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81412A2 - 음료용 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81412A2
WO2011081412A2 PCT/KR2010/009435 KR2010009435W WO2011081412A2 WO 2011081412 A2 WO2011081412 A2 WO 2011081412A2 KR 2010009435 W KR2010009435 W KR 2010009435W WO 2011081412 A2 WO2011081412 A2 WO 2011081412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ir
beverage
container body
hole
discharg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943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081412A3 (ko
Inventor
안명선
Original Assignee
An Myungsu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20090017099U external-priority patent/KR200450148Y1/ko
Priority claimed from KR2020100005880U external-priority patent/KR200451532Y1/ko
Application filed by An Myungsun filed Critical An Myungsun
Publication of WO2011081412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81412A2/ko
Publication of WO2011081412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81412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25Pressure relief-valves incorporated in a container wall, e.g. valves comprising at least one elastic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a beverage which is convenient to use and can substantially completely remove residual air in the container body, thereby preventing the beverage from being deteriorated and thus keeping the beverage for a long time. It is about a container.
  • Beverages can be stored in containers or bottles, or taken outdoors, where the outside temperature is high or the air inside is susceptible to corruption.
  • Conventional containers realize sealing by fitting the container body and the lid with male and female screws or by inserting a packing such as rubber material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lid.
  • Aluminum or metal beverage containers also known as cans
  • a milk bottle is a container for feeding a baby after mixing milk powder and hot water to adjust the temperature. It is not a big problem when feeding disposables at home, but it is easy to rot due to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when going out. Indeed, decayed milk is difficult to identify, so be careful in your daily lif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container that is convenient to use and can substantially completely remove the remaining air in the container body, thereby preventing the beverage from being deteriorated and thus keeping the beverage for a long time.
  • the container body is formed through holes on one side; And an air discharge member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o selectively seal the through hole from the outside and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an air remaining in the container body is discharged by an air discharge device. Is achieved.
  • the air discharge member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 the air discharge member, the insertion portion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through the through hole;
  • it may include a blocking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of the insertion portion.
  • the air exhaust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blocking portion.
  • the air discharge member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for limiting the insertion depth of the insertion portion.
  • the container body may be selected from a lid detachable container body of which the lid is removable, the lid integrated container body of which the lid is not separated, or a milk bottle.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use and can substantially completely remove the remaining air in the container body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the drink deterior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tored for a long time.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for a bevera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air discharge member shown in Figure 1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discharger is coupled to the assembly view of Figure 1,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n air discharger is coupled to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n air discharger is coupled to a milk bottle which is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air discharge member shown in FIG. 1
  • FIG. 3 is an assembled view of FIG. Perspective view.
  • the beverage container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lid 120 detachable product, the lid 120 is removable.
  • the beverage container 100, the container body 110 is a beverage is accommodated therein, the lid 1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110 and the through-hole 120a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through Removably inserted into the (120a) to selectively seal the through-hole (120a) from the outside, the air discharge member 200 for forming a passage for discharging the remaining air in the container body 110 by the air discharger (300)
  • the air discharge member 200 for forming a passage for discharging the remaining air in the container body 110 by the air discharger (300)
  • the air discharge unit 300 is a kind of a conventional air discharge pump,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container body 110 disclo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a kind of cup shape in which the width thereof becomes narrower toward the bottom thereof, and the lid 12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pening thereof.
  • the coupling method of the lid 120 may be a simple open or closed type.
  • the air discharge member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0a of the lid 120.
  • the air exhaust member 20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 as a whole, but is not necessarily the case.
  • the air discharge member 200, the insertion portion 210 and the insertion portion 210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ody 110 through the through hole (120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air outlet (220) and the opening of the insertion portion 210 is opened when inserting the air outlet 300 into the inserting portion 210 and closed by elasticity when removing the air ejector (300) It has a blocking portion 230 for opening and closing, and a connecting portion 240 connecting the insertion portion 210 and the blocking portion 230.
  • the insertion portion 210, the blocking portion 230 and the connecting portion 240, the air outlet 220 is formed may be integral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 but after being manufactured separately It may be assembled.
  • the air discharge member 20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0a) when the beverage is to be separated from the through hole (120a) when you want to drink the air discharge member 200 is preferably made of an overall elastic material.
  • Insertion portion 21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0a) is disposed in the container body (110). Therefore, the width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210 should be made larger than the through hole 120a so as not to fall into the through hole 120a.
