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795Y1 -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 - Google Patents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795Y1
KR200364795Y1 KR20-2004-0020933U KR20040020933U KR200364795Y1 KR 200364795 Y1 KR200364795 Y1 KR 200364795Y1 KR 20040020933 U KR20040020933 U KR 20040020933U KR 200364795 Y1 KR200364795 Y1 KR 2003647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diffuser
inner diameter
valve structure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09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광
Priority to KR20-2004-00209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7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7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7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F16K51/02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igh-vacuum insta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001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valves or valve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4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decreasing pressure or noise level, the throttle being incorporated in the closur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제 1 몸체부와 제 2 몸체부 및 제 3 몸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몸체부는 일측면의 중앙에서 수평 길이방향으로 유체의 통로가 되는 디퓨저(diffuser)가 형성되며, 상기 디퓨저는 상기 제 1 몸체부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와 일체형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내부에, 내경의 공간을 갖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경의 개구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외경의 상부면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의 내측 바닥면에 노브의 조절바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의 측면 벽으로부터 개구부의 내측면 일측 끝단부까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1 결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몸체부는 일측면의 중앙에서 수평 길이방향으로 유체의 통로가 되는 디퓨저가 형성되며, 상기 디퓨저는 상기 제 2 몸체부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출구부와, 상기 출구부의 일측으로는 상기 디퓨저의 중심을 기준점으로 하여 단차부를 갖는 제 2 결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3 몸체부는 수직으로 길이방향으로 노브의 조절바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는 상기 제 3 몸체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제 1 몸체부의 제 1 결합부에, 상기 제 2 몸체부의 제 2 결합부가 삽입되어 용접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 1 몸체부의 삽입홈에, 상기 제 3 몸체부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용접으로 고정되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몸체부와 제 2 몸체부 및제 3 몸체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는, 유체의 통로가 되는 디퓨저가 상기 몸체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높은 압력에도 밸브구조의 안정성과 견고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제 1 몸체부와 제 2 몸체부 및 제 3 몸체부가 분리되어 생산되기 때문에 정밀 기계 가공방식을 통한 최적의 유로 형상구조를 제작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불용 공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어 이상적 유체 흐름을 구현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 1 몸체부와 제 2 몸체부 및 제 3 몸체부를 용접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생산할 때 가공시간과 생산공정을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의 확보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The valve structure of vacuum generator}
본 고안은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몸체부와 제 2 몸체부 및 제 3 몸체부로 구성하여, 상기 제 1 몸체부와 제 2 몸체부의 내부에 유체의 통로가 되는 디퓨저(diffuser)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통로인 디퓨저를 유체가 통과하기에 최적의 특성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밸브구조의 안정성과 견고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제 1 몸체부와 제 2 몸체부 및 제 3 몸체부를 분리 생산함으로써, 상기 유체의 통로인 유로를 정밀 기계 가공방식을 통한 최적의 유로 형상의 구조로 제작 가능하여, 불용 공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어 이상적인 유체의 흐름을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가공시간의 단축 및 조립공정의 축소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제너레이터는, 유체의 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일종의 압력조정기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는, 몸체부(10)와, 보조 몸체부(20) 및, 노즐(3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는, 입구부(11)와 출구부(12)로 구분된다.
상기 입구부(11)와 출구부(12)로 이루어진 몸체부(10)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입구부(11) 측면의 중앙에서 출구부(12) 측면 중앙으로 수평 길이방향으로 관통구(13)(13′)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13)(13′)에는 노즐(30)이 삽입 고정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입구부(11)와 출구부(12)의 경계가 되는 중간 상부면에 삽입홈(14)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4)의 내측 바닥면에 상기 관통구(13)(13′)와 직교로 연통되는 삽입구(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14)에는, 상기 보조 몸체부(20)가 삽입되어 용접으로 고정된다.
상기 삽입구(15)는, 상기 보조 몸체부(20)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구(21)와 연장되는 것으로서. 그 내경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입구부(11)와 출구부(12)의 외경면에 각각 나사산(16)(16′)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관통구(13)(13′)는, 입구부(11)의 입구와 출구부(12)의 출구에서 일정한 내경을 가지면서 내측으로 진행되다가 소정의 거리에서 직각을 형성하며, 상기 직각을 형성한 면의 중심부로 상기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상기 작은 내경의 내측면에 나사산(17)(17′)이 소정의 길이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입구부(11)의 관통구(13)는, 상기 출구부(12)의 관통구(13′)보다 내경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시말하면 상기 출구부(12)의 관통구(13′)가 입구부(11)의 관통구(13) 보다 넓다는 것이다.
