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6837Y1 - 조립식 밴드와 받침틀을 이용한 교각비계 받침틀 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밴드와 받침틀을 이용한 교각비계 받침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6837Y1
KR200256837Y1 KR2020010027636U KR20010027636U KR200256837Y1 KR 200256837 Y1 KR200256837 Y1 KR 200256837Y1 KR 2020010027636 U KR2020010027636 U KR 2020010027636U KR 20010027636 U KR20010027636 U KR 20010027636U KR 200256837 Y1 KR200256837 Y1 KR 2002568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pier
support
vertical
fixing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6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100276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8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8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837Y1/ko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일 하단에 하부인상 유압잭이 설치되고, 하부인상 유압잭에는 상부에 수직받침 기둥이 다단으로 설치되며, 수직받침 기둥은 수직한 양측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체결볼트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중간부에 중간 받침틀 고정잭이 설치되며, 수직받침 기둥에는 수직한 길이방향의 중간에 받침틀 고정밴드가 설치되고, 중간 받침틀 고정잭의 상부에는 하부 고정밴드가 설치되며, 하부 고정밴드에는 상부에 상부 레일이 설치되고, 상부 레일에는 상부에 상부 고정밴드가 설치되며, 상부 레일에는 인접하여 받침틀이 설치되고, 받침틀에는 고정 난간이 설치되며, 받침틀과 수직받침 기둥에는 사선으로 받침틀 고정봉이 설치되고, 받침틀 고정봉에는 중간부에 받침틀 고정잭이 설치되며, 받침틀 고정밴드와 상,하부 고정밴드에는 각각 조임볼트가 설치되어 조립되는 한편, 받침틀에는, 별도로 고핑 동바리가 설치되어 교각의 교각 고핑과 밀착된 거푸집이 지지되고 상부 고정밴드의 내측면에 고무판이 설치되어 있어 거푸집을 견고하게 지지되며, 교각을 시공시 하부에서부터 상부의 교각 고핑까지 수직받침 기둥이 다단으로 설치되면서 비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밴드와 받침틀을 이용한 교각비계 받침틀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밴드와 받침틀을 이용한 교각비계 받침틀 구조{PIER SHEETING SUPPORT STRUCTURE USING AN ASSEMBLY BAND AND SUPPORT}
본 고안은, 교각 시공을 위한 조립식 밴드와 받침틀을 이용한 교각비계 받침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 밴드와 받침틀을 이용하여 교각 고핑까지 시공을 완료할 수 있고 철거작업시 발판으로도 사용이 가능하여 공기를 단축하는 관계로 교각을 건설하는데 소요되는 공사비를 최대한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안전성이 우수하여 산업재해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관계로 안정성 확보를 할 수 있는 조립식 밴드와 받침틀을 이용한 교각비계 받침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각을 건설하는 경우에는, 그 교각의 주위에 강관 파이프를 이용하여 비계를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의 강관 파이프 비계는 교각을 시공하는 경우에 작업자의 작업 발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의 강관 파이프 비계는 그 구조상 낙마 사고가 잦은 관계로 경사지게 강관 파이프를 설치하여 안전 그물망을 설치하고 작업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교각을 시공시 사용되는 강관 파이프 비계를 시공한 도면으로서, 교각(10)에는 그 측면에 강관 파이프 비계(20)가 설치되고 상기의 강관 파이프 비계(20)에는 상부에 거푸집 받침틀(30)이 설치된다.
