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663B1 - 수유용 젖병 - Google Patents

수유용 젖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663B1
KR100781663B1 KR1020060118329A KR20060118329A KR100781663B1 KR 100781663 B1 KR100781663 B1 KR 100781663B1 KR 1020060118329 A KR1020060118329 A KR 1020060118329A KR 20060118329 A KR20060118329 A KR 20060118329A KR 100781663 B1 KR100781663 B1 KR 100781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pple
bottle
baby
air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경
김상표
Original Assignee
김태경
김상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경, 김상표 filed Critical 김태경
Priority to KR1020060118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16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4Feeding-bottles in general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3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 A61J11/004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angled, e.g. in respect to the bott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8Protective covers for bott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유용 젖병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젖병이 공기가 들어가는 구멍이 따로 없어 수유시에 공기가 분유에 섞여 들어가게 됨으로써 아기가 배앓이를 하는 경우가 자주 있었으며, 젖병을 빠는데 과도한 힘을 주게 되는 경우도 있어 젖병의 모양이 일그러지고 아기의 귀에 염증을 생기게 하는 경우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몸체의 뒤쪽으로 마개를 만들어 분유를 넣기 쉽도록 하였으며 앞쪽으로 열되 몸체가 과일모양을 하도록 하여 마개 부분의 단면이 더 커서 세척이 쉬울 뿐 아니라 몸체의 하단부에 공기유입구를 만들되 바로 세웠을때는 내용물이 바깥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고 거꾸로 세워 수유를 할때에만 공기유입구로 공기가 들어가도록 하여 분유에 공기가 섞이지 않도록 하여 아기의 배앓이를 줄이도록 하였다. 또한, 젖병이 피부의 촉감을 갖도록 구성하여 컬러로 시각을 자극하면서 수유시에 보고 듣도 만지고 냄새맡고 맛보도록 하여 오감을 자극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젖꼭지를 물었을때 느껴지는 감촉이 엄마의 그것과 유사한 느낌이 들도록 함으로써 아이에게 편안함을 주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수유용 젖병{NURSING BOTTLE}
도1,2,3,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유용 젖병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4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유용 젖병에 캡을 씌운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젖꼭지 12: 연결부
13: 몸체 14: 공기유입구
15: 실리콘마개 16: 중단돌출홈
17: 연결턱 18: 하단돌출홈
19: 상단돌출홈
본 발명은 수유시에 아이가 모유를 먹을 때의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며, 기존의 젖병이 별도의 공기 유입구멍이 없어 젖병안에서 분유와 공기가 섞이고 이것을 먹음으로써 아기에게 발생할 수 있는 배앓이를 줄이기 위한 젖병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젖병은 길쭉한 모양으로 그 외부에는 수유량을 맞추기 위한 눈금이 그려져 있으며 병의 입구에는 아기가 빨면 분유가 나올 수 있도록 탄성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젖꼭지가 부착되어 있으며 젖꼭지는 젖병에 나사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젖병은 단지 수유라는 기능만을 위하여 제작된 것으로서 그 모양이나 촉감이 모유를 먹을 때의 촉감과 극명하게 차이가 나기 때문에 아이가 모유를 먹을 때 엄마의 품에서와 같이 편안함을 느끼기가 힘들며 수유시에 아기가 어떤 촉감을 느껴 촉감을 자극받거나 시각적인 자극을 받지는 않는다. 이것은 기존의 젖병이 분유를 공급하는것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의 젖병은 아기가 분유를 흡입할 때 젖꼭지부분의 통공외에는 공기구멍이 없어 공기가 통하지 않기 때문에 양쪽볼이 홀쭉해질때까지 빨아야 분유가 나오기 때문에 아기가 젖꼭지를 빠는데에 힘이 들어 입에 통증을 느끼게 될뿐 아니라 아기에게 귀이염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길쭉한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젖병 안쪽을 세척하기는 쉽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아기가 작은 힘으로 빨아도 분유가 쉽게 나올뿐 아니라 공기와 분유가 섞이지 않아 아기의 배앓이를 줄일 수 있게 하는 젖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아기에게 수유를 할때 아기의 오감을 자극할 수 있도록 색다른 촉감과 시각을 제공하는 젖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탈착 및 소독이 간단한 젖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아기가 수유를 받을 때 어머니로부터 수유를 받는 것처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유용젖병을 제공하는데 , 상기 수유용 젖병은
