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811Y1 -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 용마루 - Google Patents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 용마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811Y1
KR200362811Y1 KR20-2004-0017581U KR20040017581U KR200362811Y1 KR 200362811 Y1 KR200362811 Y1 KR 200362811Y1 KR 20040017581 U KR20040017581 U KR 20040017581U KR 200362811 Y1 KR200362811 Y1 KR 2003628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dge
bent
scale prevention
prevention jaw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5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근
Original Assignee
(주)엘엔비
이호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엔비, 이호근 filed Critical (주)엘엔비
Priority to KR20-2004-00175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8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8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8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5Trimming strips; Edge strips; Fascias; Expansion joints for roofs
    • E04D13/158Trimming strips; Edge strips; Fascias; Expansion joints for roofs covering the overhang at the eave side, e.g. soffits, or the verge of saddle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59Drainage borders, e.g. dripping edges, gravel stops or dispers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59Drainage borders, e.g. dripping edges, gravel stops or dispersers
    • E04D2013/0468Drip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 용마루에 관한 것으로써, 용마루의 상 · 하면 일측으로는 물때 방지턱이 형성되어 있어서, 우수가 벽면을 타고 흐르지 않도록 하여 건축물의 외관이 장기간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박공 후레싱과 결합될 시 견고하게 결합되며, 외관이 미려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크게 전면부(10)와 상면부(20) 및 하면부(30)가 일체로 구성되되, 그 대략적인 형태가 후면과 하부 양측면이 개방된 마름모꼴의 형태로 구성되며, 마름모 형태의 전면(11)에는 원호의 형태로 제 1절곡부(12)와 만곡부(13) 및 제 2절곡부(14)가 오목한 형태로 순차 가공된 전면부(10)와, 상기 전면부(10)의 상부 양측으로 상면(21)이 형성되되, 전면(11)과 접하는 부위에는 상부 물때 방지턱(22)이 형성되고, 상면(21)의 외측부로는 상부 결합부(23)가 형성된 상면부(20)와, 상기 전면부(10)의 하단 중앙으로는 하면(31)이 형성되되, 그 접하는 부위에는 하부 물때 방지턱(32)이 형성되고 하면(31)의 끝단으로는 90° 절곡된 하부 결합부(33)가 형성된 하면부(30)로 구성되어, 상 · 하부 물때 방지턱(22, 32)에 의해 우수가 용마루(1)의 전측으로 흐르지 못하도록 차단되어 건축물의 외부 벽면(3)을 타고 흐르지 않도록 하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용마루의 상 · 하면 일측으로 물때 방지턱이 형성되어 있어서, 우수가 외부 벽면을 타고 흐르지 않도록 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물때가 끼지 않고 장기간 청결한 상태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마루의 전면으로는 만곡부와 절곡부가 원호의 형태로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그 외형이 미려하며, 전체를 이음매가 없는 일체로 가공함으로써 수분의 침투가 발생하지 않고 미려한 상태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또 다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 용마루 { The ridge of a roof for a prefabricated house }
본 고안은 지붕의 용마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스틸 하우스 혹은 조립식 건축물의 박공부 최상단 이음부분을 상호 연결하도록 하는 용마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마루의 상 · 하면 일측으로는 물때 방지턱이 형성되어 있어서, 우수가 벽면을 타고 흐르지 않도록 하여 건축물의 외관이 장기간 청결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박공 후레싱과 결합될 시 견고하게 결합되며, 외관이 미려한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 용마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마루라 함은 건축물의 지붕에서 가장 높은 마루를 뜻하는 것으로, 스틸 하우스 혹은 조립식 건축물의 박공부분에 삽착되는 박공 후레싱이 지붕의 최정점에서 상호 직교할 시, 그에 결합되어 박공 후레싱을 연결 ·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박공 후레싱이 직교하는 부위에 결합되는 용마루는, 박공 후레싱의 결속력을 높이고 박공 후레싱과 연결되는 부위에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바, 종래에 사용되는 용마루는, 그 대략적인 형태가 마름모꼴 패널 형태로 제작되되, 후방과 하부 양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며, 개방된 하부 양측면으로 박공 후레싱이 삽착된 후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되도록 구성되었다.
