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933Y1 - 교량용 다단식 거푸집 - Google Patents

교량용 다단식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933Y1
KR200365933Y1 KR20-2004-0021365U KR20040021365U KR200365933Y1 KR 200365933 Y1 KR200365933 Y1 KR 200365933Y1 KR 20040021365 U KR20040021365 U KR 20040021365U KR 200365933 Y1 KR200365933 Y1 KR 2003659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ormwork
vertical
stag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3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의섭
백범렬
박응범
Original Assignee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13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9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9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9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Abstract

본 고안은, 수평 및 수직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며, 수직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가시설 벤트와, 수직 외벽판과 수평빔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외벽거푸집을 포함하여, 수직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중심부가 비어있는 구조로 주두부 가시설 상면에 결합되는 둘 이상의 외벽거푸집 세트와; 외측면이 외벽거푸집 세트의 내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수직 내벽판과, 외벽거푸집 세트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제작되어 외벽거푸집 세트간의 사이에 위치되는 시스템 서포터와, 시스템 서포터 상단에 결합되는 수평 내벽판을 포함하여, 외측면이 외벽거푸집 내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내벽거푸집 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내벽거푸집과 외벽거푸집을 설치 및 해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작업의 안전성 및 자재의 재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벽거푸집 및 외벽거푸집을 제작하는 공정을 간단히 함으로써 공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교량용 다단식 거푸집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교량용 다단식 거푸집 { Multistage mould of bridge }
본 고안은 교량의 주두부 시공 시 거푸집을 파손시키지 아니하고 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다단식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주두부 가시설 상단에 제작이 완료된 거푸집을 인양하여 설치한 후 콘크리트 타설을 하고,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을 분해하지 아니한 채로 떼어냄으로써, 교량 시공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거푸집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다단식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교량의 주두부 시공은, 내벽거푸집과 외벽거푸집을 제작한 후 콘크리트 타설을 하고,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되면 내벽거푸집 및 외벽거푸집을 해체하여 제거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교량의 주두부 시공을 위한 종래의 거푸집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교량의 주두부 시공을 위한 종래의 거푸집 착탈과정을 도시한다.
종래의 방법으로 거푸집을 설치하는 경우, 우선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두부 가시설(10) 상면에 수직 외벽판(22)과 지지구조체(25)을 설치하고 다수의 조각판넬(32)을 연결하여 내벽거푸집(30)을 설치한 후, 일정 높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 콘크리트(40)를 형성한다.
바닥 콘크리트(30)가 일정강도 이상 양생되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구조체(25) 상면에 동바리(26)를 설치하고, 동바리(26)에 하중이 인가되는 구조로 수평 외벽판(24)을 설치함으로써 외벽거푸집(20)을 완성한다. 외벽거푸집(20)이 완성되면, 수평 외벽판(24) 상단부까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1단 콘크리트(50)를 형성하는데, 이때 1단 콘크리트(50)는 내벽거푸집(30)을 구성하는 조각판넬(32)의 인출이 가능한 판넬 인출구가 형성되도록 타설된다.
바닥 콘크리트(40) 및 1단 콘크리트(50)의 양생이 완료되면 외벽거푸집(20) 및 내벽거푸집(30)을 해체하게 되는데, 이때 외벽거푸집(20)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바리(26), 수평 외벽판(24), 지지구조체(25), 수직 외벽판(22)이 각각분리되어 해체되고, 내벽거푸집(30)은 각 조각판넬(32)이 분리된 후 판넬 인출구를 통하여 인출되는 방법으로 해체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거푸집(20, 30)을 설치 및 해체하는 경우, 수직 외벽판(22)의 수직을 유지하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이 매우 위험하고, 수평 외벽판(24)에 동바리(26)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동바리용 벤트를 별도로 제작하여 설치해야하며, 동바리용 벤트의 무게를 가산하여 주두부 가시설(10)의 부재를 더 견고하게 제작하여야 하므로 가시설의 중량 또한 늘어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벽거푸집(30)을 설치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각 조각판넬(32)을 결합시켜야 하므로 설치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내벽거푸집(30) 해체 시 각 조각판넬(32)을 분리해서 뜯어내야 하므로 자재의 손실이 증가되고 한번 설치된 내벽거푸집(30)을 그대로 재사용할 수 없으므로 시공시간이 증가하게 된다는 단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벽거푸집과 외벽거푸집을 설치 및 해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작업의 안전성 및 자재의 재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벽거푸집 및 외벽거푸집을 제작하는 공정을 간단히 함으로써 공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교량 용 다단식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교량의 주두부 시공을 위한 종래의 거푸집 착탈과정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교량 거푸집 탈착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a는 주두부 가시설에 외벽거푸집 세트를 결합시키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3b는 수직 외벽판이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외벽거푸집 세트의 형상을 도시한다.