상기 보조 몸체부(20)는, 노브의 조절바(미도시)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21)가 형성되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 몸체부(20)의 외경 상부 측면에 나사산(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즐(30)은, 상기 입구부(11)의 관통구(13)에 삽입되는 입구부 노즐(31)과, 상기 출구부(12)의 관통구(13′)에 삽입되는 출구부 노즐(32)로 구성된다.
상기 입구부 노즐(31)과 출구부 노즐(32)의 외부면에, 상기 관통구(13)(13′)의 내경에 형성된 나사산(16)(16′)과 체결할 수 있는 나사산(33)(3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입구부 노즐(31)의 내부 형상의 디퓨저는, 일정한 내경을 가지면서 내측으로 진행되다가 내경이 줄어드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며, 상기 테이퍼 형상의 끝단부의 내경에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내경이 형성되며, 상기 소정의 길이를 갖는 내경의 끝단부에서 다시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출구부 노즐(32)의 내부 형상의 디퓨저는, 일정한 내경을 가지면서 내측으로 진행되다가 소정의 거리에서 직각을 형성하며, 상기 직각을 형성한 면의 중심부로 상기 내경보다 작은 내경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입구부 노즐(31)의 디퓨저는, 상기 출구부 노즐(32)의 디퓨저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시말하면 상기 출구부 노즐(32) 디퓨저가 상기 입구부 노즐(31) 디퓨저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형성된 종래의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는, 상기 몸체부가 입구부와 출구부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입구부 노즐과 출구부 노즐의 내부에 형성된 디퓨저(diffuser)형상의 구조를 상기 몸체부에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없었다.
상기에서 언급된 디퓨저(diffuser)란, 유체(기체, 액체)가 지닌 운동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바꾸기 위해 단면적을 점차 넓게 한 유로를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부득이 상기 몸체부의 입구부와 출구부에 상기 입구부 노즐과 출구부 노즐을 삽입할 수 있는 관통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입구부와 출구부의 관통구 내측에 상기 입구부 노즐과 출구부 노즐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는 입구부 노즐과 출구부 노즐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입구부 노즐과 출구부 노즐의 외측에 상기 관통구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입구부 노즐과 출구부 노즐에 유체의 유로가 되는 디퓨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입구부 관통구와 출구부 관통구에 상기 입구부 노즐과 출구부 노즐을 체결 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그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가공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됨으로써, 제조원가가 상승되어 제품의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는, 외측에 나사산을 가공하고 내측에 유체의 유로가 되는 디퓨저를 가공하여서 된 노즐을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시켜 나사산으로 조립 결합시키는 감합방식의 구조로 제작되어 있다.
따라서, 유체 계통의 운전에 있어서, 상기 진공 제너레이터 내부의 압력제어 범위가 크거나, 높은 차압을 제어해야할 경우 진공 제너레이터의 노즐이 조립 결합된 교축부의 유속은 경우에 따라서 음속을 뛰어넘은 엄청난 속도로 에너지가 이동된다.
이때, 유체의 제반에너지 변환특성 즉, 케비테이션(cavitation)이나 후라싱 또는 초킹(choking)이 수반되고, 이 과정중에 유체임자의 계속적인 충돌로 노즐과 디퓨저의 표피에 직접적인 손상 및 진동을 주게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마찰 또는 충돌 부위가 노즐이 조립 결합된 교축부에서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 교축부 근처에서 나사산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상기 나사산이 풀려버리는 상당히 취약한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그 목적은 제 1 몸체부와 제 2 몸체부 및 제 3 몸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몸체부와 제 2 몸체부에 유체의 유로가 되는 디퓨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며, 상기 제 1 몸체부와 제 2 몸체부를 용접으로 결합하며, 상기 제 1 몸체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상기 제 3 몸체부의 하단부를 삽입하여 용접으로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분해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제 1 몸체부 42. 입구부
44,86,98. 나사산
50,50′. 디퓨저 52,52′. 제 1 디퓨저
54,54′. 제 2 디퓨저 56.56′. 제 3 디퓨저
58,58′. 제 4 디퓨저 60. 제 1 결합부
62. 개구부 64. 삽입홈
66,96. 삽입구 68,70. 돌기
72. 제 1 안착부 74. 제 2 안착부
80. 제 2 몸체부 82. 출구부
84. 제 2 결합부 88. 단차부
90. 제 1 단차부 92. 제 2 단차부
94. 제 3 단차부 95. 제 3 몸체부
