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739Y1 - 수동 이동수단을 자전거로 운행하기 위한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수동 이동수단을 자전거로 운행하기 위한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739Y1
KR200363739Y1 KR20-2004-0019464U KR20040019464U KR200363739Y1 KR 200363739 Y1 KR200363739 Y1 KR 200363739Y1 KR 20040019464 U KR20040019464 U KR 20040019464U KR 200363739 Y1 KR200363739 Y1 KR 2003637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manual
insertion tube
rear end
wheel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94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형
Original Assignee
최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형 filed Critical 최재형
Priority to KR20-2004-00194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7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7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7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7/00Sidecars; Forecars; Trailer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cycles
    • B62K27/10Other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B62K27/12Coupling parts for attaching cars or the like to cycle; Arrange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7/00Freight- or passenger-carrying cycles
    • B62K7/02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동 이동수단을 자전거로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휠체어, 유모차, 간이 수레 등 바퀴가 달리고 인력에 의해 움직이는 수동 이동수단의 후단과, 앞바퀴를 제거한 자전거의 앞부분을 연결하여 편리하게 수동 이동수단을 운전하고, 장거리 이동이 필요 없을 때에는 간편하게 분리할 수도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구성의 요지로는 수동 이동수단(10)의 후단 프레임(11) 부분에 세워진 형태로 2개의 삽입관(12)을 고정하여 구성하고, 앞바퀴를 제거한 자전거(20)의 핸들축(21) 하단에 연결대(22)를 구성한 후, 연결대(22)의 양단 하단에 상기 삽입관(12)과 동일한 간격이면서 삽입관(12)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삽입봉(23)을 형성하여 결합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동 이동수단을 자전거로 운행하기 위한 결합구조{Geometry to run passivity transfer means by bicycle}
본 고안은 수동 이동수단을 자전거로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휠체어, 유모차, 간이 수레 등 바퀴가 달리고 인력에 의해 움직이는 수동 이동수단의 후단과, 앞바퀴를 제거한 자전거의 앞부분을 연결하여 편리하게 수동 이동수단을 운전하고, 장거리 이동이 필요 없을 때에는 간편하게 분리할 수도 있도록 하는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휠체어나 유모차, 수레 등은 바퀴와 인력에 의존하여 이동이 가능토록 하고 있으나, 그 단점으로는 보호자가 직접 밀어서 이동을 하여야 하므로 장거리 이동이 어렵다는 것이다.
즉 환자나 유아가 타게 되는 휠체어나 유모차의 경우에는 보호자가 뒤에서 밀고 다니도록 된 것으로, 장거리를 이동하려면 매우 힘이 들게되므로 산책 등의 목적으로 통상 수 백미터 이상의 거리를 이동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산책이나 긴급한 목적으로 어느 정도의 먼 거리를 이동하는 것은 포기하거나 매우 불편하게 차량을 운행하여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장을 보거나 쇼핑을 할 때도 매우 가까운 거리가 아니면 직접 물건을 장바구니 등에 담아 이동하기가 어렵고 좀더 거리가 멀면 바퀴가 있는 장바구니를 이용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바퀴가 있는 장바구니의 경우에도 좀더 거리가 먼 경우에는 사실상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차량을 이용하기에는 멀지 않은 거리임에도 차량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자전거를 바퀴 달린 수동 이동수단과 간단하게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휠체어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환자나 유모차를 이용하는 유아 등이 먼 거리도 편리하게 이동을 할수 있고, 또한 쇼핑이나 장보기를 할 때 자동차로 가기에는 가깝고 걸어다니기에는 먼 거리를 매우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동 이동수단 11: 프레임
12: 삽입관
20: 자전거 21: 핸들축
22: 연결대 23: 삽입봉
본 고안은 앞바퀴를 제거한 자전거의 핸들축 하단과, 휠체어, 유모차, 간이 손수레, 쇼핑카트 등과 같이 바퀴가 달린 수동 이동수단의 후단에 각각 삽입봉과 삽입관을 구성한 후 삽입봉을 삽입관에 삽입하는 것으로, 운전자가 통상의 자전거를 운전하는 것과 같이 운전하면 수동 이동수단이 이동하게 되고 핸들의 조작에 의해 방향도 전환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바람직한 구성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휠체어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구체적인 결합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유모차에 적용한 예이며, 도 4는 쇼핑카트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의 경우는 수동 이동수단(10)의 예로 휠체어에 적용한 상태를 보여 주는데, 휠체어의 후단, 즉 뒷쪽의 프레임(11) 양측에 세워진 형태로 2개의 삽입관(12)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자전거(20)는 앞바퀴를 제거한 후 핸들축(21)의 하단에 수평으로 된 연결대(22)를 구성한 후 연결대(22)의 양단부 하단에 상기 휠체어의 삽입관(12)과 같은 간격을 갖고 삽입관(12)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삽입봉(23)을 형성하여 결합한 것이다.
