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331B1 - 기능성 젖병 - Google Patents

기능성 젖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331B1
KR102472331B1 KR1020200126467A KR20200126467A KR102472331B1 KR 102472331 B1 KR102472331 B1 KR 102472331B1 KR 1020200126467 A KR1020200126467 A KR 1020200126467A KR 20200126467 A KR20200126467 A KR 20200126467A KR 102472331 B1 KR102472331 B1 KR 102472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surface
nipple
bottle
outer circumferential
fema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3262A (ko
Inventor
공하성
Original Assignee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26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331B1/ko
Publication of KR20220043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3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05Non-rigid or collapsible feeding-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1Teats having means for regulating the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4Teats with means for fastening to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6Holders for bottles
    • A61J9/0623Holders for bottles facilitating gri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6Holders for bottles
    • A61J9/063Holders for bottles having a particular supporting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6Holders for bottles
    • A61J9/0653Holders for bott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61J9/0669Holders for bott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supported by the inf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에게 수유를 위한 젖병 몸체의 중간에 좌우로 휘어지는 플렉시블 재질의 주름부를 구비하여 수유자가 아이를 비스듬히 눕히거나 안고 젖병을 수유할때 젖병의 중간에 구비된 주름부로 젖병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성 젖병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가 비어있고 상부가 개방되되, 상단 외주면에 제1암나사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되, 상부는 분유등을 넣는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방부의 외주면에 제2수나사부가 구비되며, 중앙에 플렉시블한 재질의 주름관이 구비되고, 하단에 상기 제1암나사부와 연결되는 제1수나사부가 구비되는 주름부와, 탄성재질로 내부가 비어있는 완만한 돌출부를 가지며 상단에 흡입통공을 구비하는 젖꼭지캡과, 상기 젖꼭지캡의 하부 외주면에 하면이 개방된 캡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캡프레임의 내주면에 제2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젖꼭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젖병.

