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180B1 - 배앓이 방지를 위한 수유용 젖병 - Google Patents

배앓이 방지를 위한 수유용 젖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180B1
KR101118180B1 KR1020090083156A KR20090083156A KR101118180B1 KR 101118180 B1 KR101118180 B1 KR 101118180B1 KR 1020090083156 A KR1020090083156 A KR 1020090083156A KR 20090083156 A KR20090083156 A KR 20090083156A KR 101118180 B1 KR101118180 B1 KR 101118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pple
main body
bottle
mold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3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4959A (ko
Inventor
김태경
김상표
Original Assignee
김상표
김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64978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1818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표, 김태경 filed Critical 김상표
Priority to KR1020090083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180B1/ko
Priority to CN201080003801.3A priority patent/CN102264337B/zh
Priority to PCT/KR2010/005952 priority patent/WO2011028030A2/ko
Publication of KR20110024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4Feeding-bottles in general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75Accessories therefor
    • A61J11/008Protectin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2Teats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유용 젖병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젖병은 수유시에 아기가 공기를 함께 흡입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아기가 배앓이를 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딱딱한 젖병을 사용함으로써 모유수유를 할때와 젖병으로 수유를 할 때에 아기가 갖게되는 느낌이 많이 달랐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젖병을 실리콘으로 구성하고 젖병의 옆면에 공기유입구를 형성하여 옆쪽으로 공기가 들어오도록 하여 항상같은 압력을 아기가 젖병을 빨 수 있도록 하여 공기를 함께 흡입하는 경우를 줄였으며 젖병의 본체위에 경성의PES 수지를 오버몰딩 함으로써 종래에는 연성의 실리콘으로 젖병을 만들지 못하였던 단점을 극복하였다.

Description

배앓이 방지를 위한 수유용 젖병{NRUSING BOTTLE}
본 발명은 공기 유입구멍을 만들어 젖병 안에서 분유과 공기가 섞여 발생할 수 있는 배앓이를 줄이며 세척을 쉽게 하기 위한 젖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 유입구멍을 만들어 젖병 안에서 분유과 공기가 섞여 발생할 수 있는 배앓이를 줄이며 젖병의 세척을 쉽게 하기 위한 젖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젖병은 아기에게 먹일 모유 도는 분유와 물을 혼합한 액체를 담는 병으로서 주로 플라스틱이나 유리 및 고무등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도1은 종래의 젖병을 도시한 것으로서 종래의 분유을 담는 본체(1)와 본체에 나사결합하는 어댑터(2)와 어댑터(2)에 분리가능하며 끼우는 방식으로 결합하는 젖꼭지(3)로 구성이 된다. 젖꼭지의 상단에는 본체 내부의 분유의 배출을 위한 구멍(4)이 형성된다. 또한 젖꼭지위에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하기 위한 뚜껑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구성요소는 분리하여 세척이 가능한데 종래의 젖병은 젖병 본체내의 분유가 젖꼭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배출됨에 따라 분유를 섭취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젖병은 유아가 젖병 본체내의 분유를 섭취하고자 젖꼭지를 계속해서 빨게 되면 상기 젖병 본체의 내부는 진공상태가 되어 본체내의 분유가 젖꼭지를 통해 잘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젖병 본체내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해 아기가 입을 떼게 되면 이때 젖꼭지의 구멍을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젖병내부로 유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아기가 지속적으로 젖병내부의 분유를 섭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적정한 압력으로 젖을 빨지 못하여 아기가 젖꼭지를 입으로 물었다가 떼었다가를 하면서 분유를 섭취하게 되면 다량의 공기를 함께 섭취하게 되기 때문에 아기가 섭취된 공기 때문에 배앓이를 하게 되는 현상도 발생했다.