상기 종래의 지붕 용마루는 전면이 평면의 마름모꼴 형태로 구성되고, 전면과 일체로 형성된 상면과 하면은 후측으로 90° 단순 꺾임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우수가 박공 측으로 흘러내릴 경우에는, 용마루의 전면을 거쳐 건물의 외부 벽면을 타고 흐르게 되며, 이러한 현상이 장기간 경과하게 되면, 외부 벽면에 물때나 이끼 등이 끼게되어 건물의 이력에 비해 외관 상 노후해 보이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용마루의 상 · 하면 일측으로 물때 방지턱이 형성되어 있어서, 우수가 외부 벽면을 타고 흐르지 않도록 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물때가 끼지 않고 장기간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용마루의 전면으로는 만곡부와 절곡부가 원호의 형태로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그 외형이 미려하며, 전체를 이음매가 없는 일체로 가공함으로써 수분의 침투가 발생하지 않고 장기간 미려한 상태로 사용이 가능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마루 2 : 박공 후레싱
2a : 박공 후레싱 상면 2b : 박공 후레싱 전면
2c : 박공 후레싱 하면 3 : 외부 벽면
4 : 지붕 5 : 처마
6 : 박공 10 : 전면부
11 : 전면 12 : 제 1절곡부
13 : 만곡부 14 : 제 2절곡부
20 : 상면부 21 : 상면
22 : 상부 물때 방지턱 23 : 상부 결합부
30 : 하면부 31 : 하면
32 : 하부 물때 방지턱 33 : 하부 결합부
본 고안은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 용마루에 관한 것으로써, 용마루의 상 · 하면 일측으로는 물때 방지턱이 형성되어 있어서, 우수가 벽면을 타고 흐르지 않도록 하여 건축물의 외관이 장기간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박공 후레싱과 결합될 시 견고하게 결합되며, 외관이 미려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크게 전면부(10)와 상면부(20) 및 하면부(30)가 일체로 구성되되, 그 대략적인 형태가 후면과 하부 양측면이 개방된 마름모꼴의 형태로 구성되며, 마름모 형태의 전면(11)에는 원호의 형태로 제 1절곡부(12)와 만곡부(13) 및 제 2절곡부(14)가 오목한 형태로 순차 가공된 전면부(10)와, 상기 전면부(10)의 상부 양측으로 상면(21)이 형성되되, 전면(11)과 접하는 부위에는 상부 물때 방지턱(22)이 형성되고, 상면(21)의 외측부로는 상부 결합부(23)가 형성된 상면부(20)와, 상기 전면부(10)의 하단 중앙으로는 하면(31)이 형성되되, 그 접하는 부위에는 하부 물때 방지턱(32)이 형성되고 하면(31)의 끝단으로는 90° 상측으로 절곡된 하부 결합부(33)가 형성된 하면부(30)로 구성되어, 상 · 하부 물때 방지턱(22, 32)에 의해 우수가 용마루(1)의 전측으로 흐르지 못하도록 차단되어 건축물의 외부 벽면(3)을 타고 흐르지 않도록 하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면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배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우선 전면부(10)의 구성을 살펴보면, 전면(11)은 마름모꼴 형태로 구성되되, 전면(11)의상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는 원호 형태로 제 1절곡부(12)가 형성되는 바, 전측에서 봤을 때 후측으로 90° 꺾임 가공되며, 제 1절곡부(12)의 끝단으로는 만곡부(13)가 만곡지게 형성된다.
상기 만곡부(13)의 끝단으로는 제 2절곡부(13)가 후측으로 90° 꺾임 가공된 다음, 다시 하측으로 90° 꺾임 가공된 형태로 제작되어, 전측에서 봤을 때 그 형태가 미려하고 방수 능력이 뛰어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전면부(10)의 상부 양측으로는 상면부(20)가 형성되는 바, 상면부(2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면(21)은 소정의 폭을 갖는 경사진 판의 형태로, 상기 전면부(10)와 접하는 부위에는 상부 물때 방지턱(22)이 형성되어 있고, 그와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상부 결합부(23)가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상부 물때 방지턱(22)은 상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절곡된 후, 수직으로 급격하게 절곡된 형태로, 그 형상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경사턱의 형태로 구성되어, 우수가 용마루(1)의 전측으로 흐르더라도 상부 물때 방지턱(22)을 넘지 못하고 지붕(4)을 타고 처마(5)측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를 통해 우수가 외부 벽면(3)을 타고 흘러내리지 않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상면부(20)의 타측으로는 요철형태의 상면 결합부(23)가 형성되는 바, 이는 박공 후레싱(2)과 결합될 시, 보다 견고하게 결착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증대시키며, 이 후 리벳 등의 결합 수단을 통해 완벽한 체결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전면부(10)의 제 2절곡부(14)에서 수직으로 일정 위치만큼 이격된 지점에는 수평으로 90° 절곡된 하면부(30)가 형성되는 바, 우선, 상기 전면부(10)의 하단 끝지점에서부터 일정각도 상측으로 경사지게 꺾임 가공하여 하부 물때 방지턱(32)을 형성하며, 하부 물때 방지턱(32)에서부터 수평으로 일정위치 이격된 곳에는 상측으로 90° 절곡된 하부 결합부(33)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 물때 방지턱(32)은, 하측으로 뾰족한 경사턱의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써, 많은 양의 우수가 용마루(1)의 전측으로 한꺼번에 흘러내리게 되면, 우수가 상기 상부 물때 방지턱(22)을 범람하여 용마루(1)의 전면부(10)를 타고 흘러내리게 되며, 하부 물때 방지턱(32)의 끝단에 이르러서는 더 이상 외부 벽면(3)을 타고 흐르지 않고 바닥으로 낙수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하부 물때 방지턱(32)의 수평방향으로 일정위치 이격된 지점에는 90° 꺾임 가공된 하부 결합부(33)가 형성되는 바, 박공 후레싱(2)의 