Description

기능성 젖병{FUNCTIONAL FEEDING BOTTLE}
본 발명은 아이에게 수유를 위한 젖병 몸체의 중간에 좌우로 휘어지는 플렉시블 재질의 주름부를 구비하여 수유자가 아이를 비스듬히 눕히거나 안고 젖병을 수유할때 젖병의 중간에 구비된 주름부로 젖병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성 젖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젖병은 말랑말랑한 고무재질로 된 젖꼭지가 끼워져 있는 뚜껑을 병에 형성된 나사를 이용하여 돌려 끼우는 구조이고, 일반 물병과 마찬가지로 젖꼭지가 달린 뚜껑을 돌려서 손쉽게 열 수 있기 때문에 음료를 넣거나 분유를 탈 때 사용하며, 상기 젖꼭지 끝단에는 미세한 통공이 있기 때문에 아기가 엄마의 젖을 빨듯 이 젖꼭지를 빨면 병속에 담긴 내용물이 흘러 나오며, 이 상기 통공의 크기도 아이의 성장에 맞추어 단계별로 정해져 있어, 아이가 클 수록 한 번에 더 많은 양의 내용물이 나오도록 되어 있다.
대부분의 젖병은 자연재료에서 추출한 합성수지인 PLA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상온에서 유해물질이 배출되지 않고 물이 끊는 온도에서는 유해물질을 합성시키지 않는 재료로 사용한다.
또한, 젖병의 외부에는 용량을 알 수 있게 눈금이 그어져 있는데, 이는 분유를 탈 때 숟가락용량으로 계산하는 것보다 외부의 형성된 눈금으로 볼 수 있기때문에 아이에게 적정용량의 분유를 먹이는데 도움을 준다.
젖병을 물릴때는 아이의 자세, 아이 목의 각도, 젖병의 각도가 중요한데, 이는 수유 자세가 잘못 된 경우 아이에게 중이염이 발생 될 수 있고 가스가 차거나 역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아이 몸의 각도는 45도 전후각도에서 90도 사이로 하고, 머리는 상기 몸의각도에서 약간 뒤로 기울여주며, 젖병의 각도는 아이의 머리와 직각이되되, 젖꼭지 앞부분은 아이 뱃속에 가스가 차는걸 방지하기 위해 항상 분유로 가득차있어야한다.
이때, 수유자의 손목은 젖병의 각도를 유지하기위해 일정 각도에서 힘을 주어 멈춰있게 되는데, 상기 동작은 손목에 수근관(손목터널)에 무리를 주고 손목터널(수근관)증후군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종래기술로 국내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7-0041419호에는 용적이 조절되게 외면에 주름이 형성된 자바라 몸체와 상부에 분유가 배출되는 젖꼭지부로 이루어져 자바라 몸체가 축소 또는 연장 가능한 젖병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몸체 전체가 자바라로 되어있어 내부청소가 불편하고, 바닥에 내려놓았을때의 지지력이 떨어지며 파지에도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아이에게 젖병을 물릴때 손목에 무리가 가지않게 하며, 젖병의 청소 및 소독이 용이하게 단위별로 분리되는 젖병이 요구된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7-0041419호(2017.04.17.공개)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젖병몸체와 젖꼭지부 사이에 플렉시블 재질의 주름관을 포함하는 주름부를 구비하여, 상기 주름관을 일정각도로 구부릴 수 있게하고, 상기 주름부는 상단의 젖꼭지부와 하단의 몸체사이에 나사연결되어 청소를 위해 분리할 수 있는 기능성 젖병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젖병은 내부가 비어있고 상부가 개방되되, 상단 외주면에 제1암나사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되, 상부는 분유등을 넣는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방부의 외주면에 제2수나사부가 구비되며, 중앙에 플렉시블한 재질의 주름관이 구비되고, 하단에 상기 제1암나사부와 연결되는 제1수나사부가 구비되는 주름부와,
탄성재질로 내부가 비어있는 완만한 돌출부를 가지며 상단에 흡입통공을 구비하는 젖꼭지캡과, 상기 젖꼭지캡의 하부 외주면에 하면이 개방된 캡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캡프레임의 내주면에 제2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젖꼭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외주면에 분유의 적정용량 계산을 위한 눈금이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젖꼭지부는 제2암나사부의 하단에 돌출부를 구비하고, 원형의 띠 형태인 연결링과 상기 연결링의 좌측 및 우측에 손잡이로 사용가능한 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링의 내주면에 두 개의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끝단에 띠모양으로 홈이 구비된 슬라이드홈과 상기 슬라이드홈의 상면에 상기 삽입홈과 직각의 위치에 구비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는 상기 돌출부에 삽입홈을 삽입하고 손잡이를 회전하게 되면 돌출부가 슬라이드홈을 통해 고정홈으로 안착하여 돌출부가 이탈하지 않게 되며, 손잡이가 젖꼭지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유자가 아이에게 수유할때 젖병의 각도를 아이의 누워있는 각도에 대응하여 손목을 이용해 각도를 조절한다음 수유하지 않고, 중앙에 구비된 주름관을 구부려서 각도를 조절한 후 수유함으로써, 손목에 피로감이 감소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주름관을 구비한 젖병은 일체형이나 병의 전체가 주름관으로 되어있어 청소가 불편하고 병의 지지가 견고하지 않았는데, 본원 발명은 병의 일부만 주름관을 