분유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몸체로서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는 상기 몸체의 중심선 쪽을 향하여 돌출한 연결턱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바닥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몸체와;
피수유자가 수유를 받을 수 있도록 바깥쪽으로 돌출된 형태의 젖꼭지와;
상기 젖꼭지와 상기 몸체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그 외부에 다수개의 돌출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홈 사이에 상기 몸체의 연결턱을 끼워 고정시키며 상기 젖꼭지는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식으로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몸체의 안쪽에는 상기 공기유입구를 덮는 실리콘 마개가 부착이 되는데 상기 실리콘마개는 그 중심부만 상기 하단본체에 고정이 되고 주변부는 분리되어 있어 상기 젖병을 똑바로 세우면 상기 실리콘 마개가 상기 공기유입구를 막으며 상기 젖병을 뒤집어 놓으면 상기 실리콘 마개의 주변부가 아래쪽으로 늘어지면서 상기 공기유입구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마개는 상기 하단본체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하단본체에 끼우는 방식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안쪽에는 상기 몸체를 가로지르며 그 중앙부에는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공기 구멍이 있는 쪽의 칸막이는 상기 몸체의 바닥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칸막이의 안쪽으로 분유가저장되며,
상기 공기유입구는 상기 몸체의 바닥에서 상기 칸막이의 공기구멍과 맞닿는 곳 주위로 형성이 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칸막이의 공기구멍이 상기 바닥과 맞닿아 칸막이 안쪽의 분유가 바깥쪽으로 흘러내리지 않으며 상기 공기유입구로부터 들어온 공기도 분유가 있는 쪽으로는 들어오지 못하며
아기가 젖꼭지를 빨게 되면 상기 칸막이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공기유입구로부터 들어온 공기가 상기 공기구멍을 통해 몸체의 안쪽으로 들어오게 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젖꼭지는 상기 몸체의 중심선에 대해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몸체와 젖꼭지는 사람의 피부와 비슷한 촉감을 갖는 소재를 사용하며 상기 젖꼭지의 돌출된 부분주위는 수유시에 아기가 얼굴을 바싹 붙였을때 아기의 얼굴 부위가 상기 젖꼭지의 돌출된 부위이외의 평면 부분에 닿을 수 있을 정도로 평평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몸체는 과일의 촉감을 가지며 상기 몸체의 전체적인 형상은 과일의 형상을 갖고 있되 상기 몸체의 열린 부분의 단면은 상기 몸체의 바닥부분보다 넓어 씻기가 좋으며 색상또한 과일의 색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젖병을 덮는 뚜껑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뚜껑의 안쪽면이 상기 젖꼭지의 통공을 막을 수 있도록 상기 젖꼭지를 향해 돌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몸체와 상기 젖꼭지는 부드러운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젖병을 뒤집어서 세척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젖병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젖병의 상단부에는 아이가 물고 빨수 있도록 젖꼭지가 형성이 되어 있으며 젖꼭지에는 분유가 빠져나올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젖꼭지(11)는 젖병의 몸체(13)와 분리가능하게 형성이 되는데 연결부(12)를 통하여 젖꼭지와 몸체가 결합된다. 젖꼭지와 몸체는 실리콘재질로 형성이 되는데 별도로 뼈대가 되는 부분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몸체를 뒤집거나 젖꼭지를 뒤집어 소독이나 세척이 가능할 수 있다. 특히 몸체와 젖꼭지는 그 외부가 과일또는 피부의 촉감을 갖는 실리콘으로 덮여 있어 아기가 만질 수 있는 부분은 모두 과일의 촉감을 느낄 수 있다. 아이가 만지거나 빨더라도 무해한 재질로 제작이 되어야 하며 실리콘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수유시에 아기가 몸체를 자극하면 자극에 따라 분유가 조금씩 밀려나올 수 있기 때문에 아기가 손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면서 실제 수유시와 비슷한 느낌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젖병의 전체적인 형상이 과일 모양을 하고 있기는 하지만 엄마의 젖과 과일 모양을 비교하였을때 본 발명에 의한 젖병은 과일의 형상을 따르긴 했지만 그 색채 부분이 주로 과일부분을 따른 것이며 과일이나 엄마젖이나 젖꼭지를 중심으로 펑퍼짐하게 형성이 되며 감촉은 피부의 느낌을 준다는 점에서 아기가 엄마로부터 수유받는 다는 느낌을 갖게된다.
특히 젖꼭지가 부착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약간의 평면을 이루며 형성이 되어 있기 때문에 수유를 받으면서 엄마 젖을 만지는 느낌과 비슷한 것 뿐아니라 아기의 턱이나 코 부분이 피부느낌을 갖는 젖병에 닿게 됨으로써 아기가 엄마와 스킨쉽을 하면서 수유를 받는듯한 느낌을 갖게 한다.