하부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제작을 살펴보면, 금속 혹은 PVC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일체로 구성된 형태로 제작하되, 용융된 금속이나 용융된 PVC를 금형에 밀어 넣어 사출 혹은 압출 등의 방법으로 성형하거나 프레스를 이용하여 금속판재를 절곡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이 가능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제작된 본 고안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박공(6)의 끝단에 박공 후레싱(2)을 삽착한 후, 박공 후레싱(2)의 최상단에 직교하는 모서리 부분에 본 고안의 용마루(1)를 결합하되, 그 형태가 도 4에 잘 도시된 바, 직교하는 각각의 박공 후레싱 상면(2a)으로는 용마루(1)의 상면부(20)가 삽착되고, 마찬가지로 박공 후레싱 전면(2b)과 박공 후레싱 하면(2c)으로는 각각 용마루(1)의 전면부(10)와 하면부(30)의 내측이 각각 맞접하도록 삽착되며, 그 상 · 하단으로는 리벳 등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직교하는 박공 후레싱(2)을 연결하고, 결합된 부위에는 완벽한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설치 ·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용마루의 상 · 하면 일측으로 물때 방지턱이 형성되어 있어서, 우수가 외부 벽면을 타고 흐르지 않도록 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물때가 끼지 않고 장기간 청결한 상태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마루의 전면으로는 만곡부와 절곡부가 원호의 형태로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그 외형이 미려하며, 전체를 이음매가 없는 일체로 가공함으로써 수분의 침투가 발생하지 않고 미려한 상태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또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조립식 건축물의 박공 후레싱 상단에 결합되는 지붕 용마루에 있어서,
    마름모 형태의 전면(11)에는 원호의 형태로 제 1절곡부(12)와 만곡부(13) 및 제 2절곡부(14)가 오목한 형태로 순차 가공된 전면부(10)와,
    상기 전면부(10)의 상부 양측 경사부로는 상면(21)이 형성되되, 전면(11)과 접하는 부위에는 상부 물때 방지턱(22)이 형성되고, 상면(21)의 외측단으로는 상부 결합부(23)가 형성된 상면부(20)와,
    상기 전면부(10)의 하단 중앙으로는 하면(31)이 형성되되, 그 접하는 부위에는 하부 물때 방지턱(32)이 형성되고 하면(31)의 끝단으로는 90° 상측으로 절곡된 하부 결합부(33)가 형성된 하면부(30)로 구성되어,
    직교하는 박공 후레싱(2)에 삽착 · 결합됨으로써 우수가 용마루(1)의 전측으로 흐르지 못하도록 차단되어 건축물의 외관이 장기간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 용마루.
  2. 제 1항에 있어서,
    상부 물때 방지턱(22)은, 상면(21)과 전면(11)이 접하는 부위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후, 수직으로 급격하게 절곡된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 용마루.
  3. 제 1항에 있어서,
    하부 물때 방지턱(32)은, 전면(11)의 하단 중앙으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후, 수평으로 절곡된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 용마루.
KR20-2004-0017581U 2004-06-22 2004-06-22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 용마루 KR2003628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581U KR200362811Y1 (ko) 2004-06-22 2004-06-22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 용마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581U KR200362811Y1 (ko) 2004-06-22 2004-06-22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 용마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811Y1 true KR200362811Y1 (ko) 2004-09-23

Family

ID=49437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581U KR200362811Y1 (ko) 2004-06-22 2004-06-22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 용마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8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3776B1 (en) Roofing tile
KR200362811Y1 (ko)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 용마루
JP3126092U (ja) 金属製屋根材
KR200362809Y1 (ko) 조립식 건축물의 박공 및 처마 후레싱
KR200362810Y1 (ko) 조립식 건축물의 처마 후레싱 코너 연결구
JPH0833053B2 (ja) 横葺屋根板
JP4830924B2 (ja) 軒樋内曲がり継手
JP5743126B2 (ja) 軒先唐草を用いた軒先構造
JP2004225476A (ja) 金属瓦を施工した屋根構造及び金属瓦
JP2688318B2 (ja) 屋根板材の接続構造
KR200439739Y1 (ko) 배수관 연결구
JP3126068U (ja) 金属製屋根材
JP5090069B2 (ja) 簡易建物
KR200187234Y1 (ko) 건물 지붕의 용마루 비막이구조
JPH0411057Y2 (ko)
JPS6316415Y2 (ko)
JPS6316416Y2 (ko)
JPH053618Y2 (ko)
KR200311882Y1 (ko) 건축물의 낙수관용 물받이통
JP4270388B2 (ja) 住宅の屋根構造
JPH0636141Y2 (ja) 屋根排水構造
JP3082816U (ja) 屋根における雪止め兼融雪排水装置
JP4778341B2 (ja) 外装材施工用ジョイナ
JP2020051037A (ja) 棟換気装置及び棟換気装置の施工方法
JPH043394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