97. 걸림돌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는, 제 1 몸체부와 제 2 몸체부 및 제 3 몸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몸체부는 일측면의 중앙에서 수평 길이방향으로 유체의 통로가 되는 디퓨저가 형성되며, 상기 디퓨저는 상기 제 1 몸체부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와 일체형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내부에, 내경의 공간을 갖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경의 개구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외경의 상부면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의 내측 바닥면에 노브의 조절바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의 측면 벽으로부터 개구부의 내측면 일측 끝단부까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1 결합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몸체부는, 일측면의 중앙에서 수평 길이방향으로 유체의 통로가 되는 디퓨저가 형성되며, 상기 디퓨저는 상기 제 2 몸체부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출구부와, 상기 출구부의 일측으로는, 상기 디퓨저의 중심를 기준점으로 하여 단차부를 갖는 제 2 결합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 3 몸체부는, 수직으로 길이방향으로 노브의 조절바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는 상기 제 3 몸체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제 1 몸체부의 제 1 결합부에, 상기 제 2 몸체부의 제 2 결합부가 삽입되어 용접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 1 몸체부의 삽입홈에, 상기 제 3 몸체부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용접으로 고정되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몸체부와 제 2 몸체부 및 제 3 몸체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는, 제 1 몸체부(40)와, 제 2 몸체부(80) 및, 제 3 몸체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몸체부(40)는, 입구부(42)와 제 1 결합부(60)로 구성된다.
상기 입구부(42)는, 일측면의 중앙에서 수평 길이방향으로 유체의 통로가 되는 디퓨저(50)가 형성되며, 상기 디퓨저(50)는 상기 제 1 몸체부(40)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입구부(42)의 외부면에 나사산(4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디퓨저(50)는, 측면의 중앙에서 일정한 내경을 가지면서 소정의 길이로 내측으로 진행되는 제 1 디퓨저(52)와, 상기 제 1 디퓨저(52)에서 내경이 줄어드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제 2 디퓨저(54)와, 상기 제 2 디퓨저(54)의 테이퍼 형상의 끝단부의 내경과 동일하게 연장되는 제 3 디퓨저(56)와, 상기 제 3 디퓨저(56)의 내경의 끝단부로부터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제 4 디퓨저(58)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결합부(60)는, 상기 입구부(42)와 일체형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내부에, 내경의 공간을 갖는 개구부(62)가 형성되며, 상기 내경의 개구부(62)에 의하여 형성되는 외경의 상부면에 삽입홈(64)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64)의 내측 바닥면에 노브의 조절바(미도시)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66)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64)의 측면 벽으로부터 개구부(62)의 내측면 일측 끝단부까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돌기(6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몸체부(40)의 입구부(42)와 제 1 결합부(60)의 경계면이 되는 벽면 중앙부에는 돌기(70)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70)에는 디퓨저(50)가 형성되되, 상기 제 2 디퓨저(54)의 테이프 형상을 지나 일정한 내경을 갖는 제 3 디퓨저(56)와, 상기 제 3 디퓨저(56)의 내경으로부터 내경이 커지는 테이프 형상을 갖는 제 3 디퓨저(58)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몸체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삽입홈(64)에는, 상기 삽입홈(64)의 측면 벽의 상부면에 상기 제 3 몸체부(95)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97)가 안착되는 제 1 안착부(72)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64)의 내측면 벽의 하단부와 상기 삽입구(66)가 형성된 사이에는 상기 제 3 몸체부(95)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제 2 안착부(7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안착부(72)는, 상기 제 1 몸체부(40)의 삽입홈(64)이 형성되면서 생성된 바닥면을 말하는 것이고, 상기 제 2 안착면(74)은, 상기 제 1 몸체부(40)의 삽입홈(64)이 형성되면서 생성된 벽면의 상부면를 말하는 것이다.
상기 개구부(62)는, 상기 제 1 몸체부(40)와 제 2 몸체부(80)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 1 몸체부(40)와 제 2 몸체부(80)로 통과되는 유체의 유로가 된다. 또한, 상기 제 3 몸체부(95)의 삽입구(96)에 삽입된 노브 조절바에 의하여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공간이 되는 곳이다.
상기 제 2 몸체부(80)는, 출구부(82)와 제 2 결합부(84)로 구성된다.
