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207Y1 - 엘리베이터의 핸드레일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핸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207Y1
KR200362207Y1 KR20-2004-0017489U KR20040017489U KR200362207Y1 KR 200362207 Y1 KR200362207 Y1 KR 200362207Y1 KR 20040017489 U KR20040017489 U KR 20040017489U KR 200362207 Y1 KR200362207 Y1 KR 2003622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handrail
head
wal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천종
Original Assignee
유천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천종 filed Critical 유천종
Priority to KR20-2004-0017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2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2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2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02Handrails mounted on walls, e.g. on the wall side of stairs
    • E04F11/1804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핸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벽면에 설치되는 손잡이부재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은 압출 성형되고, 내측에는 벽면에 결합되는 체결볼트의 머리부가 삽입되는 머리삽입부 및 양 끝단에 결합되는 마무리부재를 고정 결합하기 위한 나사체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핸드레일을 승강차 벽면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핸드레일의 설치에 따른 조립공수가 감소됨으로써 그 설치가 보다 용이해지므로 작업성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핸드레일{HAND RAIL OF ELEVATOR}
본 고안은 조립공정수를 감소시킴과 더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핸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승강차의 벽면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핸들레일의 고정구조를 예시한 것으로서, 핸드레일(1)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차에 탑승한 승객이 탑승시간 동안 편하게 있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승강차의 벽면(2)에 설치되는 일종의 손잡이이다.
즉, 엘리베이터 내의 핸드레일 설치목적은 승객이 탑승하여 승강차가 상하로 가속주행 및 감속과정 등을 수행하는 동안 수직방향의 속도변화에 따른 승객의 자립상태가 불안정해지는 경우 또는 승강차에 요동이 발생함에 따른 승객의 전도현상이 유발될 가능성을 예방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이다.
한편, 종래에는 핸드레일을 승강차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승강차 벽면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쇠를 위치시키고, 이 각각의 고정쇠를 다수의 고정나사를 이용하여 승강차 벽면에 고정한 후 고정쇠에 핸드레일을 결합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강차 벽면에 설치되는 종래 핸드레일의 경우에는, 다수의 고정나사를 이용하여 핸드레일이 결합된 고정쇠을 승강차 벽면에 일일이 고정해야 하므로 조립공수가 증가함은 물론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핸드레일의 설치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핸드레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승강차에 핸드레일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핸드레일이 승강차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핸드레일이 승강차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따른 핸드레일이 승강차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핸드레일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핸드레일이 승강차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손잡이부재 11 ; 머리삽입부
11a ; 걸림턱 12 ; 손잡이부
13 ; 나사체결부 20 ; 마무리부재
21 ; 나사공 30 ; 체결볼트
31 ; 머리부 32 ; 몸통부
33 ; 너트 40 ; 스페이서
50 ; 와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벽면에 설치되는 손잡이부재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은 압출 성형되고, 내측에는 벽면에 결합되는 체결볼트의 머리부가 삽입되는 머리삽입부 및 양 끝단에 결합되는 마무리부재를 고정 결합하기 위한 나사체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핸드레일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핸드레일은 승객이 파지하도록 된 손잡이부재(10)와, 이 손잡이부재(10)의 양단에 밀폐 결합되는 마무리부재(20)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재(10) 및 마무리부재(20)의 표면에는 금도금 또는 은도금을 함으로써 승객들에게 심미감을 높여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손잡이부재(1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압출 성형되며, 비교적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손잡이부재(10)는 승강차 벽면(C)에 고정시켜 주는 체결볼트(30)의 머리부(31)가 결합되는 머리삽입부(11)와, 이 머리삽입부(11)의 양측에 연장되어 승객으로 하여금 파지하도록 된 손잡이부(12)와, 상기 머리삽입부(11)의 양측에 마련되는 나사체결부(13)로 구성된다.
상기 머리삽입부(11)의 일측에는 체결볼트(30)의 머리부(31)가 안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11a)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12)는 머리삽입부(11)의 양측에 대략 원형으로 각각 대칭되게 연장 형성된다.
상기 나사체결부(13)는 머리삽입부(11)의 양측에 각각 단면상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마무리부재(20)와 고정나사로 결합된다.
상기 체결볼트(30)는 승강차의 벽면(C)과 손잡이부재(10)와의 충분한 간격을 가지는 길이의 몸통부(32)를 가지고, 이 몸통부(32)의 외주면에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스페이서(40)가 장착된다. 이 스페이서(40)는 승강차 벽면(C)에 대해 손잡이부재(1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마무리부재(20)는 손잡이부(12)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며, 이 마무리부재(20)에는 손잡이부재(10)의 나사체결부(13)에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공(21)이 형성되어 고정나사에 의해 손잡이부재(10)에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핸드레일을 승강차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승강차 벽면(C)에 핸드레일이 지지될 수 있도록 수평선상으로 복수의 체결볼트(30)를 결합한다. 이 때, 체결볼트(30)의 몸통부(32) 외주면에는 스페이서(40)가 결합된다.