  • the air outlet 220 has a shape in which one side of the insertion part 210 is slightly cut away. Although it may be in the form of a hole, a structure having a slight sheath is preferable.
  • the air outlet 220 is normally closed, but opens slightly when the mouse 310 of the air outlet 3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unit 210 as shown in FIG. 3. As such, when the air outlet 220 is opened, a passage through which the remaining air in the container body 110 is discharged is formed through the air outlet 300 of FIG. 3. However, when the mouse 310 of the air ejector 30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unit 210 is removed, the air outlet 220 is closed while being retracted by the elastic material. 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air through the air outlet 220 is lost.
  • the blocking portion 230 is coupl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insertion portion 210 to prevent the inflow of external air at the source.
  • the connecting portion 240 is to prevent the loss of the blocking portion 230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portion 210. If necessary, the connection part 240 may be excluded in configuration. If the connection portion 240 is long, it may be a substitute for the handle.
  • the air discharge member 200 is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120a of the lid 120. That is, the insertion portion 210 of the air discharge member 200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0a. In this case, the air outlet 220 should be inserted into the inserting portion 210 so that the container body 110 can be disposed.
  • the air discharger 300 is separated. Then, the air outlet 220 is retracted by elasticity at the moment of separating the air exhauster 300, thereby blocking the inflow of air primarily. Subsequently, the blocking part 230 may be blocked by the insertion part 210 to completely block the inflow of air. In this state, the remaining air in the container body 110 also disappears, and because the external air does not flow into the container body 110, the beverage in the container body 110 is not deteriorated.
  • the air discharge member 200 When you want to drink the beverage in the container body 110 to remove the air discharge member 200 and drink the beverage using the through-hole (120a) or to remove the lid 120 to drink. If the air discharge member 200 is not easily removed by the air pressure, a separate pointed tool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unit 210 for a while to allow the air outlet 220 to be slightly opened so that external air flows into the container body 110. After that, the air discharge member 200 may be removed or the lid 120 may be removed.
  • this embodiment having such a structure, it is easy to use, but can substantially completely remove the remaining air in the container body 110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beverage is deteriorated it is possible to store the beverage for a long time.
  •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delay the deterioration of the beverage and to prevent the food poisoning and keep the health.
  • the technology such as this embodiment for food and beverage can be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health of human beings have a great effect and meaning.
  • the air discharge member 200 can be separated from the through-hole (120a), can be used repeatedly after washing.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n air discharger is coupled to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everage container 100a shown in this figure may be an aluminum can as an integrated product in which the upper surface 120a is not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110a unlike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 the container body 110a After the through-hole 120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20a of the beverage container 100a, when the air discharge member 20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120a, the container body 110a is easy to use. The remaining air in the inside can be substantially completely removed, thereby preventing the drink from being deteriorated, thereby keeping the drink for a long time.
  • the upper surface (120a) is integral, because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air discharge member 200 without removing the upper surface (120a), and to put a straw, etc. in the through-hole 120a in place to drink Very easy to use.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n air discharger is coupled to a milk bottle which is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ir discharge member 200 is applied to the milk bottle 100b which is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ilk bottle 100b shown in this figure has a container body 110b in which milk is housed therein, and a lid 120b in which a nipple 130 is formed and detached from the container body 110b. At this time, the through-hole 120a is detached from the air discharge member 200 may be formed in the container body (110b).
  • the through-hole 120a is formed in the container body 110b, and then the air discharge member 20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120a.
  • the remaining air can be removed virtually completely, preventing the inside milk from deteriorating, which can keep the beverage for a long time.
  • the milk bottle 100b has a discharge hole 133 in which milk comes out at the tap 130 where the baby sucks the milk, and the air and milk are released as the discharge hole 133 is opened by the baby sucking force. It has a structure that enters the mouth, and if the remaining air in the container body (110b) in advanc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frequency of the baby drink air can provide an improved effect.
  • the amount is reduced, so that the milk can be softly drinked, and the baby's stomach is not burdened to help the baby's health.
  • the air discharge member 200a shown in this figure is applicable to all of the beverage containers 100, 100a, and 100b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 the difference from the air discharge member 200 introduced in detail in the first embodiment is that the insertion portion 210a and the blocking portion 230a are provided in a detachable form because the connection portion 240 (see FIG. 2) is eliminated, and the insertion portion ( The stopper 211 is further formed at 210a.
