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438Y1 - 압연 강재 맨홀 뚜껑 및 맨홀 구조물 - Google Patents

압연 강재 맨홀 뚜껑 및 맨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438Y1
KR200366438Y1 KR20-2004-0008228U KR20040008228U KR200366438Y1 KR 200366438 Y1 KR200366438 Y1 KR 200366438Y1 KR 20040008228 U KR20040008228 U KR 20040008228U KR 200366438 Y1 KR200366438 Y1 KR 2003664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frame
upper plate
plate
rolled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2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무성
Original Assignee
(주) 미도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미도랜드 filed Critical (주) 미도랜드
Priority to KR20-2004-00082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4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4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4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10Producing and filling perforations, e.g. tarsia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충격에 견딜 수 있는 한편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또한 맨홀의 정보를 용이하게 나타낼 수 있으며,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압연 강재 맨홀 뚜껑 및 맨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압연 강재 맨홀 뚜껑은, 손잡이 홈(6) 및 다수의 문양(7)들이 투각되는 압연 강재 상부판(3)과; 상기 상부판(3)과 동일한 형상을 하여 상기 상부판(3)의 하부에 용접되는 압연 강재 하부판(4)과; 상기 하부판(4)의 가장자리를 따라 용접되도록 강재띠로 만들어지는 맨홀 프레임(5)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판(3)과 상기 하부판(4)이 서로 용접되었을 때, 상기 문양(7)에 색소 에폭시와 색소 에폭시 및 파쇄 유리를 포함하는 색상 충진재가 채워진다.