상술한 구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의 강관 파이프 비계는, 그 구조상 제작은 간단하나 설치 및 해체가 어렵고 해체작업시 전도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교각고핑 거푸집 해체시 강관 파이프 비계의 비틀림 현상으로작업자가 추락되는 등 안전 사고에 많은 우려를 가진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밴드 받침틀 비계를 이용하여 교각 고핑까지 시공을 완료할 수 있고 철거 작업시에도 작업 발판이 설치된 관계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어 교각을 건설하는데 소요되는 공사비를 최대한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안전성이 우수하여 산업 재해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관계로 안정성 확보를 할 수 있는 조립식 밴드와 받침틀을 이용한 교각비계 받침틀 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일 하단에 하부인상 유압잭이 설치되고, 하부인상 유압잭에는 상부에 수직받침 기둥이 다단으로 설치되며, 수직받침 기둥은 수직한 양측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체결볼트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중간부에 중간 받침틀 고정잭이 설치되며, 수직받침 기둥에는 수직한 길이방향의 중간에 받침틀 고정밴드가 설치되고, 중간 받침틀 고정잭의 상부에는 하부 고정밴드가 설치되며, 하부 고정밴드에는 상부에 상부 레일이 설치되고, 상부 레일에는 상부에 상부 고정밴드가 설치되며, 상부 레일에는 인접하여 받침틀이 설치되고, 받침틀에는 고정 난간이 설치되며, 받침틀과 수직받침 기둥에는 사선으로 받침틀 고정봉이 설치되고, 받침틀 고정봉에는 중간부에 받침틀 고정잭이 설치되며, 받침틀 고정밴드와 상,하부 고정밴드에는 각각 조임볼트가 설치되어 조립되는 한편, 받침틀에는, 별도로 고핑 동바리가 설치되어 교각의 교각 고핑과 밀착된 거푸집이 지지되고 상부 고정밴드의 내측면에 고무판이 설치되어 있어 거푸집을견고하게 지지되며, 교각을 시공시 하부에서부터 상부의 교각 고핑까지 수직받침 기둥이 다단으로 설치되면서 비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밴드와 받침틀을 이용한 교각비계 받침틀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교각을 시공시 사용되는 강관 파이프 비계를 시공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교각비계 받침틀을 사용하는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교각비계 받침틀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교각비계 받침틀을 사용하여 3단계로 교각을 시공하는 시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50 : 교각비계 받침틀 52 : 하부인상 유압잭
54 : 수직받침 기둥 56 : 받침틀 고정밴드
58 : 중간 받침틀 고정잭 60 : 하부 고정밴드
62 : 상부 레일 64 : 상부 고정밴드
66 : 받침틀 68 : 고정 난간
70 : 받침틀 고정봉 72 : 받침틀 고정잭
74 : 조임 볼트 76 : 고핑 동바리
78 : 교각 고핑 80 : 거푸집
82 : 고무판 100: 교각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교각비계 받침틀을 사용하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교각비계 받침틀의 평면도이다.
도 2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교각비계 받침틀(50)은, 제일 하단에 하부인상 유압잭(52)이 설치되고, 상기의 하부인상 유압잭(52)에는 상부에 수직받침 기둥(54)이 다단으로 설치되며, 상기의 수직받침 기둥(54)은 수직한 양측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체결볼트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구조로서, 상기의 수직받침 기둥(54)에는 중간부에 받침틀 고정밴드(56)가 설치되고, 상기의 수직받침 기둥(54)에는 중간 받침틀 고정잭(58)이 설치된다.
즉, 상기의 중간 받침틀 고정잭(58)은, 수직받침 기둥(54)의 중간부에 중간 받침틀 고정잭(58)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의 중간 받침틀 고정잭(58)을 설치한 그 상부에는 하부 고정밴드(60)가 설치되고 상기의 하부 고정밴드(60)에는 상부에 상부 레일(62)이 설치되며, 상기의 상부 레일(62)에는 상부에 상부 고정밴드(64)가 설치되고 상기의 상부 레일(62)에는 인접하여 받침틀(66)이 설치되며, 상기의 받침틀(66)에는 고정 난간(68)이 설치된다.
상기의 받침틀(66)과 수직받침 기둥(54)에는 경사지게 받침틀 고정봉(70)이 설치되는데, 상기의 받침틀 고정봉(70)에는 사이에 받침틀 고정잭(72)이 설치된다.