구비하여 내구성이 견고하고, 주름관과 몸체 및 젖꼭지부가 모두 분리되어 청소가 간편한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젖병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젖병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젖병의 실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젖병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겸용 샤워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젖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내부가 보이는 투명한 재질의 병으로, 외주면에 눈금(120)이 형성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와 나사로 연결되며, 구부러질 수 있게 주름관의 형태를 구비한 주름부(200)와 상기 주름부(200)의 상단에 연결되어 아이가 입으로 분유를 흡입하는 젖꼭지부(300)로 구비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젖병의 단면 분해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상기 몸체(100)는, 일반적인 젖병의 병 몸체를 반으로 자른듯한 컵과 같은 모양이며, 재질은 투명하게 구비하여 내부가 보이게 하고, 상기 주름부(200)와 연결을 위해 몸체(100)의 상단 내주면에 제1암나사부(110)를 구비한다.
상기 주름부(200)는,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되, 하단의 외주면에 제1수나사부(210)를 구비하여 상기 제1암나사부(110)와 나사연결하며, 상단에 분유 및 음료등을 넣는 개방부(220)가 구비되되, 상기 개방부의 외주면에 제2수나사부(221)가 구비되고, 주름부(200)가 구부러질 수 있게 플렉시블한 재질의 주름관(230)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름부(200)는 몸체(100)와 같은 재질로 구비되되, 중앙의 주름관(230)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구비하고, 주름관(230)의 상하단은 주름부(200)와 고정 접착된다.
상기 젖꼭지부(300)는, 탄성재질로 내부가 비어있는 완만한 돌출부를 가지는 젖꼭지캡(320)과 상기 젖꼭지 캡의 상단에 아이가 젖꼭지캡을 물고 흡입할 때, 내부의 내용물이 토출되기 위한 흡입통공(311)을 구비하고, 상기 젖꼭지캡(320)의 하부 외주면에 하면이 개방된 캡프레임(320)이 구비되며, 상기 주름부(200)와 연결을 위해 주름부(200)에 구비된 제1수나사부(210)에 대응되는 제2암나사부(321)를 상기 캡프레임(320)의 내주면에 구비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젖병의 실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같이 상기 주름관(230)은 주름관(230)의 내부에 요홈부가 맞닿으며 휘어지고, 상기 주름관(230)은 실리콘과 같이 유연한 재질로하여 별도의 힘을 쓰지 않고 병을 기울인 방향으로 휘어지게 하여 젖병을 수평으로 들어 주름부(200)가 휘고 주름부(200)의 상단에 젖꼭지부(300)를 이용하여 비스듬히 누워있는 아이에게 수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관(230)의 재질을 플라스틱과 같은 견고한 합성수지 재질로 미술용 물통과 같은 자바라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수유자가 힘을주어 구부리면 상기 구부린모양이 유지되도록 하여, 수유자가 아이의 자세와 맞는 기울기로 주름관(230)을 구부린 후 수유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젖병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젖꼭지부(300)는 제2암나사부(321)의 하단에 돌출부(330)를 구비하고,
원형의 띠 형태인 연결링(410)과 상기 연결링(410)의 좌측 및 우측에 손잡이로 사용가능한 파지부(420)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링(410)의 내주면에 두 개의 삽입홈(411)과 상기 삽입홈(411)의 끝단에 띠모양으로 홈이 구비된 슬라이드홈(412)과 상기 상기 슬라이드홈(412)의 상면에 상기 삽입홈(411)과 직각의 위치에 구비되는 고정홈(413)을 포함하는 손잡이(400)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손잡이(400)를 젖꼭지부(300)로의 연결은 손잡이의 파지부(420)를 잡고 상기 연결링(410)과 젖꼭지부(300)를 동심으로 맞춘뒤 연결링(410)에 구비된 삽입홈(411)을 상기 돌출부(330)에 삽입하고, 상기 손잡이(400)를 90도 회전시키면 상기 돌출부(330)가 띠모양의 홈인 슬라이드홈(412)을 통해 이동되다 도 4와 같이 상기 고정홈(413)에 안착되어 상기 손잡이(400)가 안착된다.
상기 손잡이(400)를 분해 할때는 손잡이(400)를 들어올려 고정홈(413)에서 빼낸 후에 90도 회전시켜 삽입홈(411)으로 탈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400)는 아이가 손으로 물건을 잡을 수 있는 시기에 수유자의 보호아래 아이의 손으로 상기 파지부(420)를 쥐고 분유를 먹을 수 있어 아이의 물건을 쥐는 학습을 같이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몸체 200: 주름부
110: 제1암나사부 210: 제1수나사부
120: 눈금 220: 제2수나사부
230: 주름관
240: 돌출부
300: 젖꼭지부 400: 손잡이
310: 젖꼭지캡 410: 연결링
320: 캡프레임 420: 파지부
330: 돌출부