상기 출구부(81)는, 일측면의 중앙에서 수평 길이방향으로 유체의 통로가 되는 디퓨저(50′)가 형성되며, 상기 디퓨저(50′)는 상기 제 2 몸체부(80)의 내부에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출구부(82)의 외부면에 나사산(86)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몸체부(80)의 내부에 형성된 디퓨저(50′)는, 상기 제 1 몸체부(40)의 내부에 형성된 디퓨저(50)와 같이, 측면의 중앙에서 일정한 내경을 가지면서 소정의 길이로 내측으로 진행되는 제 1 디퓨저(52′)와, 상기 제 1 디퓨저(52′)에서 내경이 줄어드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제 2 디퓨저(54′)와, 상기 제 2 디퓨저(54′)의 테이퍼 형상의 끝단부의 내경과 동일하게 연장되는 제 3 디퓨저(56′)와, 상기 제 3 디퓨저(56′)의 내경의 끝단부로부터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제 4 디퓨저(58′)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몸체부(80)의 내부에 단계별로 형성된 디퓨저(50′)는, 상기 제 1 몸체부(40)의 내부에 단계별로 형성된 디퓨저(50)의 내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결합부(84)는, 상기 출구부(82)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디퓨저(50′)의 중심을 기준점으로 하여 단차부(88)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88)는, 제 1 단차부(90)와 제 2 단차부(92)로 형성되거나, 또는 제 1 단차부(90)와 제 2 단차부(92) 및 제 3 단차부(94)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몸체부(95)는, 수직으로 길이방향으로 노브의 조절바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96)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96)는 상기 제 3 몸체부(95)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3 몸체부(95)의 외경면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 1 몸체부(40)의 제 1 안착부(72)에 안착되는 걸림돌기(97)가 형성되고, 상기 제 3 몸체부(95)의 상단부에는 나사산(98)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3 몸체부(95)에 형성된 삽입구(96)와, 상기 제 1 몸체부(40)의 상부면의 삽입홈(64)에 형성된 삽입구(66)의 내경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각각의 구성요소간의 상호작용을 구체적을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조립공정은, 먼저 상기 제 1 몸체부(40)와 제 2 몸체부(80) 및 제 3 몸체부(95)를 분리하여 생산한다.
이때, 상기 각각의 몸체부는 상기와 같은 구성과 형상으로 제작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각각의 몸체부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부(40)의 제 1 결합부(60)의 개구부(62)의 끝단부에 형성된 돌기(68)의 내측으로, 상기 제 2 몸체부(80)의 제 2 결합부(84)의 제 2 단차부(92)를 삽입하여 용접으로 고정하고, 상기 제 1 몸체부(40)의 상부면에 형성된 삽입홈(64)에 상기 제 3 몸체부(95)의 하단부를 삽입하여 용접으로 고정하면 조립공정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몸체부(40)의 삽입홈(64) 근처에 제 1 안착부(72)와 제 2 안착부(7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은, 상기 제 3 몸체부(95)의 하단부를 제 1 몸체부(40)의 삽입홈(64)에 원활하게 삽입되어, 용접으로 완전하게 고정하여 견고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 3 몸체부(95)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97) 역시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어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에 의하면, 유체의 통로가 되는 디퓨저가 상기 제 1 몸체부와 제 2 몸체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높은 압력에도 밸브구조의 안정성과 견고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제 1 몸체부와 제 2 몸체부 및 제 3 몸체부가 분리되어 생산되기 때문에 정밀 기계 가공방식을 통한 최적의 유로 형상구조를 제작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불용 공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어 이상적 유체 흐름을 구현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 1 몸체부와 제 2 몸체부 및 제 3 몸체부를 용접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생산할 때 가공시간과 생산공정을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의 확보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제 1 몸체부와, 제 2 몸체부 및, 제 3 몸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몸체부는,
    일측면의 중앙에서 수평 길이방향으로 유체의 통로가 되는 디퓨저가 형성되며, 상기 디퓨저는 상기 제 1 몸체부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와 일체형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내부에, 내경의 공간을 갖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경의 개구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외경의 상부면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의 내측 바닥면에 노브의 조절바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의 측면 벽으로부터 개구부의 내측면 일측 끝단부까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1 결합부; 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몸체부는,
    일측면의 중앙에서 수평 길이방향으로 유체의 통로가 되는 디퓨저가 형성되며, 상기 디퓨저는 상기 제 2 몸체부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출구부와;
    상기 출구부의 일측으로는, 상기 디퓨저의 중심을 기준점으로 하여 단차부를 갖는 제 2 결합부; 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3 몸체부는,