도 3의 실시예는 수동 이동수단의 다른 예로 유모차에 적용한 것을 나타낸것으로, 역시 유모차의 후단에 삽입관(12)을 구성하여 자전거(20)에 형성한 삽입봉(23)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4는 다른 수동 이동수단의 예로 쇼핑카트를 예로 든 것인데, 이 경우에도 동일하게 쇼핑카트의 후단에 삽입관(12)을 구성하여 자전거의 삽입관(23)을 삽입하면 자전거로 운행이 가능해진다.
상기에서 삽입관(12)과 삽입봉(23)은 그 위치를 서로 바꾸어 자전거에 삽입관(12)을 구성하고 수동 이송수단(10)에 삽입봉(23)을 구성하여도 동일한 작용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면중 미 설명된 부호 24는 자전거의 핸들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을 사용방법에 따라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에는 수동 이동수단(10)을 자전거(20)와 결합하지 않아 휠체어, 유모차, 쇼핑카트 등을 본래의 목적과 기능으로 사용을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동 이동수단을 장거리 이동하여야 할 경우에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20)와 결합을 하는데, 삽입봉(23)을 삽입관(12)에 결합하면, 간단하게 결합이 완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호자가 자전거(20)에 올라탄 후 일반적으로 자전거(20)를 운전하듯이 페달을 밟으면 동력이 자전거(20)의 뒷바퀴에 전달되어 운행이 가능해지는 것이고, 방향전환을 위하여 핸들(24)을 회전시키면 그 힘이 삽입봉(23)과 삽입관(12)을 통하여 전달되므로 바퀴 달린 수동 이동수단(10) 전체가 회전하므로 마치 자전거(20)의 핸들(24) 조작과 같이 방향이 전환되는 것이다.
장거리 이동이 필요 없을 때는 자전거(20)의 삽입봉(23)을 삽입관(12)으로부터 빼내기만 하면 분리가 완성되므로 자전거는 별도로 보관하고 이동수단만을 본래의 기능과 같이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휠체어를 이용하는 환자의 경우나 유모차에 타고 이동을 하는 유아가 산책이나 기타의 목적으로 비교적 먼 거리를 이동할 경우 비교적 신속하면서도 보호자가 힘을 별로 들이지 않고 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쇼핑이나 물건의 운송 등에도 쇼핑카트와 같이 이송수단을 결합하여 사용하면 자동차를 운행할 필요 없이 먼 거리를 이동 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의 낭비와 환경오염을 막을 수도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수동 이동수단(10)의 후단 프레임(11) 부분에 세워진 형태로 2개의 삽입관(12)을 고정하여 구성하고,
    앞바퀴를 제거한 자전거(20)의 핸들축(21) 하단에 연결대(22)를 구성한 후, 연결대(22)의 양단 하단에 상기 삽입관(12)과 동일한 간격이면서 삽입관(12)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삽입봉(23)을 형성하여 결합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이동수단을 자전거로 운행하기 위한 결합구조.