젖꼭지가 몸체에 고정되기 위해서는 연결부(12)가 이용되는데, 연결부(12)는 몸체(13)에 부착될 수 있도록 그 하단부와 중단부에 돌출홈을 가지고 있어 몸체의 상단에 몸체의 중심쪽으로 돌출형성된 연결턱(17)에 상기 중단, 하단돌출홈(16,18)을 끼우는 방식으로 결합한다.
젖꼭지는 상단돌출홈(19)이 젖꼭지의 내부에 형성된 턱에 끼우는 방식으로 결합될수 도 있으며 연결부의 외주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돌려서 끼우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도1에 도시된 것은 돌출홈에 의하여 끼우는 방식을 도시하였으나 그 외의 방식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젖병의 몸체는 수유를 위한 분유가 담길 수 있도록 그 안에 저장공간을 가지며 몸체의 전체적인 외곽선은 과일모양을 하도록 하며 과일의 촉감을 갖도록 함으로써 수유를 할때 아기가 과일의 촉감을 느끼고 과일의 모양을 보고 만지고 냄새맡으면서 수유까지 하도록 함으로써 아기의 오감을 자극할 수 있도록 한다.
젖병의 몸체는 과일의 촉감을 가질 수도 있지만 피부의 촉감을 가지도록 하 여 수유시에 아기가 만지거나 몸으로 비빌때에도 엄마와 비슷한 느낌을 주도록 할 수 있다.
젖꼭지는 상기 몸체의 중심선과 일치하도록 형성이 될 수 도 있지만, 모유의 경우에도 젖꼭지의 중심선과 엄마젖의 중심선이 약간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 것처럼 젖꼭지가 상기 몸체의 중심선과 소정각도를 이루며 형성이 되도록 하여(즉, 아이의 입쪽을 향해 구부러지도록 하여) 젖병을 높이 들거나 하지 않아도 내부의 분유가 쉽게 아기에게 공급된다.
종래의 젖병이 길쭉한 모양이라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여 닦지 않으면 깨끗하게 닦이지 않는 단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에 따르는 젖병은 몸체가 과일의 모양을 입구가 되는 상단이 하단보다 직경이 넓은 형태로 형성이 되기 때문에 젖꼭지를 제거하고 연결부를 떼어낼수 있게 함으로써 세척이 쉬우며 실리콘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젖병을 뒤집어 말리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몸체의 하단에는 외부와 통하는 공기 유입구(14)가 형성이 되는데 공기 유입구로부터 공기가 들어 올 수 있도록 한다. 기존 젖병은 젖꼭지에 형성된 통공을 제외하고는 모두 막혀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아이가 분유를 먹기 위해서는 젖병의 모양이 일그러질 정도로 까지 젖병안쪽의 공기까지 빨아들여야 하며 아기가 빠는걸 잠시 멈추는 동안에 주위의 공기가 상기 통공속으로 들어가 분유와 섞이게 되는데 이 때문에 아이가 분유를 먹는게 힘들뿐 아니라 너무 빨아대게 되면 아기의 귀에 염증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젖꼭지쪽으로 들어온 공기가 분유와 섞이게 되면 아기가 배앓이를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본원 발명은 젖 병의 하단에 공기유입구를 형성함으로써 아이가 분유를 먹더라도 분유를 아이가 먹는만큼 공기유입구(14)로 공기가 유입되어 젖병의 내부를 채우게 되며 공기는 마개 부분에만 위치하기 때문에 분유와 공기가 섞여 배앓이를 하게 될 위험이 없으며 아기가 힘들여 빨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젖병의 모양이 일그러지지 않아 처음부터 수유가 끝날때까지 아이가 엄마의 가슴모양 그대로를 느낄 수 있다.
또한 공기 유입구위에 실리콘마개를 형성하되 공기유입구를 다 덮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면서도 그 중심부분만 고정된 형태로 형성하고 그 크기가 마개의 바닥면적보다 조금더 작은 형태가 되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젖병을 젖꼭지가 위로 가게 세우는 경우에는 중력에 의해서 실리콘마개가 상기 공기 유입구를 덮게 되며 분유가 채워진 경우에도 분유가 실리콘 마개를 누름으로써 공기 유입구쪽으로 분유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며
수유시에 젖꼭지가 아래쪽으로 가는 형태로 뒤집게 되면 실리콘 마개에서 고정된 중김부를 제외한 고정되지 않은 주변부가 그 자체의 무게에 의해 아래쪽으로 밀려나게 되어 자연스럽게 공기유입구를 열게 되어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젖꼭지가 아래쪽을 향한 상태에서는 분유가 젖꼭지 쪽으로 향하게 되고 상단에는 공기만 남에 되기 때문에 그 자체의 무게만으로도 자연스럽게 아래쪽을 향하게 된다. 즉, 공기가 유입되는 구멍과 분유가 나오는 구멍을 마주보게 형성함으로써 분유가 잘 나오지 않거나 공기와 섞이는 현상을 방지하였다.