또한, 아기가 젖병본체내의 분유를 섭취하기 위하여 젖꼭지를 지나치게 세게 빨게 되면 귀에 무리가 생겨 중이염을 앓거나 볼거리가 생길 수 있으며 배출되지 않는 분유 때문에 신경질적으로 변하거나 정서불안이 야기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이러한 젖병은 단지 수유라는 기능만을 위하여 제작된 것으로서 그 모양이나 촉감이 모유를 먹을 때의 촉감과 극명하게 차이가 나기 때문에 아이가 모유를 먹을 때 엄마의 품에서와 같이 편안함을 느끼기가 힘들며 수유시에 아기가 어떤 촉감을 느껴 촉감을 자극받거나 시각적인 자극을 받지는 않는다. 이것은 기존의 젖병이 분유를 공급하는 것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공기 통공을 갖는 수유용 젖병이 다수 출원 된바 있으나 대부분 젖꼭지 쪽에 공기 통공을 갖도록 함으로써 아기가 공기를 함께 삼키게 되는 단점을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하였다.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되고 등록된 특허 등록번호 제10-0781663호 '수유용 젖병'젖꼭지의 반대쪽인 통상의 젖병의 바닥면에 해당하는 쪽에 공기유입구를 갖도록 하였으며 공기 유입구가 오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젖꼭지위에 마개를 씌우고 마개를 바닥면으로 하여 보관하도록 하였으나 옆면에 공기유입구를 형성하지는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유수유를 하는것과 비슷한 감성을 아기가 느낄 수 있도록 엄마의 가슴, 모양과 비슷한 젖병을 제공하도록 하며 수유시에 아기가 공기를 함께 흡입하지 않도록 하여 배앓이를 줄이는 젖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세척이 쉬운 젖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앓이가 적은 수유용 젖병을 제공하는데 배앓이가 적은 수유용 젖병으로서, 분유가 담기는 본체와;
본체에 담긴 분유를 외부로 배출하는 젖꼭지와;상기 본체와는 나사결합을 하며 상기 젖꼭지와는 끼움결함을 하여 상기 본체와 젖꼭지를 연결하는, 결합링을 포함하며상기 본체는 연성의 실리콘으로 형성이 되어 짜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젖꼭지의 상면에는 유입돌출부가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상단에는 경성의 몰딩결합부가 형성이 되며 몰딩결합부에 결합링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본체는 몰딩결합부를 형성한 후 몰딩결합부와 본체가 결합하는 부분에 자연경화형 프라이머를 입힌 후에 자연건조를 시키고 그 위에 액상실리콘을 오버몰드하여 본체를 형성함으로써 몰딩결합부와 본체사이로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자연경화형 프라이머는 BAI-1/XP81-c0677일 수 있다.
상기 몰딩결합부에는 하단으로 몰딩돌출부를 연장하여 형성하고 오버몰드시에 상기 몰딩돌출부를 감싸듯이 몰딩함으로써 본체와 몰딩결합부의 결합을 강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입돌출부는 젖꼭지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유입돌출부의 끝부분에 일자형의 통공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젖꼭지는 흡입시에 달라붙는 것을 막고 세로 방향으로 서있도록 하기 위하여 안쪽에 세로방향의 주름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며 바닥면쪽의 외곽선은 완만한 곡선 형태를 하고 있어 솔을 사용하지 않고도 세척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젖병에 의하여 손쉽게 세척이 가능하며 연성실리콘을 이용한 젖병을 제공함으로써 엄마의 젖과 비슷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배앓이를 줄이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유용 젖병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젖병은 뚜껑과 젖꼭지와 결합링과 본체로 구성이 되어 있다.
뚜껑(21)은 젖꼭지의 상단에서 젖꼭지의 옆면에 결합하여 젖꼭지가 오염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며 젖꼭지(22)는 아이가 입으로 물고 빨 수 있도록 엄마의 젖꼭지와 유사하게 제작이 된다. 시중에서 판매되는 기존의 젖꼭지를 끼우는 것도 가능하다. 결합링(23)은 본체(24)와 젖꼭지(22)가 일체로 결합이 되도록 하며 뚜껑(21) 또한 결합링(23)에 결합되도록 하여 젖병을 이루는 구성부분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24)는 분유/모유를 담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젖꼭지로 표현되는 것은 아기가 젖을 빨기 위해 입으로 무는 부분 이외에 일체로 형성된 부분을 모두 가리킨다.