Description

압연 강재 맨홀 뚜껑 및 맨홀 구조물{Rolled steel manhole lid and manhole structure}
본 고안은 맨홀 뚜껑 및 맨홀 구조물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압연 강재로 만들어진 맨홀 뚜껑 및 맨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은 지하에 매립된 상, 하수관과 통신선로 및 송전선로 등의 지하 케이블의 유지보수를 위해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도로에 설치된 구덩이 형태의 구조물로서, 관의 굵기나 방향이 전환되는 곳과 기점이나 교차점 또는 길이가 비교적 긴 직선부의 중간에 설치된다.
이러한 맨홀 구조물은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뚜껑(101)과, 맨홀 뚜껑(101)이 안치되는 맨홀 받침틀(102)로 구성되는데, 맨홀 받침틀(102)은 내측 상부에 받침턱(103)이 형성되고, 이 받침턱(103)에 맨홀 뚜껑(101)이 안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밀폐형 맨홀의 경우에는 받침턱(103)의 하부에 속뚜껑(106)이 안치되는 속뚜겅 받침턱(104)이 형성되고, 이 속뚜껑 받침턱(104)에 패킹(105)이 설치된 후, 속뚜껑(106)이 속뚜껑 받침턱(104)에 안치된다. 상부의 안착턱(103)에는 맨홀 뚜껑(101)을 안착한 후 잠금 장치로 밀폐시키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맨홀 구조물은 주철, 주물재로 제작되어무게가 무겁고 일정한 충격을 받았을 때 깨지는 취성을 갖고 있는 한편 유지 보수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작 공정 또한 복잡하여 생산단가가 높으며 중량이 무거워 운반비가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주철, 주물재로 제작된 종래의 맨홀 구조물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충격에 견딜 수 있는 한편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또한 맨홀의 정보를 용이하게 나타낼 수 있으며,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압연 강재 맨홀 뚜껑 맨홀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종래의 맨홀 구조물의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압연 강재 맨홀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도 2에 도시된 압연 강재 맨홀 구조물의 맨홀 받침틀의 평면도.
도 4 는 도 2에 도시된 맨홀 구조물의 맨홀 받침틀의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압연 강재 맨홀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맨홀 뚜껑 2 : 맨홀 받침틀
3 : 상부판 4 : 하부판
5 : 맨홀 프레임 6 : 손잡이 홈
7 : 문양 8 : 손잡이
9 : 관통공 10 : 용접용 구멍
11 : 받침틀 프레임 12 : 고정판
13 : 리브 14 : 내측 플랜지
15 : 록킹 플레이트 15a : 록킹홈
16 : 록킹편 17 : 보강재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은, 손잡이 홈 및 다수의 문양들이 투각되는 압연 강재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동일한 형상을 하여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용접되는 압연 강재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용접되도록 강재띠로 만들어지는 맨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이 서로 용접되었을 때, 상기 문양에 색소 에폭시와 색소 에폭시 및 파쇄 유리를 포함하는 색상 충진재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맨홀 뚜껑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은 또한, 손잡이 홈(6) 및 다수의 문양(7)들이 투각되는 상부판(3), 상기 상부판(3)과 동일한 형상을 하여 상기 상부판(3)의 하부에 용접되는 하부판(4), 및 상기 하부판(4)의 가장자리를 따라 용접되는 맨홀 프레임(5)을 구비하는 맨홀 뚜껑(1)과; 상기 맨홀 프레임(5)을 수용하기 위한 받침틀 프레임(11), 맨홀이 설치되는 지면에 고정되고 상기 받침틀 프레임(11)의 외측면에제공되는 고정판(12), 받침틀 프레임(11)과 상기 고정판(12) 사이에 제공되는 다수의 리브(13), 및 상기 받침틀 프레임(11)의 내측에 상기 맨홀 프레임(5)을 지지하기 위한 내측 플랜지(14)를 구비하는 맨홀 받침틀(2)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판(3)과 상기 하부판(4)이 서로 용접되었을 때, 상기 문양(7)에 색소 에폭시와 색소 에폭시 및 파쇄 유리를 포함하는 색상 충진재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압연 강재 맨홀 구조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하부판은 상기 상부판에 투각된 문양과 일치되는 문양을 가진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압연 강재 맨홀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압연 강재 맨홀 구조물은 크게 맨홀 뚜껑(1)과 맨홀 받침틀(2)로 두 부분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맨홀 뚜껑(1)은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판(3), 용접과 같은 수단에 의해 상부판(3)의 하부에 접합되는 하부판(4), 및 하부판(4)의 하부면 가장자리에 용접되는 맨홀 프레임(5)으로 구성된다. 상부판(3)과 하부판(4)은 약 6㎜의 두께 및 약 650㎜의 지름을 가지는, 예를 들어 SS-400과 같은 압연 강재로 만들어지며, 하부판(4)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하부판(4)의 하부면에 용접되는 맨홀 프레임(5)은 상부판(3) 및 하부판(4)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강재 띠로 만들어진다.
상부판(3)은 손잡이(8)가 수용되는 손잡이 홈(6), 예를 들어 자치 단체의 마크 또는 맨홀에 대한 정보 표시와 같은 다양한 문양(7) 등이 레이저와 같은 수단에 의해 투각된다. 한편, 하부판(4)은 상부판(3)의 손잡이 홈(6)의 양측에 위치되는 관통공(9)과, 다수의 용접용 구멍(10)들이 형성된다. 상부판(3)과 하부판(4)은 관통공(9)들이 손잡이 홈(6) 내에 위치되도록 맞대인 상태에서 용접용 구멍(10)들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용접이 행해짐으로써, 서로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다. 용접용 구멍(10)들은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부판(3)의 하부면에 용이하게 용접될 수 있도록 적어도 10㎜의 지름을 가진다.
