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809Y1 - 표면실장용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용 클립 리본 및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표면실장용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용 클립 리본 및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809Y1
KR200366809Y1 KR20-2004-0016531U KR20040016531U KR200366809Y1 KR 200366809 Y1 KR200366809 Y1 KR 200366809Y1 KR 20040016531 U KR20040016531 U KR 20040016531U KR 200366809 Y1 KR200366809 Y1 KR 2003668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frame
ribbon
tap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5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태
Original Assignee
김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태 filed Critical 김성태
Priority to KR20-2004-00165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8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8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8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6Surface mounting
    • H05K13/0469Surface mounting by applying a glue or viscous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표면실장용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용 클립 리본 및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급송테이프의 연결에 사용되는 클립이 복수 개 나란히 연결되어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클립 리본과, 급송테이프의 연결을 위한 툴을 프레임에 고정하여 연결 작업의 신속 및 정확성을 향상시킨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복수의 클립이 연결테이프에 부착되거나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클립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매우 작은 크기의 클립 낱개를 수작업으로 공급하는 수고를 덜고, 복수의 클립을 롤 형태로 감을 수 있고, 클립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그리고 급송테이프 연결 전용의 스플라이싱 툴을 프레임에 고정한 연결 장치를 제공하므로 연결 작업의 용이성은 물론 신속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공정이 중단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생산 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고 제조 공정 중단에 따른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표면실장용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용 클립 리본 및 연결 장치{CLIP RIBBON AND APPARATUS FOR SPLICING SURFACE MOUNTED DEVICE CARRIER TAPE}
본 고안은 표면실장용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용 클립 리본 및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급송테이프의 연결에 사용되는 클립이 복수 개 나란히 연결되어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클립 리본과, 급송테이프의 연결을 위한 툴을 프레임에 고정하여 연결 작업의 신속 및 정확성을 향상시킨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PCB : Printed Circuit Board)에는 접점 전극들을 형성하고, 크림 솔더를 도포한 다음 이 위에 칩 등의 전자부품이 칩마운터에 의해 표면실장된다. 이 때 소요되는 전자부품은 연속적으로 공급해 줄 필요가 있다. 부품의 연속적인 공급을 위해서는 테이프 피더라 불리는 별도의 장비가 사용된다. 상기 테이프 피더에는 전자부품이 내장된 급송테이프가 릴 형태로 감긴 부품드럼이 장착되어 있다. 즉,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될 전자부품은 먼저 급송테이프에 내장되고, 급송테이프는 부품드럼에 감기며, 테이프 피더는 상기 급송테이프를 풀어내어 칩마운터로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급송테이프(50)는 전자부품이 내장될 홀더(52)를 구비한 띠 형상으로서, 특히 폭방향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인덱스 홀(51)이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덱스 홀(51)은 일정한 피치로 급송테이프를 풀어내기 위한 것으로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급송테이프의 규격에 따라 폭방향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부품드럼에 감긴 급송테이프가 모두 풀려나가 소진되면, 새로운 부품드럼으로 교체하여야 한다. 부품드럼을 교체하는 동안에는 부품의 공급이 중단되므로 칩마운터의 작동을 포함한 인쇄회로기판 제조공정 전체 또는 일부분이 중단되어야 한다. 이후 부품을 계속 공급하기 위해서는 소진된 부품드럼에서 풀려나간 급송테이프의 마지막 부분과 새로운 부품드럼에서 풀려나온 급송테이프의 첫 부분을 연결하여야 한다.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두 급송테이프(50, 50') 간의 연결을 위해 클립(10)을 사용하였다. 상기 클립(10)은 급송테이프의 인덱스 홀(51)과 동일한 간격으로 관통구멍(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구멍의 주연부에는 톱니(1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두 급송테이프(50, 50')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두 급송테이프의 끝단에 상기 톱니(12)가 인덱스 홀(51)을 관통하도록 클립(10)을결합한 다음,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별도의 연결용 툴(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톱니(12)가 절곡되도록 클립(10)을 압박하여야 했다.
그러나 부품드럼의 교환은 생산현장에서 하루 수백 번 이상 빈번히 이루어지지만, 클립은 낱개로 공급되며 연결용 툴 또한 작업자가 직접 손에 들고 작업해야하는 수공구인 바, 작업 효율에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숙련된 작업자라 해도 짧은 시간 내에 부품드럼의 교환 및 급송테이프의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였다. 그리고 전자부품의 크기와 비례하여 클립의 크기도 작아지는 추세이므로 낱개로 제공되는 클립이 보관 또는 사용 도중 분실되는 비율이 높은 것도 문제였다.