본체는 바닥면의 반경이 가장 작고 상단으로 올라갈수록 커지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바닥 쪽에 가까울수록 완만한 곡선 형태를 띠고 상단으로 올라갈수록 반경이 커지면서도 직선에 가까운 형태를 띠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길쭉한 모양이 되면서도 바닥쪽에서는 완만한 형태를 띠기 때문에 솔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지 않아도 세척이 쉽게 된다.
또한, 젖꼭지에는 공기유입구를 형성하여 아기가 본체(24)내부의 분유를 빨 때 외부에서 계속적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모유를 먹는 아기는 배앓이가 적지만 분유를 젖병에 타서 먹는 아기가 배앓이를 하게 되는 것은 젖병으로 분유를 먹을 때 아기가 공기를 함께 흡입하게 되기 때문인데 본 발명에서는 공기 유입구가 젖꼭지부분에 형성되어 있어 아기가 젖꼭지를 빨 때 분유가 빨리면서 외부의 공기가 젖병의 안쪽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젖병안쪽이 진공상태가 되지 않아 아기가 항상 같은 압력으로 분유를 빨 수 있게 되며 공기와 함께 분유를 빨지 않게 되어 배앓이 문제가 없어지게 된다. 공기유입구의 자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도2의 좌측에는 각각의 구성요소가 결합한 형상을 도시한다.
도3,4에는 본체(24)를 좀더 자세하게 도시한다. 본체의 상단에는 결합링(23)과의 결합을 위한 몰딩결합부(27)가 형성이 되어 있으며 몰딩결합부의 상단에는 나사산(31)이 형성되어 있어 결합링(23)이 몰딩결합부의 외측으로 나사결합한다. 본체는 연성의 실리콘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가 들어가는 부분을 경성의 재질로 덮음으로써 공기 유입부가 확장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막게 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젖병은 딱딱한 형태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PP)나 폴리에테르술폰 (polyethersulfone,PES) 수지를 이용하여 제작이 되어 왔는데 이러한 수지는 섭씨 100도이상 가열하여도 환경호르몬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젖병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딱딱한 형태이기 때문에 아기가 손으로 잡거나 수유하는 사람이 손으로 잡기는 편하지만 내부의 분유가 잘 나오지 않더라도 짜거나 하지 못하고 젖꼭지의 구멍을 통하여 잘 내려가도록 본체를 돌리는 것이 전부였다. 그렇다고 하여 짜는것이 가능하도록 본체를 연성의 실리콘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경우에는 분유를 넣기 위하여 개폐가 가능한 구조가 되어야 하지만 연성의 실리콘에는 나사산을 형성하기도 힘들고 형성하였다고 하여도 밀폐가 잘 되지 않았다. 또한, 실리콘은 변색이 잘되고 성형온도가 높아 다른 수지들과 잘 붙지도 않기 때문에 종래의 젖병은 젖꼭지 부분만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을 하고 본체나 본체와 젖꼭지가 결합하기 위한 링은 PES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본체(24)는 연성의 실리콘을 사용하여 형성하였으며 연성의 실리콘을 사용하면서도 밀폐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체에 몰딩결합부(27)를 형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젖병에서 몰딩결합부와 결합링은 PES를 이용하여 제작이 되며 본체는 연성의 실리콘을 사용하여 수유하는 도중에 젖병을 누르게 되면 본체가 함몰되면서 외력에 의해 본체안쪽의 분유가 좀 더 잘나오게 된다. 즉 짜는 행동이 가능하게 된다.