  • the stopper 211 is used to prevent the insertion portion 210a from being completely inserted when the insertion portion 210a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of the beverage containers 100, 100a and 100b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at is, since the insertion depth can be limited by the stopper 211 only by inserting the insertion portion 210a, it is convenient to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통공이 형성되는 용기본체; 및 통공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통공을 외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며, 공기배출기에 의해 용기본체 내의 잔존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공기배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용기본체 내의 잔존 공기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제거할 수 있어 음료가 변질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어 음료를 장기간 오래 보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용 용기
본 발명은, 음료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용기본체 내의 잔존 공기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제거할 수 있어 음료가 변질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어 음료를 장기간 오래 보관할 수 있는 음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음료는 용기 또는 병에 담아 보관하거나 야외 등으로 가지고 갈 수 있는데, 이때 외부 기온이 높거나 내부에 공기가 들어 있으면 부패하기 쉽다.
특히, 용기를 개봉하고 남은 음료를 보관할 때 내부에 공기가 잔존되어 있으면 공기의 접촉에 의해 맛이 떨어지고 영양 손실이 유발되며, 심하면 부패를 유도한다.
이는 기존의 용기가 외부공기는 차단할 수 있으나 내부 공기는 그대로 잔존되기 때문이다.
통상적인 용기는 용기본체와 뚜껑이 암수 나사식으로 결합되거나 용기본체와 뚜껑 사이에 고무 재질 등의 패킹을 끼워 밀폐를 구현한다. 그리고 알루미늄이나 금속 재질의 음료 용기(일명 캔이라고도 함)는 개봉 전까지 밀폐상태를 유지한다.
하지만, 이들 용기의 경우, 개봉 후 잔존 음료에 대해 다시 밀폐를 하기 어렵다. 특히 알루미늄 캔의 경우에는 더더욱 그러하다.
이에, 용기 내의 잔존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다양한 공기배출장치가 개발되거나 적용 예정에 있는데, 이러한 공기배출장치들은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거나 용기의 외측으로 너무 돌출되어 있어 보관이나 세척이 어렵고, 어떠한 경우는 휴대가 곤란하다.
한편, 이 같은 문제는 단지 음료용 용기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즉 아기들이 마시는 우유병에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우유병은 분유와 뜨거운 물을 혼합하여 적절한 온도를 맞춘 후 아기에게 먹이는 용기이다. 집에서 일회용으로 먹일 때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외출 시에는 외기의 온도에 의해 부패하기 쉽다. 실제, 부패된 우유는 식별이 어렵기 때문에 평상 시 조심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알려진 우유병의 경우에도 남은 잔량의 우유에 대해 우유병을 밀폐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우유의 변질을 유발시킬 수 있다.
설사 우유의 변질이 유발되지 않더라도 우유병 내에 다량의 공기가 잔존됨으로써 아기가 우유를 섭취할 때 다량의 공기를 함께 마시게 되어 우유를 잘 마시지 못하거나 아기의 위장에 부담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문제점을 고려할 때,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용기본체 내의 잔존 공기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제거할 수 있어 음료가 변질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어 음료를 장기간 오래 보관할 수 있는 음료용 용기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용기본체 내의 잔존 공기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제거할 수 있어 음료가 변질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어 음료를 장기간 오래 보관할 수 있는 음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일측에 통공이 형성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통공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통공을 외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며, 공기배출기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 내의 잔존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공기배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배출부재는 탄성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재는,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로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로 상기 공기배출기를 삽입할 때는 개방되고 상기 공기배출기를 빼낼 때는 탄성에 의해 폐쇄되는 공기배출구; 및 상기 삽입부의 개구를 개폐하는 막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재는 상기 삽입부와 상기 막음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재는 상기 삽입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는, 뚜껑이 분리 가능한 뚜껑 분리형 용기본체, 상기 뚜껑이 분리되지 않는 뚜껑 일체형 용기본체 또는 우유병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용기본체 내의 잔존 공기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제거할 수 있어 음료가 변질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어 음료를 장기간 오래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배출부재의 구조도,
도 3은 도 1의 조립도로서 공기배출기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용기에 공기배출기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용기인 우유병에 공기배출기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공기배출부재의 변형 실시예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각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배출부재의 구조도,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조립도로서 공기배출기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음료용 용기(100)는 뚜껑(120)이 분리 가능한 뚜껑(120) 분리형 제품이다.
