루어진 공기 배출 장치를 구비 하고 상기 공기 배출 장치를 구멍에 삽입하거나 분리하므로 착탈한다. 상기 공기배출부(60)를 막음하는 덮개(110)로 구성하고, 공기배출부의 절단부 부분을 통하여 우유병(20) 내부에 유입된 공기가 배출된다. 공기배출부에 형성된 절단부(70)는 공기 배출기(100)의 삽입부를 절단부에서 분리하는 찰라 탄력성 있는 탄성에 의하여 절단선이 있는 절단부가 즉시 오무라들어 외부의 공기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공기 배출 장치로 공기를 배출하는 우유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공기를 배출하는 우유병(20)에 있어서,
상기 우유병(20)은 절단선(42)이 형성된 꼭지(41)를 포함하는 꼭지부(40)와 몸체(30)로 이루어진 우유병(20)의 내부에 있는 공기를 배출하는 우유병인데
상기 우유병(20)의 몸체(30)의 상면에 구멍(80)을 형성하고, 절단부(70)와 턱(90)이 형성된 공기배출부(60)와 상기 공기배출부를 막음하는 덮개(110)를 포함하는 공기 배출 장치(65)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배출 장치(65)는 몸체(30)의 구멍(80)에 삽입하거나 착탈 하고, 공기배출부가 구멍에 삽입되면 공기배출기(100)를 삽입된 공기배출부의 내부에 삽입하고 작동하면 절단부(70) 부분이 개방되어서 공기가 배출되는 착탈식 공기배출 장치로 공기를 배출하는 우유병이다.
삭제
상기 고안은 우유병(20)의 몸체 상면에 공기 배출 장치인 공기 배출부(60)를 구멍(80)에서 착탈 하므로 내부 진공 상태를 해제 하고 우유병의 세척이 쉽게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공기 배출 장치로 공기를 배출하는 우유병이 제공 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몸체(30)와 절단선(42)이 형성된 꼭지(41)를 포함 하는 꼭지부(40)가 결합되고 구멍(80)에 절단부(70)가 형성된 공기배출부(60)로 이루어진 공기 배출장치를 구멍(80)에 삽입 한다. 이때 절단부(60)는 닫혀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우유병(20)의 구멍(80)에 공기배출부(60)가 완전히 삽입 되는 것을 방지하는 턱(90)이 형성되고 절단부가 형성된 공기배출부, 상기 공기배출부를 막음하는 덮개(110)의 확대도이다.
덮개의 일부분이 공기배출부의 내부에 삽입 되면 단단하게 고정이 되는데 상기 구성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적용 한다.
도 3은 몸체(30)와 꼭지(41)를 포함하는 꼭지부(40)가 결합하고 공기배출기(100)의 삽입구(110A) 부분이 구멍에 삽입된 공기배출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가압부(110B)를 손에 쥐고 움직여서 공기를 능동적으로 배출 한다.
도 4는 절단선(42)과 꼭지(41)를 포함하는 꼭지부(40)와 몸체(30)가 결합하는 우유병 구멍에 공기배출부(60)가 삽입되고 삽입부(110A)와 가압부(110B)를 포함하는 공기배출기(100)가 구멍에 삽입된 공기배출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공기를 배출 할 때 절단부(60)가 벌어져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우유병 내부의 공기를 완전하게 진공하면 연성 재질의 꼭지(41) 부분이 찌그러지는 현상이 생기는데 이때 꼭지 부분의 절단선(42)을 통하여 소량의 공기를 유입시켜 꼭지의 형상을 유지 시키거나 찌그러진 상태로 아기에게 우유를 먹여도 본 고안의 장점인 우유를 먹는 아기의 고통을 덜어주는 개선된 효과가 있다.
공기배출부(60)와 가압부(110B)는 고무, 실리콘 등의 탄력성 있는 안전한 재질을 사용한다. 공기배출기(100)는 공지된 기술을 적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우유병은 아기가 우유를 빠는 꼭지부(40)의 꼭지(41) 부분에 절단선(42)이 형성되거나 미세한 구멍이 형성되고 몸체(30)에 우유를 담고 상부 꼭지부(40)가 결합하므로 내부를 밀폐하고 아기의 빠는 힘으로 우유가 꼭지(41)의 절단부(42) 부분이 벌어져서 공기와 우유가 아기의 입속으로 나온다. 그리고 꼭지에 형성된 미세한 구멍이 있을 때 미세한 구멍으로 소량의 공기가 유입되어도 본 고안의 우유통 내부의 공기 배출이 이루어지면 공기를 덜 마시게 되는 개선된 효과가 있다.