몰딩결합부(27)와 본체를 결합하기 위하여 별도의 결합구조를 형성하지 않았으며 다만 연성의 실리콘 위에 결합링을 오버몰드하여 구성하였다. 그러나 오버몰드 한다고 하여 항상 잘 붙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PES로 몰딩결합부(27)를 형성하고 몰딩결합부와 본체가 결합하는 부분에 자연경화형 프라이머(bonding agent:BAI-1/XP81-c0677)을 입힌후에 자연건조를 시키고 그 위에 액상실리콘을 오버몰드하여 본체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자연경화형 프라이머를 사용하였지만 오버몰드에 사용되는 그 외의 접착제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위에 사용된 자연경화형 프라이머는 높은 결합력을 가지면서도 끓는 물에 넣어도 결합이 해제되지 않으며 환경호르몬을 배출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결합에 의하여 몰딩결합부와 본체사이의 결합부위는 밀폐되며 아주 큰힘으로 찢어놓지 않는 한은 분리되지 않으며 연성실리콘위에 PES로 이루어진 몰딩결합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4는 몰딩결합부(27)와 본체(24)를 포함하여 결합링(23),젖꼭지(22), 뚜껑(21)의 결합단면을 도시한다.
몰딩결합부의 옆면에는 나사산(31)이 형성되며 몰딩결합부의 하단에는 몰딩돌출부(32)를 형성하여 몰딩돌출부를 본체가 둘러싸듯이 형성되도록 하여 몰딩결합부와 본체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몰딩결합부에 형성된 나사산(31)에는 결합링(23)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이 끼워서 돌리는 방식으로 결합하게 된다.
결합링(23)은 내측에 몰딩결합부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며 또한 젖꼭지와의 결합을 위해 티트돌출부(33)를 갖는데 티트돌출부는 젖꼭지의 옆면에 형성된 함몰부(34)에 끼워질 수 있도록 티트돌출부의 외곽선과 젖꼭지의 옆면 함몰부의 외곽선이 딱들어맞는 형태를 하고 있다. 또한,결합시 몰딩결합부와 젖꼭지, 결합링이 완전히 맞물리게 함으로써 완벽한 밀폐를 이루도록 하여 내용물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한다. 또한 결합링의 외부에는 돌려서 끼우기 쉽도록 바깥쪽으로 돌출도니 손잡이(35)가 형성된다.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는 본체의 안쪽에 안쪽으로 돌출된 유입돌출부(41)에 형성되어 있으며 유입돌출부(41)의 안쪽끝단은 미세한 통공이 길쭉하게 형성되어 있다. 칼로 가늘게 쭉찢어놓은 형태라고도 할 수 있다. 통공은 길쭉한 모양뿐 아니라 미세하게 뚫린 작은 원형일 수도 있다. 평상시 젖병을 세워놓으면 젖꼭지의 양쪽끝단이 유입돌출부를 밀어내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미세한 통공은 닫혀 있는 상태가 된다. 이것은 젖꼭지가 연성의 실리콘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 종래와 같이 딱딱한 PES재질로 만들었다면 결합링 등의 결합력만으로 닫혀있는 상태로 만들지는 못한다.
젖병을 사용하기 위하여 젖꼭지를 빨게 되면 젖꼭지를 빠는 힘 때문에 유입돌출부의 통공이 약간 느슨한 상태가 되면서 외부의 공기가 들어오기 쉬운 상태가 된다. 그러나 통공이 액체가 드나들기에는 매우 작은 틈(예를들어 두꺼운 고무에 칼로 살짝 벤 상태라 평소에는 고무에 눌려 닫기는 상태)이며 유입돌출부가 안쪽으 로 돌출되어 있고 내용물에 의해서 돌출된 부위가 눌려 통공이 닫기기 때문에 내용물이 바깥으로 나가지는 않는다. 설령 샌다고 하여도 아주 일부가 샐뿐이며 샌 내용물은 유입돌출부 내에 남아있게 된다.