상술한 받침틀 고정밴드(56)와 상,하부 고정밴드(64)(60)에는 각각 조임볼트(74)가 설치되어 조립하게 된다.
상기의 받침틀(66)에는, 고핑 동바리(76)가 설치되어 교각(100)의 교각 고핑(78)과 밀착된 거푸집(80)을 지지하게 된다.
도 3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의 교각비계 받침틀(50)은, 상부 고정밴드(64)의 내측면에 고무판(82)이 설치되어 있어 거푸집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교각비계 받침틀을 사용하여 3단계로 교각을 시공하는 시공도로서, 제 1 단계는, 교각비계 받침틀(50)은 수직받침 기둥(54)과 받침틀 고정밴드(56)를 조립하고 상,하부 고정밴드(64)(60)를 조립하며, 상,하부 고정밴드(64)(60)의 사이에 설치되어 작업발판으로 사용되는 받침틀(66)을 설치한 후 거푸집(80)을 고정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각의 하단부 구조를 완성하는 단계이다.
제 2 단계는, 교각의 하단부 구조가 완성되면 받침틀 고정밴드(56)와 상부 고정밴드(64)를 해체하고 크레인으로 교각비계 받침틀(50)을 2단의 교각의 위치로 크레인을 이용하여 인상한 후 받침틀 고정밴드(56)를 조인후 수직받침 기둥(54)을 설치하며, 거푸집(80)을 고정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각의 중단부 구조를 완성하는 단계이다.
제 3 단계는, 교각의 중단부 구조가 완성되면 받침틀 고정밴드(56)와 상부 고정밴드(64)를 해체하고 크레인으로 교각비계 받침틀(50)을 교각 고핑(78)까지의 위치로 인상한 후 교각 고핑의 거푸집(80)을 설치하며, 상기의 거푸집(80)의 하부에 고핑 동바리(76)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각 고핑 구조를 완성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조립식 밴드와 받침틀을 이용한 교각비계 받침틀 구조는, 교각비계 받침틀을 이용하여 교각 고핑까지 안전하게 시공을 할 수 있고 철거 작업시에도 받침판에 형성된 작업 발판을 이용하여 철거 작업을 시행할 수 있어 교각을 시공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교각을 건설하는데 소요되는 공사비를 최대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의 교각비계 받침틀은 안전성이 우수하여 작업자들에게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 산업 재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수도 있다.

Claims (1)

  1. 교각의 주위에 설치되어 교각을 시공하는데 사용되는 가시설 구조인 비계 구조에 있어서, 제일 하단에 하부인상 유압잭(52)이 설치되고, 하부인상 유압잭(52)에는 상부에 수직받침 기둥(54)이 다단으로 설치되며, 수직받침 기둥(54)은 수직한 양측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체결볼트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중간부에 중간 받침틀 고정잭(58)이 설치되며, 수직받침 기둥(54)에는 수직한 길이방향의 중간에 받침틀 고정밴드(56)가 설치되고, 중간 받침틀 고정잭(58)의 상부에는 하부 고정밴드(60)가 설치되며, 하부 고정밴드(60)에는 상부에 상부 레일(62)이 설치되고, 상부 레일(62)에는 상부에 상부 고정밴드(64)가 설치되며, 상부 레일(62)에는 인접하여 받침틀(66)이 설치되고, 받침틀(66)에는 고정 난간(68)이 설치되며, 받침틀(66)과 수직받침 기둥(54)에는 사선으로 받침틀 고정봉(70)이 설치되고, 받침틀 고정봉(70)에는 중간부에 받침틀 고정잭(72)이 설치되며, 받침틀 고정밴드(56)와 상,하부 고정밴드(64)(60)에는 각각 조임볼트(74)가 설치되어 조립되는 한편, 받침틀(66)에는, 별도로 고핑 동바리(76)가 설치되어 교각(100)의 교각 고핑(78)과 밀착된 거푸집(80)이 지지되고 상부 고정밴드(64)의 내측면에 고무판(82)이 설치되어 있어 거푸집을 견고하게 지지되며, 교각(100)을 시공시 하부에서부터 상부의 교각 고핑(78)까지 수직받침 기둥(54)이 다단으로 설치되면서 비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밴드와 받침틀을 이용한 교각비계 받침틀 구조.