도 4는 외벽거푸집 세트의 결합이 완료된 이후에 바닥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5 내지 도 6은 수직 내벽판과 시스템 서포터를 설치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7은 수직 외벽판과 수직 내벽판 사이에 1단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8은 수평 내벽판을 설치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9는 수평 내벽판 상측에 2단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10내지 도 11은 외벽 및 내벽거푸집 세트를 해체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외벽거푸집 세트 110 : 1단 외벽거푸집
111, 121 : 수직 외벽판 112, 122 : 수평빔
113, 123 : 수직빔 114, 125 : 버팀용 턴버클
120 : 2단 외벽거푸집 125 : 수평 외벽판
130 : 가시설 벤트 132 : 스크류잭
200 : 내벽거푸집 세트 210 : 수직 내벽판
212 : 폼-타이 220 : 시스템 서포터
230 : 수평 내벽판 310 : 바닥 콘크리트
320 : 1단 콘크리트 330 : 2단 콘크리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본 고안에 의한 다단식 거푸집은, 수평 및 수직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며, 수직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중심부가 비어있는 구조로 주두부 가시설 상면에 결합되는 둘 이상의 외벽거푸집 세트와; 외측면이 외벽거푸집 내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내벽거푸집 세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벽거푸집 세트는, 수직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가시설 벤트와, 수직 외벽판과 수평빔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외벽거푸집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외벽거푸집은, 가시설 벤트 상면에 결합되는 1단 외벽거푸집과; 상측면에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평 외벽판이 이 상단부에 추가로 구비되어 1단 외벽거푸집 상면에 결합되는 2단 외벽거푸집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외벽거푸집은, 양 끝단이 수직 외벽판과 수평빔에 결합되어 수직 외벽판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자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버팀용 턴버클을 추가로 구비한다.
내벽거푸집 세트는, 외측면이 외벽거푸집 세트의 내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수직 내벽판과; 외벽거푸집 세트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제작되어 외벽거푸집 세트간의 사이에 위치되는 시스템 서포터와; 시스템 서포터 상단에 결합되는 수평 내벽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수직 내벽판은, 폼-타이에 의하여 외벽거푸집 세트의 내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외벽거푸집 세트에 결합된다. 또한, 시스템 서포터는, 일정 크기 이상의 수직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결합 및 분해가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교량용 다단식 거푸집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교량 거푸집 탈착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교량용 다단식 거푸집은, 스크류잭이 결합되어 수직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가시설 벤트와, 콘크리트와 직접 접촉되는 수직 외벽판과 각 수직 외벽판의 직립을 위한 수평빔으로 구성되는 둘 이상의 외벽거푸집 세트를 주두부 가시설 상에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안착 및 결합시키는 제 1단계(S10); 외벽거푸집 세트에 의하여 확보된 공간에 시스템 서포터를 안착시키고, 외측면이 외벽거푸집 세트의 내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수직평판 형상의 수직 내벽판을 설치하는 제 2단계(S20); 외벽거푸집 세트와 수직 내벽판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팀버 인출구를 구비하는 수직 벽 형상의 1단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제 3단계(S30); 1단 콘크리트가 일정 크기의 강도를 갖도록 양생되면, 1단 콘크리트 내측벽면에 결합되어있는 수직 내벽판을 떼어 외부로 인출하는 제 4단계(S40); 외측 끝단이 1단 콘크리트의 내측면 상단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수평 내벽판을 시스템 서포터 상단부에 결합시키는 제 5단계(S50); 수평 내벽판 상측과 외벽콘크리트 세트 상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각의 상판부위가 되는 2단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제 6단계(S60); 2단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수평 내벽판과 시스템 서포터를 분해하여 팀버 인출구를 통해 외부로 인출하고, 외벽거푸집 세트를 떼어내는 제 7단계(S70)를 거쳐 탈착된다.