한편, 하부판(4)은 맨홀 구조물이 오수 또는 우수 배수용으로 사용되는 것에 따라서 그 구조가 다르게 만들어진다. 즉, 오수 배수용으로 만들어지는 맨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9)과 용접용 구멍(10)들만 하부판(4)에 형성된다. 그러나, 도로의 우수를 배수하기 위한 우수 배수용으로 맨홀이 만들어질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판(3)에 투각된 문양(7)들중 일부와 일치되도록 레이저에 의해 문양(7a)이 하부판(4)에 투각됨으로써, 상기된 바와 같이 상부판(3)과 하부판(4)이 서로 접합되었을 때, 상부판(3)과 하부판(4)에 투각된 문양(7,7a)들을 통해 우수가 배수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상부판(3)과 하부판(4)이 접합되었을 때, 상부판(3)의 투각된 문양(7)들 전부 또는 일부에 색소 에폭시 또는 색소 에폭시 및 파쇄 유리와 같은 색상 충진재가 채워져서, 자치 단체의 마크와 맨홀에 대한 정보 표시와 같은 문양(7) 등이 용이하게 식별되는 한편 맨홀 구조물의 외관미를 향상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판(3)과 하부판(4)이 상기된 바와 같이 6㎜의두께를 가지는 압연 강재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하부판(4)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용접되는 맨홀 프레임(5)은 본 고안에 따른 맨홀 뚜껑(1)이 대략 50㎜의 높이로 되도록 약 38㎜ 정도의 높이를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맨홀 뚜껑(1)의 높이는 맨홀 프레임(5)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필요에 따라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하부판(4)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용접되는 맨홀 프레임(5)이 하부판(4)에 용접되었을 때, 맨홀 뚜껑(1)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ㄷ자 형상의 형강과 같은 보강재(17)들이 하부판(4)의 하부에 용접 등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재(17)들의 하부에는 한 쌍의 록킹홈(15a)이 형성된 록킹 플레이트(15)가 보강재(17)에 설치된다. 록킹홈(15a)들은 ㄷ자 형상의 형강으로 만들어지는 보강재(17)의 공간 내에 위치된다.
상기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맨홀 뚜껑(1)이 안치되는 맨홀 받침틀(2)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구멍(12a)을 가지고 맨홀이 설치되는 지면에 고정되는 링 형상의 고정판(12)의 중간 부분에 받침틀 프레임(11)이 설치되며, 받침틀 프레임(11)과 고정판(12) 사이에는 다수의 리브(13)들이 제공되어, 받침틀 프레임(11)과 고정판(12) 사이의 강도를 보강한다. 한편, 받침틀 프레임(11)이 고정판(12)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기 때문에, 받침틀 프레임(11)의 내측에 내측 플랜지(14)가 제공되고, 이 내측 플랜지(14)에 맨홀 뚜껑(1)이 맨홀 받침틀(2) 내로 결합되었을 때 맨홀 프레임(5)이 지지된다. 맨홀 구멍(12a)의 내경은 맨홀 뚜껑(1)의 맨홀 프레임(5)의 지름보다 작고 록킹 플레이트(15)보다는 크게 만들어지기 때문에, 맨홀 뚜껑(1)이 맨홀 받침틀(2)에 설치되었을 때, 록킹 플레이트(15)가 도 4에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구멍(12a) 내에 위치된다. 이 때, 맨홀 프레임(5)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맨홀 뚜껑(1)이 맨홀 받침틀(2)에 설치되었을 때, 록킹 플레이트(15)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2)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내측 플랜지(1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꺾쇠 형상의 적어도 한 쌍의 록킹편(16)들이 제공된다. 맨홀 뚜껑(1)이 맨홀 받침틀(2)에 설치될 때, 록킹 플레이트(15)에 형성된 록킹 홈(15a)들이 이러한 록킹편(16)들을 통과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플레이트(15)가 록킹편(16) 아래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맨홀 뚜껑(1)이 보강재(17)의 공간 내의 범위에서 한 쪽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록킹 플레이트(15)가 록킹편(16)에 의해 걸리게 되어, 맨홀 뚜껑(1)이 록킹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록킹 플레이트(15)가 록킹편(16)들에 록킹되므로, 맨홀 뚜껑(1)이 맨홀 받침틀(2)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맨홀 받침틀(2)의 받침틀 프레임(11)의 높이는 맨홀 뚜껑(1)의 높이, 즉 맨홀 프레임(5)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맨홀이 도로 상에 설치되고, 포장 작업에 의하여 맨홀 뚜껑(1)의 높이가 조절될 필요가 있는 경우, 맨홀 프레임(5)에 강재로 만들어지는 다른 맨홀 프레임(5)을 용접으로 연결함으로써, 맨홀 뚜껑(1)의 높이가 노면 높이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압연 강재 맨홀 구조물은 외관미의 향상을 위하여 전착 도장 후에 샌트톤(sand ton) 분체 처리된다.
상기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압연 강재 맨홀 구조물에 의하면, 압연 강재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종래의 주철 주물재로 만들어진 맨홀과 비교하여 충격에 견딜 수 있는 한편,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또한 맨홀의 정보를 용이하게 나타낼 수 있으며,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상기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압연 강재 맨홀 구조물은 원형 뿐만 아니라 사각과 같은 다각형으로 필요에 따라서 만들어질 수 있다.