본 고안은 클립의 분실을 방지하고 신속히 급송테이프를 연결할 수 있는 급송테이프 연결용 클립 리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클립 리본을 이용하여 급송테이프의 연결 작업을 신속히 완료할 수 있는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표면실장용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용 클립 리본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클립의 종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표면실장용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용 클립 리본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표면실장용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용 클립 리본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표면실장용 전자부품 급송테이프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종래 클립으로 급송테이프 연결하는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종래 클립으로 연결된 급송테이프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표면실장용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 장치의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실시예의 좌측면도
도 10은 도 8의 실시예의 스플라이싱 툴의 개방 상태의 상세도
도 11은 도 8의 실시예의 스플라이싱 툴의 폐쇄 상태의 상세도
도 12는 도 8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13은 도 8의 실시예의 배면도
도 14는 도 13의 커터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클립 200 테이프
510 부품드럼 520 클립드럼
530 프레임 600 스플라이싱 툴
700 가이드 레일 C 클립 리본
본 고안에 따른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용 클립 리본은, 각각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관통구멍의 주연부에는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톱니는 박판의 일측면을 향하여 돌출된 장방형의 박판으로 되고,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클립과, 상기 복수의 클립이 상기 톱니의 반대측 면이 부착된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용 클립 리본은, 롤로 감겨질수 있는 띠형상의 박판이고, 복수의 관통구멍이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관통구멍의 주연부에는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톱니는 박판의 일측면을 향하여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클립 리본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노치가 형성되 있으면 절단이 용이해지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용 클립 리본은, 각각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관통구멍의 주연부에는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톱니는 박판의 일측면을 향하여 돌출된 장방형의 박판으로 되고,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클립부와, 상기 각각의 클립부의 폭방향 일측에서 연장된 절단부와, 상기 각각의 절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클립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 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표면실장용 전자부품이 내장되며 복수의 인덱스 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형성된 급송테이프가 감기기 위한 부품드럼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복수의 관통구멍이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관통구멍 주연부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톱니가 돌출된 클립 복수 개가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연결된 클립 리본이 감기기 위한 클립드럼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클립드럼으로부터 풀려나온 클립의 상기 톱니가 상기 부품드럼에서 풀려나온 급송테이프의 끝단의 인덱스 홀과 교체장착될 다른 부품드럼에서 풀려나온 급송테이프의 앞단의 인덱스 홀에 각각 삽입되도록 상기 클립을 배치하고, 상기 클립을 압박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스플라이싱 툴과, 상기 스플라이싱 툴에 고정되어 상기 클립리본을 절단하기 위한 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스플라이싱 툴은, 상부 양단에 각각 힌지가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일측이 상기 고정부의 상부 일단에 힌지되며 타측이 상기 클립 리본의 클립을 압박하기 위한 상부 조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조와 맞물리며 상기 클립 리본의 클립을 지지하는 하부 조와, 일단이 상기 상부 조의 다른 타측에 힌지되는 손잡이와, 일단이 상기 손잡이에 힌지되며 중앙부가 상기 고정부의 상부 타단에 힌지되는 복귀링크와, 일단이 상기 복귀링크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된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플라이싱 툴은, 상기 하부 조에 힌지되어 상기 하부 조에 지지된 클립 리본이 상기 하부 조에 밀착되도록 압박하는 푸셔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 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된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플라이싱 툴은 상기 가이드레일 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 장치는, 상기 클립 리본의 클립의 관통구멍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의 핀이 원주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클립 리본의 진행을 안내하며, 상기 프레임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피딩 스프로켓과, 상기 피딩 스프로켓과 동축으로 고정된 요동 캠과, 상기 요동 캠의 외주면에 일단이 접하며 중앙부가 상기 프레임에 힌지된 래칫레버와, 상기 래칫레버의 타단에 접하며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요동 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조에는 상기 클립의 관통구멍에 삽입되기 위한 인덱스 핀이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상부 조에는 상기 인덱스 핀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멍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표면실장용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용 클립 리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표면실장용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용 클립 리본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클립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복수의 클립(100)과 테이프(200)를 포함한다.