도2는 도1의 젖병을 위에서 본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리콘마개(15)가 몸체의 바닥면에 끼우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몸체의 상단에 결합 된 연결부(12)에 의해 나사식으로 젖꼭지가 결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3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젖병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에 도시된 젖병은 몸체의 밑면의 중심부를 중심으로하여 몸체의 바닥의 중심부는 막힌 구조이고 상기 바닥중심부를 주위로 방사상으로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옆에서 보았을때 바닥중심부는 공기 유입구보다 더 돌출되어 있다.
몸체의 중간에는 칸막이가 형성되는데 상기 칸막이는 유연한 재질로 되어 있으며 그 중심부만 돌출되어 있으며 그 중심부에는 작은 통공이 몇 개 형성이 되어 있어 칸막이의 중심부와 바닥중심부는 그 직경이 거의 일치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젖꼭지가 위로가도록 세워 놓은 경우에는 분유가 안에 있는 경우에는칸막이가 그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분유의 무게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내려와 바닥중심부에 안착됨으로써 바닥중심부가 칸막이 중심부의 통공을 막아 분유가 밖으로 새어나가지 않게 하며 분유를 수유하는 경우에는 몸체를 거꾸로 들게 되는데 아기가 젖꼭지를 빠는 힘에 의하여 쉽게 칸막이중심부와 바닥중심부가 분리되어 바닥의 공기유입구로부터 들어온 공기가 칸막이 중심부의 통공을 통해 몸체의 안쪽부분 으로 들어와 앞쪽의 분유를 젖꼭지 쪽으로 밀어내게 된다.
도4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젖병에 캡을 씌운 모습을 도시한도면이다. 캡이 없는 경우에는 젖꼭지가 항상 외부로 노출이 되기 때문에 먼지등이 뭍어 보관할 때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분유를 채운상태에서는 젖꼭지부분이 외부로부터 더럽혀지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똑바로 세워놓는 경우에도 공기유입구로에 먼지등이 뭍을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캡을 이용하여 거꾸로 세워 놓는다. 그 러나 거꾸로 세워놓더라도 젖꼭지의 통공부분이 캡의 바닥면과 닿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젖병의내용물이 바깥쪽으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것으로서 젖병의 외부 모양을 과일 모양으로 구성하고 채색함으로써 아이들에게 시각적인 자극을 줄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보다 친숙하게 느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발명에 의하여 아기가 큰힘을 들이지 않아도 분유가 쉽게 빨려 나올 수 있으며 공기와 분유가 섞이지 않아 아기의 배앓이를 줄이며 수유시에 아기에게 모유수유의 느낌을 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9)

  1. 수유용 젖병으로써,
    분유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몸체로서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는 상기 몸체의 중심선 쪽을 향하여 돌출한 연결턱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바닥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몸체와;
    피수유자가 수유를 받을 수 있도록 바깥쪽으로 돌출된 형태의 젖꼭지와;
    상기 젖꼭지와 상기 몸체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로서, 그 외부에 다수개의 돌출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홈 사이에 상기 몸체의 연결턱을 끼워 고정시키며 상기 젖꼭지는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식으로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부를;포함하며, 상기몸체의 안쪽에는 상기 공기유입구를 덮는 실리콘 마개가 부착이 되는데 상기 실리콘마개는 그 중심부만 상기 하단본체에 고정이 되고 주변부는 분리되어 있어 상기 젖병을 똑바로 세우면 상기 실리콘 마개가 상기 공기유입구를 막으며 상기 젖병을 뒤집어 놓으면 상기 실리콘 마개의 주변부가 아래쪽으로 늘어지면서 상기 공기유입구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수유용 젖병.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마개는 상기 하단본체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하단본체에 끼우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용 젖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안쪽에는 상기 몸체를 가로지르며 그 중앙부에는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공기 구멍이 있는 쪽의 칸막이는 상기 몸체의 바닥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칸막이의 안쪽으로 분유가저장되며,
    상기 공기유입구는 상기 몸체의 바닥에서 상기 칸막이의 공기구멍과 맞닿는 곳 주위로 형성이 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칸막이의 공기구멍이 상기 바닥과 맞닿아 칸막이 안쪽의 분유가 바깥쪽으로 흘러내리지 않으며 상기 공기유입구로부터 들어온 공기도 분유가 있는 쪽으로는 들어오지 못하며
    아기가 젖꼭지를 빨게 되면 상기 칸막이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공기유입구로부터 들어온 공기가 상기 공기구멍을 통해 몸체의 안쪽으로 들어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용 젖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젖꼭지는 상기 몸체의 중심선에 대해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용 젖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젖꼭지의 돌출된 부분주위는 수유시에 아기가 얼굴을 바싹 붙였을때 아기의 얼굴 부위가 상기 젖꼭지의 돌출된 부위이외의 평면 부분에 닿을 수 있을 정도로 평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용 젖병.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체적인 형상은 과일의 형상을 갖고 있되 상기 몸체의 열린 부분의 단면은 상기 몸체의 바닥부분보다 넓어 씻기가 좋으며 색상 또한 과일의 색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용 젖병.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젖병을 덮는 뚜껑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뚜껑의 안쪽면이 상기 젖꼭지의 통공을 막을 수 있도록 상기 젖꼭지를 향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용 젖병.