KR2020010027636U 2001-09-10 2001-09-10 조립식 밴드와 받침틀을 이용한 교각비계 받침틀 구조 KR2002568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636U KR200256837Y1 (ko) 2001-09-10 2001-09-10 조립식 밴드와 받침틀을 이용한 교각비계 받침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636U KR200256837Y1 (ko) 2001-09-10 2001-09-10 조립식 밴드와 받침틀을 이용한 교각비계 받침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6837Y1 true KR200256837Y1 (ko) 2001-12-24

Family

ID=73069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636U KR200256837Y1 (ko) 2001-09-10 2001-09-10 조립식 밴드와 받침틀을 이용한 교각비계 받침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683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395B1 (ko) * 2006-01-17 2006-09-01 정언섭 기둥 인상을 통한 건물보수시스템
KR100809886B1 (ko) * 2006-05-02 2008-03-06 한성산업(주) 교각 코핑 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교각을 시공하는방법
CN112523100A (zh) * 2020-12-09 2021-03-19 中冶京诚工程技术有限公司 高架混凝土悬臂梁的模板支撑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395B1 (ko) * 2006-01-17 2006-09-01 정언섭 기둥 인상을 통한 건물보수시스템
KR100809886B1 (ko) * 2006-05-02 2008-03-06 한성산업(주) 교각 코핑 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교각을 시공하는방법
CN112523100A (zh) * 2020-12-09 2021-03-19 中冶京诚工程技术有限公司 高架混凝土悬臂梁的模板支撑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52843B2 (ja) 塔状構造物の施工方法
KR200256837Y1 (ko) 조립식 밴드와 받침틀을 이용한 교각비계 받침틀 구조
WO2024077880A1 (zh) 一种大倾角斜墙收分顶升式钢平台施工装置及方法
WO2024077879A1 (zh) 一种斜墙外翻爬升式钢平台施工装置及方法
KR101168682B1 (ko) 거더에 설치되는 작업발판 지지대
JP2913436B2 (ja) 移動式型枠工法とその工法に用いる装置
CN207727440U (zh) 用于桥塔施工的整体自爬式集成平台
KR100377868B1 (ko) 교각용 틀비계를 이용한 교각 시공 방법
CN212128871U (zh) 城市智慧快速路盖梁湿接缝快速组装作业平台
JPH07300817A (ja) コンクリート充填鋼管トラス橋脚とその施工方法
KR200254666Y1 (ko) 강재교량의 상판 하부에 설치되는 영구비계 구조
JP3197234B2 (ja) 床版鉄筋組立用の移動足場
JP3425352B2 (ja) 自昇式型枠装置
KR200253546Y1 (ko) 유압잭과 강재틀을 이용한 교각고핑 동바리장치
KR200253551Y1 (ko) 체인 블록을 이용한 철골 교각의 거푸집 구조
JPH11222812A (ja) 構造物の高さ変更方法
KR102381969B1 (ko) 교량 코핑용 거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코핑의 시공방법
CN215714679U (zh) 一种钢桁拱桥边跨无应力施工装置
CN219298721U (zh) 一种工具式操作平台
CN216920047U (zh) 一种用于顶升桥梁盖梁的爬行器
CN114293769B (zh) 跨越式排架及其安装方法
CN219490682U (zh) 一种用于轻型t墩悬臂帽梁预应力施工挂篮装置
CN115075530B (zh) 一种悬挑结构及其施工方法
CN218667143U (zh) 一种桥梁墩柱钢筋安装辅助支架
KR101296814B1 (ko) 상방 밀착식 지보 구축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