각 클립(100)은 장방형의 박판이며 복수의 관통구멍(110)이 클립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110)은 전자부품 급송테이프에 형성된 인덱스 홀과 같은 크기이며 같은 간격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종단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관통구멍(110)의 주연부에는 톱니(111)가 박판의 일측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상기 톱니(111)는 상기 관통구멍(110)의 형성과정에서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박판을 십자형 날을 가진 핀으로 관통시키면 박판면이 절개되면서 핀에 의해 밀려나간 부분이 4개의 톱니가 박판의 일측면을 향해 형성된다.
테이프(200)에는 상기 클립(100) 복수 개가 부착되는데, 각각의 톱니(111)가 형성된 반대편 면이 부착된다. 규격화를 위해 복수의 클립은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클립은 각각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테이프(200)에 부착된 복수 개의 클립(100)은 하나의 클립 리본을 형성하며, 클립 리본 형태로 제공되는 클립(100)은 테이프(200)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분실의 염려가 없으며 차후 설명할 본 고안에 따른 표면실장용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 장치와 함께 급송테이프의 연결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표면실장용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용 클립 리본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롤로 감겨질 수 있는 띠형상의 박판(300)이고, 복수의 관통구멍이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관통구멍의 주연부에는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톱니는 박판의 일측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상기 클립 리본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노치가 형성된 노치부(31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는 상기 노치부(310)가 한가닥의 가지로 형성된 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3b는 상기 노치부(310)가 두가닥의 가지로 형성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클립부는 앞서 설명한 종래의 클립 하나와 동일한 역할을 하므로, 클립부를 급송테이프에 고정하여 두 급송테이프를 연결한 후에는 다음 연결을 위해 노치부(310)를 절단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표면실장용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용 클립 리본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복수의 클립부(400)와 절단부(410)와 권취부(420)를 포함한다.클립부(400)는 각각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관통구멍의 주연부에는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톱니는 박판의 일측면을 향하여 돌출된 장방형의 박판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절단부(410)가 각각의 클립부(400)의 폭방향 일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절단부(410)와 연결되는 권취부(420)가 클립부(4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권취부(420)는 본 실시예를 롤 형태로 감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클립부가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 또한 클립부를 급송테이프에 고정하고 나면 권취부(420)는 필요없으므로 절단부(410)를 절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선 제3실시예의 경우 급송테이프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노치부(310)를 절단하면 급송테이프의 폭방향 가장자리 일부도 절단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클립부(400)의 폭방향으로 절단부(410)가 연장되어 있으므로, 클립부가 급송테이프에 고정된 상태에서 절단부(410)를 절취하여도 급송테이프에는 아무런 손상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표면실장용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표면실장용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 장치의 일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실시예의 좌측면도이며, 도 12은 도 8의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8의 실시예의 일부 배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커터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는 부품드럼(510)과 클립드럼(520)과 프레임(530)과 스플라이싱 툴(600)과 커터(690)를 포함한다.
부품드럼(510)은 전자부품이 내장된 급송테이프가 감겨지며, 프레임(53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부품드럼은 회전하면서 감겨져 있던 급송테이프를 스플라이싱 툴(600)로 공급한다.
클립드럼(520)은 한 쌍이 구비되고, 각각 클립 리본(C)이 감겨져 있으며 역시 프레임(53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클립드럼이 반드시 한 쌍일 필요는 없으나 폭방향 양측에 인덱스 홀이 형성된 급송테이프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한 쌍인 것이 바람직하다. 클립드럼(520) 또한 회전하면서 감겨져 있던 클립 리본(C)을 스플라이싱 툴(600)로 공급한다. 상기 클립 리본(C)은 앞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클립 리본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띠 형상으로서 클립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다.
스플라이싱 툴(600)은 한 쌍이 프레임(530)의 상면에 마주보며 배치된다. 각각의 스플라이싱 툴로는 한 쌍의 클립드럼(520)에서 풀려나온 각각의 클립 리본(C)이 공급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각각의 클립 리본은 아래에서 설명할 스플라이싱 툴(600)의 상부 조와 하부 조에 의해 압박될 수 있는 위치로 공급된다. 또한 한 쌍의 스플라이싱 툴(600) 사이로 부품드럼(510)에서 풀려나온 급송테이프가 지나간다. 이 때 급송테이프의 인덱스 홀이 형성된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클립 리본이 공급되는 위치와 겹쳐져야 한다.