아기가 젖병을 빨게 되면 젖꼭지 부분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내용물이 젖꼭지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젖꼭지를 빠는 압력에 의해 젖꼭지의 외부가 당겨지면서 통공을 통해서 좀더 쉽게 외부의 공기가 안쪽으로 주입된다. 즉, 아기가 젖꼭지(22)를 빠는 동안에만 공기가 들어오기 쉬운 상태가 되어 젖병의 안쪽으로 공기가 들어오게 된다. 또한, 통공은 그자체가 공기만 간신히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이 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이 통공을 통해 역류하여 바깥쪽으로 나가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공기유입구는 본체의 내부쪽으로 들어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형태를 띠도록 할 수 있는데 약간의 압력에 의해서도 쉽게 닫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외부에서 유입돌출부의 일정 부분까지는 안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관형태 이다가 공기유입부의 끝부분에서는 칼자국을 내듯이 직선형태로 홈을 내도록 하여 외부에서 조금만 누르더라도 공기 유입구가 닫혀서 내용물이 외부로 빠져 나가지 않으며 수유를 할때 만 공기가 들어오도록 한다.
또한,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고 하여도 젖병에 담기는 분유는 한번 담은 후에 아기가 먹고 나면 버려야 하고 분유를 탄후 4시간 안에는 먹여야 하기 때문에 통공 의 형성에 의하여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하여도 내용물이 상하게 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도5는 젖병의 사용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젖꼭지를 아기가 빨게 되면 내부의 압력차에 의해서 공기 유입구로 공기가 들어오기 쉬운 상태로 되어 외부로부터 공기가 들어오게 되며 아기는 항상같은 압력으로 젖꼭지를 빨 수 있게 되어 공기와 우유를 같이 빨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배앓이를 줄이게 된다.
도6은 또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젖병은 본체가 실리콘으로 구성되며 실리콘은 사람의 피부와 동일한 느낌을 가지도록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아기로 하여금 수유를 하면서 엄마품에서 먹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가지도록 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젖병은 바닥보다 입구가 더 큰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종래의 젖병보다 좀더 좌우방향으로 퍼진 형태를 가지고 있는데 종래와 같이 PES재질을 이용해 이러한 형태를 만들게 되면 수유시 코나 뺨이 딱딱한 젖병에 닿기 때문에 수유에 불편이 많았다.
그런데 수유가능 상태의 엄마의 젖은 기존의 젖병처럼 길쭉한 모양이 아니라 좀더 옆으로 펑퍼짐한 모양이며 본 발명에 따른 젖병과 유사한 모양이다. 또한 모유수유를 할 때 엄마의 젖은 아기의 뺨, 코에 닿게 되며 아기가 직접 만지지 않아도 엄마의 촉감을 느끼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젖병은 이처럼 엄마의 젖에 가까운 모양을 띠고 있기 때문에 수유시 아기의 신체 일부가 젖병에 닿아도 딱딱함에서 오는 이질감이나 불쾌감을 느끼기 보다는 엄마 피부와 같은 편안함을 느끼기 때문에 좀 더 편안한 수유가 될 수 있다.
또한, 입구면이 바닥면보다 더 직경이 큰 형태이며 바닥면 부근에서는 외곽선이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길쭉한 솔을 넣어서 닦지 않아도 잘 닦이며 각 부분을 분리하여 세척 후 소독이 가능하다.
도4의 상단의 젖꼭지의 모양을 보면 젖꼭지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올라가는 부분에 몇개의 주름(2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주름(28)은 아기가 젖꼭지를 빨 때 젖꼭지가 달라 붙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젖꼭지의 안쪽에 주름을 형성함으로써 젖꼭지가 달라붙는다고 하여도 쉽게 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젖꼭지는 연성의 재질로 형성이 되는데 젖꼭지처럼 길쭉한 형상을 이루도록 성형하다보면 젖꼭지가 주저앉는 경우가 종종 생기게 된다. 주름(28)은 내측에 길다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젖꼭지의 평평한 부분에서 젖꼭지의 끝부분으로 길쭉하게 형성되는데 위에서 보았을 때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감아들어오는 형상으로 형성이 된다. 따라서, 젖꼭지가 주저앉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7은 본발명에 따라 제작된 젖병의 일예를 도시하는데 앞쪽은 뚜껑을 씌우지 않은 형태이며 뒤쪽은 뚜껑을 씌운 형태이다.