이러한 음료용 용기(100)는, 내부에 음료가 수용되는 용기본체(110)와, 용기본체(11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통공(120a)이 형성되는 뚜껑(120)과, 통공(120a)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통공(120a)을 외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며, 공기배출기(300)에 의해 용기본체(110) 내의 잔존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공기배출부재(200)를 갖는다.
참고로 공기배출기(300)는 통상적인 공기 배출용 펌프의 일종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개시하고 있는 용기본체(110)는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일종의 컵(cup) 형상으로서 그 상면 개구부에는 뚜껑(120)이 결합될 수 있다. 뚜껑(120)의 결합 방식은 단순 개폐식일 수도 있고 나사식일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공기배출부재(200)는 뚜껑(120)의 통공(120a)에 삽입될 수 있다. 공기배출부재(200)는 전체적으로 고무나 실리콘 등의 탄성재질로 제작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공기배출부재(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120a)을 통하여 용기본체(110)의 내부로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부(210)와, 삽입부(2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삽입부(210)로 공기배출기(300)를 삽입할 때는 개방되고 공기배출기(300)를 빼낼 때는 탄성에 의해 폐쇄되는 공기배출구(220)와, 삽입부(210)의 개구를 개폐하는 막음부(230)와, 삽입부(210)와 막음부(230)를 연결하는 연결부(240)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배출구(220)가 형성되는 삽입부(210), 막음부(230) 및 연결부(240)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탄성재질로 일체로 제작될 수 있지만 별개로 제작된 후에 상호 조립될 수도 있다. 다만, 공기배출부재(200)가 통공(120a)에 삽입되었다가 음료를 마시고자 할 때는 통공(120a)으로부터 분리되어야 하기 때문에 공기배출부재(200)는 전반적으로 탄성재질로 제작되는 편이 바람직하다.
삽입부(210)는 통공(120a)에 삽입되어 용기본체(110)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삽입부(210)의 상단부 폭은 통공(120a)보다는 크게 제작되어 통공(120a)으로 빠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공기배출구(220)는 삽입부(210)의 일측을 약간 절개해 놓은 형상을 갖는다. 구멍의 형태일 수도 있지만 약간의 칼집을 형성해 놓은 구조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기배출구(220)는 평상 시 닫혀 있지만 도 3처럼 공기배출기(300)의 마우스(310)가 도 3처럼 삽입부(210) 내로 삽입되면 약간 벌어진다. 이처럼 공기배출구(220)가 벌어지면 도 3의 공기배출기(300)를 통하여 용기본체(110) 내의 잔존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하지만, 삽입부(210)에 삽입되었던 공기배출기(300)의 마우스(310)를 제거하면 탄성재질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오므려지면서 공기배출구(220)는 닫힌다. 따라서 공기배출구(220)를 통한 공기의 이동은 없어진다.
막음부(230)는 삽입부(210)의 상부 개구에 결합됨으로써 외부 공기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방지시킨다.
연결부(240)는 삽입부(210)에 대한 막음부(230)의 분실을 방지시키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 연결부(240)는 구성상 제외될 수도 있다. 연결부(240)가 긴 경우, 손잡이의 대용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용기본체(110) 내에 일정량의 음료를 넣고 뚜껑(120)을 닫는다. 그리고는 뚜껑(120)의 통공(120a)에 공기배출부재(200)를 설치한다. 즉 공기배출부재(200)의 삽입부(210)가 통공(120a)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는 공기배출구(220)가 용기본체(110)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삽입부(210)를 삽입시켜야 한다.
그리고 나서 도 3처럼 공기배출기(300)의 마우스(310)를 삽입부(210)로 집어넣어 공기배출구(220)가 벌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공기배출기(300)의 가압부(320)를 이용하여 용기본체(110) 내의 잔존 공기를 공기배출구(220)를 통해 배출시킨다.
용기본체(110) 내의 잔존 공기가 배출되고 나면 공기배출기(300)를 분리시킨다. 그러면 공기배출기(300)를 분리하는 순간 탄성에 의해 공기배출구(220)가 다시 오므라지게 됨으로써 공기의 유입을 1차로 차단시킨다. 이어, 막음부(230)를 삽입부(210)에 막아 완전 2차로 공기 유입을 차단시키면 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용기본체(110) 내의 잔존 공기도 사라지고 또한 외부 공기가 용기본체(110) 내로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용기본체(110) 내의 음료는 변질되지 않는다.