스플라이싱 툴(600)은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부(610)와 상부 조(620)와 손잡이(630)와 복귀링크(640)와 탄성부재(650)와 하부 조(660)를포함한다. 고정부(610)는 상부 양단에 각각 힌지가 형성되며 하부는 프레임(530)의 상면에 고정된다. 상부 조(620)는 일측이 상기 고정부(610)의 상부 일단에 힌지되며 타측은 클립 리본(C)의 클립을 압박한다. 손잡이(630)는 상기 상부 조(620)의 다른 타측에 힌지되며, 복귀링크(640)는 상기 손잡이(630)와 상기 고정부(610)의 상부 타단에 각각 힌지되며 일측 끝단은 탄성부재(650)의 일단에 연결된다. 상기 탄성부재(650)의 타단은 상기 고정부(61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고정부, 상부 조, 손잡이, 복귀링크 각각이 힌지되어 4절 링크 기구를 형성하며, 손잡이(630)를 가동시키면 상부 조(620)가 연동되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은 개방 상태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은 폐쇄 상태 사이를 오갈 수 있다. 특히 폐쇄 상태에서는 프레임(530) 상면에 고정된 하부 조(660)가 상기 상부 조(620)와 맞물리게 되는데, 하부 조(660)는 상부 조(620)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클립리본의 클립을 하측에서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며 상부 조(620)는 상기 클립을 상측에서 압박해 준다. 따라서 상부 조(620)와 하부 조(660) 사이에 급송테이프의 인덱스 홀이 형성된 폭방향 단부가 위치하도록 급송테이프를 공급하고, 클립의 관통구멍이 상기 인덱스 홀에 겹치도록 클립 리본(C)을 함께 공급한 다음, 손잡이(630)를 눌러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은 폐쇄 상태로 하면 상부 조(620) 및 하부 조(660)에 의해 클립이 압박되면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립의 톱니가 절곡되고, 두 급송테이프의 끝단을 클립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폐쇄 상태에서 손잡이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부재(650)의 복원력에 의해 스플라이싱 툴(600)은 개방 상태로 돌아간다. 이 때 클립이 정확한 위치에서 급송테이프에 연결되도록 고정하기 위해,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 조(660)에는 일반적인 스플라이싱 툴에서와 같이 클립의 관통구멍의 간격에 맞추어 인덱스 핀(66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덱스 핀(661)은 하부 조(66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부 조(620)와 하부 조(660)가 맞물렸을 때 인덱스 핀(66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 조(620)에는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플라이싱 툴(600)이 폐쇄 상태에 있을 때 하부 조(660)의 인덱스 핀(661)이 상부 조(620)의 삽입구멍에 삽입되므로 인덱스 핀(661)이 상부 조와 하부 조가 정확히 맞물릴 수 있다.
상기 급송테이프 및 클립 리본(C)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프레임(530)에 가이드 롤러(55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롤러(550)는 회전할 수 있는 드럼 형상으로서 특히 상기 급송테이프 및 클립 리본(C)의 진행 경로 중 경로가 절곡되는 부분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530)에는 급송테이프의 인덱스 홀 및 클립 리본(C)의 관통구멍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핀을 구비한 피딩 스프로켓(54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딩 스프로켓(540)은 정확한 피치로 급송테이프 또는 클립 리본(C)을 스플라이싱 툴(600) 측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3의 배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피딩 스프로켓(540)에는 요동 캠(545)를 동축으로 고정하여 피딩 스프로켓과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요동 캠(545)의 외주면에 일단이 접하는 래칫레버(546)의 중앙부를 상기 프레임(530)에 힌지시키고, 상기 래칫레버(546)의 타단에 접하여 래칫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프레임(530)에 고정된 요동롤러(547)를 설치한다. 피딩 스프로켓(540)과 함께 회전하는 요동 캠(545)의 형상에 따라 래칫레버(546)가 왕복 각운동을 하면, 래칫레버(546)의 타단에 접한 요동 롤러(547)가 상하왕복운동한다. 따라서 상기 요동 롤러(547)로 클립 리본(C)이 지나가게 할 경우 클립 리본(C)이 주기적으로 상하 이동된다. 이와 같은 요동 캠(545), 래칫레버(546), 요동 롤러(547)는 스플라이싱 툴(600)의 하부 조(660)에 인덱스 핀(661)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클립의 관통구멍에 인덱스 핀을 삽입시키는 것이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사용된 클립 리본(C)이 앞서 설명한 바 있는 본 고안에 따른 급송테이프 연결용 클립 리본의 제1실시예와 같은 형태라면, 스플라이싱 툴(600)이 개방 상태로 돌아 온 후 테이프만을 제거하면 급송테이프의 연결이 완료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사용된 클립 리본(C)이 앞서 설명한 바 있는 본 고안에 따른 급송테이프 연결용 클립 리본의 제2실시예와 같은 형태라면, 상기 스플라이싱 툴(600)의 상부 조(620)에 커터(69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터(690)는 칼날 형상으로서 상기 클립 리본(C)의 클립의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클립의 노치부(310)를 절단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터(690)는 스플라이싱 툴(600)이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폐쇄상태로 되었을 때 상기 클립 리본(C)의 노치부를 절단하므로 별도의 후처리를 할 필요없이 급송테이프의 연결을 완료할 수 있다. 