도1은 종래의 젖병을 도시하는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젖병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젖병의 본체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젖병의 각구성요소의 결합시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5,6,7은 본 발명에 따른 젖병이 사용예를 도시하는도면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21: 뚜껑 22: 젖꼭지
23: 결합링 24: 본체
27: 몰딩결합부
28:주름 31: 나사산
32:몰딩돌출부 33:티트돌출부
34: 함몰부 41:유입돌출부

Claims (8)

  1. 배앓이가 적은 수유용 젖병으로서,
    분유가 담기는 본체와;
    본체에 담긴 분유를 외부로 배출하는 젖꼭지와;
    상기 본체와는 나사결합을 하며 상기 젖꼭지와는 끼움결함을 하여 상기 본체와 젖꼭지를 연결하는, 결합링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연성의 실리콘으로 형성이 되어 짜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젖꼭지의 상면에는 유입돌출부가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본체의 상단에는 경성의 몰딩결합부가 형성이 되며 몰딩결합부에 결합링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는 몰딩결합부를 형성한 후 몰딩결합부와 본체가 결합하는 부분에 자연경화형 프라이머를 입힌 후에 자연건조를 시키고 그 위에 액상실리콘을 오버몰드하여 본체를 형성함으로써 몰딩결합부와 본체사이로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앓이가 적은 수유용 젖병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경화형 프라이머는 BAI-1/XP81-c0677인 , 배앓이가 적은 수유용 젖병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결합부에는 하단으로 몰딩돌출부를 연장하여 형성하고 오버몰드시에 상기 몰딩돌출부를 감싸듯이 몰딩함으로써 본체와 몰딩결합부의 결합을 강화시키는, 배앓이가 적은 수유용 젖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돌출부는 젖꼭지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유입돌출부의 끝부분에 일자형의 통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앓이가 적은 수유용 젖병
  7. 제1항,제4항,제5항,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젖꼭지는 흡입시에 달라붙는 것을 막고 세로 방향으로 서있도록 하기 위하여 안쪽에 세로방향의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앓이가 적은 수유용 젖병
  8. 제1항,제4항,제5항,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며 바닥면쪽의 외곽선은 완만한 곡선 형태를 하고 있어 솔을 사용하지 않고도 세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앓이가 적은 수유용 젖병
KR1020090083156A 2009-09-03 2009-09-03 배앓이 방지를 위한 수유용 젖병 KR101118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156A KR101118180B1 (ko) 2009-09-03 2009-09-03 배앓이 방지를 위한 수유용 젖병
CN201080003801.3A CN102264337B (zh) 2009-09-03 2010-09-02 预防腹痛的喂奶用奶瓶
PCT/KR2010/005952 WO2011028030A2 (ko) 2009-09-03 2010-09-02 배앓이 방지를 위한 수유용 젖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156A KR101118180B1 (ko) 2009-09-03 2009-09-03 배앓이 방지를 위한 수유용 젖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959A KR20110024959A (ko) 2011-03-09
KR101118180B1 true KR101118180B1 (ko) 2012-03-16

Family

ID=4364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156A KR101118180B1 (ko) 2009-09-03 2009-09-03 배앓이 방지를 위한 수유용 젖병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118180B1 (ko)
CN (1) CN102264337B (ko)
WO (1) WO201102803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08098B2 (en) 2013-01-27 2017-07-18 Flipsi Ltd. Fully eversible beverage receptacle