용기본체(110) 내의 음료를 마시고자 할 때는 공기배출부재(200)를 제거하고 통공(120a)을 이용하여 음료를 마시거나 뚜껑(120)을 분리하여 마시면 된다. 만약, 공기압에 의해 공기배출부재(200)가 잘 빠지지 않을 때는 별도의 뾰족한 도구를 삽입부(210)에 잠깐 끼워 공기배출구(220)가 약간 벌어지도록 하여 외부 공기가 용기본체(110) 내로 유입되도록 한 후에, 공기배출부재(200)를 제거하거나 뚜껑(120)을 분리시키면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용기본체(110) 내의 잔존 공기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제거할 수 있어 음료가 변질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어 음료를 장기간 오래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의 변질을 지연시켜서 식중독의 예방과 건강을 지킬 수 있다. 특히, 식음료를 대상으로 하는 본 실시예와 같은 기술은 인류의 건강과 직결이 되어 큰 효과와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배출부재(200)는 통공(120a)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세척 후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용기에 공기배출기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음료용 용기(100a)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용기본체(110a)에 대해 그 상면(120a)이 분리되지 않는 일체형 제품으로서 알루미늄 캔일 수 있다.
이러한 음료용 용기(100a)에도 그 상면(120a)에 통공(120a)을 형성한 후에, 통공(120a)으로 공기배출부재(200)를 삽입하여 사용하게 되면,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용기본체(110a) 내의 잔존 공기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제거할 수 있어 음료가 변질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어 음료를 장기간 오래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상면(120a)이 일체형이기는 하지만 상면(120a)을 뜯어내지 않고도 공기배출부재(200)를 분리하고, 그 자리의 통공(120a)에 빨대 등을 꼽아 음료를 마시면 되기 때문에 사용이 무척 편리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용기인 우유병에 공기배출기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의 경우, 공기배출부재(200)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용기인 우유병(100b)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 도시된 우유병(100b)은, 우유가 내부에 수용되는 용기본체(110b)와, 꼭지(130)가 형성되고 용기본체(110b)에 착탈되는 뚜껑(120b)을 갖는다. 이때, 공기배출부재(200)가 착탈되는 통공(120a)은 용기본체(110b)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우유병(100b)에도 용기본체(110b)에 통공(120a)을 형성한 후에, 통공(120a)으로 공기배출부재(200)를 삽입하여 사용하게 되면,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용기본체(110a) 내의 잔존 공기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제거할 수 있어 내부의 우유가 변질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어 음료를 장기간 오래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보면, 우유병(100b)은 아기가 우유를 빠는 꼭지(130)에 우유가 나오는 배출공(133)이 형성되어 아기가 빠는 힘으로 배출공(133)이 벌어지면서 공기와 우유가 아기의 입속으로 들어가는 구조를 갖는데, 본 실시예처럼 용기본체(110b) 내의 잔존 공기를 미리 빼내면, 아기가 공기를 마시는 빈도를 더욱 줄일 수 있어 개선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우유병(100b) 내부가 진공이 되면 연성 재질의 꼭지(130)가 찌그러지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 때 꼭지(130)의 배출공(133)을 통하여 우유병(100b) 내부로 소량의 공기를 유입시켜 꼭지(130)의 형상을 유지시키거나, 찌그러진 상태로 아기에게 우유를 적여도 아기의 고통을 덜어주는 효과가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우유에 공기를 차단하여 변질이 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어 아기의 건강을 지키는 예방 효과가 있다.
우유를 공기와 함께 삼키지 않거나 공기를 삼키더라도 그 양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우유를 부드럽게 마실 수 있고, 아기의 위장에도 부담이 없어 아기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집에서 우유를 타서 외출을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상 매우 편리할 수 있다.
도 6은 공기배출부재의 변형 실시예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공기배출부재(200a)는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음료용 용기(100,100a,100b)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다.
제1 실시예에서 자세히 소개한 공기배출부재(200)와의 차이점은, 연결부(240, 도 2 참조)가 없어져 삽입부(210a)와 막음부(230a)가 분리형으로 마련되는 점과, 삽입부(210a)에 스토퍼(211)가 더 형성된다는 점이다.