  9. 삭제
KR1020060118329A 2006-11-28 2006-11-28 수유용 젖병 KR100781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329A KR100781663B1 (ko) 2006-11-28 2006-11-28 수유용 젖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329A KR100781663B1 (ko) 2006-11-28 2006-11-28 수유용 젖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1663B1 true KR100781663B1 (ko) 2007-12-03

Family

ID=39139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329A KR100781663B1 (ko) 2006-11-28 2006-11-28 수유용 젖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166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8030A2 (ko) * 2009-09-03 2011-03-10 Kim Sang-Pyo 배앓이 방지를 위한 수유용 젖병
KR101948762B1 (ko) * 2018-07-27 2019-02-15 박장수 젖병
CN110339068A (zh) * 2019-07-23 2019-10-18 湖北运动人杯壶制造有限公司 一种带进气装置的搅拌奶瓶
CN110680752A (zh) * 2019-10-22 2020-01-14 上海岸谷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防止胀气的奶瓶
KR20220043262A (ko) * 2020-09-29 2022-04-05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젖병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실2000-15985호(2000.8.16)
한국한국실용신안공보 실1995-8655호(1995.10.12)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8030A2 (ko) * 2009-09-03 2011-03-10 Kim Sang-Pyo 배앓이 방지를 위한 수유용 젖병
WO2011028030A3 (ko) * 2009-09-03 2011-06-03 Kim Sang-Pyo 배앓이 방지를 위한 수유용 젖병
KR101948762B1 (ko) * 2018-07-27 2019-02-15 박장수 젖병
CN110339068A (zh) * 2019-07-23 2019-10-18 湖北运动人杯壶制造有限公司 一种带进气装置的搅拌奶瓶
CN110680752A (zh) * 2019-10-22 2020-01-14 上海岸谷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防止胀气的奶瓶
KR20220043262A (ko) * 2020-09-29 2022-04-05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젖병
KR102472331B1 (ko) 2020-09-29 2022-11-2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젖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1663B1 (ko) 수유용 젖병
US20110155684A1 (en) Baby bottle and feeding system
KR101279155B1 (ko) 유아용 수유 용기
US20070288056A1 (en) Mitten teether/pacifier
SG177455A1 (en) Feeding apparatus
US7351251B2 (en) Simulated breast pacifying comfort aide system
KR20180072375A (ko) 젖병
US20200352828A1 (en) Apparatus Useful for Infant Teething and Suckling
TW201526887A (zh) 訓練奶嘴單元
US20220047463A1 (en) Baby bottle system
US20210220226A1 (en) Infant feeding systems
KR102272181B1 (ko) 수유용 젖병
CN216602373U (zh) 一种幼儿用防漏零食杯
CN102348447B (zh) 婴儿喂食器
CN218589387U (zh) 防吃手磨牙安抚牙胶
KR20160046084A (ko) 손가락 빨기 방지 교정기
CN215133632U (zh) 一种母婴用具有防烫结构的奶嘴瓶
JPH024673Y2 (ko)
WO2011092706A1 (en) Firm grasp nipple
KR200397308Y1 (ko) 수유용 젖꼭지
CN219090315U (zh) 一种拆卸式护手牙胶
CN219001225U (zh) 一种针对学龄前儿童的新型辅助用药吸管
CN206214438U (zh) 咬咬袋哺食器
WO2016174381A1 (en) Improvements in baby and infant pacifier weaning methods
CN213759528U (zh) 儿科护理用喂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