제 1단계(S10)는 외벽거푸집 세트에 의하여 확보된 공간에 일정높이의 바닥 콘트리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 2단계에서 시스템 서포터는, 하측 끝단이 바닥 콘트리트 상면에 밀착되도록 안착된다.
이때, 제 1단계는 주두부 가시설 상면에 가시설 벤트를 먼저 결합시킨 후 가시설 벤트 상면에 외벽거푸집을 결합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제 7단계는 스크류잭을 동작시켜 가시설 벤트의 수직높이를 낮춘 후 외벽거푸집을 인양하여 해체시키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외벽거푸집이 수직 외벽판과 수평빔으로 형성되어 가시설 벤트 상면에 결합되는 1단 외벽거푸집과, 상단부에 수평 외벽판을 구비하여 1단 외벽거푸집 상면에 결합되는 2단 외벽거푸집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경우, 외부거푸집을 인양하여 해체할 때에는 2단 외벽거푸집을 먼저 인양하여 해체한 후 1단 외벽거푸집을 인양하여 해체하여야 한다.
또한, 1단 콘크리트가 높게 형성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1단 외벽거푸집을 수직 방향으로 다수 적재함으로써 외벽거푸집 세트 전체의 높이를 높이도록 한다.
2단계에서 수직 내벽판을 외벽거푸집 세트의 내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외벽거푸집 세트에 결합시킬 때 폼-타이(Form-tie)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수직 내벽판을 해체하는 제 4단계에서는 폼-타이를 먼저 제거한 후 수직 내벽판을 외부로 인양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도 3a는 주두부 가시설에 외벽거푸집 세트를 결합시키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두부 가시설(10)의 상면에 결합되는 외벽거푸집 세트(100)는, 중단에 스크류잭(132)이 결합되어 수직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가시설 벤트(130)와, 가시설 벤트(130) 상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1단 외벽거푸집(110)과, 1단 외벽거푸집(110) 상면에 결합되는 2단 외벽거푸집(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1단 외벽거푸집(110)과 2단 외벽거푸집(120)은, 콘크리트와 직접 접촉되어 콘크리트를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시키는 수직 외벽판(111, 121)과, 외벽거푸집의 직립을 위한 수평빔(112, 122)과, 상부 하중을 지지하는 동바리 역할을 하는 수직빔(113, 123)과, 양 끝단이 수직 외벽판(111, 121)과 수평빔(112, 122)에 결합되어 수직 외벽판(111, 121)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자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버팀용 턴버클(114, 1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2단 외벽거푸집(120)에는 상측면에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평 외벽판(124)이 상단부에 추가로 구비되는데, 수평 외벽판(124)의 상측면에 타설되어 양생되는 콘크리트는 차후 주두부의 상판이 된다.