Claims (3)

  1. 아이의 수유를 위하여 젖꼭지와 병으로 구성된 젖병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있고 상부가 개방되되, 상단 외주면에 제1암나사부(110)가 형성된 몸체(100);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되, 상부는 분유등을 넣는 개방부(220)가 구비되고, 상기 개방부(220)의 외주면에 제2수나사부(221)가 구비되며, 중앙에 플렉시블한 재질의 주름관(230)이 구비되고, 하단에 상기 제1암나사부(110)와 연결되는 제1수나사부(210)가 구비되는 주름부(200);
    탄성재질로 내부가 비어있는 완만한 돌출부를 가지며 상단에 흡입통공(311)을 구비하는 젖꼭지캡(310)과, 상기 젖꼭지캡(310)의 하부 외주면에 하면이 개방된 캡프레임(320)이 구비되며, 상기 캡프레임(320)의 내주면에 제2암나사부(321)가 형성되는 젖꼭지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젖꼭지부(300)는 제2수암나사부(321)의 하단에 돌출부(330)를 구비하고,
    원형의 띠 형태인 연결링(410)과 상기 연결링(410)의 좌측 및 우측에 손잡이로 사용가능한 파지부(420)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링(410)의 내주면에 두 개의 삽입홈(411)과 상기 삽입홈(411)의 끝단에 띠모양으로 슬 홈이 구비된 슬라이드홈(412)과 상기 슬라이드홈(412)의 상면에 상기 삽입홈(411)과 직각의 위치에 구비되는 고정홈(413)을 포함하는 손잡이(400)와,
    상기 손잡이(400)는 상기 돌출부(330)에 삽입홈(411)을 삽입하고, 손잡이(400)를 회전하게 되면 돌출부(300)가 슬라이드홈(412)을 통해 고정홈(413)으로 안착하여 돌출부(300)가 이탈하지 않게 되어, 손잡이(400)가 젖꼭지부(3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젖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외주면에 분유의 적정용량 계산을 위한 눈금이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젖병.

  3. 삭제
KR1020200126467A 2020-09-29 2020-09-29 기능성 젖병 KR102472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467A KR102472331B1 (ko) 2020-09-29 2020-09-29 기능성 젖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467A KR102472331B1 (ko) 2020-09-29 2020-09-29 기능성 젖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262A KR20220043262A (ko) 2022-04-05
KR102472331B1 true KR102472331B1 (ko) 2022-11-29

Family

ID=81181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467A KR102472331B1 (ko) 2020-09-29 2020-09-29 기능성 젖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3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609Y1 (ko) 2002-11-01 2003-02-11 황종서 육안식별 및 간편수유 젖꼭지
KR200378031Y1 (ko) * 2004-12-13 2005-03-11 박정기 커플링 및 이 커플링을 갖는 젖병
KR100781663B1 (ko) 2006-11-28 2007-12-03 김태경 수유용 젖병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768B1 (ko) * 2011-07-25 2013-03-28 신재곤 신축성 젖병
KR20170041419A (ko) 2015-10-07 2017-04-17 김현국 젖병
KR20200091169A (ko) * 2019-01-22 2020-07-30 한영수 유아용 젖병과 음료수병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어댑터 및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609Y1 (ko) 2002-11-01 2003-02-11 황종서 육안식별 및 간편수유 젖꼭지
KR200378031Y1 (ko) * 2004-12-13 2005-03-11 박정기 커플링 및 이 커플링을 갖는 젖병
KR100781663B1 (ko) 2006-11-28 2007-12-03 김태경 수유용 젖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262A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4117A (en) Straw adaptor for baby bottle
US8181816B2 (en) Flexible drinking cup
US5480043A (en) Two-handle collar for a baby bottle for helping the baby hold and support a bottle while drinking through a nipple
US20060213856A1 (en) Handled drinking container
US20120012550A1 (en) Nipple for a Baby Container with Pressure-Equalizing Valve
US20180360245A1 (en) Convertible Silicone Toddler Cup
US3441160A (en) Anticolic straw for nursing bottles
US5556008A (en) Soft-cup feeder
US20110106156A1 (en) Pacifier and feeding device
US20020139767A1 (en) Sipping lid for baby bottles
TWM589054U (zh) 吸乳器及餵食套組
US6814247B2 (en) Fluid dispenser for babies
KR102472331B1 (ko) 기능성 젖병
US20170281472A1 (en) Baby bottle
US10426280B2 (en) Multifunctional universal silicon spout adaptor for drinking vessels
KR101932346B1 (ko) 빨대를 구비한 스파우트 컵
KR200257562Y1 (ko) 가요성 젖병
KR102272181B1 (ko) 수유용 젖병
US3384257A (en) Drink container
US20010015340A1 (en) Drinking vessel for infants
US20140001144A1 (en) One-piece cap with flexible straw and sealing disk for baby bottle
KR101885545B1 (ko) 유아용 스트로우 음료용기 조립체
KR200194240Y1 (ko) 탄력부를 가지는 젖병
US11564869B2 (en) Combined infant feeding and pacifier retention device
JP4822821B2 (ja) 飲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