그 후, 승강차 벽면(C)의 외측으로 돌출된 각각의 체결볼트(30)의 몸통부(32)에 와셔(50)를 개재한 상태로 너트(33)를 조인다.
체결볼트(30)의 머리부(31)가 삽입되도록 손잡이부재(10)의 머리삽입부(11)를 위치시킨 후 수평선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되면 체결볼트(30)의 머리부(31)가 머리삽입부(11)에 안착된다.
그 후, 손잡이부재(10)의 개구된 양단에 고정나사를 이용하여 마무리부재(20)를 결합하게 되면 손쉽게 핸드레일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핸드레일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핸드레일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의 구성과 대동소이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핸드레일의 손잡이부재(10')의 구조를 보다 다양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실시예의 손잡이부재(10')는 체결볼트(30)의 머리부(31)가 삽입되도록 대략 장방형의 머리삽입부(11')가 마련되고, 이 머리삽입부(11')의 중앙에서 일측 방향으로 보강리브(14')가 소정 길이 형성되며, 이 보강리브(14')에 의해 그 양측에 대략 반원형으로 손잡이부(12')가 구획 형성된 것이다. 상기 보강리브(14')의 일단에는 마무리부재(20)와 나사 고정되도록 나사체결부(1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재(10)의 구조나 형상을 보다 다양하게 압출 성형함으로써 승객들로 하여금 파지할 수 있는 효과를 보다 높여 주거나, 또는 손잡이부재(10)의 외적 심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핸드레일을 승강차 벽면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핸드레일의 설치에 따른 조립공수가 감소됨으로써 그 설치가 보다 용이해지므로 작업성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엘리베이터의 벽면에 설치되는 손잡이부재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재는 압출 성형되며, 내측에는 벽면에 결합되는 체결볼트의 머리부가 삽입되는 머리삽입부 및 양 끝단에 결합되는 마무리부재를 고정 결합하기 위한 나사체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핸드레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볼트의 몸통부 외주면에는 스페이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핸드레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재 및 마무리부재의 표면에는 금도금 또는 은도금 중 어느 하나의 도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핸드레일.
KR20-2004-0017489U 2004-06-21 2004-06-21 엘리베이터의 핸드레일 KR2003622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489U KR200362207Y1 (ko) 2004-06-21 2004-06-21 엘리베이터의 핸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489U KR200362207Y1 (ko) 2004-06-21 2004-06-21 엘리베이터의 핸드레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207Y1 true KR200362207Y1 (ko) 2004-09-16

Family

ID=49437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489U KR200362207Y1 (ko) 2004-06-21 2004-06-21 엘리베이터의 핸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2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970B1 (ko) 2014-04-16 2015-02-17 김현구 핸드레일 고정 브라켓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970B1 (ko) 2014-04-16 2015-02-17 김현구 핸드레일 고정 브라켓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7948B2 (en) Length adjustable passenger handle assembly for elevator
US10890316B2 (en) Lighting fixture with high structural integrity
US5810148A (en) Tread element for escalators and travelators
KR101850986B1 (ko) 풀림 방지 너트
KR200362207Y1 (ko) 엘리베이터의 핸드레일
US9181709B2 (en) Rapidly mounted, modular, universal grab bar and handrail system
KR20100086726A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CN105668387A (zh) 小井道电梯轿壁的连接结构
WO2005118455A2 (en) Travelator, moving ramp or escalator
JP2005298077A (ja) 乗客コンベアの踏段
JP5557504B2 (ja) 手摺
JP6763042B2 (ja) ルーフレール、およびルーフレールの取り付け方法
KR100517695B1 (ko) 차량의 흡음재 조립구조
KR100476758B1 (ko) 도어 판넬용 그로밋
CN110775783B (zh) 一种电梯的扶手安装座、电梯轿厢及电梯
JP2006117364A (ja) エレベータかご室の手すり
KR100550618B1 (ko)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KR100463149B1 (ko) 버스용 실링 커버 장착구조
KR200184500Y1 (ko) 승객수송장치의 외측데크 고정구조
KR200308271Y1 (ko) 엘리베이터의 승객용 손잡이
JPH0352351Y2 (ko)
JPH10217772A (ja) 樹脂製ロアサッシュ
JP2002211441A (ja) 車両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用リィンホースメント
KR100449299B1 (ko) 자동차의 도어 트림 결합구조
JPH043544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