이때, 1단 외벽거푸집(110), 2단 외벽거푸집(120), 가시설 벤트(130)는 모두 주두부 가시설(10)에 결합되기 이전에 독립적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전에 미리 독립적으로 제작된 1단 외벽거푸집(110), 2단 외벽거푸집(120), 가시설 벤트(130)를 인양하여 체결만 시키면 외벽거푸집 세트(100)를 완성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직접 외벽거푸집을 제작할 때보다 시공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단 외벽거푸집(110), 2단 외벽거푸집(120), 가시설 벤트(130)를 수차례재사용 할 수 있으므로 공사비용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1단 외벽거푸집(110)은 2개가 수직으로 적재되도록 구성되고 있으나, 외벽거푸집 세트(100)의 전체 높이가 낮게 설정되어야 하는 경우 1단 외벽거푸집(110)은 하나만 적용될 수 있고, 외벽거푸집 세트(100)의 전체 높이가 높게 설정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셋 이상의 1단 외벽거푸집(110)이 수직으로 적재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외벽거푸집 세트(100)의 전체 높이가 매우 낮게 설정되어야 하는 경우, 1단 외벽거푸집(110)이 생략되고 가시설 벤트(130)의 상면에 2단 외벽거푸집(120)이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도 3b는 수직 외벽판이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외벽거푸집 세트의 형상을 도시한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수직 외벽판(111, 121)은 반드시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한정되지 아니하고, 교각의 형상에 따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수직 외벽판(111, 121)은, 1단 외벽거푸집(110)과 2단 외벽거푸집(120)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측 끝단에 비하여 하측 끝단이 주두부 가시설(10)의 수직 중심축에 가깝게 기울어지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1단 외벽거푸집(110)과 2단 외벽거푸집(120)을 분리하는 공정은 이하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외벽거푸집 세트의 결합이 완료된 이후에 바닥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형상을 도시하고, 도 5 내지 도 6은 수직 내벽판과 시스템 서포터를 설치하는 형상을 도시한다.
외벽거푸집 세트(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거푸집 세트(100) 사이로 일정량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정한 양생기간을 둠으로써 바닥 콘크리트(310)를 형성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내벽판(210)과 시스템 서포터(220)를 바닥 콘크리트(310) 상면에 안착되도록 결합한다. 이때, 수직 내벽판(210)은 최종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서포터(220)의 사방을 감싸도록 결합된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내벽거푸집 세트(200)는, 수직 내벽판(210)과, 시스템 서포터(220)와, 수평 내벽판(230)(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 중 수평 내벽판(230)은 차후 단계에서 적용되므로 수평 내벽판(230)에 관한 설명은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1단 외벽거푸집(110), 2단 외벽거푸집(120), 가시설 벤트(130)와 마찬가지로 수직 내벽판(210)과 시스템 서포터(220) 역시 사전에 미리 독립적으로 제작된 것으로써, 시공 현장에서 내벽거푸집을 제작하던 종래기술에 비하여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공사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직 내벽판(210)은 외측면이 수직 외벽판(111, 121)의 내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결합되며, 시스템 서포터(220)는 바닥 콘크리트(310)의 상면에 안착되었을 때 상측 끝단이 수평 외벽판(124)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수직 내벽판(2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폼-타이(212)에 의하여 수직 외벽판(111, 121)의 내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수직 외벽판(111, 121)에결합된다. 그러나 폼-타이(212)를 이용하여 수직 내벽판(210)을 외벽판에 결합시키는 방법은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수직 외벽판(111, 121)의 내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수직 내벽판(210)을 결합시키는 방법은 다양한 공법으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수직 외벽판과 수직 내벽판 사이에 1단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내벽판(210)과 시스템 서포터(22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내벽판(210)과 수직 외벽판(111, 121)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팀버(Timber) 인출구(미도시)를 구비하는 1단 콘크리트(320)를 형성한다. 팀버 인출구는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되면 수직 내벽판(210)과 시스템 서포터(220)를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해 제작되는 출구로서, 모든 공사가 완료된 후 내부 구조 점검자의 통로 역할을 하는 점검구로 활용된다.
바닥 콘크리트(310)와 마찬가지로 1단 콘크리트(320) 역시 일정 기간 양생을 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강도가 생기도록 하고, 1단 콘크리트(320)에 일정 크기 이상의 강도가 생기게 되면, 폼-타이(212)를 해체한 후 수직 내벽판(210)을 인양하여 분리시킨다.