KR20-2004-0019464U 2004-07-08 2004-07-08 수동 이동수단을 자전거로 운행하기 위한 결합구조 KR2003637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464U KR200363739Y1 (ko) 2004-07-08 2004-07-08 수동 이동수단을 자전거로 운행하기 위한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464U KR200363739Y1 (ko) 2004-07-08 2004-07-08 수동 이동수단을 자전거로 운행하기 위한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739Y1 true KR200363739Y1 (ko) 2004-10-08

Family

ID=49438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464U KR200363739Y1 (ko) 2004-07-08 2004-07-08 수동 이동수단을 자전거로 운행하기 위한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73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975B1 (ko) * 2011-04-06 2013-07-23 하영근 유모차 착탈형 자전거
KR20160133929A (ko) * 2015-05-14 2016-11-23 주식회사 동영코엘스 휠체어 운행 보조용 수축 가능 착탈형 자전거
KR200484628Y1 (ko) * 2016-08-24 2017-10-10 김영서 수동 이동수단을 자전거로 운행하기 위한 결합구조
KR20200061872A (ko) * 2018-11-26 2020-06-03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카고 바이크용 바디 유닛과 옵션 유닛의 분리 가능한 체결 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975B1 (ko) * 2011-04-06 2013-07-23 하영근 유모차 착탈형 자전거
KR20160133929A (ko) * 2015-05-14 2016-11-23 주식회사 동영코엘스 휠체어 운행 보조용 수축 가능 착탈형 자전거
KR101695405B1 (ko) 2015-05-14 2017-01-23 주식회사 동영코엘스 휠체어 운행 보조용 수축 가능 착탈형 자전거
KR200484628Y1 (ko) * 2016-08-24 2017-10-10 김영서 수동 이동수단을 자전거로 운행하기 위한 결합구조
KR20200061872A (ko) * 2018-11-26 2020-06-03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카고 바이크용 바디 유닛과 옵션 유닛의 분리 가능한 체결 구조
KR102167023B1 (ko) 2018-11-26 2020-10-16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카고 바이크용 바디 유닛과 옵션 유닛의 분리 가능한 체결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67975A (zh) 可转换的脚踏车设备
CN105460065A (zh) 一种一步收合到位的婴儿车
KR200363739Y1 (ko) 수동 이동수단을 자전거로 운행하기 위한 결합구조
RU182352U1 (ru) Тележка, которую можно соединить с велосипедом
KR200484628Y1 (ko) 수동 이동수단을 자전거로 운행하기 위한 결합구조
CN203713944U (zh) 一种婴儿车
CN202080315U (zh) 可收合的婴儿推车
RU175639U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платформа
WO2007148323A2 (en) Baby buggy
CN203681624U (zh) 一种可骑行的手推车
JP2005088606A (ja) 折りたたみ式自転車。
GB201113270D0 (en) Improvements in baby buggies,pushchairs,wheelchairs and the like
KR101747321B1 (ko) 유모차 겸용 삼륜 자전거
PT1180342E (pt) Aparelho de limpeza accionado por um veiculo impelido por forca muscular
RU160386U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механизмом выдвижения колесных шасси
CN201343119Y (zh) 童车的刹车装置
KR100796348B1 (ko)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
WO2006089071A3 (en) Push-pull cart collection device and conversion assembly
CN209395962U (zh) 童车车架
CN103434558A (zh) 一种安全婴儿车
EP4132840B1 (en) Convertible device to be used as sports equipment for children or as a pram
CN203915262U (zh) 推拉杆式手动自行轮椅车
CN201258063Y (zh) 三轮踏板玩具自行车
CN103274001B (zh) 一种四轮电动滑板车
CN211494196U (zh) 一种多功能婴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