    수직으로 길이방향으로 노브의 조절바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는 상기 제 3 몸체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제 1 몸체부의 제 1 결합부에, 상기 제 2 몸체부의 제 2 결합부가 삽입되어 용접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 1 몸체부의 삽입홈에, 상기 제 3 몸체부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용접으로 고정되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몸체부와 제 2 몸체부 및 제 3 몸체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된 디퓨저가 상기 제 1 몸체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된 디퓨저가 상기 제 2 몸체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디퓨저를 통하여 통과되는 높은 압력에도 밸브구조의 안정성과 견고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
  3. 제 1 항 내지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부의 디퓨저와 제 2 몸체부의 디퓨저는,
    측면의 중앙에서 일정한 내경을 가지면서 내측으로 진행되다가, 소정의 거리에서 내경이 줄어드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며, 상기 테이퍼 형상의 끝단부의 내경과 동일하게 연장되는 내경을 가지며, 상기 내경의 끝단부로부터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제부와, 제 2 몸체부 및, 제 3 몸체부의 외경면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몸체부의 외경면의 하단부에,
    상기 제 1 몸체부의 제 1 안착부에 안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삽입홈에는,
    상기 삽입홈의 측면 벽의 상부면에 상기 제 3 몸체부의 하단부에 형성된 돌기가 안착되는 제 1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의 내측면 벽의 하단부와 상기 삽입구가 형성된 사이에는 상기 제 3 몸체부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제 2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부의 입구부와 제 1 결합부의 경계면이 되는 벽면 중앙부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에는 관통구가 형성되되, 테이프 형상을 지나 내경을 갖는 관통구와 상기 내경으로부터 내경이 커지는 테이프 형상을 갖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부의 제 2 결합부에 형성된 단차부는,
    제 1 단차부와 제 2 단차부로 형성되거나, 또는 제 1 단차부와 제 2 단차부 및 제 3 단차부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부의 제 1 결합부와 제 2 몸체부의 제 2 결합부가 용접으로결합됨에 있어, 상기 제 1 몸체부의 제 1 결합부의 개구부 끝단부에 형성된 돌기 내측으로 상기 제 2 몸체부의 제 2 결합부의 제 2 단차부가 안착되어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
KR20-2004-0020933U 2004-07-22 2004-07-22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 KR2003647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933U KR200364795Y1 (ko) 2004-07-22 2004-07-22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933U KR200364795Y1 (ko) 2004-07-22 2004-07-22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795Y1 true KR200364795Y1 (ko) 2004-10-19

Family

ID=49439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933U KR200364795Y1 (ko) 2004-07-22 2004-07-22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7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2342A (ko) * 2006-02-16 2007-08-21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퓨얼 레일 장치의 체크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2342A (ko) * 2006-02-16 2007-08-21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퓨얼 레일 장치의 체크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3482A (en) Fuel injection nozzle
KR20170004035A (ko) 유체 소통 구조를 갖는 절삭 공구 및 절삭 인서트
US7108244B2 (en) High-stability valve arrangement for a governor valve
KR200364795Y1 (ko) 진공 제너레이터 밸브구조
KR101581391B1 (ko) 벤츄리 구조를 이용한 샤워기 노즐
JP2001342931A (ja) 燃料噴射装置
US20190275567A1 (en) Air intake and blowout tool
JP7249819B2 (ja) マイクロバブル発生ノズル
JP5230795B2 (ja) 液体燃料を噴霧するための渦巻噴霧ノズル、渦巻噴霧ノズルの製造方法、及び渦巻噴霧ノズルを備えたバーナ用ノズル組立体
US20020092565A1 (en) Fuel pressure regulating valve
US6283387B1 (en) Misting head poppet
US20110272491A1 (en) Shower Head Having A Larger Flushing Angle
JP2916840B2 (ja) アングル弁
JP2008516137A (ja) 燃料噴射弁
CN213420023U (zh) 节流阀
JP2010223026A (ja) 燃料噴射弁
CN210423944U (zh) 膨胀阀
JPH02241975A (ja) 燃料噴射弁のための孔付プレート
CN113357431A (zh) 阀笼
JP2008516135A (ja) 燃料噴射弁
JP2000027052A (ja) 空気噴射式織機用補助ノズルとその製造方法
CN110385205B (zh) 喷洒器
US6334432B1 (en) Holder body for a fuel injection valv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102478560B1 (ko) 인젝터 밸브시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인젝터
JPH0751280Y2 (ja) 高圧水噴射ノズ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