스토퍼(211)는 삽입부(210a)를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음료용 용기(100,100a,100b)의 통공들에 끼울 때, 삽입부(210a)가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용도이다. 즉 삽입부(210a)를 끼우기만 하면 스토퍼(211)에 의해 그 삽입 깊이가 제한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일측에 통공이 형성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통공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통공을 외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며, 공기배출기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 내의 잔존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공기배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부재는 탄성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부재는,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로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로 상기 공기배출기를 삽입할 때는 개방되고 상기 공기배출기를 빼낼 때는 탄성에 의해 폐쇄되는 공기배출구; 및
    상기 삽입부의 개구를 개폐하는 막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부재는 상기 삽입부와 상기 막음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부재는 상기 삽입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뚜껑이 분리 가능한 뚜껑 분리형 용기본체, 상기 뚜껑이 분리되지 않는 뚜껑 일체형 용기본체 또는 우유병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PCT/KR2010/009435 2009-12-29 2010-12-28 음료용 용기 WO2011081412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7099 2009-12-29
KR2020090017099U KR200450148Y1 (ko) 2009-12-29 2009-12-29 착탈식 배출 장치로 공기 배출이 되는 휴대용 음료수 밀폐용기
KR2020100005880U KR200451532Y1 (ko) 2010-06-03 2010-06-03 착탈식 공기 배출 장치로 공기를 배출 하는 우유병
KR20-2010-0005880 2010-06-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1412A2 true WO2011081412A2 (ko) 2011-07-07
WO2011081412A3 WO2011081412A3 (ko) 2011-12-01

Family

ID=44227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9435 WO2011081412A2 (ko) 2009-12-29 2010-12-28 음료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1081412A2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96865Y (zh) * 1997-07-15 1998-11-11 美加集团公司 一种容器的真空密封装置
US20060118168A1 (en) * 2004-12-01 2006-06-08 Cheung George F Vacuum pump valve
CN2851140Y (zh) * 2005-07-14 2006-12-27 林燕堂 真空容器的气嘴结构
EP1867582A1 (en) * 2006-06-16 2007-12-19 Germano Maina Cover provided with valve for closing vacuum food contain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96865Y (zh) * 1997-07-15 1998-11-11 美加集团公司 一种容器的真空密封装置
US20060118168A1 (en) * 2004-12-01 2006-06-08 Cheung George F Vacuum pump valve
CN2851140Y (zh) * 2005-07-14 2006-12-27 林燕堂 真空容器的气嘴结构
EP1867582A1 (en) * 2006-06-16 2007-12-19 Germano Maina Cover provided with valve for closing vacuum food contai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1412A3 (ko)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64569B2 (en) Child feeding system
US9675525B2 (en) Child feeding system
US20080149523A1 (en) Disposable food delivery apparatus
WO2015133855A1 (ko)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CN106037389A (zh) 一种方便于卧式饮水的水杯盖及水杯
WO2016117850A1 (ko) 필터를 구비한 이중 음료용기
WO2016186460A1 (ko) 다용도 뚜껑을 갖는 다용도 물통
CN214855852U (zh) 双饮口牛奶杯
KR100870696B1 (ko) 밀봉 지퍼 빨대를 구비한 용기
JP2005022673A (ja) 目薬容器
WO2011081412A2 (ko) 음료용 용기
KR101932346B1 (ko) 빨대를 구비한 스파우트 컵
CN216036260U (zh) 多功能饮料装置
CN210870923U (zh) 一种接插式防回流吸管及容器
US7604137B1 (en) Dispensing receptacle for dispensing two liquids in series
KR200225655Y1 (ko) 우유병
WO2022240141A1 (ko) 음료 용기의 이물질 역류방지 장치
CN205459939U (zh) 适合12-18个月婴儿的25度健齿离乳奶瓶
CN219920785U (zh) 双饮式杯盖及具有该杯盖的杯子
KR200342897Y1 (ko) 휴대용 음료수통
CN215304775U (zh) 一种带吸管的防溢水杯
CN216854349U (zh) 一种创意三饮杯
CN215740564U (zh) 一种牛奶盒与奶嘴对接装置
US20240083645A1 (en) Container sealing plug and container
WO2015105285A1 (ko) 이중 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412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412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