CN103394135B (zh) * 2013-08-13 2015-08-19 陈俊波 一种吸奶器的吸乳罩结构
KR101705534B1 (ko) 2016-05-10 2017-02-10 김동표 수유용 젖병
US10244586B2 (en) * 2016-07-29 2019-03-26 Dart Industries Inc. Microwaveable container
CN106633885A (zh) * 2017-01-06 2017-05-10 东莞亲亲我实业有限公司 一种高硬度抑菌奶瓶及其制备方法
CN107115049A (zh) * 2017-06-28 2017-09-01 贺州思通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新生婴儿洗澡辅助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735Y1 (ko) * 2001-10-11 2002-01-26 김강용 젖병
KR200296991Y1 (ko) * 2002-08-28 2002-11-30 주식회사 림스텍 수유용 젖꼭지
KR200332505Y1 (ko) * 2003-07-15 2003-11-05 조경성 실리콘 유아젖병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71368Y (zh) * 1996-10-11 1997-12-31 许敏仓 一种可有效防止气胀的奶嘴
AUPR972401A0 (en) * 2001-12-21 2002-01-24 Kiehne, Mark William An improved closure system
AT501841B1 (de) * 2003-10-23 2007-01-15 Bamed Ag Flasche, insbesondere babyflasch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US20050284835A1 (en) * 2004-06-23 2005-12-29 Mckendry Bruce Insulated food containers
CN2751806Y (zh) * 2004-11-29 2006-01-18 严克东 一种柔性奶瓶
DE202005015828U1 (de) * 2005-10-08 2007-02-15 Mapa Gmbh Gummi- Und Plastikwerke Auslaufgeschützte Flasche für Kindernahrung
KR100781663B1 (ko) * 2006-11-28 2007-12-03 김태경 수유용 젖병
KR200442627Y1 (ko) * 2007-02-13 2008-11-25 전득재 젖병용 젖꼭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735Y1 (ko) * 2001-10-11 2002-01-26 김강용 젖병
KR200296991Y1 (ko) * 2002-08-28 2002-11-30 주식회사 림스텍 수유용 젖꼭지
KR200332505Y1 (ko) * 2003-07-15 2003-11-05 조경성 실리콘 유아젖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64337B (zh) 2016-01-20
WO2011028030A2 (ko) 2011-03-10
CN102264337A (zh) 2011-11-30
WO2011028030A3 (ko) 2011-06-03
KR20110024959A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8180B1 (ko) 배앓이 방지를 위한 수유용 젖병
US6968964B2 (en) Nipple configuration for use in feeding and nursing newborn infants
ES2661584T3 (es) Aparato para la administración oral de alimentos líquidos y semisólidos
US20120012550A1 (en) Nipple for a Baby Container with Pressure-Equalizing Valve
US20110106156A1 (en) Pacifier and feeding device
US9855194B1 (en) Solid food dispenser and kit
KR200476793Y1 (ko) 젖병용 젖꼭지
JP4813777B2 (ja) 人工乳首及び哺乳器
CN205360008U (zh) 婴幼儿喂药器
CN203183336U (zh) 一种奶瓶
US20190117518A1 (en) Air-free, flow-control feeding bottle
KR102272181B1 (ko) 수유용 젖병
KR200257562Y1 (ko) 가요성 젖병
CN213526461U (zh) 一种吸饮器具
JP3199593U (ja) 鼻腔洗浄ボトル
JP5265618B2 (ja) 人工乳首及び哺乳器
EP3856121A2 (en) Multiflow teat-ring for baby bottle and baby bottle comprising same
KR102207474B1 (ko) 수유용 젖병
CN203861597U (zh) 一种儿童专用仿乳房型喂药器
CN215608430U (zh) 婴幼儿雾化器
CN212973559U (zh) 一种双杯双通道喂养杯
WO2011092706A1 (en) Firm grasp nipple
CN2912636Y (zh) 母乳式婴儿喂药器
CN1718180B (zh) 母乳式婴儿喂药器
KR20220080928A (ko) 유아에 무해한 젖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