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380Y1 - 빌딩블록 - Google Patents

빌딩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380Y1
KR200363380Y1 KR20-2004-0014992U KR20040014992U KR200363380Y1 KR 200363380 Y1 KR200363380 Y1 KR 200363380Y1 KR 20040014992 U KR20040014992 U KR 20040014992U KR 200363380 Y1 KR200363380 Y1 KR 200363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block
building blocks
holes
building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9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푸-치 린
Original Assignee
유스 토이 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스 토이 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스 토이 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49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3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3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3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he elements being connectible by corresponding projections and re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빌딩블록은 6면 중 5개의 면은 각각 4개의 관통공을 구비하는 한편, 제 6면은 대각선으로 대칭인 2개의 돌기와 2개의 관통공을 구비하는 육면체이다. 이 빌딩블록은 서로 많은 다른 방법으로 연결되어 다양한 형상을 만들어낼 수 있으며, 밀폐된 용기 내에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고, 감소된 코스트로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빌딩블록{BUILDING BLOCK}
본 고안은 빌딩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많은 다른 방법으로 연결되어 다양한 형상을 만들어낼 수 있으며, 밀폐된 용기 내에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고, 감소된 코스트로 제조할 수 있는 빌딩블록에 관한 것이다.
유아들에게 있어서, 우수한 두뇌의 발달 및 근육의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좋은 "운동"을 필요로 한다. 또한, 유아에게 그들의 두뇌의 사용을 촉진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균형 조절 능력을 배양해야 한다. 빌딩블록은 어린이들로 하여금 그것을 눈으로 관찰하고 손으로 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전문가들은 흔히 유아에게 빌딩블록을 강력하게 추천한다. 시도 및 실수를 통해서, 어린이들은 다량의 개별 빌딩블록을 완전한 물건 및 몸체로 조립하는 것을 점차로 배우게 된다. 빌딩블록의 조립 과정을 통해서, 어린이들은 공간의 개념을 자연스럽게 배우고, "전체"와 "부분" 사이의 관계를 이해함으로써, "양" 또는 "총계"에 대한 수학적인 개념을 확립할 수 있다. 유아들은 그들의 성장 과정에서 빌딩블록을 갖고 놀면서 다른 형상을 개발하는 경향이 있다. 그들은 블록으로 만든 그들 자신의 상상력이 풍부한 창작물에 대해 상당한 흥미를 갖는다. 따라서, 블록은 어린이들의 상상력의 개발 및 그들의 두뇌 훈련에 매우 유용한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학습효과를 얻는데 적합한 우수한 빌딩블록은 확실히 블록쌓기를 연습하기 위한 적은 조각의 기하학적 블록에만 머물러서는 안된다. 잘 설계된 빌딩블록은 반드시 높은 재생성을 갖고 정교해야 하며 균형잡힌 구조이어야 한다. 많은 상업적으로 구득 가능한 빌딩블록은 상술한 요구를 따르지만, 구들은 여전히 설계면에서 많은 결점을 갖는다.
제 1종래의 빌딩블록(1)을 나타내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빌딩블록(1)은 4개의 측면중 3개의 면은 각각 삽입공(11)을 구비하는 한편, 제 4측면은 각각 중앙 돌기(12)를 구비하는 육면체이다. 하나의 빌딩블록(1)의 돌기(12)를 다른 빌딩블록(1)의 어떤 삽입공(11)과 결합함으로써, 다수의 빌딩블록(1)은 서로 연결 또는 적층되어 다양한 형태를 만들어 내며, 이는 다른 형상의 자유로운 창착을 통해서 유아의 두뇌를 훈련시키는 좋은 방법을 제공한다. 제 1종래의 빌딩블록(1)은, 이들 빌딩블록(1)은 용기(2)에 보관하기 위해 어떻게 배열을 하든지, 하나의 돌기(12)가 반드시 빌딩블록(1) 중 하나로부터 연장되어 용기(2)를 뚜껑(도시 생략)으로 덮을 때에 방해가 되는 단점이 있다.
도 3, 4, 및 5는 다른 2개의 종래의 빌딩블록(3 및 30)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빌딩블록(3)은 6면 중 5개의 면이 각각 삽입공(31)을 구비하는 한편, 제 6면은 중앙에 돌기(32)를 갖는 육면체이다. 하나의 빌딩블록(3)의 어떤 돌기(32)를 다른 빌딩블록(3)의 어떤 하나의 삽입공(31)에 결합함으로써, 다수의 빌딩블록(3)은 서로 연결 또는 적층되어 다른 형상을 만들어 낸다. 도 3에 도시된 빌딩블록(30) 역시, 다른 빌딩블록(3)에 대한 마감 블록으로서 사용하도록 설계된 육면체이다. 이 빌딩블록(30)의 모든 6개면은 각각 삽입공(301)을 구비함으로써, 용기(2)를 뚜껑으로 덮을 때에 방해를 받는 상술한 문제를 없애 모든 빌딩블록(3 및 30)이 하나의 완전한 세트로서 용기(2) 내에 꼭맞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것은 빌딩블록(3 및 30)을 제조하기 위한 2개의 금형을 필요로 하며, 빌딩블록(3 및 30) 모두를 보관해야 할 필요가 있어, 비경제적으로 증가된 제조 및 보관 코스트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많은 다른 방법으로 다수개가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다양한 형상을 만들어낼 수 있고, 밀폐된 용기 내에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감소된 코스트로 제조되는 빌딩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제 1종래의 빌딩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종래의 빌딩블록이 용기 내에 수용되는 것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2종래의 빌딩빌록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2종래의 빌딩블록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2종래의 빌딩블록이 용기 내에 수용되는 것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르는 빌딩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다수의 빌딩블록을 서로 연결하는 제 1예를 보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빌딩블록이 용기 내에 수용되는 것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의 다수의 빌딩블록이 서로 연결되는 제 2예를 보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6의 다수의 빌딩블록이 서로 연결되는 제 3예를 보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르는 빌딩블록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6:빌딩블록 41, 61:돌기