이때, 수직 내벽판(210)은, 종래기술과 같이 조각조각 분해 되지 아니하고, 전체가 일체로 분리되므로 또 다른 콘크리트 시공에 재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수직 내벽판(210)을 사용하면, 수직 내벽판(210)의 분리 시 발생되는 자재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시공을 할 때마다 수직 내벽판(210)을 새롭게 제작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스템 서포터(220)는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며, 분해 되었을 때 각 부품이 팀버 인출구를 통하여 인출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
도 8은 수평 내벽판을 설치하는 형상을 도시하고, 도 9는 수평 내벽판 상측에 2단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형상을 도시한다.
수직 내벽판(210)의 해체가 완료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끝단이 1단 콘크리트(320)의 내측면 상단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수평 내벽판(230)을 시스템 서포터(220)의 상단에 결합시킨다.
수평 내벽판(230)의 결합이 완료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내벽판(230)과 1단 콘크리트(320)와 수평 외벽판(124)의 각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2단 콘크리트(330)를 형성한다. 수평 내벽판(230)과 1단 콘크리트(320)와 수평 외벽판(124)은 상호 밀착되도록 형성되므로, 상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하부로 흘러내리지 아니하고 양생된다.
이때, 수평 내벽판(230)과 시스템 서포터(220)는 일정 크기의 하중을 견딜 수 있으며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타설 및 양생되는 바닥 콘크리트(310)와 1단 콘크리트(320)와 2단 콘크리트(330)가 교량의 주두부를 이루게 된다.
도 10내지 도 11은 외벽 및 내벽거푸집 세트를 해체하는 형상을 도시한다.
2단 콘크리트(330)의 양생이 완료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서포터(220)와 수평 내벽판(230)을 차례로 분해한 후 팀버 인출구를 통하여 외부로인출시킨다.
또한, 외벽거푸집 세트(100)를 분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스크류잭(132)을 회전시켜 가시설 벤트(130)의 수직높이를 낮춘다. 이와 같이 가시설 벤트(130)의 수직 높이가 낮아지면, 가시설 벤트(130)의 상면에 결합된 1단 외벽거푸집(110) 및 2단 외벽거푸집(120)은 하향으로 이동하여 각 콘크리트(310~330)와의 결합이 해제 된다.
가시설 벤트(130)의 수직높이 하강이 완료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단 외벽거푸집(110)과 2단 거푸집 간의 결합을 해제한 후 2단 외벽거푸집(120)을 인양하여 분리시키고, 1단 외벽거푸집(110)과 가시설 벤트(130) 간의 결합을 해제한 후 1단 외벽거푸집(110)을 인양하여 분리시킨 후, 마지막으로 가시설 벤트(130)을 인양하여 분리시킨다. 이때, 1단 외벽거푸집(110)과, 2단 외벽거푸집(120)과, 가시설 벤트(130)는 자체 하중이 크므로, 크레인에 의하여 인양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1단 외벽거푸집(110)과, 2단 외벽거푸집(120)과, 가시설 벤트(130)는 자체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며 분리되므로, 또 다른 콘크리트 시공 현장에 그대로 재사용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다단식 거푸집을 이용하면, 내벽거푸집과 외벽거푸집을 설치 및 해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작업의 안전성 및 자재의 재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벽거푸집 및 외벽거푸집을 제작하는 공정을 간단히 함으로써 공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수평 및 수직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며, 수직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중심부가 비어있는 구조로 주두부 가시설(10) 상면에 결합되는 둘 이상의 외벽거푸집 세트(100)와;
    외측면이 외벽거푸집 세트(100) 내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내벽거푸집 세트(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거푸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거푸집 세트(100)는,
    수직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가시설 벤트(130)와;
    수직 외벽판(111, 121)과 수평빔(112, 122)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외벽거푸집;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거푸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거푸집은,
    상기 가시설 벤트(130) 상면에 결합되는 1단 외벽거푸집(110)과;
    상측면에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평 외벽판(124)이 상단부에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1단 외벽거푸집(110) 상면에 결합되는 2단 외벽거푸집(12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거푸집.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거푸집은,
    양 끝단이 수직 외벽판(111, 121)과 수평빔(112, 122)에 결합되어 수직 외벽판(111, 121)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자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버팀용 턴버클(114, 125);
    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거푸집.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외벽판(111, 121)은,
    상측 끝단에 비하여 하측 끝단이 주두부 가시설(10)의 수직 중심축에 가깝게 기울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거푸집.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거푸집 세트(200)는,
    외측면이 상기 외벽거푸집 세트(100)의 내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수직 내벽판(210)과;
    상기 외벽거푸집 세트(100)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제작되어 상기 외벽거푸집 세트(100)간의 사이에 위치되는 시스템 서포터(220)와;
    상기 시스템 서포터(220) 상단에 결합되는 수평 내벽판(2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거푸집.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내벽판(210)은,
    폼-타이(212)에 의하여 상기 외벽거푸집 세트(100)의 내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외벽거푸집 세트(10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거푸집.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서포터(220)는,
    일정 크기 이상의 수직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결합 및 분해가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거푸집.