물론 이 때 상기 클립 리본의 톱니가 이미 두 급송테이프 끝단의 인덱스 홀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두 급송테이프도 일부 절단될 수 있다. 그러나 급송테이프가 함께 절단된다 하여도, 절단되는 부위는 폭방향 가장자리의 일부에 그치므로 급송테이프의 기능은 그대로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클립 리본(C)이 본 고안에 따른 급송테이프 연결용 클립 리본의 제3실시예와 같은 형태라면, 상기 커터(690)는 클립부(4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절단부(410)를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경우에는 급송테이프가 함께 절단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한 쌍의 스플라이싱 툴(600)과 각 스플라이싱 툴에 클립 리본(C)을 제공하는 한 쌍의 클립드럼(520)을 구비하므로, 폭방향 양단에 각각 인덱스 홀이 형성된 급송테이프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스플라이싱 툴(600)을 모두 이용하고, 폭방향 일단에만 인덱스 홀이 형성된 급송테이프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필요한 하나의 스플라이싱 툴(600)만을 이용하여 작업할 수 있다.
한편, 급송테이프가 하부 조(660)로 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푸셔플레이트(67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푸셔 플레이트(670)는 급송테이프의 진행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일단이 힌지되고 타단은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조로서 상기 하부 조(660)의 상면과 같은 높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530)의 상면에는 가이드 레일(700)이 급송테이프의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스플라이싱 툴(6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가이드 레일(70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양한 규격의 급송테이프에 대해서 급송테이프의 폭방향 끝단이 스플라이싱 툴의 상부 조와 하부 조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본 실시예는 부품드럼에 감겨져 있던 급송테이프의 끝단과 새로운 부품드럼에 감긴 급송테이프의 첫단을 클립드럼에 감겨져 있던 클립 리본의 클립으로 스플라이싱 툴을 이용해 연결하고 다음 작업을 위한 장비, 예컨대 테이프 피더 또는 칩마운터로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복수의 클립이 연결테이프에 부착되거나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클립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매우 작은 크기의 클립 낱개를 수작업으로 공급하는 수고를 덜고, 복수의 클립을 롤 형태로 감을 수 있고, 클립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그리고 급송테이프 연결 전용의 스플라이싱 툴을 프레임에 고정한 연결 장치를 제공하므로 연결 작업의 용이성은 물론 신속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공정이 중단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생산 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고 제조 공정 중단에 따른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을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9)

  1. 각각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관통구멍의 주연부에는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톱니는 박판의 일측면을 향하여 돌출된 장방형의 박판으로 되고,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클립과,
    상기 복수의 클립이 상기 톱니의 반대측 면이 부착된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용 클립 리본.
  2. 롤로 감겨질 수 있는 띠형상의 박판이고, 복수의 관통구멍이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관통구멍의 주연부에는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톱니는 박판의 일측면을 향하여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용 클립 리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리본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노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용 클립 리본.
  4. 각각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관통구멍의 주연부에는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톱니는 박판의 일측면을 향하여 돌출된 장방형의 박판으로 되고,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클립부와,
    상기 각각의 클립부의 폭방향 일측에서 연장된 절단부와,
    상기 각각의 절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클립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용 클립 리본.