42, 43, 62, 63:관통공 44:중앙구역
45:프레임 구역 5:용기
상기 및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르는 빌딩블록은 대략, 6면 중 5개의 면은 각각 4개의 사각형 관통공을 구비하는 한편, 제 6면은 대각선으로 대칭인 2개의 돌기와 2개의 사각형 관통공을 구비하는 육면체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르면, 빌딩블록은 6면 중 5개의 면은 각각 4개의 둥근 관통공을 구비하는 한편, 제 6면은 대각선으로 대칭인 2개의 둥근 단면 돌기 및 2개의 둥근 관통공을 구비하는 육면체이다.
관통공 및 돌기 이외의 다른 육면체의 각 면상의 영역은 단면형상 중앙구역 및 사각형 프레임 구역으로 형성된다. 단면형상 중앙구역은 프레임 구역의 폭보다 2개로 넓은 폭을 갖는다.
상기 및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채용한 구조 및 기술적인 수단은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르는 빌딩블록(4)의 사시도인 도 6을 참조하기 바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빌딩블록(4)은 6면 중 5개의 면이 각각 4개의 관통공(42)을 구비하는 한편, 제 6면은 대각선으로 대칭인 2개의 돌기(41) 및 2개의 관통공(43)을 구비하는 육면체이다. 돌기(41)는 단면이 둥글게 형성되고, 관통공(42, 43)은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빌딩블록(4)의 각 면에 구비된 4개의 관통공(42)과 함께, 빌딩블록(4)의 각 면상에는 단면형상의 중심구역(44) 및 사각형 프레임 구역(45)이 형성되어 있다. 단면형상 중앙구역(44)은 프레임 구역(45)의 폭보다 2배로 넓은 폭을 갖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다수의 빌딩블록(4)을 다른 것에 연결하는 제 1예를 보이는 분해 사시도인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어떤 빌딩블록(4)이라도 빌딩블록(4) 상의 2개의 돌기(41)를 다른 빌딩블록(4)의 어떤 면 상의 2개의 관통공(42 또는 43)에 결합함으로써 다른 하나에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5개의 빌딩블록(4)은 서로 연결되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의 몸체를 형성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관을 위해서 빌딩블록(4)을 용기(5)에 모으기 위해서, 가장 바깥쪽 블록(4)의 돌기(41)를 갖는 면이 내부를 향하도록 위치시킴으로써, 이 돌기(42)는 인접한 빌딩블록(4)의 관통공(42 또는 43)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돌기(41)는 용기(5)로부터 돌출되지 않으며, 커버(도시 생략)로 용기를 덮을 수 없었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 게다가, 빌딩블록(4)의 제조를 위해서는 하나의 금형만을 필요로 하므로, 하나 이상의 금형을 제조하는데 요하는 높은 코스트 및 2가지 형태의 완성된 빌딩블록을 적층하는데 따른 문제를 없앨 수 있다.
도 10은 다수의 빌딩블록(4)을 서로 연결하는 제 2예를 보이는 분해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면형상 중앙구역(44)은 프레임 구역(45)보다 2배로 넓은 폭을 갖는다. 이러한 설계로 인해 제 1빌딩블록(4)의 2개의 돌기와 다른 2개의 빌딩블록(4)의 관통홀(42 또는 43)의 결합을 분리함으로써, 하나의 빌딩블록(4)은 2개의 평행하게 배열된 다른 빌딩블록(4) 위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역 T형상의 몸체를 형성한다.
도 12는 다수의 빌딩블록(4)을 서로 연결하는 제 3예를 보이는 분해 사시도이다. 제 1빌딩블록(4)의 2개의 돌기(41)와 제 2 및 제 3빌딩블록(4)의 상부면 상의 관통공(42)의 결합시키고, 및 제 4빌딩블록(4)의 2개의 돌기(41)와 제 2 및 제 3빌딩블록(4)의 하부측 상의 관통공(43)의 결합을 해제하여, 제 1 및 제 4빌딩블록(4)이 각각 제 2 및 제 3빌딩블록(4)의 위와 아래에 각각 위치됨으로써, 4개의 빌딩블록(4)은 적층되어 십자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0 내지 13은 본 발명의 빌딩블록(4)을 서로 연결하는 2개의 추가적인 방법을 나타낸다. 다양한 형상을 보이도록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기 위해, 빌딩블록(4)은 여전히 다른 블록들과 많은 다른 방법으로 연결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르는 빌딩블록(6)을 나타낸다. 이 빌딩블록(6) 역시, 6면 중 5개의 면은 각각 4개의 관통공(62)을 구비하는 한편, 다른 면은 대각선으로 대칭인 2개의 돌기(61)와 관통공(63)을 구비하는 육면체이다. 돌기(61)와 관통공(62, 63) 모두 둥근 형상을 갖는다.
커버로 덮힌 용기 내에 빌딩블록(6)을 적절히 수용하기 위해서, 도 7, 8 및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빌딩블록(6)은 도 10 내지 도 13을 참고로 교시한 동일한 방법으로 서로 연결 또는 적층됨으로써 다양한 형태를 만들어낼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6면 중 5개의 면이 각각 4개의 관통공(42, 62)을 구비하는 한편, 제 6면은 대각선으로 대칭인 2개의 돌기(41, 61) 및 2개의 관통공(43, 63)을 구비하는 육면체인 빌딩블록(4, 6)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돌기(41, 61)는 둥근형상이며, 관통공(42, 62; 43, 63)은 사각형 또는 둥근형상일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서로 많은 다른 방법으로 연결되어 다양한 형상을 만들어낼 수 있으며, 밀폐된 용기 내에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고, 감소된 코스트로 제조할 수 있는 빌딩블록이 제공된다.