KR20-2004-0021365U 2004-07-27 2004-07-27 교량용 다단식 거푸집 KR2003659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365U KR200365933Y1 (ko) 2004-07-27 2004-07-27 교량용 다단식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365U KR200365933Y1 (ko) 2004-07-27 2004-07-27 교량용 다단식 거푸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8538A Division KR100697302B1 (ko) 2004-07-27 2004-07-27 교량 거푸집 탈착방법 및 다단식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933Y1 true KR200365933Y1 (ko) 2004-10-28

Family

ID=49439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365U KR200365933Y1 (ko) 2004-07-27 2004-07-27 교량용 다단식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9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2615A (ko) 2021-02-04 2022-08-11 (주)이알코리아 거푸집 폼타이를 이용한 교량 점검시설 설치용 선매립 앵커세트 시공방법 및 그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2615A (ko) 2021-02-04 2022-08-11 (주)이알코리아 거푸집 폼타이를 이용한 교량 점검시설 설치용 선매립 앵커세트 시공방법 및 그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00024B (zh) 大型混凝土结构翻升模板的使用方法
JP4252177B2 (ja) 鋼材・コンクリート複合構造橋脚の施工方法
KR101204966B1 (ko) 증가된 단면강성을 가진 강재거더의 구속콘크리트 제작방법
KR100697302B1 (ko) 교량 거푸집 탈착방법 및 다단식 거푸집
KR200365933Y1 (ko) 교량용 다단식 거푸집
KR101140884B1 (ko) 건축물의 벽체 시공용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10043060B (zh) 一种落地框架柱改为梁上柱结构的方法
KR102430362B1 (ko) 사일로 내부 콘 프리캐스트 시공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사일로 내부 콘의 프리캐스트 시공방법
KR100817883B1 (ko) 슬래브 거푸집 설치구조
CN205296829U (zh) 超高超大截面斜柱整体提升式模板加固系统
CN201033943Y (zh) 整体式电梯井模板
CN105525629A (zh) 地铁车站施工方法及装置
CN206917125U (zh) 一种装配式楼梯
KR102425501B1 (ko) 프리캐스트와 슬립폼을 이용한 사일로 시공방법
CN109352793A (zh) 一种多阶段预制轨道板的制造方法
CN220129104U (zh) 一种空心预制柱模具
KR20050076059A (ko) 교각 시공용 거푸집
CN217378581U (zh) 拼装支架
CN219196714U (zh) 一种整体式提升模板及其模板体系
CN212836618U (zh) 一种用于预制立柱混凝土浇筑的柱顶整体式操作平台
KR200256837Y1 (ko) 조립식 밴드와 받침틀을 이용한 교각비계 받침틀 구조
KR20180049538A (ko) 지점부 제작대를 이용해 받치는 형태로 프리캐스트 P.S(Prestressed)강합성거더의 제작법
KR101413725B1 (ko) 보 거푸집용 지지장치
CN214419109U (zh) 一种先张法t形梁张拉台座
CN209509497U (zh) 一种叠合梁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