Claims (3)

  1. 손잡이 홈(6) 및 다수의 문양(7)들이 투각되는 압연 강재 상부판(3)과;
    상기 상부판(3)과 동일한 형상을 하여 상기 상부판(3)의 하부에 용접되는 압연 강재 하부판(4)과;
    상기 하부판(4)의 가장자리를 따라 용접되도록 강재띠로 만들어지는 맨홀 프레임(5)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판(3)과 상기 하부판(4)이 서로 용접되었을 때, 상기 문양(7)에 색소 에폭시와 색소 에폭시 및 파쇄 유리를 포함하는 색상 충진재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뚜껑.
  2. 손잡이 홈(6) 및 다수의 문양(7)들이 투각되는 상부판(3), 상기 상부판(3)과 동일한 형상을 하여 상기 상부판(3)의 하부에 용접되는 하부판(4), 및 상기 하부판(4)의 가장자리를 따라 용접되는 맨홀 프레임(5)을 구비하는 맨홀 뚜껑(1)과;
    상기 맨홀 프레임(5)을 수용하기 위한 받침틀 프레임(11), 맨홀이 설치되는 지면에 고정되고 상기 받침틀 프레임(11)의 외측면에 제공되는 고정판(12), 받침틀 프레임(11)과 상기 고정판(12) 사이에 제공되는 다수의 리브(13), 및 상기 받침틀 프레임(11)의 내측에 상기 맨홀 프레임(5)을 지지하기 위한 내측 플랜지(14)를 구비하는 맨홀 받침틀(2)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판(3)과 상기 하부판(4)이 서로 용접되었을 때, 상기 문양(7)에 색소 에폭시와 색소 에폭시 및 파쇄 유리를 포함하는 색상 충진재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강재 맨홀 구조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4)은 상기 상부판(3)에 투각된 문양(7)과 일치되는 문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강재 맨홀 구조물.
KR20-2004-0008228U 2004-03-25 2004-03-25 압연 강재 맨홀 뚜껑 및 맨홀 구조물 KR2003664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228U KR200366438Y1 (ko) 2004-03-25 2004-03-25 압연 강재 맨홀 뚜껑 및 맨홀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228U KR200366438Y1 (ko) 2004-03-25 2004-03-25 압연 강재 맨홀 뚜껑 및 맨홀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438Y1 true KR200366438Y1 (ko) 2004-11-09

Family

ID=49440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228U KR200366438Y1 (ko) 2004-03-25 2004-03-25 압연 강재 맨홀 뚜껑 및 맨홀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4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192A (ko) * 2016-06-20 2019-02-26 바스프 에스이 맨홀, 하수구 입구 또는 배수로용 맨홀 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192A (ko) * 2016-06-20 2019-02-26 바스프 에스이 맨홀, 하수구 입구 또는 배수로용 맨홀 커버
KR102402295B1 (ko) * 2016-06-20 2022-05-26 바스프 에스이 맨홀, 하수구 입구 또는 배수로용 맨홀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66438Y1 (ko) 압연 강재 맨홀 뚜껑 및 맨홀 구조물
JP3803628B2 (ja) 地上設置用支柱
JP6644600B2 (ja) 一体型基礎及び一体型基礎工法
KR100526769B1 (ko) 프레스 가공을 이용한 그레이팅 및 그 제조방법
KR200402382Y1 (ko) 사각 맨홀
KR200380112Y1 (ko) 맨홀
KR100653924B1 (ko) 점검구가 설치된 상하수도·전기·통신용 맨홀뚜껑
KR20060082438A (ko) 맨홀
JP4113095B2 (ja) 側溝蓋
JPH11222874A (ja) マンホール
KR102570621B1 (ko) 이탈방지용 맨홀뚜껑
KR102489774B1 (ko) 맨홀 설치대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75551Y1 (ko) 맨홀 커버
JP3059022U (ja) 可動ガードフェンス
KR200221892Y1 (ko) 맨홀
JP3926613B2 (ja) 地中構造物の補修方法
ITRM20060564A1 (it) Dispositivo di chiusura regolabile per pozzetti
KR200250414Y1 (ko) 경계표주
KR100567598B1 (ko) 다수의 강판으로 구성된 맨홀뚜껑
KR100651254B1 (ko) 컬러 맨홀뚜껑의 구조
KR200288886Y1 (ko) 철도 및 도로 교각 기초용 매립형 흙막이 구조
KR200403177Y1 (ko) 점검구가 설치된 상하수도·전기·통신용 맨홀뚜껑
KR102619363B1 (ko) 맨홀철개
JP2019078045A (ja) 側溝の補修用内挿材及び側溝の補修工法
KR200201038Y1 (ko) 도로용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