Claims (4)

  1. 6면 중 5개의 면은 각각 4개의 관통공을 구비하는 한편, 제 6면은 대각선으로 대칭인 2개의 돌기와 2개의 관통공을 구비하는 육면체를 포함하는 빌딩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육면체 상의 상기 돌기는 단면이 둥글게 형성되는 빌딩블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육면체 상의 상기 관통공은 단면이 둥글게 형성되거나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빌딩블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육면체의 각 면 상의 상기 4개의 관통공은 단면형상 중앙구역 및 사각형 프레임 구역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면형상 중앙구역은 상기 프레임 구역의 폭보다 2배로 넓은 폭을 갖는 빌딩블록.
KR20-2004-0014992U 2004-05-29 2004-05-29 빌딩블록 KR200363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992U KR200363380Y1 (ko) 2004-05-29 2004-05-29 빌딩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992U KR200363380Y1 (ko) 2004-05-29 2004-05-29 빌딩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380Y1 true KR200363380Y1 (ko) 2004-10-01

Family

ID=49438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992U KR200363380Y1 (ko) 2004-05-29 2004-05-29 빌딩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3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851B1 (ko) * 2009-07-31 2011-11-04 이병수 움직이는 십자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851B1 (ko) * 2009-07-31 2011-11-04 이병수 움직이는 십자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91932A1 (en) Building block
US4183167A (en) Three dimensional toy
US4698023A (en) Connecting blocks
JP2008532679A (ja) 玩具組み立てセット
US5405135A (en) Block puzzle
JPS62501056A (ja) 組立おもちゃセットの組立ベ−ス
KR101048157B1 (ko) 기하학적 조립 완구
US3660928A (en) Modular building blocks with interfitting grooved surfaces
US6790118B2 (en) Block set for educational purposes
KR200363380Y1 (ko) 빌딩블록
WO1986004253A1 (en) Toy blocks serving also as intelligence developing materials and capable of being combined at arbitrary angle by racks
US4011683A (en) Sectional toy block
KR101336672B1 (ko) 기하학적 조립식 완구 및 그 연결방법
KR102019629B1 (ko) 양방향 체결돌기를 갖는 레고식 블록 조립체
US4274221A (en) Toy building block
JP3193965U (ja) かずパズル
JPH11128548A (ja) 知育玩具
CN217448934U (zh) 一种几何积木
WO1997026963A1 (en) The modular, adaptable puzzle
KR200174448Y1 (ko) 놀이용 블록세트
KR200333877Y1 (ko) 도형구성용 퍼즐
KR200183661Y1 (ko) 조립완구
CN214075060U (zh) 一种积木玩具
KR200366109Y1 (ko) 학습용 조형블럭
KR102026835B1 (ko) 매쓰 큐브 교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