공기배출부(60)와 덮개(110)을 이어서 연결하면 덮개의 분실을 방지하고 공기배출부를 구멍에서 착탈 할 때 손잡이를 겸 할 수 있다
상기 우유병의 재질과 형상과 기술은 공지된 기술 범위에서 모두 적용이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우유에 공기를 차단하여 변질이 되는 것을 지연 시키므로 아기의 건강을 지키는 예방 효과가 있다,
우유를 공기와 함께 삼키지 않으므로 목에서 우유가 부드럽게 마실 수 있어 우유를 마셔야 하는 아기의 고통을 덜어주고 아기의 위장에도 부담이 없어 아기의 유익하고 우유를 먹는 아기에게 건강 하게 성장하는 효과는 엄청나게 크다는 것은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배출부를 착탈 할 수 있어 우유병을 세척하기 쉽고, 내부 진공 상태를 쉽게 해제 한다.
내부 공기를 배출할 수 있어서 야외 등에서 미리 우유를 타서 준비하여도 우유의 변질을 지연시켜서 아기의 건강을 지키는 착탈식 공기 배출 장치로 공기를 배출 하는 우유병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절단선(42)이 형성된 꼭지(41)를 포함하는 꼭지부(40)와 몸체(30)로 이루어진 우유병(20)의 내부 공기를 배출 하는 우유병에 있어서,
    상기 몸체(30)의 상면에 구멍(80)을 형성하고, 절단부(70)와 턱(90)이 형성된 공기배출부(60)와 덮개(110)로 이루어진 공기 배출 장치(65)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배출 장치(65)는 몸체(30)의 구멍(80)에 착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공기배출 장치로 공기를 배출하는 우유병.
KR2020100005880U 2009-12-29 2010-06-03 착탈식 공기 배출 장치로 공기를 배출 하는 우유병 KR2004515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880U KR200451532Y1 (ko) 2010-06-03 2010-06-03 착탈식 공기 배출 장치로 공기를 배출 하는 우유병
PCT/KR2010/009435 WO2011081412A2 (ko) 2009-12-29 2010-12-28 음료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880U KR200451532Y1 (ko) 2010-06-03 2010-06-03 착탈식 공기 배출 장치로 공기를 배출 하는 우유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532Y1 true KR200451532Y1 (ko) 2010-12-20

Family

ID=44478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880U KR200451532Y1 (ko) 2009-12-29 2010-06-03 착탈식 공기 배출 장치로 공기를 배출 하는 우유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532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136Y1 (ko) 2004-08-04 2004-11-10 퉁링 인더스트리얼 주식회사 포유병에 연결되는 가스방지장치
KR200370927Y1 (ko) 2004-09-13 2004-12-18 (주)서룡상사 통기량 조절 및 위생 밸브구조를 갖는 수유용 젖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136Y1 (ko) 2004-08-04 2004-11-10 퉁링 인더스트리얼 주식회사 포유병에 연결되는 가스방지장치
KR200370927Y1 (ko) 2004-09-13 2004-12-18 (주)서룡상사 통기량 조절 및 위생 밸브구조를 갖는 수유용 젖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62220T3 (es) Un recipiente para beber
AU2006200239B2 (en) Nipple protection device
KR101118180B1 (ko) 배앓이 방지를 위한 수유용 젖병
KR200451532Y1 (ko) 착탈식 공기 배출 장치로 공기를 배출 하는 우유병
US20140236232A1 (en) Multi-use pacifier
KR101409530B1 (ko) 유아용 과즙기
KR101932346B1 (ko) 빨대를 구비한 스파우트 컵
EP3059180B1 (en) Weaning clip
TW201838615A (zh) 奶瓶奶嘴及於其中形成開口之方法
US20090039047A1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baby feeding bottle being provided with a one-way valve
WO2016129864A1 (ko) 막대쏘쎄지처럼 만든 낫또
DK1681044T3 (da) Sut til drikkebeholdere, især sutteflasker
US3067744A (en) Oral waste receiver
CN205459939U (zh) 适合12-18个月婴儿的25度健齿离乳奶瓶
JP2007186252A (ja) 袋状吸引動作補助容器
US20220225806A1 (en) Spill resistant feeding device
WO2002087397A1 (fr) Tasse pour apprendre a boire a un enfant
JP3982963B2 (ja) 乳幼児用飲料容器
CN211024162U (zh) 一种新生儿护理喂药器
KR200370927Y1 (ko) 통기량 조절 및 위생 밸브구조를 갖는 수유용 젖병
KR20080001667U (ko) 수유용 젖꼭지
GB2594469A (en) Spill resistant feeding device
KR200479969Y1 (ko) 음료병에 사용이 가능한 젖꼭지
KR101761772B1 (ko) 유아용 안전 포크
CN201759872U (zh) 卫生弹性奶嘴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