  5.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표면실장용 전자부품이 내장되며 복수의 인덱스 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형성된 급송테이프가 감기기 위한 부품드럼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각각 복수의 관통구멍이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관통구멍 주연부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톱니가 돌출된 클립 복수 개가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연결된 클립 리본이 감기기 위한 클립드럼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클립드럼으로부터 풀려나온 클립의 상기 톱니가 상기 부품드럼에서 풀려나온 급송테이프의 끝단의 인덱스 홀과 교체장착될 다른 부품드럼에서 풀려나온 급송테이프의 앞단의 인덱스 홀에 각각 삽입되도록 상기 클립을 배치하고, 상기 클립을 압박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스플라이싱 툴과,
    상기 스플라이싱 툴에 고정되어 상기 클립리본을 절단하기 위한 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송테이프 연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이싱 툴은,
    상부 양단에 각각 힌지가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일측이 상기 고정부의 상부 일단에 힌지되며 타측이 상기 클립 리본의 클립을 압박하기 위한 상부 조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조와 맞물리며 상기 클립 리본의 클립을 지지하는 하부 조와,
    일단이 상기 상부 조의 다른 타측에 힌지되는 손잡이와,
    일단이 상기 손잡이에 힌지되며 중앙부가 상기 고정부의 상부 타단에 힌지되는 복귀링크와,
    일단이 상기 복귀링크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된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송테이프 연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이싱 툴은,
    상기 하부 조에 힌지되어 상기 하부 조에 지지된 클립 리본이 상기 하부 조에 밀착되도록 압박하는 푸셔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송테이프 연결 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된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플라이싱 툴은 상기 가이드레일 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송테이프 연결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리본의 클립의 관통구멍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의 핀이 원주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클립 리본의 진행을 안내하며, 상기 프레임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피딩 스프로켓과,
    상기 피딩 스프로켓과 동축으로 고정된 요동 캠과,
    상기 요동 캠의 외주면에 일단이 접하며 중앙부가 상기 프레임에 힌지된 래칫레버와,
    상기 래칫레버의 타단에 접하며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요동 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조에는 상기 클립의 관통구멍에 삽입되기 위한 인덱스 핀이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상부 조에는 상기 인덱스 핀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송테이프 연결 장치.
KR20-2004-0016531U 2004-06-12 2004-06-12 표면실장용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용 클립 리본 및연결 장치 KR2003668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531U KR200366809Y1 (ko) 2004-06-12 2004-06-12 표면실장용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용 클립 리본 및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531U KR200366809Y1 (ko) 2004-06-12 2004-06-12 표면실장용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용 클립 리본 및연결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347A Division KR100493451B1 (ko) 2004-06-12 2004-06-12 표면실장용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용 클립 리본 및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809Y1 true KR200366809Y1 (ko) 2004-11-09

Family

ID=49351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531U KR200366809Y1 (ko) 2004-06-12 2004-06-12 표면실장용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용 클립 리본 및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8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28374B2 (ja) 表面実装用電子部品キャリアテープ連結用クリップリボンおよび連結装置
EP3223593B1 (en) Tape feeder and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DE3805781A1 (de) Teile-zufuehreinrichtung fuer eine automatische leiterplatten-bestueckungsmaschine
JP2011023723A (ja) クリップリボン、クリップ供給ユニット、及び移送テープ連結装置
KR100723797B1 (ko) 표면실장용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 장치
KR200366809Y1 (ko) 표면실장용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용 클립 리본 및연결 장치
JPWO2004071896A1 (ja) 部品供給テープの連結方法、その連結構造、およびその連結方法に使用する部品供給テープ用鋏
US46473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able harnesses
JP2003051696A (ja) テープフィーダにおけるリール交換方法及びテープフィーダ
JPH0669684A (ja) 電子部品供給装置の位置決機構
JP2001326255A (ja) テープキャリアパッケージの打ち抜き装置および打ち抜き方法
JP2580716B2 (ja) 部品供給テープのスプライシング装置
EP02781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able harnesses
JPH02165696A (ja) 電子部品供給装置および該装置用リールホルダセッティング方法
JP6905626B2 (ja) 部品供給装置
JP2637370B2 (ja) 電子部品のテーピング方法
KR20070113030A (ko) 전자부품 공급테이프 및 이를 사용한 전자부품공급테이프들의 연결방법
JPS60128164A (ja) 部品供給装置
KR20240050227A (ko) 결속기
KR20090052254A (ko)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용 클립, 이를 구비한 클립 리본및 이를 이용한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기구
KR100288356B1 (ko) 에스 엠 디의 칩 테이프 절단기
JPH03211153A (ja) 部品供給装置
JPS5933855A (ja) リ−ドフレ−ム基板插入装置
JP3672837B2 (ja) 圧接ハーネス製造装置の圧接刃支持構造
JPH0789598B2 (ja) テーピング部品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